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35방공포병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5방공포병여단은 주한 미군의 방공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이다.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과 냉전 시기 동안 여러 차례 재편성되었다. 2004년 한국에 배치되어 패트리어트 미사일 포대를 운용하기 시작했으며, 2016년에는 사드(THAAD) 포대가 추가 배치되었다. 현재는 오산 공군기지에 본부를 두고, 제1방공포병연대 제2대대, 제52방공포병연대 제6대대, 제2방공포병연대 D포대(THAAD)를 예하 부대로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걸프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여단 - 제7공병여단 (미국)
    제7공병여단(미국)은 1944년 창설되어 태평양 전쟁, 냉전, 걸프 전쟁 등에서 활동했으며, 2023년 재소집되어 독일 안스바흐에 주둔하고 있다.
  • 걸프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여단 - 제210야전포병여단
    제210야전포병여단은 1944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걸프 전쟁 등에 참전하고, 1996년 해산되었다가 2006년 한국에서 재창설되어 한반도 방어 임무를 수행한다.
  •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여단 - 제38방공포병여단
    제38방공포병여단은 1918년 창설되어 제1, 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고 냉전 시기 주한 미군으로 활동하다 해체되었으며, 2018년 일본에서 재창설되어 미사일 방어 임무를 수행한다.
  •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여단 - 제30방공포병여단
    제30방공포병여단은 1917년 창설되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고, 냉전 시기에는 오키나와에서 활동하다 해산되었으며, 2012년 재편성되어 현재 방공포병학교의 교육훈련부대로 운용된다.
  •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여단 - 제38방공포병여단
    제38방공포병여단은 1918년 창설되어 제1, 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고 냉전 시기 주한 미군으로 활동하다 해체되었으며, 2018년 일본에서 재창설되어 미사일 방어 임무를 수행한다.
  •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여단 - 제2공병여단 (미국)
    제2공병여단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한국 전쟁, 알래스카, 아프가니스탄 등에서 활동했으며, 여러 차례 개편과 해산을 거쳐 2011년 재소집되어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되기도 했다.
제35방공포병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제35방공포병여단 어깨 소매 휘장
어깨 소매 휘장
병과방공포병
종류여단
명령 체계제8군
주둔지대한민국 오산 공군기지
별칭드래곤 (Dragon)
표어"Ready in Defense" (방어 준비 완료)
색상빨강, 노랑
마스코트드래곤 (Dragon)
창설2005년 - 현재
현재 지휘관대령 케빈 P. 스토너룩 (Kevin P. Stonerook)
주임원사조시 M. 빌라리얼
식별 부대 휘장
역사
이전 활동 기간1918년 6월 1일 ~ 1919년
1942년 1월 ~ 1945년
1957년 ~ 1973년 6월 4일
1985년 6월 1일 ~ 현재
참전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걸프 전쟁
장비
장비MIM-104 패트리어트
AN/TWQ-1 어벤저

2. 역사

제1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18년 6월 1일, 버지니아주 포트 헌트에서 포토맥 강을 방어하기 위해 "''제35해안포병여단''"으로 창설되었다. 아메리카 원정군의 일원으로 뫼즈-아르곤느 공세에 참가하였으며, 전쟁이 끝나고 미국 본토로 귀환하여 뉴욕주 롱아일랜드 포트 토텐에서 해산하였다.[2]

1942년 1월, 조지아주 포트 스튜어트에서 재소집되어 보포스 40 mm 포로 무장하였다. 1943년 4월 북아프리카로 건너가 모로코제5군에 대공망을 제공하였고, 9월 9일 아발란체 작전에 참가하여 살레르노에 상륙하였다. 이후 임무가 전환되어 "제35대항공기여단"으로 개명하고 영국으로 건너가 절대군주 작전에 대비하였다. 1944년 6월 6일 남부 프랑스에 상륙한 후, 유럽 전역이 종결될 때까지 루프트바페의 항공기 286~406대를 격추하였다. 종전 후에는 뉴저지주의 캠프 킬리머에서 다시 해산하였다.[2]

1948년 11월, 텍사스주 포트 블리스에서 재창설되었고[2], 1950년 메릴랜드주 포트 조지 G. 미드로 이동하여 워싱턴 D.C.의 방공 임무를 수행했다. 1957년, 제35방공포병여단은 최초의 나이키-아약스 유도탄 사령부가 되었고, 1958년 3월에는 제35포병여단(방공)으로 개칭되어 메릴랜드주 데이비슨빌에서 최초의 나이키-허큘리스 기지를 운영했다. 베트남 전쟁의 종결로 인한 예산축소에 따라 1973년 6월 4일, 메릴랜드주 포트 미드에서 해체되었다.[2]

1985년 6월 1일,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에서 제1군단 방공포병부대로 소집되었다. 1992년, 걸프 전쟁에서 사막 폭풍 작전과 사막 방패 작전에 참가하였다.[2] 2001년 9·11 테러 이후에는 "클리아 스카이 작전"에 따라 워싱턴 D.C.에 방공망을 구축하고 향토 방공임무를 수행하였다.[2]

2004년, 주한 미군MIM-104 패트리어트(PAC-3) 포대를 추가 배치하고, 기존의 PAC-2 포대와 통합하여 별도의 방공포병여단을 편성할 계획을 세웠다.[5] 이에 따라 여단 본부와 예하 부대가 오산 공군기지광주 공군 기지에 배치되었다.[6][7] 2016년에는 패트리어트 1개 포대가 추가 배치되었고,[8] 2017년에는 MIM-104 패트리어트(PAC-3) 신형 부품이 도입되어 장비 성능 개량이 이루어졌다.[11]

2016년, 사드(THAAD) 1개 포대의 한반도 배치가 공식 발표된 후,[12] 2017년에 오산 공군기지와 경북 성주군에 사드 장비가 배치되었다.[12] 현재 성주 사드기지에는 미사일 발사대 6기와 레이더 등으로 구성된 사드 포대 1개가 배치되어 있으며, 한미 장병 400여 명이 근무 중이다.[12]

2020년, 미국 국방부 미사일방어국(MDA)은 사드와 패트리어트 미사일 통합 운용을 위한 업그레이드 계획을 발표했다.[12] 이후 미사일방어국(MDA)은 사드 레이더를 활용해 패트리엇으로 적 미사일을 요격하는 데 성공했으며,[12] 빈센트 브룩스 전 주한미군사령관은 통합공중미사일방어(IAMD)가 사드 추가 배치보다 강력하다고 주장했다.[12] 2021년에는 한국, 일본, 괌, 하와이의 미사일 방어 체계를 통합하는 훈련이 실시되었다.[12]

2. 1. 창설과 초기 역사

제1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18년 6월 1일, 포토맥 강을 방어하기 위해 버지니아주 포트 헌트에서 "''제35해안포병여단''"으로 창설되었다. 아메리카 원정군의 일원이 되어 뫼즈-아르곤느 공세에 참가하였다. 전쟁이 끝나고 평시로 전환되자, 미국 본토로 귀환하여 뉴욕주 롱아일랜드 포트 토텐에서 해산하였다.

2. 2. 제2차 세계 대전

1942년 1월에 조지아주 포트 스튜어트에서 재소집되었다. 여단은 새로운 장비로 보포스 40 mm 포로 무장하였다. 1943년 4월에 북아프리카로 건너가 모로코제5군에 대공망을 제공하였다. 9월 9일 아발란체 작전에 참가하여 살레르노에 상륙하였다. 그 후, 임무가 전환되어 "제35대항공기여단"으로 개명하고 영국으로 건너가 애틀랜타 방벽을 뛰어넘을 작전인 절대군주 작전에 대비하였다. 1944년 6월 6일 남부 프랑스에 상륙한 후, 유럽 전역이 종결될때까지 루프트바페의 항공기 286~406대를 격추하였다. 종전 후에 뉴저지주의 캠프 킬리머에서 다시 해산하였다.

2. 3. 냉전

1948년 11월, 텍사스주 포트 블리스에서 재창설되었다.[2] 1950년 메릴랜드주 포트 조지 G. 미드로 이동하여 워싱턴 D.C.의 방공 임무를 수행하고 인근 도시의 방어 계획을 수립했다. 1957년, 제35방공포병여단은 최초의 나이키-아약스 유도탄 사령부가 되면서 방공포병 분야의 이정표를 세웠다. 1958년 3월, 여단은 제35포병여단(방공)으로 개칭되었으며, 메릴랜드주 데이비슨빌에서 최초의 나이키-허큘리스 기지를 운영했다. 여기에는 제52방공포병연대의 제1대대가 포함되었다. 베트남 전쟁의 종결로 인한 예산축소에 따라 1973년 6월 4일, 메릴랜드주 포트 미드에서 해체되었다.

2. 4. 현대

1985년 6월 1일,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에서 제1군단 방공포병부대로 소집되었다. 1992년, 걸프 전쟁에서 사막 폭풍 작전과 사막 방패 작전에 참가하였다.

2001년 9·11 테러의 영향으로 테러 공격에 대비하여 발효된 "클리아 스카이 작전"에 따라 예전처럼 워싱턴 D.C.에 방공망을 깔고 향토 방공임무를 수행하였다.

2. 5. 주한 미군

2004년 4월 29일, 주한 미군은 그해 말까지 한국에 MIM-104 패트리어트(PAC-3) 포대 2개를 추가 배치할 계획을 세웠다. 이전에 들여온 PAC-2 6개 포대와 통합해 별도의 방공포병여단을 편성할 예정이었다.[5]

10월 26일, 여단 본부와 제43방공포병연대 1대대, 제178정비중대가 텍사스주 포트 블리스에서 오산 공군기지로 배치되었다. 제1방공포병연대 2대대는 이미 한 달 전에 광주 공군 기지에 배치되었다.[6][7]

2016년 2월 13일, 제35방공포병여단에 패트리어트 1개 포대가 추가 배치되었다. PAC-2와 PAC-3 패트리어트 96문, 12개 포대로 편성된 2개 대대가 배치되었다. 이번에 한국에 전개된 방공포병부대는 이전에 주한 미군으로 주둔하다가 2004년에 텍사스주 포트 블리스로 돌아가 제11방공포여단에 예속된 제43방공포연대 1대대 D포대로, 패트리어트 PAC-3 128발과 1개 포대를 이루는 8기가 C-17 글로브마스터III 수송기를 통해 오산 공군기지로 옮겨졌다.[8]

2017년 1월 26일, MIM-104 패트리어트(PAC-3) 신형 부품이 트라비스 공군기지에서 C-5M 슈퍼 갤럭시에 실려 오산 공군기지의 제35방공포병여단에 배송되었다. 여단은 장비 성능 개량을 위해 전면 개수 기간을 가질 예정이다.[11]

2. 6. 사드 배치와 한미 미사일 방어 협력

2016년 7월 8일, 류제승 국방부 국방정책실장과 토머스 밴달 주한미군사령부 참모장이 서울 용산구 국방부 브리핑실에서 사드 1개 포대의 한반도 배치를 공식 발표했다.[12] 2017년 3월 7일, 사드 포대 발사대 2기 등 일부 장비가 오산 공군기지에 도착했다.[12] 2017년 4월 26일, 주한미군은 한밤에 사드 레이더를 포함한 사드 장비를 경북 성주군 성주골프장으로 전격적으로 반입했다.[12]

2017년 9월 7일, 사드 포대 발사대 4기 등 일부 장비가 배치되었다.[12] 현재 성주 사드기지엔 미사일 발사대 6기와 레이더, 발전기 등으로 구성된 사드 포대 1개가 배치돼 있다.[12] 포대 운용 관리와 기지경비를 맡은 한미 장병 400여 명이 근무중이다.[12] 미사일 발사대 차량 1기에는 8발의 사드 미사일이 장착되어, 배치된 사드 미사일 수는 48발이다.[12] 사드 포대에는 발사대 차량이 9대까지 배치될 수 있지만, 한국에는 6대만 배치되었다.[12]

2020년 2월 10일, 미국 국방부 산하 미사일방어국(MDA) 존 힐 국장은 의회에 출석해 사드 업그레이드 계획을 설명했다.[12] 1단계는 기존의 6~9개보다 많은 사드 요격미사일 발사대를 연동해 원격으로 조종할 수 있게 하는 것, 2단계는 주한미군 사드 포대와 패트리어트 PAC-3 포대를 연동해 조종하는 것이다.[12] 3단계는 패트리어트 PAC-3 미사일과 사드 포대를 아예 통합해 운용한다.[12]

2020년 10월 1일, 미국 미사일방어국(MDA)이 사드 레이더를 활용해 저고도 요격미사일인 패트리엇으로 적의 미사일을 성공리에 요격했다.[12]

2020년 11월 2일, 빈센트 브룩스 전 주한미군사령관은 사드 레이더로 패트리어트 요격이 성공함에 따라, 한국에 추가적인 사드 배치는 불필요하게 되었다고 주장했다.[12] 한국과 미국의 미사일 방어망을 통합하는 통합공중미사일방어(IAMD)가 사드 추가 배치보다 강력하다고 주장했다.[12]

2021년 3월 12일, 미군은 한국과 일본을 제외한 단독 훈련을 종료했다.[12] 하와이 진주만의 히캄 공군기지에는 제94육군방공미사일방어사령부가 있으며, 그 예하 부대가 한국 제35방공포병여단, 일본 제38방공포병여단이다.[12] 한국 35여단은 사드 레이더 1개, 일본 38여단은 사드 레이더 2개를 통제하고 있다.[12] 이번 훈련에서는, 요코타 공군기지의 주일미군 제5공군에 지휘소가 설치됐고, 제38 방공포병여단(38여단·일본)과 하와이의 제94 육군방공미사일방어사령부(94 사령부), 경기 오산의 제35 방공포병여단(35여단), 괌 E-3 사드 포대 등이 참가했다.[12] 사드 업그레이드 3단계인 패트리어트 PAC-3 미사일과 사드 포대 통합을 넘어서, 한국, 일본, 괌, 하와이의 네 지역을 모두 통합하는데 성공한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12]

사드는 원래 레이더 옆에만 발사대 차량을 배치할 수 있었는데, 업그레이드가 되면, 레이더 위치와 상관없이, 발사대 차량만 서울이나 의정부 등의 최전방에도 배치할 수 있게 된다.[12]

3. 편제

제35방공포병여단은 현재와 이전의 편제로 나뉜다.

하위 섹션 '현재'에서 현재 운용중인 부대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므로, 이전 편제는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정리할 수 있다.


  • 제2방공포병연대 3대대
  • 제5방공포병연대 4대대
  • 제43방공포병연대 1대대
  • A, B, C, D 포대 (패트리어트)
  • E포대 (AN/TWQ-1 어벤저/AN/MPQ-64 센티넬)
  • F중대 (정비)

3. 1. 현재

제1방공포병연대 제2대대 (캠프 캐럴, MIM-104 패트리어트)[3]: 6개 포대, 포대당 8개 발사대

제52방공포병연대 제6대대 (수원 공군기지, MIM-104 패트리어트, AN/TWQ-1 어벤저)[4]: 6개 포대, 포대당 8개 발사대

제2방공포병연대 D포대 (THAAD, 성주군)

3. 2. 이전 편제

참조

[1] 웹사이트 Eighth Army ceremony —(9 June 2017) 35th ADA BDE welcomes new commander https://www.army.mil[...]
[2] 웹사이트 Globalsecurity.org
[3] 웹사이트 Patriot TMD - Units https://www.globalse[...] Global Security 2017-11-10
[4] 웹사이트 Patriot TMD - Units https://www.globalse[...] Global Security 2017-11-10
[5] 뉴스 주한미군 패트리어트여단 창설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9-11-26
[6] 뉴스 Patriot missile brigade starts moving in at Osan http://www.stripes.c[...] 스타스 앤 스트립스 2017-02-04
[7] 뉴스 패트리어트 본대 11월초 배치 http://www.siminsori[...] 시민의 소리 2017-02-04
[8] 뉴스 美, 패트리엇 1개포대 한국 순환배치…北위협 대응조치(종합2보)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9-11-26
[9] 뉴스 THAAD’s new home will be golf course in South Korean mountains http://www.stripes.c[...] Stars and Stripes 2019-11-26
[10] 뉴스 Seongju confirmed as site for THAAD http://www.koreatime[...] The Korea Times 2016-09-15
[11] 뉴스 Modernizing the Patriot Fleet http://www.pacom.mil[...] 미국 육군 공보부 2017-02-04
[12] 뉴스 미군, 사드·패트리엇 통합 가속하나…4개지역 첫 합동훈련 연합뉴스 2021-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