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제주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제주항은 제주특별자치도에 위치한 항만으로, 1735년 관에 의해 방파제와 내제가 건설되면서 항만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27년 5월에 개항했으며, 이후 서방파제, 안벽, 물양장 등이 축조되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78년 제주항 종합개발계획이 발표되었고, 1993년에는 민군 합동항 건설 계획이 세워졌다. 2016년 민군복합항이 개장했으며, 2023년 8월 중국 크루즈 선박의 제주항 방문이 재개되었다. 제주항은 3,540㎢의 항내수면적과 3,000m의 해안선을 가지고 있으며, 연안 및 국제 여객 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시의 교통 - 제주국제공항
    제주국제공항은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군 활주로를 기반으로 1948년 개항하여 1968년 국제공항으로 승격된 후 확장 공사를 거쳐 연간 3,170만 명의 여객 처리 능력을 갖춘 대한민국 주요 공항으로, 국내선 1위를 기록했으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타격을 입었으며 제주 제2공항 건설 논란과 국제선 확대의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 제주시의 교통 - 금남여객
    금남여객은 1970년 설립되어 제주도에서 다양한 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도민과 관광객의 이동을 지원하고 여러 종류의 버스 차종을 보유한 버스 운송 회사이다.
  • 교통에 관한 - 고속철도
    고속철도는 시속 200km 이상으로 운행되는 철도 시스템으로, 국가별 기술과 운영 방식의 차이가 있으며 경제 성장과 국토 개발에 기여하지만 환경 문제와 사회적 비용에 대한 논의가 있는 교통 시스템이다.
  • 교통에 관한 - 대중교통
    대중교통은 다수를 위한 유료 교통수단으로, 수상 교통과 역마차에서 시작하여 트램, 철도, 버스, 지하철, 항공 등으로 발전해 왔으며,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 발전과 과제 해결을 동시에 마주하고 있다.
제주항
일반 정보
이름제주항
한자 표기濟州港
위치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건입동
제주항 국제여객터미널 전경
제주항 국제여객터미널 전경
항만 정보
개항1927년 5월
UN/LOCODEKRCHA
운영 및 관리
관리자(정보 없음)
시설 정보
종류(정보 없음)
정박 면적(정보 없음)
육지 면적(정보 없음)
면적(정보 없음)
계류 시설 수(정보 없음)
부두 수(정보 없음)
선창 수(정보 없음)
종업원 수(정보 없음)
통계 정보
년도(정보 없음)
발착 수(정보 없음)
물동량(정보 없음)
컨테이너 수(정보 없음)
화물 총액(정보 없음)
여객 수(정보 없음)
매출액(정보 없음)
이익(정보 없음)
웹사이트
웹사이트(정보 없음)

2. 역사

1735년에 김정(金政) 제주목사가 전도민을 부역하게 해 산지항(현 제주항) 및 별도항(현 화북항)에 방파제 80간(間)과 내제를 쌓게 했는데 관에 의해 항만이 건설된 것은 이때가 최초이다.

일제 강점기인 1927년 5월 개항한 제주항은 1920년~1940년 서방파제(580m)와 안벽 100m, 물양장 361m를 축조했다. 상선항으로서의 축조공사가 이뤄지기 시작한 것은 1926년에 서북향에 의한 격랑을 막기 위해 연장 310m의 방파제를 축조한 것이 처음이다. 이 공사는 예산 300,000엔을 계상, 1926년 12월 16일 착공해 1929년 3월 31일에 준공됐는데, 실제 공사비는 총 263,958엔으로 최초로 국고에 의한 항만공사가 이뤄진 것이다.[5] 이 공사 때 제주성에서 헐려진 돌들을 사용하여, 바다 매립을 위한 골재로 사용되었다고 한다.[6][7]

제주(Cheju)는 1913년경 항구로 조성되었지만, 오랜 문화적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항구 내부에는 삼성혈(Caves of the Three Clans)이라는 세 개의 동굴이 있는데, 전설에 따르면 제주의 세 개의 시조 가문(삼성고, 부, 양씨)이 이곳에서 나와 섬에 정착했다고 한다. 제주라는 이름은 1221년까지 사용되지 않았다. 고려 의종 치세에 탐라현(Tamna-hyeon)으로 불렸다. 1105년부터 1153년까지는 고려 조정의 명령으로 탐라군(Taman-Gun)으로 불렸다. 이름이 바뀌기 전에는 단순히 탐라(Takna)로 알려져 있었다.

1271년에는 고려군과 몽골 연합군과 반군 사이의 싸움 중에 항구에 항파두성(Hangpaduseong) 요새가 존재했다. 고려군은 2년 후 반군을 진압하고 승리했다. 그 후 1273년 고려 원종에 의해 약 100년간 군사 총독이 배치되었다. 이 새로운 중앙 집권적 통치 체제로 인해 섬의 이전 자치는 종식되었다. 1895년 잠시 대한제국 고종에 의해 부윤이 임명되었다. 섬의 이름 또한 제주목(Jeju-mok)에서 제주부(Jeju-bu)로 변경되었다.

20세기 초, 제주항은 몇 가지 변화를 겪었다. 1910년에는 1906년부터 쇠퇴하던 목사(Moksa) 제도를 군수 제도가 대체했다. 당시 일본은 한국을 강점하고 군수 제도를 일본식 도제도로 바꾸었다. 제주항은 1931년 읍(township) 지위를 얻었는데, 이는 당시 섬에서 유일하게 읍 지위를 얻은 곳이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46년 자치권을 회복한 제주항은 2년 후 반란으로 제주도청이 불타 없어졌고, 1952년 재건되었다. 3년 후인 1955년, 읍이 40개의 행정동을 가진 시로 확장되었고, 1962년 14개로 축소되었다.[3]

제주의 관문으로 재탄생하기 위한 본격적인 항만개발은 1978년 제주항 종합개발계획이 확정발표되면서이다. 제주항 종합개발계획은 제5공화국 출범 직후 다소 수정돼 1986년까지 완료하기로 한 당초 계획이 1996년으로 10년간이나 늦춰지기는 했지만 이 계획을 근간으로 꾸준한 항만건설이 이뤄졌다.[5]

1980년대에는 새로운 행정 구역과 새로운 도청 건물이 생기면서 더 많은 변화가 있었다. 제주는 시, 2개의 군, 7개의 읍, 6개의 면, 17개의 동으로 구성되었다. 1993년에는 민군 합동항 건설 계획이 세워졌다. 민군복합항은 2016년에 개장하여 15만 톤급 선박 2척을 수용할 수 있다. 2017년에는 크루즈 선박 수용 능력을 더욱 확장하기 위한 자금을 지원받았다.[3]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은 자국 크루즈 선박의 제주항 방문을 금지했으나, 2023년 8월 방문이 재개되었다.[4]

2. 1. 고대 ~ 조선시대

1735년 김정 제주목사가 산지항(현 제주항)과 화북항에 방파제 등을 건설하면서 관 주도의 항만 건설이 시작되었다.[5]

1927년 5월에 개항한 제주항은 1920년부터 1940년까지 서방파제(580m), 안벽 100m, 물양장 361m가 축조되었다. 1926년에는 서북풍을 막기 위한 310m의 방파제가 국고로 건설되었으며,[5] 이 과정에서 제주성의 돌이 사용되었다.[6][7]

제주는 1913년경 항구로 조성되었지만, 그 이전부터 오랜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 곳이었다. 항구 내부에는 삼성혈(Caves of the Three Clans)이 있는데, 전설에 따르면 제주의 세 개의 시조 가문(삼성 고, 부, 양씨)이 이곳에서 나왔다고 한다. 제주라는 이름은 1221년까지 사용되지 않았고, 고려 의종 때 탐라현(Tamna-hyeon), 1105년부터 1153년까지는 탐라군(Taman-Gun)으로 불렸다.

1271년에는 고려군과 몽골 연합군과 반군 사이의 싸움 중에 항구에 항파두성(Hangpaduseong) 요새가 있었다. 2년 후 고려군이 승리하고, 고려 원종은 약 100년간 군사 총독을 배치하여 섬의 자치를 종식시켰다. 1895년 대한제국 고종 때 잠시 부윤이 임명되었고, 섬의 이름은 제주목(Jeju-mok)에서 제주부(Jeju-bu)로 변경되었다.

2. 2. 일제강점기

1927년 5월 개항한 제주항은 1920년~1940년 서방파제(580m)와 안벽 100m, 물양장 361m를 축조했다.[5] 상선항으로서의 축조공사가 이뤄지기 시작한 것은 1926년에 서북향에 의한 격랑을 막기 위해 연장 310m의 방파제를 축조한 것이 처음이다. 이 공사는 예산 300,000엔을 계상, 1926년 12월 16일 착공해 1929년 3월 31일에 준공됐는데, 실제 공사비는 총 263,958엔으로 최초로 국고에 의한 항만공사가 이뤄진 것이다.[5] 이 공사 때 제주성에서 헐려진 돌들을 사용하여, 바다 매립을 위한 골재로 사용되었다고 한다.[6][7]

2. 3.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27년 5월 개항한 제주항은 1920년~1940년 서방파제(580m)와 안벽 100m, 물양장 361m를 축조했다.[5] 상선항으로서의 축조공사가 이뤄지기 시작한 것은 1926년에 서북향에 의한 격랑을 막기 위해 연장 310m의 방파제를 축조한 것이 처음이다.[5] 이 공사는 예산 300,000엔을 계상, 1926년 12월 16일 착공해 1929년 3월 31일에 준공됐는데, 실제 공사비는 총 263,958엔으로 최초로 국고에 의한 항만공사가 이뤄진 것이다.[5] 이 공사 때 제주성에서 헐려진 돌들을 사용하여, 바다 매립을 위한 골재로 사용되었다고 한다.[6][7]

1946년 자치권을 회복한 제주항은 2년 후 반란으로 제주도청이 불타 없어졌고, 1952년 재건되었다.[3] 1955년에는 읍이 40개의 행정동을 가진 시로 확장되었고, 1962년 14개로 축소되었다.[3]

제주의 관문으로 재탄생하기 위한 본격적인 항만개발은 1978년 제주항 종합개발계획이 확정발표되면서이다.[5] 제주항 종합개발계획은 제5공화국 출범 직후 다소 수정돼 1986년까지 완료하기로 한 당초 계획이 1996년으로 10년간이나 늦춰지기는 했지만 이 계획을 근간으로 꾸준한 항만건설이 이뤄졌다.[5]

1980년대에는 새로운 행정 구역과 새로운 도청 건물이 생기면서 더 많은 변화가 있었다. 제주는 시, 2개의 군, 7개의 읍, 6개의 면, 17개의 동으로 구성되었다.[3] 1993년에는 민군 합동항 건설 계획이 세워졌다.[3] 민군복합항은 2016년에 개장하여 15만 톤급 선박 2척을 수용할 수 있다.[3] 2017년에는 크루즈 선박 수용 능력을 더욱 확장하기 위한 자금을 지원받았다.[3]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은 자국 크루즈 선박의 제주항 방문을 금지했으나, 2023년 8월 방문이 재개되었다.[4]

3. 시설 현황

3. 1. 규모

wikitext

제주항의 항내수면적은 3,540㎢이다. 해안선의 길이는 3,000m이며, 수심은 2m ~ 11m이다. 간만의 차는 2.1m이다.

3. 2. 여객 터미널

제주항 여객터미널 전경


2017년 6월 7일을 기준으로 출항하는 여객선 편은 다음과 같다.[9]

  • 연안여객터미널
  • * 제주 ↔ 상추자도 ↔ 해남(우수영)(퀸스타2호) : 약 3시간 소요(정확하지 않음)
  • * 제주 ↔ 완도(한일블루나래) : 약 1시간 30분 소요
  • * 제주 ↔ 녹동(남해고속카훼리7) : 약 4시간 소요
  • * 제주 ↔ 목포(산타루치노호) : 4시간 30분~5시간 소요 (야간운행)
  • * 제주 ↔ 여수(한일골드스텔라) : 5시간 정도 소요

  • 국제여객터미널
  • * 제주 ↔ 진도(산타모니카호) : 약 1시간 50분 소요
  • * 제주 ↔ 평양 운행중단
  • * 제주 ↔ 완도 (실버클라우드호) : 약 2시간 45분 소요
  • * 제주 ↔ 목포(퀸메리호) : 약 4시간 30분 소요
  • * 제주 ↔ 하추자도 ↔ 완도(한일레드펄) : 약 4시간 소요

4. 갤러리



5. 같이 보기

wikitext

참조

[1] 웹사이트 UNLOCODE (KR) - KOREA, REPUBLIC OF https://service.unec[...] 2020-04-28
[2] 서적 Global Cargo Industry: Resilience of Asia-Pacific Shipping Industries IGI Global 2024-04-22
[3] 뉴스 South Korea allocates $35bn to develop 12 ports https://splash247.co[...] Splash247 2019-08-02
[4] 뉴스 1st Chinese cruise ship arrives in Jeju in over 6 years https://www.koreatim[...] Korea Times 2023-08-31
[5] 뉴스 제주의 관문 제주항 http://www.jejunews.[...] 제주일보 2010-10-31
[6] 뉴스 제주 성, 과거로의 시간여행 http://www.jemin.com[...] 제민일보 2010-10-08
[7] 뉴스 일제, 제주성 해체해 '식민지 경관' 만들다 http://www.jejusori.[...] 제주의소리 2010-08-15
[8] 웹사이트 제주시 해양수산정보, 항만정보 http://www.jeju.go.k[...] 2011-07-07
[9] 웹인용 9월중 제주항 여객선 운항시간표(2014.09.05기준) https://web.archive.[...] 2014-09-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