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는 2002년 설립된 기관으로, 제주국제자유도시 개발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 사업으로는 내국인 면세점 운영, 영어교육도시 조성, 헬스케어타운 개발, 첨단과학기술단지 조성, 휴양형 주거 단지 개발, 신화역사공원 조성, 서귀포 관광 미항 개발 등이 있다. 현재 문대림이 이사장으로 있으며, 이사회, 감사실, 경영기획본부, 투자사업본부, 운영사업본부, 면세사업본부 등의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시의 기업 - 롯데관광개발
    롯데관광개발은 1971년에 설립되어 2005년 롯데그룹에서 분리되었으며, 제주 드림타워 호텔 및 카지노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2020년에 일반에 공개했다.
  • 제주시의 기업 - 제주항공
    제주항공은 애경그룹과 제주특별자치도의 합작으로 2005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저비용항공사로, 국내선과 국제선 운항을 통해 성장하여 국내 LCC 최초로 상장되었고, 아시아 태평양 지역 LCC 연합 가입 및 일본 노선 확장에 주력하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도 국가고객만족도 조사에서 3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 특수법인 (국토교통부 소관) - 한국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은 부동산 시장 안정과 소비자 권익 보호를 위해 설립된 공공기관으로, 부동산 감정 평가에서 부동산 가격 공시 및 시장 관리 등으로 업무를 확대하여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특수법인 (국토교통부 소관) - 건설공제조합
    건설공제조합은 건설산업기본법에 따라 설립되어 조합원의 건설업 영위에 필요한 보증과 융자를 지원하고 복지 증진, 재해 보상, 연구 및 교육, 공동이용시설 운영 등 건설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기관이다.
  • 대한민국의 준시장형 공기업 -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는 2005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운영 기관으로, 여객, 물류, 자산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KTX, ITX 등 여러 열차를 운행하고,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며 한국철도노동조합과의 갈등, 통계 조작 논란 등의 문제도 겪고 있다.
  • 대한민국의 준시장형 공기업 - 한국전력기술
    한국전력기술은 1975년에 설립된 발전소 설계 전문 회사이며, 한국원자력연구소와 미국의 번즈 앤 로우사의 합작으로 설립되어 한국전력의 자회사로 편입되었고, 원자력 및 화력 발전소 설계 분야를 주요 사업으로 한다.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개요
명칭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영문 명칭Jeju Free International City Development Center
종류특수법인
설립2002년 5월
목적제주국제자유도시 개발 촉진 및 지원
본부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첨단로 213-4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 엘리트빌딩 (영평동 2170-2)
이사장문대림
웹사이트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공식 웹사이트

2. 연혁

연도내용
2002년 1월제주국제자유도시 특별법 공포
2002년 5월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설립
2002년 12월 24일제주공항 JDC면세점 개점
2005년 4월본사 제주 이전
2005년 6월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 착공
2007년 10월휴양형주거단지 착공
2007년 12월신화역사공원 및 서귀포관광미항 착공
2008년 8월버자야 제주리조트 합작법인 출범
2009년 5월제주항공우주박물관 착공
2009년 6월영어교육도시 착공
2009년 9월서귀포관광미항 1단계 사업 준공
2009년 11월휴양형 주거단지 외국인 투자지구 지정
2010년 3월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 준공
2010년 8월NLCS Jeju 착공
2011년 9월NLCS Jeju 개교
2012년 10월Branksome Hall Asia 개교
2012년 10월중국 녹지그룹과 헬스케어타운 본계약 체결
2012년 11월St. Johnsbury Academy 협력사업계약(CVA) 체결


3. 주요 사업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는 제주도를 국제적인 관광, 교육, 의료 중심지로 발전시키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 사업은 다음과 같다.
지정 면세점 (JDC DUTY FREE)제주국제공항제주항에 위치한 JDC 지정 면세점은 내국인도 이용 가능한 면세점으로, 연간 4000억 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제주도를 방문하는 내국인 및 외국인 관광객은 1회 600달러 한도 내에서 면세품을 구매할 수 있으며, 주류는 1병, 담배는 1갑으로 제한된다.
영어교육도시 (Jeju Global Education City)서귀포시 대정읍에 조성된 영어교육도시는 해외 유학 및 어학연수로 인한 외화 유출을 막고, 교육 분야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추진되었다. 노스 런던 컬리지에이트 스쿨 제주, 브랭섬 홀 아시아, 한국국제학교 제주 캠퍼스, 세인트 존스베리 아카데미 제주 등 4개의 국제학교가 개교하여 운영 중이다.
헬스케어타운 (Healthcare Town)서귀포시 동홍동 일대에 조성된 헬스케어타운은 질병 예방, 건강 증진, 의학 기술 연구 및 교육을 위한 의료 휴양 복합 단지이다. 웰니스 파크, 메디컬 파크, R&D 파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국 그린란드 그룹 등이 투자에 참여했다.
첨단과학기술단지 (Jeju Science Park)제주시 아라동에 위치한 첨단과학기술단지는 IT 및 BT 관련 첨단 제조 및 연구센터, 자연과학 연구개발 시설 등을 유치하여 지식 기반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휴양형 주거 단지 (Resort-type Residential Complex)서귀포시 예래동에 위치한 휴양형 주거 단지는 주거, 레저, 의료 기능을 통합한 리조트형 주거 단지로 개발되었다. 말레이시아 베르자야 그룹이 참여하여 '베르자야 제주 에어리스트 시티'를 개발했으나, 현재 개발은 중단된 상태이다.
신화역사공원 (Myths and History Theme Park)서귀포시 안덕면 서광리에 조성 중인 신화역사공원은 세계 각국의 문화와 전설, 영화를 주제로 한 테마파크 리조트이다. 2014년에는 제주항공우주박물관이 개관하였다.
서귀포 관광 미항 (Seogwipo Tourism Port)서귀포시 서귀포항 일대에 조성된 서귀포 관광 미항은 해양 관광 활성화를 위한 항만 시설 정비 사업으로, 새섬 산책로, 친수 해안, 관광 안내 센터, 쇼핑몰 등이 조성되었다.

3. 1. 지정 면세점 (JDC DUTY FREE)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가 운영하는 지정 면세점(JDC DUTY FREE)은 내국인 면세점으로, 연간 4000억 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2016년 매출 목표는 5200억이었다. 제주공항과 제주항에 총 3곳의 사업장을 운영 중이다.

「제주도 여행객에 대한 면세점 특례 규정」(대통령령 24371호)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국내 다른 지역으로 공항과 항만을 통해 나가는 내국인 및 외국인 고객이 이용 대상이다. 1회 구매 한도는 600달러이며, 주류는 1병, 담배는 1갑까지 구매할 수 있다.

종류위치
공항 면세점제주국제공항 국내선 출발장 대합실 내
제주항1면세점제주항 연안여객터미널 (2부두)
제주항2면세점제주항 국제여객터미널 (7부두)


  • 면적: 공항 면세점 2949m2
  • 매출: 4882억 (2015년)

3. 2. 영어교육도시 (Jeju Global Education City)

제주 영어 교육 도시는 해외 유학과 어학 연수로 인한 외화 유출을 억제하고 교육 분야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추진되고 있다.

  • 위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일원
  • 면적: 약 3794000m2
  • 사업 기간: 2008년~2021년
  • 주요 시설: 영어 전용 초중고 국제 학교, 외국 교육 기관, 교육·문화 시설, 주거·상업 시설
  • 입주 학교
  • * 노스 런던 컬리지에이트 스쿨 제주(North London Collegiate School Jeju)
  • * 브랭섬 홀 아시아(Branksome Hall Asia)
  • * 한국국제학교 제주 캠퍼스(Korea International School)
  • * 세인트 존스베리 아카데미 제주(St. Johnsbury Academy Jeju)


제주특별자치도는 해외 유학의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영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유로운 국제도시 개발에 기여하기 위해 영어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1]

2013년 7월,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글로벌교육시티(JGEC) 개발 기간을 2015년부터 2021년까지 연장하고, 7개의 통합학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학교 수를 조정하는 것을 확정했다. 더불어, 교육, 문화, 레저, 스포츠 시설을 모두 갖춘 영어 콤플렉스를 건설하여 JGEC를 동북아시아의 교육 허브로 만들 계획이다.

'''제주 영어 교육 도시 현황'''
구분내용
위치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일원
규모3792042m2
사업 기간2008년 - 2021년
주요 시설국제학교(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외국 교육기관, 문화예술복합단지, 영어교육센터, 주거 및 상업시설



2011년 9월에 개교한 한국국제학교 제주 캠퍼스는 서울에 있는 한국국제학교의 자매 기숙학교이다.[1]


  • 남녀공학 기숙학교 및 주간학교
  • 학년: 유치원~12학년
  • 재학생 수: 906명 (2016년 8월)[2]
  • 교육과정: 10학년부터 AP과정(Advanced Placement)을 포함한 미국식 표준 기반 교육과정(standards-based)


2010년 8월 4일,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는 영국의 명문 사립학교인 노스 런던 컬리지에이트 스쿨(North London Collegiate School, NLCS)의 한국 캠퍼스인 노스 런던 컬리지에이트 스쿨 제주 설립 기공식을 개최했다.[3]

노스 런던 컬리지에이트 스쿨 제주는 제주국제자유도시(JGEC)에 설립된 최초의 사립 국제학교이다. 2011년 9월 26일에 개교했으며, 개교식은 2011년 9월 30일에 열렸다.

  • 남녀공학 기숙학교 및 주간학교
  • 학년: 주니어 스쿨(Reception-Year 6), 시니어 스쿨(Year 7-11), 식스폼(Year 12-13)
  • 재학생 수: 1,508명
  • 교육 프로그램: 런던 NLCS와 동등한 수준, IGCSE 및 Pre-IB/IB 디플로마 프로그램 제공


2011년 6월 30일, 브랭섬 홀 아시아(Branksome Hall Asia)가 대한민국 제주도에서 기공식을 개최했다. 2012년 10월 15일, 브랭섬 홀 아시아가 개교하여 첫 학생 310명을 맞이했으며, 10월 29일 공식 개교식을 개최했다.

  • 학년: PYP(초등 교육 과정, 유치원-6학년), MYP(중등 교육 과정, 7학년-10학년), DP(고등 교육 과정, 11학년-12학년)
  • 재학생 수: 1,212명
  • 교육 프로그램: 토론토 브랭섬홀과 동등한 수준, IB 디플로마 프로그램 제공


2012년 11월,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는 제주글로벌교육시티(JGEC)에 국제학교를 설립 및 운영하기 위해 세인트 존스베리 아카데미와 최종 계약을 체결했다. 170년 전통의 명문 미국 사립학교인 세인트 존스베리 아카데미는 2017년 9월 제주에 캠퍼스를 개교했다.

3. 3. 헬스케어타운 (Healthcare Town)

1539000m2 규모의 헬스케어타운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동홍동 일원에 위치하며, 2008년부터 2018년까지 조성되었다. 질병 예방, 건강 증진, 의학 기술 연구 및 교육을 위한 의료 휴양 복합 단지로 개발되었다.

헬스케어타운은 크게 세 구역으로 나뉜다.

  • 웰니스 파크(Wellness Park): 보건 의료 센터, 재활 및 대체 의료 센터, 승마 공원, 숙박 시설 등을 갖추고 휴식에 중점을 둔 의료 및 레크리에이션 복합 단지이다.
  • 메디컬 파크(Medical Park): 종합병원, 전문병원, 장기 요양 시설 등을 갖춘 첨단 의료 서비스 제공을 위한 복합 의료 단지이다.
  • R&D 파크(Research and Development Park): 항노화 연구 센터, 생명 공학 연구 센터, 신약 연구 센터 등 의학 연구 단지이다.


2011년 12월 7일, JDC는 헬스케어타운 사업 일부에 대한 우선협상대상자로 '서우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2012년 1월 16일에는 캐나다 토론토의 SickChildren 병원과 MOU를 체결했다.[1]

2011년 12월 23일, JDC는 중국 상하이에 본사를 둔 그린란드 그룹과 MOU를 체결했다. 그린란드 그룹은 헬스케어타운 내 웰니스 파크와 R&D 파크에 독점적으로 시설을 건설하기로 했다.[2] 2012년 7월 11일에는 투자 유치를 위한 MOA를 체결, 그린란드 그룹은 의료 R&D 센터, 레크리에이션 및 문화 시설, 숙박 시설 건설에 1조을 투자할 예정이었다.[3]

2012년 10월 30일, JDC는 서귀포시 헬스케어타운 부지에서 그린란드 헬스케어타운 건설 착공식을 개최했다. 그린란드 그룹이 설립한 그린란드 코리아 투자개발 유한회사가 주최한 이 행사로 헬스케어타운 사업은 본격적인 성과 단계로 진입했다.[4] 1단계 레크리에이션 콘도미니엄, 2단계 웰니스몰, 웰빙푸드존, 힐링가든, 3단계 R&D 및 항노화 센터가 개발 계획에 포함되어 있다.

3. 4. 첨단과학기술단지 (Jeju Science Park)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라동 일원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1093527m2이다. 사업 기간은 2003년부터 2021년까지였다.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는 정보통신 및 생물공학과 같은 지식 기반 산업을 위한 교육, 연구 및 사업 인큐베이팅 지원 기능을 결합한 제주 과학단지를 개발하고 있다.

구분내용
입주 가능 업종IT 및 BT 관련 첨단 제조 및 연구센터, 자연과학 연구개발, IT 산업
주요 시설국제학교, 생산 및 사업 지원 시설, 주변 편의시설


3. 5. 휴양형 주거 단지 (Resort-type Residential Complex)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예래동 일원에 위치한 휴양형 주거 단지는 Resort-type Residential Complex영어로, 주거, 레저, 의료 기능을 통합한 리조트형 주거 단지로 개발되었다. 면적은 744000m2이며, 사업 기간은 2003년부터 2017년까지였다.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는 친환경 고부가가치 레저 및 관광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베르자야 제주 에어리스트 시티(Berjaya Jeju Airest City)'를 개발했다. 이 프로젝트는 2008년 말레이시아계 베르자야 그룹(Berjaya Group)과 JDC가 공동 설립한 베르자야 제주 리조트(Berjaya Jeju Resort)가 주도했으며, 고급 리조트 타운 건설을 목표로 했다. 2017년 준공을 목표로 하였으나 현재 개발은 중단되었으며, 거주민이 없고 모든 주택이 미완공 상태이다.[1]

항목내용
프로젝트 컨셉"창의적인 비즈니스 레저 도시"
프로젝트 부지서귀포시 예래동 744207m2
프로젝트 기간2003년 – 2017년 (예정)
프로젝트 예산2.7조
계획 시설레크리에이션 시설(호텔, 빌라, 콘도, 기타 레저 시설), 상업 시설(레스토랑 구역, 쇼핑센터), 극장, 카지노, 의료 및 건강센터, 스파 리조트


3. 6. 신화역사공원 (Myths and History Theme Park)

JDC는 전 세계 여러 나라의 문화와 전설, 그리고 영화의 세계를 체험할 수 있는 테마파크 리조트를 조성하고 있다.

'''주요 시설'''

구역면적설명
A 구역1950000m2영화 테마파크, 워터파크, 관광 명소 및 싱싱한 해산물 요리 전문점인 다운타운 탐모라가 결합된 엔터테인먼트 공간
H 구역581177m2다양한 국가의 음식과 문화를 조화시키고 차이나타운, 유럽, 미국, 동남아시아 존 등의 명소를 선보이는 체험형 테마파크
J 구역1460000m2신화와 역사적 요소를 결합한 테마파크로 산책로, 코리아랜드, 탐라랜드, 전설의 세계 등 4개 구역으로 나뉜다.
제주항공우주박물관항공우주 역사관, 우주관, 천문대, 4D 극장 등 다양한 전시와 시뮬레이션을 갖춘 체험형 항공우주박물관 (2013년 개관)



제주항공우주박물관은 2014년 4월 24일에 개관하였다.

3. 7. 서귀포 관광 미항 (Seogwipo Tourism Port)

JDC는 서귀포시에 해양항만을 개발하고 있다.

  • '''위치:''' 서귀포시 서귀포항 지역
  • '''규모:''' 198000m2
  • '''사업기간:''' 2003년 ~ 2013년
  • '''주요 시설:'''
  • 새섬 산책로, 새섬으로 이어지는 보행자 교량, 친수 해안, 보행자 산책로 정비, 천지연폭포 주차장 정비, 칠십리교 정비, 관광 안내 센터, 쇼핑몰 및 수협, 관광항 배후단지 재개발, 진입도로/테마거리

4. 조직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는 이사회와 상임감사, 감사실로 구성되어 있다.

4. 1. 이사장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이사장은 비서실, 홍보실, 사회가치추진실, 안전관리팀을 산하에 두고 있다.

4. 1. 1. 경영기획본부

경영기획본부 산하에는 기획조정실, 인사관리실, 경영지원실, 성과혁신실, 정보관리실이 있다. 기획조정실에는 법무팀과 서울지원팀이 있다.

4. 1. 2. 투자사업본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투자사업본부에는 미래사업처, 의료사업처, 환경사업처가 있다.

4. 1. 3. 운영사업본부


  • 휴양관광처
  • 교육도시처
  • 박물관운영처

4. 1. 4. 면세사업본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면세사업본부는 면세기획처, 상품운영처, 영업처로 구성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eaching and child development ingredients for success' - JEJU WEEKLY http://www.jejuweekl[...] 2016-10-06
[2] 웹사이트 School Profile http://kis.ac/profil[...] 2016-10-06
[3] 웹사이트 NLCS Jeju grand opening filled with expectations, apprehension, and exhilaration http://www.jejuweekl[...] 2011-10-05
[4] 뉴스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 IT.BT 메카로 주목 http://www.jejunews.[...] 제주일보 2014-04-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