맨위로가기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는 1688년 잉글랜드 국왕 제임스 2세와 모데나의 메리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그는 가톨릭 신자였던 부모의 영향으로 즉위 시 종교적 갈등을 야기했으며, 명예 혁명으로 제임스 2세가 폐위되면서 프랑스로 망명했다. 이후 왕위 계승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1766년 로마에서 사망했다. 그는 자코바이트 운동의 중심 인물이었으며, 그의 사후 자코바이트 운동은 쇠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의 왕자 - 로버트 3세
    로버트 3세는 1390년부터 1406년까지 스코틀랜드 왕을 지냈으며, 재위 기간 동안 왕권 약화와 동생의 영향력 아래 놓이는 등 불행한 시기를 보냈다.
  • 스코틀랜드의 왕자 - 웨일스 공 헨리 프레더릭
    1594년 스코틀랜드 왕족으로 태어나 1610년 웨일스 공이 된 헨리 프레더릭은 제임스 6세의 장남으로 로테세이 공작, 콘월 공작 등의 작위를 받았으며 학문, 스포츠, 예술에 능했으나 18세에 장티푸스로 사망했다.
  • 스코틀랜드의 최고궁내관 - 알렉산더 스튜어트
    알렉산더 스튜어트는 스코틀랜드의 궁내관으로, 제7차 십자군 원정에 참여하고 알렉산더 3세의 섭정으로 활동했으며, 라르그스 전투에서 스코틀랜드 군대를 지휘하여 노르웨이의 침략을 막아 스튜어트 왕조의 기반을 마련하고 스코틀랜드 독립 수호에 기여했다.
  • 스코틀랜드의 최고궁내관 - 로버트 3세
    로버트 3세는 1390년부터 1406년까지 스코틀랜드 왕을 지냈으며, 재위 기간 동안 왕권 약화와 동생의 영향력 아래 놓이는 등 불행한 시기를 보냈다.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알렉시스 시몬 벨의 초상화, 1712년경
이름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칭호프린스 오브 웨일스
별칭늙은 왕위 요구자 (Old Pretender), 물 건너의 왕 (King over the Water)
계승권자코바이트 왕위 주장자
재위 기간 (주장)1701년 9월 16일 – 1766년 1월 1일
이전 통치자제임스 7세 및 2세
후계자찰스 3세
배우자마리아 클레멘티나 소비에스카 (1719년 결혼, 1735년 사별)
자녀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헨리 베네딕트 스튜어트
왕가스튜어트 가문
아버지제임스 2세
어머니메리 오브 모데나
출생일1688년 6월 10일
출생지잉글랜드 왕국, 런던, 세인트 제임스 궁전
사망일1766년 1월 1일
사망지교황령, 로마, 팔라초 무티
매장지바티칸 시국, 성 베드로 대성당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서명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James Francis Edward Stuart

2. 생애

1688년 6월 10일 세인트 제임스 궁전에서 잉글랜드 왕 제임스 2세(스코틀랜드 왕 제임스 7세)와 두 번째 왕비 메리 오브 모데나 사이에서 태어났다. 이복 누이로 메리 2세와 앤이 있었으며, 이복 형으로 제임스 피츠제임스, 동복 여동생으로 루이자 마리아 테레사가 있었다.

가톨릭 신자인 제임스 2세는 친가톨릭 정책으로 의회와 대립했지만, 첫 번째 왕비 앤 하이드와의 사이에서 프로테스탄트인 메리 공주(후의 메리 2세)가 있었기에 가톨릭 왕은 1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가톨릭 왕비 메리와의 사이에서 제임스가 태어나자, 왕위를 메리와 그녀의 남편이자 제임스 2세의 조카인 오라니예 공 빌럼 3세(후의 윌리엄 3세)에게 계승시키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제임스가 태어난 직후 왕비가 사산했고 제임스는 왕자가 아니라는 소문이 돌았지만, 역사적 증거는 없다. 1688년 명예혁명이 발발하자, 제임스는 어머니와 함께 프랑스로 망명했고, 아버지 제임스 2세도 윌리엄 3세에 의해 폐위되어 프랑스로 망명했다.

제임스는 프랑스에서 성장했고, 루이 14세는 그를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정통 왕위 계승자로 인정했다. 1701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제임스는 “왕위”를 계승하여 제임스 3세/8세로서 자코바이트들의 중심 인물이 되었다. 1708년 3월 23일 프랑스의 지원을 얻어 침공 계획을 시작하여, 스코틀랜드 지지자들의 요청에 따라 포스 만에 상륙했으나, 잉글랜드 함대가 나타나 곧바로 프랑스로 철수하여 실패했다. 그는 가톨릭에서 프로테스탄트로 개종하면 이복 누이 앤의 사후에 왕위를 계승할 수 있었을 것이나, 개종을 거부했다. 1714년에 앤 여왕이 사망한 후에는 프로테스탄트이자 외사촌하노버 선제후 게오르크 루트비히가 조지 1세로 즉위했다.

1719년 폴란드 왕 얀 3세 소비에스키의 손녀 마리아 클레멘티나 소비에스카와 결혼하여,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보니 프린스 찰리”)와 헨리 베네딕트 스튜어트 두 아들을 두었다.

1714년 프랑스군이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 잉글랜드와 그 동맹국에게 패배하여 루이 14세는 강화를 강요당했다. 그는 제임스를 프랑스에서 추방할 것을 요구한 유트레흐트 조약에 서명했고, 자코바이트들은 프랑스의 지원을 잃었다. 1715년 제임스는 복위를 목표로 스코틀랜드에서 반란을 선동했지만, 병 때문에 군대를 지휘할 수 없었고, 스코틀랜드 도착도 너무 늦어 실패했다. 30년 후 1745년 아들 찰스를 중심으로 대규모 반란이 일어났지만, 실패하면서 스튜어트 왕조의 영국 왕위 탈환(복위)의 꿈은 완전히 깨지게 되었다.

제임스는 1766년 1월 1일 로마에서 사망하여 바티칸의 산 피에트로 대성당에 안장되었다.

2. 1. 탄생과 어린 시절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웨일스 공)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는 1688년 6월 10일 세인트 제임스 궁전에서 잉글랜드의 제임스 2세와 그의 두 번째 부인인 모데나의 메리 사이에서 태어난 외아들로, 둘 다 가톨릭 신자였다.[1] 그는 재위 중인 군주가 낳은 장남으로서, 출생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콘월 공작과 로씨 공작이 되었으며, 1688년 7월에는 웨일스 공으로 책봉되었다.

그의 탄생은 예상치 못한 것이었다. 어머니가 열 번째이자 마지막 임신을 한 지 5년 만에 태어난 아기였고, 그전까지의 임신에서는 며칠 이상 생존한 아이가 없었다.[2] 제임스의 탄생은 새로운 왕자가 가톨릭 신앙으로 자랄 것이라는 점 때문에 종교 논쟁에 다시 불을 지폈다. 영국의 국교회 신자들 사이에서는 새로운 왕자가 사산되었다는 소문과, 새로운 왕자로 불리는 아기가 속임수로 왕실 분만실에 밀반입된 것이라는 소문이 퍼져나갔다.[3] 출산에 참석한 모든 사람이 가톨릭 신자였다는 사실에 의문을 품는 개신교도들도 있었다.[8] 하지만 개신교도인 벨라시스 남작의 부인은 "배꼽 줄이 배에 달린 채로 아기를 침대에서 꺼내는 것을 보았다"고 증언했다.[4] 또 다른 소문은 제임스 2세가 아버지가 아니라는 것이었는데, 그는 수년 전 성병에 걸린 후 불임이 되었다는 말이 있었다. 이러한 소문을 없애기 위해 제임스 2세는 출산에 대한 70명 이상의 목격자들의 증언을 발표했다.[5][6]

왕위 계승 순위가 의심스럽게 되었다. 제임스 2세의 장녀인 잉글랜드의 메리와 영국 여왕 앤은 개신교 신앙으로 자랐다.[8] 영국의 개신교도들은 제임스 2세의 첫 번째 부인 사이에서 태어난 메리가 아버지의 뒤를 이을 것으로 예상했다.[7] 이 가능성은 개신교도들을 어느 정도 만족하게 했고, 제임스 2세의 통치는 일시적인 불편함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새로운 가톨릭 왕자이자 상속자가 등장하면서 메리나 앤의 계승이 의심스럽게 되자, 이미 제임스 2세의 행동으로 인해 불만이 커지고 있었던 상황에서 불만이 더욱 커졌다. 종교적으로는 다르지만 국왕으로 존중하려던 토리파 국교회 신자들도 제임스 2세의 행동에 등을 돌렸다. 이러한 움직임은 명예혁명으로 이어졌고, 메리의 남편인 오렌지 공 윌리엄 3세는 영국과 스코틀랜드 망명자들과 네덜란드 군인들로 구성된 군대의 지원을 받아 영국에 상륙했다. 영국군의 상당수가 윌리엄 3세의 편에 붙었고, 제임스 2세와 그의 가족은 싸우기보다는 도망쳤다.[8]

2. 2. 명예혁명과 망명

1688년 명예혁명으로 잉글랜드의 제임스 2세의 가톨릭 정책에 대한 반발이 거세지자, 의회는 오라니예 공 윌리엄 3세를 옹립했다.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는 어머니 모데나의 메리와 함께 프랑스로 망명했다.[1] 프랑스의 루이 14세는 잉글랜드의 제임스 2세와 그 가족을 지원하며 생제르맹 궁전을 제공하였다.[9]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가 태어난 직후, 왕비가 사산했고 제임스는 왕자가 아니라는 소문이 돌았으나, 역사적 증거는 없다. 1688년 명예혁명이 발발하자, 제임스는 어머니와 함께 프랑스로 망명했고, 아버지 제임스 2세도 윌리엄 3세에 의해 폐위되어 프랑스로 망명했다.[8]

2. 3. 왕위 계승 시도

1715년 셰리프무어 전투 이후 스코틀랜드에 상륙한 구칭 왕위 계승자 (18세기 판화)


1701년 아버지 제임스 2세가 사망하자, 루이 14세는 리스위크 조약에도 불구하고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를 잉글랜드, 아일랜드, 스코틀랜드의 왕으로 선포했다. 스페인, 교황령, 모데나 역시 그를 왕으로 인정하고, 윌리엄 3세, 메리 2세, 앤을 합법적인 군주로 인정하지 않았다.[11] 제임스는 1702년 3월 2일 런던에서 반역죄로 단죄되었고, 그의 작위는 영국 법에 따라 박탈되었다.[11]

1708년, 제임스는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스코틀랜드 침공을 시도했으나, 잉글랜드 함대에 의해 저지되어 실패했다.

1715년, 자코바이트들은 "제임스 3세이자 8세"를 왕위에 올리려는 목적으로 스코틀랜드 (1715년 자코바이트 반란)와 콘월(1715년 콘월 자코바이트 반란)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제임스는 셰리프무어 전투와 프레스턴 전투 (1715년)에서 자코바이트군이 패배한 후인 1715년 12월 22일 스코틀랜드에 도착했다.[12] 피터헤드에 상륙했지만 곧 고열에 시달렸고, 혹독한 스코틀랜드 겨울 날씨로 인해 병세가 더욱 악화되었다. 1716년 1월, 스콘 궁전에 궁정을 설치했으나, 정부군의 접근 소식을 듣고 1716년 2월 5일 몽로즈에서 프랑스로 돌아갔다.[12]

2. 4. 결혼과 후손

1719년 9월 3일, 제임스는 폴란드 국왕 얀 3세 소비에스키의 손녀인 마리아 클레멘티나 소비에스카 (1702년 ~ 1735년)와 결혼했다. 결혼식은 몬테피아스코네 근처 비테르보의 주교궁 예배당에서 거행되었다. 제임스는 아내와의 사이에서 두 아들을 두었다.[1]

제임스의 아내, 마리아 클레멘티나 소비에스카


이름생몰년비고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1720년 12월 31일 ~ 1788년 1월 31일"보니 프린스 찰리"라는 별명으로 알려짐
헨리 베네딕트 스튜어트1725년 3월 11일 ~ 1807년 7월 13일가톨릭교회의 추기경


2. 5. 망명 생활과 죽음

1745년 아들 찰스가 주도한 반란이 실패하면서, 스튜어트 왕가의 영국 왕위 탈환 희망은 사실상 좌절되었다.[22] 제임스와 찰스는 이후 반복적으로 충돌했고, 제임스가 아들 헨리의 추기경 임명에 역할을 했을 때 관계가 완전히 악화되었다. 헨리는 성직에 들어가 독신 생활을 해야 했으므로, 적통 상속인을 낳을 가능성이 사라졌다. 찰스는 아버지와 상의 없이 추기경 임명이 이루어진 것에 분노했다.

1748년 안톤 라파엘 멩스가 그린 제임스의 초상화


오랜 투병 끝에 제임스는 1766년 1월 1일, 77세의 나이로 로마에 있는 자신의 집 팔라초 무티에서 사망했고,[7][24] 현재 바티칸 시국에 있는 성 베드로 대성당 지하 납골당에 안장되었다. 그의 묘비는 스튜어트 왕가 묘비로 표시되어 있다. 그의 주장하는 통치 기간은 64년 3개월 16일로, 2016년 5월 23일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통치 기간이 넘어서기 전까지는 어떤 영국 군주보다도 길었다.[25]

3. 자코바이트 왕위 계승과 관련된 논란

1745년 자코바이트 반란 이후, 스튜어트 왕조 복위 시도는 사실상 끝났다. 1759년 프랑스의 영국 침공 계획 당시 프랑스가 제임스를 아일랜드 왕으로 세우는 방안을 잠시 고려했지만, 공식 제안은 없었다.[23] 아들 샤를에게 독립 아일랜드 통치권을 주는 계획도 샤를의 소극적인 태도로 무산되었다.[23]

제임스는 1688년 6월 10일 세인트 제임스 궁전에서 제임스 2세와 메리 オブ 모데나 사이에서 태어났다. 메리 2세, 앤은 이복 누이, 제임스 피츠제임스는 이복 형, 루이자 마리아 테레사는 동복 여동생이었다.

가톨릭 신자인 아버지 제임스 2세는 친가톨릭 정책으로 의회와 대립했다. 프로테스탄트인 메리 2세가 첫 왕비에게서 태어났기에 가톨릭 왕은 1대에 한정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가톨릭 왕비에게서 제임스가 태어나자 윌리엄 3세 부부에게 왕위를 계승시키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제임스 출생 직후 왕비의 사산, 대역 소문이 돌았지만, 역사적 증거는 없다. 명예혁명으로 제임스는 어머니와 프랑스로 망명했고, 아버지도 폐위되어 프랑스로 망명했다.

제임스는 프랑스에서 루이 14세에게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정통 왕위 계승자로 인정받았다. 1701년 아버지 사망 후, "제임스 3세 및 8세"로서 자코바이트 중심 인물이 되었다. 1708년 3월 23일 프랑스 지원을 받은 침공 계획은 잉글랜드 함대 출현으로 실패했다. 그는 개종하면 왕위 계승 가능성이 있었지만 거부했다. 1714년 앤 여왕 사후, 조지 1세가 왕위에 올랐다.

1719년, 제임스는 폴란드 왕 얀 3세 소비에스키의 손녀 마리아 클레멘티나 소비에스카와 결혼,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헨리 베네딕트 스튜어트 두 아들을 두었다.

1715년 반란은 건강 문제와 늦은 도착으로 실패했다. 1745년 아들 찰스 중심의 대규모 반란 역시 실패, 스튜어트 왕조 복위 시도는 좌절되었다.

제임스는 1766년 1월 1일 로마에서 사망, 바티칸 산 피에트로 대성당에 안장되었다.

3. 1. 자코바이트의 주장

젊은 시절 제임스의 채색 초상화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와 그 후손들은 자신들이 정당한 왕위 계승자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프랑스, 스페인, 교황령 등 일부 국가의 지지를 받았다.[18] 1701년 아버지 제임스 2세가 사망하자, 제임스는 "제임스 3세 및 8세"로서 자코바이트들의 중심 인물이 되었다.

제임스는 여러 차례 왕위 복귀를 시도했다.

  • 1708년: 프랑스의 지원을 받은 침공 계획은 1708년 3월 23일 포스 만 상륙 직후 잉글랜드 함대의 출현으로 실패했다.
  • 1715년: 스코틀랜드에서 일어난 반란은 제임스의 건강 문제와 늦은 도착으로 실패했다.
  • 1719년: 스페인의 지원을 받은 원정은 악천후로 좌절되었고, 스코틀랜드 고지대에 소규모 상륙한 병력은 글렌 쉴 전투에서 패배했다.
  • 1722년: 애터버리 음모가 발각되어 무산되었다.[7]
  • 1745년: 아들 찰스를 중심으로 한 대규모 반란 역시 실패로 끝나면서, 스튜어트 왕조의 왕위 복귀 시도는 막을 내렸다.


1759년 프랑스의 영국 침공 계획 당시, 프랑스는 70세였던 제임스를 아일랜드 왕으로 즉위시키는 방안을 고려했으나, 공식 제안은 없었다. 샤를에게 프랑스의 지원을 받는 독립 아일랜드 통치권을 부여하는 계획도 있었지만, 샤를의 소극적인 태도로 무산되었다.[23]

제임스 사후, 교황은 찰스의 왕위 계승 주장을 인정하지 않고, 하노버 왕조를 정통 지배자로 인정했다.[24] 1792년, 교황청은 조지 3세를 "영국과 아일랜드의 왕"으로 언급하여, 당시 자코바이트 계승자였던 헨리의 항의를 받았다.[26]

3. 2. 종교적 갈등

가톨릭 신자인 아버지 제임스 2세는 친가톨릭 정책으로 의회와 대립했지만, 첫 번째 왕비에게서 프로테스탄트인 메리 2세가 태어나 가톨릭 왕은 1대에 한정될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가톨릭 왕비에게서 제임스가 태어나자, 메리와 그의 남편 윌리엄 3세에게 왕위를 계승시키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제임스가 프로테스탄트로 개종했다면 왕위를 계승할 수 있었겠지만, 그는 개종을 거부했다.

4. 유산과 영향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의 아들 젊은 왕위 계승자가 이끈 1745년 자코바이트 반란이 실패하면서, 스튜어트 왕가가 영국 왕위를 되찾을 희망은 사실상 사라졌다.[22] 제임스와 찰스는 계속해서 갈등을 겪었고, 제임스가 아들 헨리를 추기경에 임명하는 데 관여하면서 둘의 관계는 완전히 틀어졌다. 헨리는 이후 성직자가 되었는데, 이는 독신 생활을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고, 적법한 후계자를 낳을 가능성을 없앴다. 찰스는 이 문제로 상의를 받지 못해 분노했다.

1745년 자코바이트 반란 이후, 스튜어트 왕조를 복원하려는 시도는 더 이상 없었다. 1759년 프랑스 정부가 영국 침공 계획의 일환으로 당시 70세였던 제임스를 아일랜드 왕으로 세우는 방안을 잠시 검토했지만, 제임스에게 공식적으로 제안하지는 않았다. 샤를에게 프랑스의 지원을 받는 독립 아일랜드 통치권을 주는 여러 계획이 있었지만, 샤를이 프랑스와의 회의에 늦게 나타나고 논쟁적이며 이상적인 기대를 보였기 때문에 프랑스는 자코바이트 지원 가능성을 포기하면서 이 계획들도 중단되었다.[23]

4. 1. 자코바이트 운동의 종말

젊은 왕위 계승자가 이끈 1745년 주요 반란이 실패하면서, 스튜어트 왕가가 영국 왕위를 되찾을 희망은 사실상 사라졌다.[22] 제임스와 찰스는 계속해서 갈등을 겪었고, 제임스가 아들 헨리를 추기경에 임명하는 데 관여하면서 둘의 관계는 완전히 틀어졌다. 헨리는 이후 성직자가 되었는데, 이는 독신 생활을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고, 적법한 후계자를 낳을 가능성을 없앴다. 찰스는 이 문제로 상의를 받지 못해 분노했다.

1745년 자코바이트 반란 이후, 스튜어트 왕조를 복원하려는 시도는 더 이상 없었다. 1759년 프랑스 정부가 영국 침공 계획의 일환으로 당시 70세였던 제임스를 아일랜드 왕으로 세우는 방안을 잠시 검토했지만, 제임스에게 공식적으로 제안하지는 않았다. 또한 샤를에게 프랑스의 지원을 받는 독립 아일랜드 통치권을 주는 여러 계획이 있었지만, 샤를이 프랑스와의 회의에 늦게 나타나고 논쟁적이며 이상적인 기대를 보였기 때문에 프랑스는 자코바이트 지원 가능성을 포기하면서 이 계획들도 중단되었다.[23]

4. 2. 문화적 영향

제임스의 실패 이후, 관심은 그의 아들 젊은 왕위 계승자에게 돌아갔고, 그는 1745년 주요 반란을 이끌었다. 이 두 번째 반란의 실패로, 스튜어트 왕가의 영국 왕위 탈환 희망은 사실상 좌절되었다.[22] 제임스와 찰스는 이후 반복적으로 충돌했고, 제임스가 그의 아들 헨리의 추기경 임명에 역할을 했을 때 그들 사이의 관계는 완전히 깨졌다. 헨리는 그 후 성직에 들어갔는데, 이는 독신 생활을 유지해야 함을 의미했고, 그가 적통 상속인을 낳을 가능성을 끝냈다. 찰스는 상의를 받지 못한 것에 분노했다.

5. 가계도

스튜어트 왕가의 가계도[29]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의 조상
1대2대3대
1.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2. 제임스 2세4. 찰스 1세[30]
3. 모데나의 메리5. 헨리에타 마리아[30]
4대5대6대
8. 제임스 1세[30]6. 알폰소 4세[31]10. 앙리 4세[30]
9. 덴마크의 앤[30]7. 라우라 마르티노치[32]11. 메디치가의 마리[30]
7대
12. 프란체스코 1세[33]히에로니무스 마르티노치[32]
13. 파르네세가의 마리아[33]15. 로라 마자리니[32]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Prince James Francis Edward', The British Monarchy http://www.royal.gov[...] 2015-10-30
[2] 웹사이트 The Two Pretenders https://www.historic[...]
[3] 서적 Women in World History
[4] 서적 Queen Anne: The Politics of Passion William Collins 2012
[5] 웹사이트 James Francis Edward (1688–1766)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12-05-01
[6] 서적 Depositions Taken the 22d. of October 1688. before the Privy-Council and Peers of England; Relating to the Birth of the (then) Prince of Wales. Published by His Majesty's Special Command https://books.google[...] Printed by the heir of Andrew Anderson
[7] 웹사이트 James Francis Edward Stuart http://stuarts.exete[...] University of Exeter 2015-10-30
[8] 서적 William III & Mary II: Partners in Revolution Allen Lane 2015
[9] 서적 Mémoires
[10] 웹사이트 Princess Louisa Maria Theresa Stuart (1692–1712), Daughter of James II http://www.npg.org.u[...] 2008-02-08
[11] 서적 Complete Peerage
[12] 웹사이트 'James Francis Edward Stuart, styled James VIII and III', The University of Nottingham https://www.nottingh[...] 2015-10-30
[13] 서적 Histoire Militaire du Règne de Louis-le-Grand, Roi de France. Huit tômes https://cour-de-fran[...] Denis Mariette 2023-07-13
[14] 서적 The Royal Stuarts Random House 2010
[15] 서적 Three Victories and a Defeat: The Rise and Fall of the First British Empire, 1714–1783 Penguin
[16] 서적 Jacobitism and the English People, 1688–1788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웹사이트 A Stuart among the Quakers https://journals.sas[...] 2021-03-28
[18] 서적 The Location of the Stuart Court in Rome: The Palazzo Del Re Palgrave Macmillan 2010
[19] 학술지 The Stuart-Sobieska opera patronage in Rome https://journals.ope[...] 2019-06-30
[20] 문서 Per Edward T. Corp
[21] 서적 The Stuarts in Italy, 1719–1766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22] 백과사전 Jacobite
[23] 서적
[24] 웹사이트 Stuart Nomination to Irish Sees (1686–1766.) https://www.libraryi[...]
[25] 웹사이트 Famous Stewarts http://www.stewartso[...] 2016-05-20
[26] 서적 The Last of the Royal Stuarts: Henry Stuart, Cardinal Duke of York https://openlibrary.[...] Methuen
[27] 웹사이트 The Prince of Wales – Previous Princes http://www.princeofw[...] 2010-05-02
[28] 웹사이트 Marks of Cadency in the British Royal Family http://www.heraldica[...] 2010-05-02
[29] 서적
[30] 서적 Lines of Succession: Heraldry of the Royal Families of Europe Little, Brown
[31] 백과사전 Mary of Modena
[32] 서적 The works of Monsieur de St. Evremond https://books.google[...] J. and J. Knapton, J. Darby, A. Battesworth
[33] 서적 Biografia universale antica e moderna https://books.google[...] presso Gio. Battista Missiaglia 1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