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차 고이즈미 내각 (개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차 고이즈미 내각 (개조)는 2005년 10월 31일,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에 의해 단행된 개각으로, '개혁 속행 내각'으로 명명되었다. 고이즈미 총리의 임기 만료를 앞두고 '포스트 고이즈미'를 염두에 둔 인사가 이루어졌으며, 아베 신조, 아소 다로, 다니가키 사다카즈 등이 주요 각료로 기용되었다. 개조 후 내각 지지율은 상승했으며, 아베 신조가 차기 총리 후보로 높은 지지를 받았다. 2006년 9월 26일, 고이즈미 총리의 임기 만료로 내각은 총사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일본 - 태풍 에위니아 (2006년)
태풍 에위니아 (2006년)는 2006년 7월에 발생하여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피해를 주고 전라남도 진도군 해안에 상륙하여 강원도 홍천군 부근에서 소멸했으며, 대한민국에서 40명이 사망하고 1조 8344억 원의 재산 피해를 발생시킨 태풍이다. - 2006년 일본 - 제1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아베 신조 내각은 2006년 9월 아베 신조가 총리로 출범하여 교육기본법 개정, 방위성 승격 등을 추진했으나, 각료들의 문제와 지지율 하락으로 2007년 9월 건강 문제로 사임했다. - 고이즈미 준이치로 - 제2차 고이즈미 내각
제2차 고이즈미 내각은 2003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에 의해 구성되었으며, 이라크 자위대 파병 결정과 연금 개혁 추진, 후쿠다 야스오 관방장관 사임, 우정 민영화 법안 부결 등의 사건이 있었고, 자유민주당을 중심으로 구조 개혁을 추진하였으나 사회적 논란과 비판도 있었다. - 고이즈미 준이치로 - 제3차 고이즈미 내각
제3차 고이즈미 내각은 2005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에 의해 구성된 자민당-공명당 연립 정부 내각으로, 차기 총리 후보들을 포함한 새로운 각료들이 임명되었으며, 행정 및 의료 개혁 법안을 통과시켰으나 교육, 헌법, 형법 개혁은 이루지 못했다. - 2005년 일본 - 제3차 고이즈미 내각
제3차 고이즈미 내각은 2005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에 의해 구성된 자민당-공명당 연립 정부 내각으로, 차기 총리 후보들을 포함한 새로운 각료들이 임명되었으며, 행정 및 의료 개혁 법안을 통과시켰으나 교육, 헌법, 형법 개혁은 이루지 못했다. - 2005년 일본 - 다케시마의 날
다케시마의 날은 일본 시마네현이 독도를 "다케시마"라 부르며 일본 영토라고 주장하기 위해 제정한 기념일로, 한국의 강력한 반발과 한일 관계 악화를 야기하고 있다.
| 제3차 고이즈미 내각 (개조) | |
|---|---|
| 기본 정보 | |
| 내각 이름 | 제3차 고이즈미 개조내각 |
| 대수 | 89 |
| 수상 이름 | 고이즈미 준이치로 |
| 군주 | 아키히토 |
| 성립 연도 | 2005년 |
| 성립 월일 | 10월 31일 |
| 종료 연도 | 2006년 |
| 종료 월일 | 9월 26일 |
| 여당 | 자유민주당·공명당 |
| 명단 | 내각 명단 |
![]() | |
2. 성립 배경 및 특징
10월 28일,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는 당초 11월 2일로 예정되었던 자유민주당 임원 인사 및 내각 개조를 10월 31일로 앞당겨 시행하기로 결정하고, 이틀 동안 인사 관련 조정을 진행했다. 내각 구성 방침은 '개혁 의욕이 풍부한 사람'으로 정해졌으며, 2006년 9월 고이즈미 총리의 자민당 총재 임기 만료 후 퇴진 의사를 밝힘에 따라, 이른바 '포스트 고이즈미'를 염두에 둔 인사로 평가받았다. 고이즈미 총리는 인증식 후 기자회견에서 내각 명칭을 '''개혁 속행 내각'''으로 발표했다.
제3차 고이즈미 개조내각은 2005년 10월 31일에 발족했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는 '개혁 의욕이 풍부한 사람'을 기준으로 내각을 구성했으며, 자신의 자유민주당 총재 임기가 끝나는 2006년 9월에 물러날 것을 염두에 두고 이른바 '포스트 고이즈미'를 고려한 인사를 단행했다. 이 내각은 '개혁 속행 내각'으로 명명되었다.
이번 개각의 초점은 '포스트 고이즈미'의 존재였다. 여론조사에서 아베 신조, 아소 다로, 다니가키 사다카즈, 후쿠다 야스오 등이 물망에 올랐으나, 후쿠다를 제외한 전원이 각료로 기용되었다. 참의원 의원인 다케나카 헤이조를 지목하는 사람도 있었다. 공명당과의 연립 내각은 유지되었으며, 기타가와 가즈오 국토교통대신이 유임되었다.
개조 이후 여론조사에서 고이즈미 내각 지지율은 10월 17~18일 조사 대비 5.6%p 상승한 60.1%를 기록했다. 고이즈미 내각의 최우선 과제로는 사회 보장 제도가 꼽혔으며, 차기 총리로 적합한 인물로는 아베 신조가 51.8%로 1위를 차지했다.
2006년 9월 10일 고이즈미 준이치로의 자유민주당 총재 임기가 만료됨에 따라, 9월 26일 내각은 총사퇴했다.
3. 주요 인사
개조 이후 여론조사에서 고이즈미 내각 지지율은 상승했으며, 차기 총리로 아베 신조가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다.
주요 각료는 다음과 같다.
다른 각료 명단은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3. 1. 각료 명단 (2005년 10월 31일 임명)
자유민주당자유민주당 총재 총무대신 다케나카 헤이조 참의원
자유민주당
(무파벌)우정민영화 담당 법무대신 스기우라 세이켄 중의원
자유민주당
(모리파)외무대신 아소 다로 중의원
자유민주당
(코노 그룹)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취임 순위 제3위 재무대신 다니가키 사다카즈 중의원
자유민주당
(다니가키파)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취임 순위 제2위 문부과학대신 
고사카 겐지 중의원
자유민주당
(쓰시마파)국민 스포츠 담당
국립국회도서관 연락조정위원회 위원후생노동대신 가와사키 지로 중의원
자유민주당
(다니가키파)농림수산대신 나카가와 쇼이치 중의원
자유민주당
(이부키파)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취임 순위 제5위 경제산업대신 니카이 도시히로 중의원
자유민주당
(니카이 그룹)국제박람회 담당 국토교통대신 기타가와 가즈오 중의원
공명당수도기능이전 담당
관광입국 담당환경대신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오키나와 및 북방대책 담당)고이케 유리코 중의원
자유민주당
(모리파)지구환경문제 담당 내각관방장관 아베 신조 중의원
자유민주당
(모리파)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취임 순위 제1위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방재 담당)구쓰카케 데쓰오 참의원
자유민주당
(모리파)유사법제 담당 방위청 장관 누카가 후쿠시로 중의원
자유민주당
(쓰시마파)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금융)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경제재정정책)요사노 가오루 중의원
자유민주당
(무파벌)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취임 순위 제4위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규제개혁) 주마 고키 중의원
자유민주당
(코노 그룹)행정개혁, 구조개혁특구 및 지역재생 담당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과학기술정책, 식품안전) 
마쓰다 이와오 중의원
자유민주당
(쓰시마파)정보통신기술(IT) 담당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저출산·남녀공동참여 담당) 이노구치 구니코 중의원
자유민주당
(무파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