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역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일은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전, 정치적 갈등과 국제 정세 속에서 전쟁을 준비했다. 슐리펜 계획에 따라 벨기에를 침공하며 전쟁을 시작했으나, 마른 강 전투에서 프랑스의 저지를 받았다. 동부 전선에서는 러시아를 상대로 승리했으나, 1916년 베르됭 전투와 솜 전투에서 막대한 피해를 입으며 소모전에 돌입했다. 국내에서는 식량 부족과 생필품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총력전 체제 속에서 여성의 노동 참여가 증가했다. 1918년 봄, 독일은 마지막 공세를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연합군의 반격으로 독일 방어선이 붕괴되었다. 킬 반란을 시작으로 독일 혁명이 일어나, 빌헬름 2세가 퇴위하고 공화국이 선포되었으며, 독일은 11월 11일 휴전 협정을 맺었다. 전쟁으로 인해 독일은 막대한 인명 피해를 입었고, 바이마르 공화국이 수립되었지만, 국제 질서의 변화와 사회적 상처를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제국 - U보트
    U보트는 독일 해군이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서 운용한 잠수함으로, 연합군의 군함과 상선에 큰 피해를 입혔으나 많은 손실을 보았으며, 현대 잠수함의 계보를 잇고 있다.
  •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제국 - 동맹국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만 제국, 불가리아 왕국을 주축으로 결성된 군사 동맹인 동맹국은 유럽의 중앙에 위치하여 중앙 열강이라고도 불리며, 군사 및 경제적 협력을 통해 전쟁을 수행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역사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역사
1871년부터 1918년까지의 독일 제국 국기
1871년부터 1918년까지의 독일 제국 국기
1914년의 유럽 지도, 참전국 강조 표시
1914년의 유럽 지도, 참전국 강조 표시
전쟁의 배경
원인제국주의
군국주의
민족주의
동맹 체제
발발사라예보 사건
교전 세력
연합국프랑스
영국
러시아 제국 (1917년까지)
미국 (1917년부터)
기타
동맹국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만 제국
불가리아
지도자
독일 제국빌헬름 2세 (독일 황제)
헬무트 폰 몰트케 (독일 참모총장)
에리히 폰 팔켄하인 (독일 참모총장)
파울 폰 힌덴부르크 (독일 참모총장)
에리히 루덴도르프 (총참모부)
연합국(너무 많아서 생략)
주요 전투
서부 전선제1차 마른 전투
솜 전투
베르됭 전투
제3차 이프르 전투
춘계 공세
동부 전선탄넨베르크 전투
마수리아 호수 전투
고를리체-타르노프 공세
결과
영토 변화
관련 정보
희생자약 2백만 명의 독일 군인 사망

2. 전쟁 이전 상황

독일 국민들은 1914년 전쟁 발발에 대해 영국 국민들과 유사하게 복잡한 감정으로 반응했다. 1914년 정신으로 알려진 보편적인 열정의 개념은 최근 연구를 통해 재평가받고 있다.[1] 융커가 지배하는 독일 정부는 전쟁을 프랑스, 러시아, 영국과 같은 적대적인 국가들에 의해 포위된 상황을 종식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간주했다. 전쟁은 독일 내부에서 외무 장관 베른하르트 폰 뷜로가 말했듯이, 국민들 사이에서 만연한 민족주의의 지지를 받으며, "우리에게 태양 아래 설 자리를 확보"할 기회로 제시되었다.

독일은 몇 달 이상 지속될 전쟁에 대비하지 못했다. 처음에는 전시 체제에 맞춰 경제를 규제하는 조치가 거의 취해지지 않았고, 독일의 전쟁 경제는 전쟁 기간 내내 제대로 조직되지 않았다. 독일은 식량과 원자재 수입에 의존했는데, 이는 영국의 독일 봉쇄로 인해 중단되었다. 처음에는 식료품 가격이 제한되었고, 그 다음에는 배급제가 도입되었다. 1915년에는 식량을 생산하고 곡물을 보존하기 위해, 독일에서 500만 마리의 돼지가 도살되었다. 1916/17년 겨울은 감자 수확이 부진하고 사람들이 고약한 맛의 순무를 포함한 동물 사료를 먹었기 때문에 "순무의 겨울"이라고 불렸다. 1914년 8월부터 1919년 중반까지, 평시보다 영양 부족, 극심한 피로, 질병, 절망 등으로 인한 초과 사망자는 약 47만 4천 명에 달했다.[2][3]

2. 1. 독일 제국의 발전과 국제 정세

19세기 후반, 독일 제국은 급속한 산업화와 군사력 증강을 통해 유럽의 신흥 강대국으로 부상했다. 빌헬름 2세의 공격적인 대외 정책은 영국, 프랑스, 러시아 등 주변국과의 긴장을 고조시켰다. 이러한 상황에서 독일의 베트만 홀베크 수상은 호요스 임무에 응하여 오스트리아를 지지, 세르비아를 상대로 한 국지적인 소규모 전쟁을 감행하는, 계산된 위험을 감수하는 결정을 내렸다.[5] 그는 러시아와의 전면전을 감수하면서 프랑스가 러시아를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계산했으나, 러시아가 총동원령을 결정하면서 그의 계산은 빗나갔다.[5]

2. 2. 독일 내부의 정치적 갈등

독일 제국은 보수적인 융커 계층과 급진적인 독일 사회민주당 사이의 정치적 갈등이 심화되고 있었다. 독일 사회민주당은 노동자 계층의 지지를 받으며 성장하여 제국 정부에 위협적인 존재로 부상했다.[1] 비록 제2 인터내셔널의 일원이었지만, 독일 사회민주당은 제국 정부와의 갈등을 종식하고 국제주의 원칙을 버리면서까지 전쟁 노력을 지원했다.[1]

3. 전쟁 발발과 초기 전개 (1914-1915)

1914년 전선으로 향하는 독일 군인. 화물차에 적힌 "파리행" 문구는 전쟁 초기에 단기전을 예상했던 분위기를 보여준다.


하인리히 질레의 그림. 서쪽의 프랑스로 향하는 독일군과 동쪽의 러시아로 향하는 독일군이 서로에게 미소 지으며 경례하고 있다.


독일군은 수정된 슐리펜 계획에 따라 중립국 벨기에를 거쳐 프랑스를 빠르게 공격, 독일 국경에서 프랑스군을 포위하려 했다. 벨기에는 철도 시스템을 파괴하며 저항했고, 독일군은 예상치 못한 지연에 민간인 학살과 건물 방화로 대응했다.[14]

독일군은 국경 전투 (8월 14–24일)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영국 원정군 지원을 받은 프랑스군은 마른 강 제1차 전투 (9월 5–12일)에서 독일군 진격을 저지했다. 이는 서부 전선에서 기동전이 끝나고 참호전이 시작됨을 의미했다. 뮐루즈 전투 (8월 7일)는 제한적인 성공만 거두었다.[15]

동부 전선에서는 동프로이센 방어 병력이 탄넨베르크 전투 (8월 17일 ~ 9월 2일)에서 러시아군을 격파했지만, 이로 인해 서부 전선 병력이 분산되었다. 이는 독일군이 양면 전쟁을 수행하게 만들었고, 통신 문제와 지휘 결정 문제로 초기 승리 기회를 놓치게 했다.[15]

3. 1. 7월 위기와 독일의 참전

역사가 콘라트 H. 야라우슈에 따르면, 1914년 7월 베트만 홀베크의 주요 관심사는 러시아의 국력 성장과 영국, 프랑스의 군사 협력 강화였다. 그는 오스트리아를 지지하여 세르비아를 상대로 국지전을 일으키는, 계산된 위험을 감수했다. 그는 러시아가 전면전을 감수하더라도 프랑스가 러시아를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러시아가 총동원령을 내리면서 그의 예상은 빗나갔고, 독일군은 슐리펜 계획에 따라 프랑스를 빠르게 제압하려 했다. 이 과정에서 독일은 벨기에를 침공하여 영국까지 전쟁에 끌어들였다.[5]

1914년 7월 5일, 호요스 임무가 오스트리아-헝가리 외무 장관 레오폴트 베르히톨트의 요청으로 베를린에 도착하면서 위기는 최고조에 달했다. 베트만 홀베크는 유럽 강대국 간의 외교전에서 영국이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그러나 이러한 확신을 바탕으로 오스트리아에 세르비아에 대한 강경 대응을 부추겼다. 그는 세르게이 사조노프 백작에게 "러시아의 동원 조치는 우리도 동원을 강요할 것이며, 그 경우 유럽 전쟁을 막기 어려울 것입니다"라고 경고했다.[6]

1914년 6월 28일, 사라예보에서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이 암살된 후, 베트만 홀베크와 그의 외무 장관 고틀리프 폰 야고프는 오스트리아-헝가리에 독일의 무조건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이는 오스트리아-헝가리가 세르비아에 대해 어떤 조치를 취하든 독일이 지원한다는 의미였다. 영국이 중재를 제안했지만, 베트만 홀베크는 오스트리아-헝가리가 세르비아를 공격하기를 원했고, 영국의 메시지를 조작하여 평화를 촉구하는 내용을 삭제했다.[7]

오스트리아-헝가리가 세르비아에 최후통첩을 전달했을 때, 카이저 빌헬름 2세는 휴가를 중단하고 베를린으로 돌아왔다. 그는 베트만 홀베크의 기만이 드러날 경우 자신의 분노를 두려워하는 총리를 만났다. 빌헬름 2세는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났는가?"라고 추궁했고, 베트만 홀베크는 사임을 제안했지만 거부당했다.[8]

1914년 8월 1일 베를린에서 동원령이 낭독되고 있다


베트만 홀베크는 영국과의 우호 관계를 원했기 때문에, 독일이 벨기에의 중립을 위반한 후 영국의 참전에 당황했다. 그는 영국 대사 에드워드 고센에게 영국이 "종잇조각"("''ein Fetzen Papier'' ) 때문에 전쟁을 벌일 수 있는지 물었는데, 이는 벨기에의 중립을 보장하는 1839년 런던 조약을 가리키는 것이었다.

베트만 홀베크는 전쟁 선포에 대한 대중의 지지를 얻으려 했다. 그러나 그는 군 지도자들에게 밀려 정책 결정에 어려움을 겪었다.[9] 역사가 프리츠 피셔에 따르면, 베트만 홀베크는 민족주의 우파에게 많은 양보를 했으며, 폴란드 국경 지대에서 폴란드인들의 민족 청소와 독일 식민주의자들의 정착을 통한 폴란드 영토의 독일화를 지지했다.[10]

전쟁 초기, 베트만 홀베크는 독일의 전쟁 목표를 담은 9월 계획을 제시했다. 그러나 그는 파울 폰 힌덴부르크에리히 루덴도르프에게 권력을 빼앗겼고, 그들은 1916년 8월 참모총장과 제1군수참모로 임명되었다. 베트만 홀베크는 1916년 말 미국의 중재를 기대했지만 실패했다. 그는 무제한 잠수함전에 반대했지만, 힌덴부르크와 루덴도르프는 1917년 3월 헤닝 폰 홀첸도르프의 메모를 통해 이를 강행했다. 미국은 1917년 4월에 참전했다.

볼프강 J. 몸젠에 따르면, 베트만 홀베크는 여론과의 관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해 자신의 입지를 약화시켰다. 그는 비밀 외교를 통해 대중의 지지를 얻는 데 실패했다.[11]

1917년 7월, 마티아스 에르츠베르거의 국회 평화 결의안이 통과되면서 국회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힌덴부르크와 루덴도르프를 포함한 군 지도자들의 반대는 베트만 홀베크가 프로이센 주 선거에서 동등한 남성 보통 선거권 도입에 동의하면서 더욱 심화되었다.[12] 이러한 정치적, 군사적 반대는 베트만 홀베크의 사임을 초래했고, 게오르크 미하엘리스가 총리직을 계승했다.[13]

3. 2. 슐리펜 계획과 서부 전선

독일군은 슐리펜 계획을 수정하여 실행에 옮겼다. 이 계획은 중립국 벨기에를 침공하여 프랑스로 빠르게 진격한 후, 독일 국경에서 프랑스군을 포위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벨기에는 이에 맞서 반격하며 철도 시스템을 파괴하여 독일군의 진격을 늦추려 했다. 독일군은 예상치 못한 저항에 부딪혀 진격이 지연되었고, 이에 대한 보복으로 민간인들을 학살하고 건물들을 불태우는 만행을 저질렀다.[14]

슐리펜 계획에 따라 독일군은 파리 근처까지 진격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국경 전투 (8월 14–24일)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9월 12일, 영국 원정군의 지원을 받은 프랑스군은 마른 강 제1차 전투 (9월 5–12일)에서 독일군의 진격을 저지했다. 이 전투는 서부 전선에서 기동전이 끝나고 참호전이 시작되는 계기가 되었다. 뮐루즈 전투 (8월 7일)로 시작된 독일의 프랑스 공세는 제한적인 성공만을 거두었다.[15]

한편, 동부 전선에서는 동프로이센을 방어하던 독일군이 탄넨베르크 전투 (8월 17일 ~ 9월 2일)에서 러시아군을 격파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서부 전선으로 투입될 예정이었던 병력이 동부 전선으로 이동하면서, 독일군은 양쪽 전선에서 동시에 전쟁을 수행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통신 문제와 지휘 결정의 문제점은 독일이 초기에 승리할 기회를 잃게 만들었다.

3. 3. 동부 전선

독일은 제1차 탄넨베르크 전투 (8월 17일 ~ 9월 2일)에서 러시아군을 격파했다. 그러나 러시아군의 예상보다 빠른 동원은 독일군의 병력 분산을 초래했다.[15] 이는 독일 참모 본부가 예상하지 못한 철도 종착역에서 진격 속도의 부족 문제를 악화시켰다. 그 결과 동맹국은 조기에 승리하지 못하고 양면에서 전쟁을 벌이게 되었다. 독일군은 프랑스 내에서 훌륭한 방어 위치를 확보하고, 스스로 잃은 병력보다 230,000명 더 많은 프랑스 및 영국군을 영구적으로 무력화시켰지만, 통신 문제와 의심스러운 지휘 결정으로 인해 조기 승리의 기회를 잃었다.[15]

군사 선전 엽서: 부상당한 병사들이 차량에 탄 독일 황제 빌헬름 2세를 환호하고 있다.

4. 참호전과 총력전 (1916-1917)

1916년은 서부 전선에서 베르됭 전투솜 전투라는 두 번의 큰 전투가 벌어진 해였다. 두 전투 모두 거의 1년 내내 지속되었으며, 양측 모두 최소한의 영토만을 얻었을 뿐 정예 병력은 소모되었다. 소모전의 심화에서 자세히 설명하듯이, 베르됭 전투는 현대 방어 무기의 살상력을 상징하는 아이콘이 되었으며, 독일군 28만 명, 프랑스군 31만 5천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16] 솜 전투에서는 독일군 40만 명 이상, 연합군 60만 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했다.[16]

1916년, 전쟁 수행을 위한 고철 수집


독일은 전쟁 수행을 위한 민간 경제 동원 계획이 없었고, 식량이나 중요 물자 비축도 없었다. 발터 라테나우는 전쟁부에 전쟁 원자재 부서(KRA)를 설립하도록 설득하여, 독일의 총력전 체제에서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1914년 8월부터 1915년 3월까지 책임자로서 원자재 공급을 관리했다.[27][28] KRA는 영국의 봉쇄로 위협받는 원자재와 점령지에서 조달되는 물품에 집중하여 가격을 정하고 필수 산업에 대한 분배를 규제했으며, 대체 원자재 개발을 시작했다.[27][28]

KRA가 중요한 원자재를 관리하는 동안, 식량 공급 위기는 더욱 악화되었다. 많은 농부와 말의 동원, 비료 부족으로 식량 공급이 꾸준히 감소했다. 전쟁 포로들이 농장에서 일하도록 보내졌고, 많은 여성과 노인들이 일을 맡았다. 러시아와 오스트리아에서 들어오던 물품이 끊겼다.[29]

바이에른의 전시 배급표


국내 전선의 어려움에서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총력전"이라는 개념은 식량 공급이 군대로 재분배되어야 함을 의미했으며, 영국의 봉쇄로 인해 독일 상업이 중단되면서 독일 민간인들은 점점 더 빈곤한 환경에서 살아야 했다. 1916–1917년 겨울은 "순무의 겨울"로 알려졌는데, 감자와 고기를 대체하여 가축 사료로 쓰이던 순무가 주식이 되었기 때문이다. 수천 개의 급식소가 굶주린 사람들에게 음식을 제공하기 위해 열렸고, 농부들이 식량을 자신들을 위해 보관하고 있다고 불평했다. 심지어 군대조차도 병사들의 식량을 줄여야 했다.[33] 민간인과 병사 모두의 사기가 계속해서 하락했다.

광부의 징집은 주요 에너지원인 석탄을 감소시켰다. 섬유 공장은 군복을 생산했고, 민간인을 위한 따뜻한 옷이 부족했다. 천과 가죽 대신 종이와 판지와 같은 대체 재료를 사용하는 방법은 만족스럽지 않았다. 비누도 부족했고, 온수도 부족했다. 모든 도시에서 전차 운행을 줄이고, 가로등을 줄였으며, 극장과 카바레를 폐쇄했다.

식량 공급은 점점 더 감자와 빵에 집중되었고, 고기를 사는 것은 점점 더 어려워졌다. 1916년 말의 고기 배급량은 평시의 31%에 불과했고, 1918년 말에는 12%로 떨어졌다. 생선 배급량은 1916년에 51%였고, 1917년 말에는 전혀 없었다. 치즈, 버터, 쌀, 시리얼, 달걀, 라드의 배급량은 평시 수준의 20% 미만이었다.[34]

4. 1. 소모전의 심화

1916년은 서부 전선에서 벌어진 두 번의 대규모 전투, 베르됭 전투솜 전투로 특징지어진다. 두 전투 모두 거의 1년 내내 지속되었고, 양측은 최소한의 영토만 얻었을 뿐 정예 병력을 소모했다. 베르됭은 현대 방어 무기의 살상력을 상징하는 아이콘이 되었으며, 독일군 28만 명, 프랑스군 31만 5천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16] 솜 전투에서는 독일군 40만 명 이상, 연합군 60만 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했다.[16]

참호를 파는 독일군


베르됭에서 독일군은 프랑스의 자존심 때문에 프랑스가 방어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취약하다고 생각했던 프랑스 측 돌출부를 공격했다. 솜 전투는 여러 전선에서 동시에 공격하려는 연합국의 다국적 계획의 일부였다. 독일의 고통은 러시아의 대규모 "브루실로프 공세"로 더욱 심화되었으며, 이로 인해 더 많은 병력과 자원이 전환되었다. 동부 전선은 교착 상태로 유지되었고 독일은 동맹국보다 적은 사상자(중앙 강대국의 사상자 약 77만 명 중 약 15만 명)를 냈지만,[16] 베르됭 공세가 동시에 진행되면서 솜 공세에 투입된 독일군 병력이 분산되었다. 독일 전문가들은 솜 전투에 대한 해석이 엇갈린다. 일부는 교착 상태라고 말하지만, 대부분은 영국군의 승리로 보고 독일군의 사기가 영구적으로 하락하기 시작하고 전략적 주도권을 잃었으며, 대체할 수 없는 베테랑과 자신감을 잃은 시점이라고 주장한다.[16]

4. 2. 독일의 총력전 체제

독일은 전쟁 발발 직후, 전쟁 수행을 위해 경제를 통제하고 모든 자원을 전쟁에 동원하는 총력전 체제를 구축했다. 산업가 발터 라테나우는 전쟁부에 전쟁 원자재 부서(KRA)를 설립하도록 설득하여 1914년 8월부터 1915년 3월까지 책임자로서 원자재 공급을 관리했다.[27][28] KRA는 영국의 봉쇄로 위협받는 원자재와 점령지에서 조달되는 물품에 집중하여 가격을 정하고 필수 산업에 대한 분배를 규제했으며, 대체 원자재 개발을 시작했다.[27][28]

1916년 8월, 파울 폰 힌덴부르크에리히 루덴도르프에리히 폰 팔켄하인을 대체하여 각각 참모총장과 제1군수참모(힌덴부르크의 부관)로 임명되었다. 이들은 군수품 생산 증대에 초점을 맞춘 힌덴부르크 프로그램을 추진했다.

4. 3. 국내 전선의 어려움

영국의 해상 봉쇄로 인해 독일은 식량과 원자재 수입에 큰 차질을 빚었다.[2] 식료품 가격은 초기에 제한되었고, 이후 배급제가 도입되었다. 1915년에는 식량 생산과 곡물 보존을 위해 500만 마리의 돼지가 도살되기도 했다.[2]

1916-1917년 겨울은 "순무의 겨울"로 불릴 만큼 식량난이 심각했다. 감자 수확량이 부족해 사람들은 순무를 포함한 동물 사료로 연명해야 했다.[2] 1914년 8월부터 1919년 중반까지 영양 부족, 피로, 질병, 절망 등으로 인한 사망자는 평시보다 약 47만 4천 명 증가했다.[2][3]

식량 공급은 점차 감자와 빵에 집중되었고, 고기는 구하기 어려워졌다. 1916년 말 고기 배급량은 평시의 31%였고, 1918년 말에는 12%로 감소했다. 생선은 1916년 51% 배급되었으나 1917년 말에는 배급되지 않았다. 치즈, 버터, 쌀, 시리얼, 달걀, 라드 등은 평시의 20% 미만으로 배급되었다.[34]

제1차 세계 대전은 "총력전" 개념을 가져왔고, 식량은 군대로 재분배되었다. 영국의 봉쇄로 독일 상업은 중단되었고, 민간인들은 빈곤한 환경에서 생활해야 했다. 1917년 유럽 전역의 흉작으로 감자 공급이 부족해지자 독일인들은 순무로 대체해야 했다. "순무의 겨울"은 여러 세대에 걸쳐 씁쓸한 기억으로 남았다.[35]

전쟁 장기화와 생활고는 민간인들의 불만을 키웠다. 모든 도시에서 심각한 식량 부족이 보고되었는데, 이는 농부와 식량 노동자들의 군대 이동, 철도 시스템 과부하, 석탄 부족, 영국의 봉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군대조차 병사 식량을 줄여야 했고,[33] 민간인과 병사 모두 사기가 저하되었다.

5. 독일의 패배와 혁명 (1918)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군의 제대


1918년, 독일은 안팎으로 붕괴 직전에 놓여 있었다. 1917년 미국의 참전으로 전세는 연합군 쪽으로 기울었고, 독일 국민들은 전쟁에 지쳐 독일 사회민주당 등 좌파 세력에 힘을 실어주었다. 1918년 10월 말 킬 반란을 시작으로 독일 전역에서 혁명이 일어났다.[38]

내부 혁명, 전쟁 교착, 동맹국들의 항복, 그리고 최고 사령부와 노동자 및 병사 평의회의 압력으로 빌헬름 2세와 독일의 모든 군주들은 퇴위해야 했다. 1918년 11월 9일, 독일 사회민주당필리프 샤이데만은 공화국을 선포했고, 새 정부는 11월 11일 휴전을 받아들였다. 이는 사실상 항복이었고, 연합군은 협상 우위를 위해 식량 봉쇄를 유지했다.[39]

700만 명의 군인과 해군이 제대했고, 일부는 ''자유군단''과 같은 우익 단체에 가입하거나, 급진파 또는 극좌파는 독일 공산당 결성을 도왔다.

휴전 당시에도 독일군이 프랑스 일부 지역을 점령하고 있었기에, 많은 이들은 패배의 책임을 민간인에게 돌리며 "배후 중상설"을 퍼뜨렸다.[40]

5. 1. 독일의 마지막 공세

1918년 봄, 독일군은 서부 전선에서 대규모 공세( 춘계 공세)를 감행했으나, 연합군의 저항과 물량 부족으로 실패했다. 미국의 참전으로 장기적인 세력 균형은 연합군 쪽으로 더욱 기울었다.[38]

5. 2. 1918년 독일 혁명

많은 독일인들은 전쟁의 종식을 원했고, 독일 사회민주당이나 전쟁 종식을 요구하는 좀 더 급진적인 독일 독립사회민주당과 같은 좌파 정치 세력과 연계하는 독일인들이 늘어났다. 1918년 10월 말, 북부 독일 에서 1918년-1919년 독일 혁명이 시작되었다. 킬 군항의 수병들은 영국 해군과의 마지막 전투를 앞두고 반란을 일으켰고, 이는 노동자 및 병사 평의회를 통해 빠르게 독일 전역으로 확산되었다.[38]

1918년 11월, 내부 혁명, 교착 상태에 빠진 전쟁, 불가리아오스만 제국의 평화 요청, 여러 민족적 긴장으로 붕괴되어 가는 오스트리아-헝가리, 그리고 최고 사령부와 노동자 및 병사 평의회의 압력으로 빌헬름 2세와 모든 독일 통치 군주들은 퇴위했다. 1918년 11월 9일, 사회민주당원 필리프 샤이데만은 공화국을 선포했다. 독일 사회민주당이 이끄는 새 정부는 1918년 11월 11일 휴전을 요청하고 받아들였다. 사실상 항복이었으며, 연합군은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식량 봉쇄를 유지했다. 이제 붕괴된 독일 제국은 완전히 붕괴되었다.[39]

5. 3. 휴전과 베르사유 조약

1918년 11월, 내부 혁명, 교착 상태에 빠진 전쟁, 불가리아오스만 제국의 평화 요청, 여러 민족적 긴장으로 붕괴되어 가는 오스트리아-헝가리, 그리고 최고 사령부와 노동자 및 병사 평의회의 압력으로 카이저와 모든 독일 통치 군주들은 퇴위했다. 같은 해 11월 9일, 사회민주당원 필리프 샤이데만은 공화국을 선포했다. 독일 사회민주당이 이끄는 새 정부는 11월 11일 휴전을 요청하고 받아들였다. 사실상 항복이었으며, 연합군은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식량 봉쇄를 유지했다. 이로써 붕괴된 독일 제국은 완전히 무너졌고 프랑스가 제국 전체를 차지했다.[39]

휴전일에도 독일군이 프랑스 일부 지역을 점령하고 있었기 때문에, 다양한 민족주의 단체와 전쟁 패배에 분노한 사람들은 민간인에게 책임을 돌렸다. 그들은 군대를 배신하고 항복했다는 비난을 받았으며, 이는 프랑스 점령 하 독일 정부를 지배한 "배후 중상설"에 기여했다.[40]

6. 전쟁의 결과와 영향

제1차 세계 대전은 독일 사회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전쟁으로 인한 막대한 인명 피해와 경제적 어려움은 독일 국민들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었다. 전쟁의 결과, 독일 제국은 붕괴되고 바이마르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나, 베르사유 조약에 대한 불만과 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6. 1. 인명 피해와 사회적 상처

독일은 6,500만 명의 인구 중 군인 170만 명이 사망했고, 전시 상황(특히 식량 봉쇄)으로 인해 민간인 43만 명이 사망했으며, 아프리카와 기타 해외 식민지에서 약 17,000명이 사망했다.[41] 1914년 8월부터 1919년 중반까지 영양 부족, 극심한 피로, 질병, 절망 등으로 인한 초과 사망자는 평시보다 약 47만 4천 명에 달했다.[2][3]

의수족 제작 작업장의 흑백 사진
의수족을 제작하는 독일 작업장

6. 2. 바이마르 공화국의 성립과 한계

독일 혁명의 결과, 독일 제국이 붕괴되고 바이마르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1918년 11월 9일, 사회민주당원 필리프 샤이데만은 공화국을 선포했으며, 독일 사회민주당이 이끄는 새 정부는 1918년 11월 11일 휴전을 요청하고 받아들였다.[39] 이는 사실상 항복이었으며, 연합군은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식량 봉쇄를 유지했다.

그러나 바이마르 공화국은 초기부터 많은 어려움에 직면했다. 전쟁의 여파로 인한 정치적 혼란과 경제 위기는 공화국의 안정을 위협했다. 특히, 베르사유 조약에 대한 독일 국민들의 불만은 매우 컸다. 많은 독일인들은 전쟁의 종식을 원했고, 좌파 정치 세력과 연계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38]

휴전 당시 독일군이 프랑스 일부 지역을 점령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전쟁 패배에 분노한 사람들과 다양한 민족주의 단체들은 민간인에게 책임을 돌렸다. 그들은 군대를 배신하고 항복했다는 비난을 받았으며, 이는 "배후 중상설"로 이어져 극우 세력의 선동에 이용되었다.[40] 이러한 상황은 바이마르 공화국의 정치적 불안정을 심화시키는 요인이었다.

참조

[1] 서적 The Spirit of 1914: Militarism, Myth and Mobilization in Germany Cambridge U.P.
[2] 논문 "The Social and Political Consequences of the Allied Food Blockade of Germany, 1918-19" http://libcom.org/fi[...] 1993
[3] 서적 World War 1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4] Americana Bethmann-Hollweg, Theobald Theodore Friedrich Alfred von
[5] 논문 "The Illusion of Limited War: Chancellor Bethmann Hollweg's Calculated Risk, July 1914." 1969
[6] 논문 "The Meaning of Mobilization in 1914." https://doi.org/10.2[...] 1990
[7] 간행물 "1914: Germany Opts for War, 'Now or Never'" https://www.d11.org/[...] 2022-01-29
[8] 서적 The Burden of Guilt: How Germany Shattered the Last Days of Peace, Summer 1914 https://books.google[...] Casemate Publishers 2012-07-30
[9] 서적 The Guns of August
[10] 서적 Absolute Destruction: Military Culture and the Practices of War in Imperial Germany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09-07-07
[11] 논문 "Public opinion and foreign policy in Wilhelmian Germany, 1897–1914." 1991
[12] 서적 Neue Deutsche Biographie 2 https://www.deutsche[...]
[13] 논문 "Czernin and the Fall of Bethmann–Hollweg." 1967
[14] 서적 Rehearsals: The German Army in Belgium, August 1914
[15] 서적 The Guns of August
[16] 서적 The Battles of the Somme, 1916: Historiography and Annotated Bibliography
[17] 서적 A History of the Great War: 1914-1918
[18] 서적 The First World War: Germany and Austria-Hungary 1914-1918
[19] 서적 Stormtrooper Tactics: Innovation in the German Army, 1914-1918
[20] 서적 With Our Backs to the Wall: Victory and Defeat in 1918
[21] 서적 A History of the Great War: 1914-1918
[22] 서적 Semper Fidelis: The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Marine Corps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3] 서적 World War I: A - D. https://books.google[...] ABC-CLIO
[24] 서적 Imperial Germany and the Great War, 1914-1918
[25] 문서 Faust's Metropolis
[26] 서적 The Rise of the West
[27] 논문 "Walther Rathenau and the K.R.A. August 1914-March 1915," 1978
[28] 서적 The First World War: Volume I: To Arms
[29] 논문 "The Political and Social Foundations of Germany's Economic Mobilization, 1914-1916," http://afs.sagepub.c[...] 1976
[30] 논문 "Sharing scarcity: Bread rationing and the First World War in Berlin, 1914-1923," 1998
[31] 논문 "The Social and Political Consequences of the Allied Food Blockade of Germany, 1918-19," 1993-04
[32] 간행물 "Hunger games: or how the Allied blockade in the First World War deprived German children of nutrition, and Allied food aid subsequently saved them" 2015-05-01
[33] 서적 Imperial Germany and the Great War, 1914-1918
[34] 서적 Germany, Propaganda and Total War, 1914-1918
[35] 서적 Imperial Germany
[36] 논문 Sharing scarcity: Bread rationing and the First World War in Berlin, 1914-1923 Journal of Social History 1998
[37] 서적 Faust's Metropolis 1998
[38] 웹사이트 Der Matrosenaufstand 1918 https://www.dhm.de/l[...] 2024-03-26
[39] 서적 The German Revolution of 1918: A Study of German Socialism in War and Revolt 2008
[40] 논문 The Military Collapse of the German Empire: the Reality Behind the Stab-in-the-Back Myth War in History 1996-04
[41] 서적 The Cost of the World War to Germany and Austria-Hungary Yale University Press 1940
[42] 논문 The Social and Political Consequences of the Allied Food Blockade of Germany, 1918-19 German History 1993
[43] 서적 German Soldiers in the Great War: and Savey Letters and Eyewitness Accounts Pen and Sword Military 2010
[44] 서적 German Soldiers in the Great War
[45] 서적 German Soldiers in the Great War
[46] 서적 German Soldiers in the Great W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