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전차사단 (일본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전차사단 (일본군)은 1942년 6월 기병여단을 기반으로 만주 벌리에서 창설된 일본 제국 육군의 기갑사단이다. 초기에는 만주국 동부 국경 경비를 임무로 했으며, 1944년 필리핀 루손섬으로 이동하여 미군과 교전했다. 루손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고 필리핀 각지에서 전멸했으며, 일부 부대는 쿠릴 열도, 오키나와 등지로 전속되었다. 이후 일본에서 교육훈련부대로 재편성되었으나 1945년 9월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전차사단 - 제1전차사단 (일본군)
제1전차사단은 일본 제국 육군이 1942년 만주국에서 소련과의 전쟁을 대비해 창설한 부대로, 소련 국경 경비, 태평양 전쟁, 대륙타통작전에 투입되었고, 일본 본토 결전을 준비하다 종전을 맞아 해체되었다. - 일본의 전차사단 - 제3전차사단 (일본군)
제3전차사단은 1942년 일본 제국 육군에 의해 창설되어 만주국 국경 경비를 맡았으며, 1944년 대륙타통작전을 시작으로 중일 전쟁에 참전하여 여러 작전에 참여 후 1945년 해산되었다. - 중일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사단 - 제6사단 (일본군)
제6사단은 구마모토 진대를 모체로 창설된 일본 제국 육군 사단으로, 주요 전쟁에 참전했으나 난징 대학살 가담과 태평양 전쟁에서의 괴멸 직전 상황, 주요 지휘관들의 전쟁 범죄 처벌 등으로 어두운 역사를 가지고 있다. - 중일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사단 - 제5사단 (일본군)
제5사단은 1888년 창설되어 청일 전쟁부터 태평양 전쟁까지 일본 제국주의 주요 전쟁에 참전한 일본군 사단으로, 청일 전쟁에서 청군을 몰아내고 중일 전쟁, 태평양 전쟁에서 활약했으나 뉴기니 전역에서 큰 피해를 입고 종전 후 해체되었다.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사단 - 제6사단 (일본군)
제6사단은 구마모토 진대를 모체로 창설된 일본 제국 육군 사단으로, 주요 전쟁에 참전했으나 난징 대학살 가담과 태평양 전쟁에서의 괴멸 직전 상황, 주요 지휘관들의 전쟁 범죄 처벌 등으로 어두운 역사를 가지고 있다.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사단 - 제5사단 (일본군)
제5사단은 1888년 창설되어 청일 전쟁부터 태평양 전쟁까지 일본 제국주의 주요 전쟁에 참전한 일본군 사단으로, 청일 전쟁에서 청군을 몰아내고 중일 전쟁, 태평양 전쟁에서 활약했으나 뉴기니 전역에서 큰 피해를 입고 종전 후 해체되었다.
제2전차사단 (일본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부대 정보 | |
부대명 | 제2전차사단 |
원어 부대명 | }} |
별칭 | (격) |
군종 | 일본 제국 육군 |
종류 | 기갑사단 |
역할 | 해당 없음 |
규모 | 사단 |
주둔지 | 도쿄, 일본 |
통칭호 | 격 |
보충 담당 | 오사카 |
연혁 | |
창설 | 1942년 6월 24일 |
해체 | 1945년 |
창설지 | 만주 발리 |
최종 위치 | 필리핀 루손섬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해당 없음 |
현재 지휘관 | 해당 없음 |
전투 및 작전 | |
주요 참전 | 중일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 링가옌만 상륙전 필리핀 전역 루손 전투 |
1942년 부대 편성 | |
상위 부대 | 제14방면군 |
하위 부대 | 제3기갑여단 제6기갑연대 제7기갑연대 제4기갑여단 제10기갑연대 제11기갑연대 제2기계화보병연대 제2자주포연대 제2전차자동포(대공)중대 제2전차정찰연대 제2전차방공중대 제2전차공병중대 제2전차정비중대 제2전차수송중대 |
1945년 부대 편성 | |
상위 부대 | 제14방면군 |
하위 부대 | 제3기갑여단 제6기갑연대 제7기갑연대 제10기갑연대 제2기계화보병연대 제2자주포(기동포병)연대 제2전차자동포(대공)중대 제2전차공병중대 제2전차정비중대 제2전차수송중대 제2통신부대 제2야전병원 (사상자 처리 부대) |
기타 | |
![]() |
2. 역사
1942년 6월, 기병여단을 기반으로 제2전차사단이 창설되어, 제1전차사단과 함께 1942년 7월 4일부터 1943년 10월 30일까지 기갑군에 예속되었다.[1]
1944년 2월, 제11전차연대가 쿠릴 열도로 보내졌고, 정찰대는 제27전차연대로 개칭되어 대공부대와 함께 중국으로 파견되었다.[3] 같은 해 8월,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의 상황이 악화되자 제2전차사단의 잔여 부대는 일본 제14방면군에 배속되어 필리핀 루손섬에 배치되었다.
1945년 1월, 미군이 루손에 상륙 작전을 감행하자, 야마시타 도모유키 장군은 전차 사단을 북부 방어 진지로 후퇴시켰다. 이 과정에서 제2전차사단은 심한 공습을 받았고, 산호세 주변에 참호를 구축했다. 일주일 남짓한 전투에서 220대 중 108대의 전차를 잃었으며, 3월 5일까지 총 203대의 97식 치하, 19대의 95식 하고, 2대의 4식 호로 자주포를 잃었다. 남은 전차는 보병 지원이나 토치카처럼 참호에 박혀 필리핀 전투의 루손, 레이테, 민다나오 섬 등지에서 전멸했다.
이후 제2전차사단은 일본에서 훈련 부대로 재편성되었다.[1]
2. 1. 창설과 만주 주둔 (1942년 ~ 1944년)
1942년 6월, 전차병과 창설에 따라 기병여단을 기반으로 제2전차사단이 창설되었다.[1] 제1전차사단과 함께 1942년 7월 4일부터 1943년 10월 30일까지 기갑군에 예속되었다.[1] 같은 해 6월 24일 만주국에서 창설된 제2전차사단은 만주국 북동부 무단장에 주둔하며, 일본 제1방면군의 지휘 아래 소련과의 만주국 동부 국경 경비를 주요 임무로 했다.[3]2. 2. 필리핀 전역 투입과 전멸 (1944년 ~ 1945년)
1944년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이 연합군에게 불리해지자, 제2전차사단은 일본 제14방면군에 배속되어 필리핀 루손섬으로 이동했다.[1]1945년 1월, 미군이 루손섬에 상륙 작전을 개시하자, 야마시타 도모유키 장군은 우세한 미군에 맞서 전차 사단을 소모하는 대신, 북부 방어 진지로 후퇴시켰다. 이 과정에서 제2전차사단은 심한 공습을 받았다. 제2전차사단 대부분은 산호세 주변에 참호를 구축했다. 일주일 남짓한 격렬한 전투 끝에 220대 중 108대의 전차를 상실했다.[1] 3월 5일까지 총 203대의 97식 치하, 19대의 95식 하고, 2대의 신형 4식 호로 자주포를 잃었다.[2] 남은 전차들은 보병 지원이나 토치카 역할을 하며 필리핀 전투의 루손, 레이테, 민다나오 섬 등지에서 전멸했다.[1]
2. 3. 재편성과 종전 (1945년)
제2차 필리핀 전역에서 링가옌만에 상륙한 미국군을 상대하던 공병대는 1945년 5월 루손 전투에서 전멸하였다.[1] 그해 2월, 전차 제11연대는 제91사단으로 전속되어 쿠릴 열도에서 소련-일본 전쟁의 쿠릴 열도 상륙 작전에 참전하였다.[1] 수색대는 전차 제27연대로 개편되어 오키나와의 제24사단에,[1] 방공대는 제20군으로 전속되었다.[1]제2전차사단은 필리핀 전역에서 전멸한 이후, 일본에서 훈련 부대로 재편성되었다.[1] 1945년 2월, 제11전차연대는 일본 제5방면군에 편입되어 제91보병사단에 배속되었다.[4] 이 부대는 쿠릴 열도 북부에 주둔하며 소련의 붉은 군대와 쿠릴 열도 상륙 작전 중 파라무시르에서 전투를 벌였다.[4] 제2전차사단은 1945년 9월 일본의 항복과 함께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4]
3. 구조
제2전차사단은 1942년 7월 4일 기갑군 예하 부대로 창설되었다.[6] 이후 1944년 7월에는 제14방면군, 1945년 3월에는 제36군으로 배속이 변경되었다.[6]
초기 구성은 전차 제3여단(예하 전차 제6연대, 전차 제7연대), 전차 제4여단(예하 전차 제10연대), 기동보병 제2연대, 기동포병 제2연대, 사단 속사포대, 사단 수색대[7], 사단 방공대[8], 사단 공병대, 사단 정비대, 사단 치중병대, 사단 통신대였다. 종전 시에는 전차 제3여단(예하 전차 제6연대, 전차 제7연대, 전차 제10연대), 기동보병 제2연대, 기동포병 제2연대, 사단 속사포대, 사단 공병대, 사단 정비대, 사단 치중병대, 사단 통신대, 환자수용대로 구성되었다.
1944년 2월, 전차 제11연대가 쿠릴 열도로 이동하였다.[6] 같은 해 3월, 수색대는 제27전차연대로 개칭되어 오키나와섬으로 이동, 제24사단에 배속되었다.[6][7] 방공대는 제6방면군 제20군으로 배속이 변경되었다.[8] 1945년 1월, 링가옌 만에 상륙한 미군에 맞서 제2사단 공병대가 전투를 벌였으나, 5월에 전멸하였다.[5]
3. 1. 지휘부
직책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
사단장 | 오카다 다스쿠 중장 | 1942년 9월 20일 | 1943년 12월 27일 |
사단장 | 이와나카 요시하루 중장 | 1943년 12월 27일 | 종전 |
참모장 | 모리 이와오 대령 | 1942년 7월 19일 | 1945년 4월 19일 |
참모장 | 신도 다키오 대령 | 1945년 4월 20일 | 종전 |
3. 2. 소속 부대
; 초기[6]
부대 |
---|
전차 제3여단 |
전차 제6연대 |
전차 제7연대 |
전차 제4여단 |
전차 제10연대 |
기동보병 제2연대 |
기동포병 제2연대 |
사단 속사포대 |
사단 수색대[7] |
사단 방공대[8] |
사단 공병대 |
사단 정비대 |
사단 치중병대 |
사단 통신대 |
; 종전
부대 |
---|
전차 제3여단 |
전차 제6연대 |
전차 제7연대 |
전차 제10연대 |
기동보병 제2연대 |
기동포병 제2연대 |
사단 속사포대 |
사단 공병대 |
사단 정비대 |
사단 치중병대 |
사단 통신대 |
환자수용대 |
3. 3. 부대 개편
1944년 2월, 전차 제11연대는 쿠릴 열도로 보내졌다.[6] 그 다음 달, 수색대는 제27전차연대로 개칭되었고,[7] 오키나와섬으로 이동하여 제24사단에 배속되었다.[6] 방공대는 제6방면군 제20군에 배속되었다.[8]1945년 1월, 링가옌 만에 상륙한 미군에 맞서 제2사단 공병대가 사단 주력과 함께 전투를 벌였으나, 5월에 전멸하였다.[5]
4. 평가 및 비판
(요약 및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제2전차사단 (일본군)' 문서의 '평가 및 비판'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 >
(내용 없음)
변경 사유:
- 원문 소스 및 요약 정보가 없어 이전 답변에서 내용을 생성할 수 없다는 점을 명시했습니다.
- 별도의 내용이 없으므로, 빈 괄호만 출력하여 내용 없음(empty)을 나타냅니다.
참조
[1]
서적
陸海軍将官人事総覧 陸軍篇
[2]
서적
陸海軍将官人事総覧 陸軍篇
[3]
서적
陸海軍将官人事総覧 陸軍篇
[4]
서적
陸海軍将官人事総覧 陸軍篇
[5]
웹사이트
戦車第2師団工兵隊
http://burari2161.fc[...]
2009-09-21
[6]
인용
軍令陸第42号
1942-06-24
[7]
문서
전차 제27연대로 재편성 및 제24사단으로 전속, 이후 오키나와 전투에 참전
[8]
문서
제20군으로 전속.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