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주 해저 터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 해저 터널은 전라남도 목포시와 제주특별자치도를 연결하는 총 167km의 해저 터널 건설 계획이다. 2007년 처음 제안되었으며, 목포에서 해남까지의 육상 구간, 해남에서 보길도까지의 해상 교량 구간, 보길도에서 추자도를 거쳐 제주도까지의 해저 터널 구간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KTX 고속 열차를 통해 연간 최대 1,500만 명의 승객 수송과 14만 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했으나, 높은 건설 비용, 기술적 난제, 환경 문제, 제주도민들의 문화적 우려 등으로 인해 보류되었다. 2014년 철도 인프라 마스터 플랜에 포함될 예정이었으나, 현재는 제주국제공항 확장 또는 신공항 건설이 대안으로 제시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수상 교통 - 한일 해저 터널
    한일 해저 터널은 대한민국과 일본을 해저 터널로 연결하려는 구상으로, 과거부터 논의되었으나 막대한 건설 비용, 경제성 논란, 정치적 문제, 사회적 우려 등으로 인해 실현되지 못했으며, 통일교와의 연관성 논란으로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토막글 - 타란툴라
    타란툴라는 전 세계에 1,000종 이상 분포하며 3~15cm 크기의 대형 거미로, 곤충이나 작은 척추동물을 사냥하고 일부 종은 자극모로 자신을 보호하며 애완동물로도 인기가 있다.
  • 토막글 - 인산 칼륨
  • 대한민국의 철도 터널 - 금정터널
    금정터널은 2009년 개통된 복선 터널로, 안전등급 B등급을 받았으며 다양한 피난 및 방재 시설을 갖추고 있으나, 터널 길이에 비해 구조 인력 진입로나 승객 대피 통로가 부족하고 소방 관련 법규 미적용으로 방재 시설 부족 논란이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터널 - 솔안터널
    솔안터널은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선 상에 위치하며 2001년에 착공하여 2012년에 개통되었고, 솔안 신호장이 설치되어 기존 역들을 통합하며 폐선 구간은 관광 자원으로 활용된다.
제주 해저 터널
개요
명칭제주 해저 터널
위치제주도 - 한반도
제안대한민국
상태제안됨
제안 내용
목적제주도와 한반도를 연결하는 고속철도
경로전라남도해남군 - 추자도 - 제주도
길이총 167km
해저 구간73km (추자도-제주 구간)
예상 사업비15조 엔 (한화 약 150조 원)
역사
최초 제안2010년
재점화2013년 Tunnels & Tunnelling International 보고서
기타
참고해저 터널 프로젝트 재개

2. 역사

제주 해저 터널 건설 아이디어는 2007년 전라남도제주특별자치도 지사들이 처음 제기했다. 이 터널은 KTX 고속 열차를 통해 목포시제주특별자치도를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13년 6월 19일, 전라남도는 터널 연구 및 계획을 위해 2014년 회계 연도 예산에 100억 원을 포함해 줄 것을 중앙 정부에 요청했다.

제안된 철도의 총 길이는 167km이며, 목포에서 해남까지 66km의 지상 구간, 해남에서 보길도까지 28km의 교량 구간, 보길도에서 추자도와 제주도까지 73km 구간으로 구성된다.

전라남도는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연간 최대 1,500만 명의 승객이 이 서비스를 이용하고, 연간 42,000원의 사회적 비용 절감과 140,000개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두 개의 낙후된 지역에서 새로운 성장을 촉진하고, 현재 진행 중인 서울-목포 고속 열차 프로젝트와 연계하여 운영될 예정이다.

3. 구성

전라남도 목포시 임성리역에서 해남군까지 잇는 66km의 지상 철도와 해남군에서 보길도까지 잇는 28km의 해상 교량, 그리고 보길도에서 추자도를 거쳐 제주도까지 잇는 73km의 해저 터널로 이루어져 있다. 총 167km의 철도 노선이다. 사업 비용은 약 14조 6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터널이 관통되면 세계 최장 터널이 된다.

3. 1. 육상 구간

제주 해저 터널은 전라남도 목포시 임성리역에서 해남군까지 66km를 잇는 육상 철도 구간이다. 이 구간은 해남군에서 보길도까지 잇는 28km의 해상 교량, 보길도에서 추자도를 거쳐 제주도까지 잇는 73km의 해저 터널과 연결된다. 총 167km의 철도 노선으로, 사업 비용은 약 14조 6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3. 2. 해상 교량 구간

제주 해저 터널은 전라남도 목포시 임성리역에서 해남군까지 잇는 66km의 지상 철도와 해남군에서 보길도까지 잇는 28km의 해상 교량, 그리고 보길도에서 추자도를 거쳐 제주도까지 잇는 73km의 해저 터널로 구성된 총 167km의 철도 노선(계획 중)이다. 사업 비용은 약 14조 6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터널이 완공되면 세계 최장 터널이 된다.

3. 3. 해저 터널 구간

보길도에서 추자도를 거쳐 제주도까지 이어지는 73km 구간이다. 완공 시 세계 최장 해저 터널이 된다.

4. 기대 효과

5. 논란 및 과제

제주도 주민들은 해저 터널 건설이 섬의 고유 문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4]

이 제안은 세계 최장 해저 터널 건설에 따른 높은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으로 인해 보류되었다.

2014년 8월 기준으로 이 프로젝트는 철도 인프라 마스터 플랜에 포함될 예정이었다.[5]

제주국제공항은 수용 능력을 초과하여 주로 국내선 항공편을 처리하고 있으므로, 증가하는 여행 수요를 처리하는 데 있어 터널의 대안은 이 공항의 확장 또는 새로운 공항 건설이 될 것이다.

```content

제주 해저 터널 건설은 세계 최장 해저 터널이 될 예정이기에 높은 비용과 더불어 여러 기술적 어려움이 예상된다.

문제점상세 설명
높은 수압해저 깊은 곳에서 터널을 건설해야 하므로 높은 수압을 견딜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지진 위험제주도 지역은 지진 발생 가능성이 있어, 지진에 대비한 설계 및 시공 기술이 요구된다.
해수 유입터널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벽한 방수 기술이 필요하다.
긴급 상황 대처터널 내 화재, 사고 등 긴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

```content

제주 해저 터널 건설은 해양 생태계 파괴를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해저 터널

분류:제주특별자치도

```

```content

제주도민들은 해저 터널 건설이 섬의 고유 문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4]

```

```content

제주 해저 터널 건설에 대한 대안으로 제주국제공항 확장 또는 신공항 건설이 제시될 수 있다.[4] 제주국제공항은 수용 능력을 초과하여 주로 국내선 항공편을 처리하고 있어, 증가하는 여행 수요를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제주도 주민들은 해저 터널 건설이 섬의 고유 문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기도 했다.[4]

5. 1. 기술적 어려움

제주 해저 터널 건설은 세계 최장 해저 터널이 될 예정이기에 높은 비용과 더불어 여러 기술적 어려움이 예상된다.

문제점상세 설명
높은 수압해저 깊은 곳에서 터널을 건설해야 하므로 높은 수압을 견딜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지진 위험제주도 지역은 지진 발생 가능성이 있어, 지진에 대비한 설계 및 시공 기술이 요구된다.
해수 유입터널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벽한 방수 기술이 필요하다.
긴급 상황 대처터널 내 화재, 사고 등 긴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5. 2. 환경 문제

제주 해저 터널 건설은 해양 생태계 파괴를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해저 터널

분류:제주특별자치도

5. 3. 제주도민 의견

제주도민들은 해저 터널 건설이 섬의 고유 문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4]

5. 4. 대안

제주 해저 터널 건설에 대한 대안으로 제주국제공항 확장 또는 신공항 건설이 제시될 수 있다.[4] 제주국제공항은 수용 능력을 초과하여 주로 국내선 항공편을 처리하고 있어, 증가하는 여행 수요를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제주도 주민들은 해저 터널 건설이 섬의 고유 문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기도 했다.[4]

6. 정치적 상황

2014년 8월, 제주 해저 터널 프로젝트는 철도 인프라 마스터 플랜에 포함될 예정이었다.[5] 그러나 세계 최장 해저 터널 건설에 따른 높은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으로 인해 보류되었다. 제주도 주민들은 해저 터널 건설이 섬의 고유 문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기도 했다.[4] 한편, 제주국제공항은 수용 능력을 초과하여 주로 국내선 항공편을 처리하고 있어, 증가하는 여행 수요를 처리하기 위한 대안으로 터널 건설 대신 공항 확장 또는 신공항 건설이 거론되기도 한다. 현재(2024년 기준)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제주 해저 터널 건설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국민의힘은 경제성과 환경 문제 등을 이유로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참조

[1] 뉴스 To Jeju, by train? https://web.archive.[...] 2013-11-21
[2] 웹사이트 2022년엔 고속철 타고 제주 간다 http://www.hankyung.[...] The Korea Economic Daily 2014-05-22
[3] 웹사이트 Undersea tunnel project being revived - Tunnels & Tunnelling International http://www.tunnelson[...] Tunnelsonline.info 2014-05-22
[4] 웹사이트 To Jeju, by train? https://web.archive.[...] Jeju Weekly 2014-05-22
[5] 웹사이트 Underwater KTX Tunnel to Link Jeju to Mainland http://english.chos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