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314항공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14항공사단은 미국 육군 항공대와 미국 공군의 항공사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냉전 시기에 걸쳐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1944년 창설되어 B-29 폭격기 부대를 지휘하며 일본 본토 전략 폭격을 수행했고, 한국 전쟁 시기에는 방공, 항공 수송, 전술 폭격, 전략 정찰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다. 냉전 기간에는 주한 미 공군의 주요 구성 요소로서 한국 방어를 담당했으며, 1986년 제7공군으로 대체될 때까지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공군의 항공사단 - 제315항공사단
    제315항공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냉전 시대에 활동한 미국 공군의 항공사단으로, 폭격 임무와 전투 수송 임무 등을 수행하며 극동 지역에서 활동하다 1969년 해체되었다.
  • 1986년 폐지 - 신정사회당
    신정사회당은 1980년대 이후 다양한 진보 정당 및 사회운동 단체 출신 인물들이 합류하여 형성된 대한민국의 진보 정당으로, 민중연합당과 민중당 출신 당원들이 핵심을 이루고 있으며, 자료 부족으로 인해 구체적인 당원 명단과 활동 내용은 제한적으로만 알려져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1986년 폐지 - 상대동 (포항시)
    상대동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에 속하는 행정동으로, 상도동과 대도동을 법정동으로 하며, 대도초등학교, 상대초등학교, 상도중학교 등 교육 기관과 포항문화예술회관, 포항시외버스터미널 등의 시설이 위치해 있다.
  • 1952년 폐지 - 연합군 최고사령부
    연합군 최고사령부(GHQ/SCAP)는 일본의 비군사화와 민주화를 목표로 일본 점령을 위해 설치되었으며, 1945년 포츠담 선언 이후 더글러스 맥아더를 최고사령관으로 하여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등 다방면에 걸친 개혁을 진행했다.
  • 1952년 폐지 - 볼셰비키
    볼셰비키는 1903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서 레닌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멘셰비키와 대립하며 러시아 혁명을 주도,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실현하고 소비에트 연방을 수립한 정치 세력이다.
제314항공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부대 정보
명칭제314항공사단
원어 명칭314th Air Division
제314항공사단 휘장
제314항공사단 휘장
창설1944년 4월 23일
1950년 12월 1일
1955년 3월 15일
해체1948년 8월 20일
1952년 3월 1일
1986년 9월 8일
종류항공사단
역할전술 공군 지휘
표어(위에서부터 파괴)
제8전술전투비행단 F-4D 팬텀
제8전술전투비행단 F-4D 팬텀 (1973년)
참전
전투아시아-태평양 전구
훈장
수상 내역공군 우수 부대 표창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
식별
제314폭격비행단 휘장 (제2차 세계 대전)
제314폭격비행단 휘장 (제2차 세계 대전)

2. 역사

2. 1. 제2차 세계 대전

1945년 제19폭격비행단 B-29 슈퍼포트리스


제314폭격사단은 1944년 7월 콜로라도주 페터슨 비행장(Peterson Field)에서 4개의 보잉 B-29 슈퍼포트리스 폭격비행단을 지휘하는 부대로 창설되었다.[1] 부대는 콜로라도에서 훈련을 받았고, 예하 비행단은 제2항공군에 의해 캔자스에서 훈련을 받았다.

훈련이 완료되자 제314폭격사단은 1945년 1월에 중앙 태평양 지역의 마리아나 제도에 있는 괌으로 이동했다. 제314폭격사단은 제20항공군의 제21폭격사령부에 배속된 네 번째 B-29 폭격사단이었다. 이 부대의 임무는 일본 본토에 대한 전략 폭격과 전쟁 수행 능력 파괴였다. 마리아나 제도에서 사단은 제19비행단(19th), 제29비행단(29th) 제39비행단(39th), 제330항공정비비행단(330th)을 지휘했다.[1]

예하 비행단들은 웨노섬(Moen), 트루크 석호(Chuuk), 캐롤라인 제도 및 마리아나 제도의 다른 지점을 공격하는 "실전 점검" 임무를 수행했다. 이후 일본 본토에 대한 전투 임무를 시작, 도쿄를 포함한 일본 도시 지역에 대한 소이탄 공격과 항공기 공장, 화학 공장, 정유 공장 등 전략 목표물에 대한 폭격을 수행했다.[1]

사단은 1945년 8월 전쟁이 끝날 때까지 이러한 임무를 계속 수행했으며, 적대 행위가 끝난 8월 14일에 마지막 전투 임무를 수행했다. 그 후 사단의 B-29는 일본과 만주에 있는 연합군 전쟁 포로 수용소에 구호 물품을 수송했다.

제330폭격비행단은 11월 21일에 해산되었고, 제39비행단은 12월에 해산되었다. 다른 비행단들은 1946년 5월에 귀환했다. 그 후 사단은 1946년 5월 중순에 일본 존슨 육군 비행장(Johnson Army Air Base)으로 이동하여 제5공군 점령군의 일부가 되었다.

전후 부대 통합으로 이 조직은 1946년에 '''제314혼성비행단'''으로 재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임무를 가진 비행단과 비행대대가 사단에 배속되었다. 약 2년(1946–1948) 동안 제314사단은 제5공군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로 활동했다. "집중적인 훈련 일정을 유지하고 훈련 연습에 참여했으며 일본 지도 작성의 전후 프로그램에 참여했다."[1] 1948년 8월 20일, 해산하였다.

2. 2. 한국 전쟁

1950년 12월 1일, 일본 나고야 공군기지에서 제5공군 휘하 ''제314공군사단''으로 재소집되었다. 주일 방공군의 일본 혼슈 방공을 넘겨받고, 군수지원, 전술항공작전을 위한 병참지원, 일본 내의 비행장 건설 임무를 부여받았다.[4]

한국 전쟁 기간 동안 제314항공사단은 제4전투요격비행단(F-86 세이버), 제374병력수송비행단(C-46 코만도, C-47 스카이트레인), 제437병력수송비행단(C-46 코만도), 제452폭격비행단(B-26 인베이더), 제41전투요격비행대대(F-80 슈팅스타), 제91전략정찰비행대대(RB-45, RB-29, RB-50) 등 다양한 기종을 운용하여 방공, 항공수송, 전술 폭격, 전략 정찰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1952년 3월 1일, 극동공군의 재조직화로 제314공군사단은 해산하고 휘하 부대는 흩어졌다.[1]

제4 전투요격비행단 F-86, 1951

2. 3. 냉전

1955년 3월 15일, 대한민국 오산 공군기지에서 재소집되어 주한 미국 공군의 역할을 맡았다. 필리핀 클라크 공군기지, 일본 요코타 비행장에 있는 C-130을 통제하였다.[5]

제314항공사단은 냉전 기간 동안 배속된 병력과 배속된 부대의 높은 수준의 전투 준비 태세를 유지했다. 사단은 임무를 수행하면서, 코만도 베어캣, 코만도 제이드, 코만도 나이트와 같은 지역 내 다수의 군사 훈련을 지원했다.[1]

1976년 8월 3일, 주한 미군과 대한민국 공군 간의 협조체제를 높이고 비상시의 전술공수임무를 좀더 효율적으로 수행하려고 용산 기지로 본부를 옮겼다.[5] 1979년 4월 1일, 제314공군사단 본부를 오산 공군기지로 다시 옮겼다.[5]

1986년 9월 8일, 제7공군으로 대체되었다.[1]

3. 주요 임무

토머스 S. 파워 준장이 사령관을 맡았으며, 괌에 사령부를 두고 제19폭격군, 제29폭격군, 제39폭격군, 제330폭격군의 4개 폭격군[3]을 예하 부대로 두었다. 각 폭격군은 3개의 폭격대로 편성되었다.

4. 부대 구성


  • 제51전술비행단[1]
  • 제6171전투비행단, 광주[1]
  • 제6168전투지원단, 대구[1]

4. 1. 제2차 세계 대전

제314항공사단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제19, 29, 39, 330폭격비행단을 포함하였다.[1] 제19폭격비행단은 1944년 12월 9일경부터 1946년 5월 15일까지, 제29폭격비행단은 1944년 11월 9일경부터 1946년 5월 15일까지(1946년 2월 12일 이후 작전 중단) 예하 부대였다.[1] 제39폭격비행단은 1945년 2월 18일부터 1945년 12월 27일까지, 제330폭격비행단은 1944년 11월 9일경부터 1945년 11월 21일경까지 제314항공사단 소속이었다.[1]

4. 2. 한국 전쟁

한국 전쟁 동안, 제314항공사단은 방공, 항공수송, 전술 폭격, 전략 정찰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다.[1]

  • 방공: 제4전투요격비행단은 1950년 12월 22일부터 1951년 5월 7일까지, 제41전투요격비행대대는 1950년 12월 1일부터 1951년 5월 25일까지 사단에 배속되어 방공 임무를 수행했다.
  • 항공수송: 제374수송비행단과 제437수송비행단은 1950년 12월 1일부터 1951년 1월 25일까지 사단에 배속되어 항공수송 임무를 수행했다.
  • 전술 폭격: 제452폭격비행단은 1950년 12월 1일부터 1951년 5월 25일까지 사단에 배속되어 전술 폭격 임무를 수행했다.
  • 전략 정찰: 제91전략정찰비행대대는 1951년 5월 18일부터 1952년 3월 1일까지 사단에 배속되어 전략 정찰 임무를 수행했다.[1]


이 외에도, 제3폭격비행단(후에 제3전술전투비행단), 제18전투폭격비행단, 제58전투폭격비행단 등 여러 비행단과 비행대대가 제314항공사단에 배속되거나 부속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다.[1]

4. 3. 냉전

제8전술전투비행단과 제51전술전투비행단은 1974년 9월 16일부터 1986년 9월 8일까지, 그리고 1971년 11월 1일부터 1986년 9월 8일까지 각각 제314항공사단에 배속되어 있었다.[1]

제314항공사단은 냉전 기간 동안 다양한 비행단, 전대, 비행대대를 예하 부대로 두었다. 주요 부대는 다음과 같다:
비행단

  • 제3폭격비행단(3d Bombardment Wing) (후에 제3전술전투비행단): 1948년 8월 18일 – 1950년 3월 1일, 1971년 3월 15일 – 1974년 9월 16일[1]
  • 제4전투요격비행단(4th Fighter-Interceptor Wing): 1950년 12월 22일 부속 – 1951년 5월 7일[1]
  • 제18전투폭격비행단(18th Fighter-Bomber Wing): 1955년 3월 1일 – 1957년 1월 31일[1]
  • 제35전투비행단(35th Fighter Wing) (후에 제35전투요격비행단): 1948년 8월 18일 – 1950년 3월 1일, 1951년 5월 25일 – 1952년 3월 1일[1]
  • 제49전투비행단(49th Fighter Wing) (후에 제49전투폭격비행단): 1948년 8월 18일 – 1950년 3월 1일[1]
  • 제58전투폭격비행단(58th Fighter-Bomber Wing): 1955년 3월 15일 부속 – 1956년 12월 31일, 1957년 1월 1일 배속 – 1958년 7월 1일[1]
  • 제116전투폭격비행단(116th Fighter-Bomber Wing): 1951년 7월 24일 – 1952년 3월 1일[1]
  • 제374수송비행단(374th Troop Carrier Wing): 1950년 12월 1일 – 1951년 1월 25일 (전 기간 분리)[1]
  • 제437수송비행단(437th Troop Carrier Wing): 1950년 12월 1일 – 1951년 1월 25일 (전 기간 분리)[1]
  • 제452폭격비행단(452d Bombardment Wing): 1950년 12월 1일 – 1951년 5월 25일[1]
  • 제6013작전비행단 (북부 지역)(6013th Operations Wing (Northern Area)): 1951년 11월 2일 – 1952년 3월 1일[1]
  • 제6014작전비행단 (중부 지역)(6014th Operations Wing (Central Area)): 1951년 11월 2일 – 1952년 3월 1일[1]
  • 제6015작전비행단 (남부 지역)(6015th Operations Wing (Southern Area)): 1951년 11월 2일 – 1952년 3월 1일[1]
  • 제6171전투비행단, 광주[1]
  • 제6168전투지원단, 대구[1]

전대

  • 제3폭격전대(3d Bombardment Group): 1946년 5월 31일 – 1948년 8월 18일[1]
  • 제35전투전대(35th Fighter Group): 1946년 5월 31일 – 1948년 8월 18일[1]
  • 제58전술미사일전대(58th Tactical Missile Group): 1959년 4월 24일 – 1962년 3월 25일[1]
  • 제71정찰전대(71st Reconnaissance Group): 1947년 4월 15일 – 1948년 8월 18일 (1947년 4월 15일 이후 작전 중단, 1947년 10월 31일 이후 분리)[1]
  • 제6146공군자문단(대한민국 공군)(6146th Air Force Advisory Group (Republic of Korea Air Force)) (후에 제6146비행훈련전대, 제6146공군자문단): 1955년 3월 15일 – 9월 24일, 1956년 9월 18일 – 1971년 4월 1일[1]

비행대대

  • 제6야간전투비행대대(6th Night Fighter Squadron): 1946년 6월 10일 – 1947년 2월 20일 (1946년 9월 7일 이후 분리)[1]
  • 제8사진정찰비행대대(8th Photographic Reconnaissance Squadron) (후에 제8전술정찰비행대대): 1946년 5월 31일 배속 – 1947년 2월 28일 (1946년 5월 31일 – 12월 16일 작전 중단, 1946년 9월 16일 – 12월 16일 분리), 1947년 2월 28일 부속 – c. 10월 31일, 1949년 4월 18일 부속 – 1950년 3월 1일[1]
  • 제9정찰비행대대(9th Reconnaissance Squadron): 1946년 6월 20일 – 1947년 10월 20일 (1946년 9월 25일 이후 분리)[1]
  • 제19전술항공지원비행대대(19th Tactical Air Support Squadron): 1972년 1월 15일 – 1974년 9월 30일[1]
  • 제20정보비행대대(20th Reconnaissance Squadron): 1946년 5월 31일 – 6월 20일[1]
  • 제41전투요격비행대대(41st Fighter-Interceptor Squadron): 1950년 12월 1일 부속 – 1951년 5월 25일[1]
  • 제56전략정찰비행대대(56th Strategic Reconnaissance Squadron): 1951년 5월 18일 부속 – 1952년 3월 1일[1]
  • 제63폭격비행대대(63d Bombardment Squadron): 1947년 9월 1일 – 29일 부속[1]
  • 제65폭격비행대대(65th Bombardment Squadron): 1947년 1월 1일 – 29일[1]
  • 제68전투비행대대(68th Fighter Squadron) (후에 제68전투요격비행대대): 1950년 12월 1일 – 1952년 3월 1일 (전 기간 분리)[1]
  • 제82전술정찰비행대대(82d Tactical Reconnaissance Squadron) (후에 제82정찰비행대대): 1946년 5월 31일 – 1947년 2월 28일; 1947년 2월 28일 부속 – 11월[1]
  • 제91전략정찰비행대대(91st Strategic Reconnaissance Squadron): 1951년 5월 18일 부속 – 1952년 3월 1일[1]
  • 제157연락비행대대(157th Liaison Squadron): 1946년 5월 31일 – 6월 1일[1]
  • 제310전투폭격비행대대(310th Fighter-Bomber Squadron): 1958년 7월 1일 – 15일 (작전 중단)[1]
  • 제334전투요격비행대대(334th Fighter-Interceptor Squadron): 1951년 5월 7일 부속 – 6월 27일[1]
  • 제335전투요격비행대대(335th Fighter-Interceptor Squadron): 1951년 9월 20일 부속 – 11월 4일[1]
  • 제336전투요격비행대대(336th Fighter-Interceptor Squadron): 1951년 6월 27일 부속 – 9월 20일[1]
  • 제339전투비행대대(339th Fighter Squadron) (후에 제339전투요격비행대대): 1946년 12월 15일 부속 – 1947년 2월 20일 (작전 중단); 1947년 2월 20일 – 1948년 8월 18일; 1950년 12월 1일 배속 – 1952년 3월 1일 (전 기간 분리)[1]
  • 제342폭격비행대대(342d Bombardment Squadron): 1947년 8월 1일 – 28일 부속[1]
  • 제431전투비행대대(431st Fighter Squadron): 1947년 3월 1일 부속 – 미상[1]
  • 제436폭격비행대대(436th Bombardment Squadron): 1947년 5월 1일 – 30일 부속[1]
  • 제492폭격비행대대(492d Bombardment Squadron): 1947년 7월 2일 – 30일 부속[1]
  • 제6156비행훈련비행대대(대한민국 공군)(6156th Flying Training Squadron (Trans ROKAF)): 1955년 3월 15일 – 9월 14일[1]

5. 계보

1944년 4월 15일, 제314폭격비행단(314 Bombardment Wing, Very Heavy영어)으로 창설[1]되었다. 4월 23일 활동을 개시[1]하였고, 1946년 4월 15일, 제314혼성비행단으로 재편성[1]되었다. 1948년 8월 20일, 활동이 중지[1]되었다.

1950년 11월 21일, 제314항공사단(314 Air Division영어)으로 재편성[1]되어 12월 1일 활동을 개시[1]하였으나, 1952년 3월 1일 다시 활동이 중지[1]되었다. 1955년 3월 15일, 제314항공사단은 다시 활동을 시작[1]하였다.

1948년 8월 13일에 제314항공사단으로 창설되어 1948년 8월 18일 조직화되고 1950년 3월 1일 끊긴 배분표 제314항공사단[1]과 1978년 7월 1일 통합[1]되었고, 1986년 9월 8일 활동이 중지[1]되었다.

6. 배속

제2공군에 1944년 4월 23일에 배속되었다. 1944년 6월 8일 제21폭격사령부로 배속이 변경되었다. 1945년 7월 16일에는 제20공군으로 다시 배속이 변경되었다. 1946년 5월 15일, 제5공군으로 배속되었다가, 1946년 5월 30일에 제5폭격사령부로 배속이 잠시 변경되었다. 1946년 5월 31일에 다시 제5공군으로 배속되었다. 1951년 5월 18일, 극동공군으로 배속되었고, 1955년 3월 15일 제5공군으로 다시 배속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Factsheet 314 Air Division http://www.afhra.af.[...] Air Force Historical Research Agency 2007-10-12
[2] 서적 Combat Units
[3] 서적 東京大空襲 B29から見た三月十日の真実 光人社NF文庫
[4] 웹인용 미국소재 한국사 자료 조사보고 Ⅳ: Ⅰ. 미 극동공군 산하 제5공군의 조직 http://db.history.go[...] 2019-10-30
[5] 뉴스 오산의 미 공군사단 본부, 용산 이전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76-08-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