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8방공포병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8방공포병여단은 미국 육군의 방공 부대로, 1918년 창설되어 여러 차례 재편성 및 해체 과정을 거쳤다.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냉전 시기에는 주한 미군으로 활동하며 대한민국의 방공 임무를 수행했다. 1981년 해체된 후, 2018년 일본에서 재창설되어 주일 미군의 미사일 방어 임무를 담당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여단 - 제35방공포병여단
제35방공포병여단은 주한 미군의 방공을 담당하며 패트리어트 미사일과 THAAD를 운용하여 한반도 방어를 수행하고, THAAD 배치로 대한민국, 미국, 주변국 간 논쟁의 중심에 있다. -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여단 - 제30방공포병여단
제30방공포병여단은 1917년 창설되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고, 냉전 시기에는 오키나와에서 활동하다 해산되었으며, 2012년 재편성되어 현재 방공포병학교의 교육훈련부대로 운용된다. -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여단 - 제35방공포병여단
제35방공포병여단은 주한 미군의 방공을 담당하며 패트리어트 미사일과 THAAD를 운용하여 한반도 방어를 수행하고, THAAD 배치로 대한민국, 미국, 주변국 간 논쟁의 중심에 있다. -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여단 - 제2공병여단 (미국)
제2공병여단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한국 전쟁, 알래스카, 아프가니스탄 등에서 활동했으며, 여러 차례 개편과 해산을 거쳐 2011년 재소집되어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되기도 했다. - 미국의 방공포병여단 - 제35방공포병여단
제35방공포병여단은 주한 미군의 방공을 담당하며 패트리어트 미사일과 THAAD를 운용하여 한반도 방어를 수행하고, THAAD 배치로 대한민국, 미국, 주변국 간 논쟁의 중심에 있다. - 미국의 방공포병여단 - 제100미사일방어여단
제100미사일방어여단은 지상 기반 외기권 방어 체계를 운용하여 미국 본토를 방어하는 부대로, 적의 탄도 미사일을 감지, 추적 및 요격하며, 미사일 방어 시스템 구축에 따른 논란도 있다.
제38방공포병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활동 기간 | 1961년–1981년, 2018년-현재 |
병과 | 방공포병 |
역할 | 능동적 방공 |
규모 | 여단 |
명령 체계 | [[파일:94thAAMDC.png|20px]] 제94육군방공미사일방어사령부; [[파일:United States Army, Japan - Shoulder sleeve insignia.svg|20px]]주한 미군 |
주둔지 | 사가미 종합 보급창 (일본) |
좌우명 | 용기와 힘으로 |
색상 | 빨강과 노랑 |
마스코트 | 우즐핀치 |
장비 | MIM-104 패트리어트 |
장비 종류 | SAM |
훈장 | 공군 우수 부대 표창 |
전투 훈장 | 아르덴-알자스 전역 |
전투 훈장 종류 | 전역 휘장 |
현 지휘관 | 조셉 C. 스콧 대령 |
식별 기호 | [[파일:USAADA-BRANCH.svg|210px]] |
식별 기호 종류 | 미국 육군 분과 휘장 |
식별 기호 2 | [[파일:38th ADA DUI.png|210px|DUI]] |
식별 기호 2 종류 | 고유 부대 휘장 |
역사 | |
창설 | 1961년 |
해체 | 1981년 |
재창설 | 2018년 |
2. 역사
제1차 세계 대전에 미국이 참전하면서, 1918년 버지니아주 캠프 유스티스에서 제38포병여단이 창설되었다. 여단은 프랑스 브레스트로 파병되어 지원 임무를 맡았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1919년 1월에 미국 본토로 돌아가 버지니아주 포트 먼로에서 해체되었다.
1933년 10월, 제38해안포병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전, 여단은 조지아주 캠프 스튜어트에 주둔하고 있었고 유럽 전구에 배치되었다. 1943년 9월 재편성되어 대항공기여단이 되었다. 1945년 종전과 함께 독일에서 동원해체되었다.
1951년 3월부터 1953년 5월까지 텍사스주 포트 블리스에서 잠시 활동 후 해체되었고, 모든 전력은 제1유도미사일여단으로 이전되었다.
1960년 5월 제8군은 방공대대와 장비를 모아 임시 방공사령부(Eighth US Army Air Defense Command (Provisional)영어)를 창설, 이듬해 1961년 3월 25일 제38포병여단 (방공)으로 재편성되었다. 6월 2일에 어깨 소매 휘장을, 1967년 2월 7일에 고유 부대 휘장을 받았다. 1972년 4월 3일 여단 개명에 따라 어깨 소매 휘장과 고유 부대 휘장이 다시 디자인되었다.[21] 이후, 오산 공군기지에 배치되어 주한 공군(USAFK) 제7공군, 한미 야전군, 대한민국의 공군, 육군 방공포병사령부를 지원하였다.
1981년 의회 결정에 따라 여단과 예하 4개 대대의 임무, 장비는 대한민국 육군에 이양되었고, 1981년 7월 31일에 해산되었다.
2018년 10월 16일, 중화인민공화국의 탄도미사일을 감시하는 임무를 위해 37년만에 일본 사가미 종합보급창에서 재소집되었다. 지휘부는 여단장 팻 코스텔로(Pat Costello영어) 대령, 주임원사 네일 사르타인(Neil Sartain영어)이 임명되었고, 제94육군방공미사일방어사령부에 예속되었다. 일본 도리이 스테이션의 제1방공포병연대, 1대대, 샤리키 통신소의 제10미사일방어분견대, 교가미사카 통신소의 제14미사일방어분견대를 편성하였다.[22]
2. 1.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에 미국이 참전하면서, 1918년 버지니아주 캠프 유스티스에서 제38포병여단이 창설되었다.[4] 여단은 프랑스 브레스트로 파병되어 군수 및 보급 지원 임무를 맡았다.[5]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1919년 1월에 미국 본토로 돌아가 버지니아주 포트 먼로에서 해체되었다.[5]1933년 10월, 제38해안포병여단으로 재편성되었다.[6]
2. 2. 제2차 세계 대전
1933년 10월, 제38해안포병여단으로 재편성되었다.제2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제38해안포병여단은 조지아주 캠프 스튜어트에 주둔하고 있었으며, 유럽 전구에 배치되었다.[7] 1943년 9월, 제38 대공여단 본부 및 본부 포대로 재편성되었다. 제38대공포병여단은 벌지 전투 참전으로 캠페인 스트리머를 획득했다.[8]

제38대공포병여단은 연합군 전쟁 포로와 피난민 수용소를 경비하는 등 군사 경찰과 유사한 임무를 수행했다.[9] ''해안 포병 저널''에 게재된 기사에 따르면, 제38대공포병여단은 7월에 프랑스 아브랑슈에 도착하여 육군 대공 부대를 소집하고 육군 본부와 인근 보급 기지를 방어했다.[10] 1945년 종전과 함께 독일에서 동원해체되었다.
2. 3. 냉전 시기 (주한 미군)
1951년 텍사스주 포트 블리스에서 재창설되었다가 1953년 해체된 후, 1961년 제38포병여단(방공)으로 다시 창설되어 대한민국에 배치되었다. 제8군 소속으로, 주한 미 공군과 대한민국 공군, 육군 방공포병사령부를 지원하며 대한민국의 방공 임무를 수행했다.[13] 1972년 미국 육군 전투 병과 연대 체계에 따라 제38방공포병여단으로 재지정되었고, 여단 본부는 제314항공사단 및 대한민국 공군 본부와 함께 오산 공군 기지에 위치했다.[14]1981년 의회 결정에 따라 여단과 예하 4개 대대의 임무와 장비를 대한민국 육군에 이양하고 해산되었다.[22]
2. 3. 1. 비활성화 의례 (1981년)
1981년 7월 15일, 대한민국 오산 공군기지에서 제38방공포병여단 해체 기념행사가 진행되었다.[1] 행사 자료는 흑백 사진으로 남아있으며, 행사 책자에는 여단 역사, 부대 마크, 역대 여단장 소개, 고별사 등이 수록되어 있다.[1]
2. 4. 재창설 (주일 미군)
2018년 10월 16일, 중국의 탄도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일본 사가미 종합보급창에서 37년 만에 제38방공포병여단이 재창설되었다.[22] 여단은 제94육군방공미사일방어사령부 예하 부대로, 일본에 배치된 AN/TPY-2 레이더를 운용하며 미사일 방어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재창설 당시 여단장은 팻 코스텔로(Pat Costello영어) 대령이었고, 주임원사는 네일 사르타인(Neil Sartain영어)이었다. 여단은 도리이 스테이션의 제1방공포병연대 1대대, 샤리키 통신소의 제10미사일방어분견대, 교가미사키 통신소의 제14미사일방어분견대를 예하 부대로 편성하였다.[22]
2018년 10월 31일, 제38방공포병여단은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관을 지원하고 미일 동맹을 강화하기 위해 통합 합동 대공 및 미사일 방어를 제공하기 위해 재소집되었다. 사가미 종합 보급창은 2km2 부지에 창고와 군용차 수리공장 등이 들어서 있으며, 600여 명이 근무하고 있다.
3. 편성
제38방공포병여단은 재활성화 이후 다음과 같은 부대를 포함한다.[2]
- 본부 및 본부 포대
- 제1대대, 제1방공포병연대, 가데나 공군 기지 (MIM-104 패트리어트)
- 태스크포스 탈론, 앤더슨 공군 기지 (괌)[3]
- 제10미사일방어포대, 샤라키 (AN/TPY-2 THAAD 레이더 기지)
- 제14미사일방어포대, 교가미사키 (AN/TPY-2 THAAD 레이더 기지)
2018년 10월 16일, 미국은 일본 도쿄 인근 사가미종합보급창에 제38방공포병여단 사령부 요원들로 구성된 탄도미사일방위부대 새 사령부를 설치했다. 이 사령부는 하와이 제94 육군방공미사일사령부 소속으로 일본에 배치된 2대의 사드 레이더를 통제한다. 같은 해 10월 31일, 제38방공포병여단은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관을 지원하고 미일 동맹을 강화하기 위해 통합 합동 대공 및 미사일 방어를 제공하기 위해 재소집되었다.
3. 1. 주한 미군 (1960년 ~ 1981년)
1960년 3월 20일, 제38포병여단(방공) 본부 및 본부 포대로 재지정되어 주한 미국 공군 사령관의 작전 통제를 받으며, 한국 내 미국 및 대한민국 방공 부대에 대한 작전 지휘 및 통제를 수행했다.[13] 1972년 3월 15일, 미국 육군 전투 병과 연대 체계에 따라 제38방공포병여단으로 재지정되었다. 여단 본부는 제314항공사단 및 대한민국 공군 본부와 함께 오산 공군 기지에 위치했다.[14]여단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았다.
- 제2방공포병연대 1대대 (호크)[13]
- 제7방공포병연대 5대대 (호크)[13]
- 제44방공포병연대[13]
- * 제1대대 (호크)
- * 제2대대 (HERC)
- 제71방공포병연대 2대대 (호크)[13]
1981년 7월 15일, 제1대대, 제2방공포병연대는 해체되었다. HAWK 미사일 시스템과 관련 장비는 상호 무상 지원 프로그램에 따라 대한민국 육군에 무상으로 이관되었다. 유일하게 남은 사격 부대인 제71방공포병연대 2대대는 대한민국 북부 지역을 담당했으며, 1981년 7월 16일 무기/장비 및 임무를 1982년 중반 대한민국 육군으로 이전하기 전까지, 연합야전군(한미)의 미국 육군 구성 부대로 재배치되었다.[15]
3. 2. 주일 미군 (2018년 ~ 현재)
USFJ영어 시기 (2018년 ~ 현재)의 제38방공포병여단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2]- 본부 및 본부 포대
- 제1대대, 제1방공포병연대, 가데나 공군 기지 (MIM-104 패트리어트)
- 태스크포스 탈론, 앤더슨 공군 기지 (괌)[3]
- 제10미사일방어포대, 샤라키 (AN/TPY-2 THAAD 레이더 기지)
- 제14미사일방어포대, 교가미사키 (AN/TPY-2 THAAD 레이더 기지)
2018년 10월 16일, 미국은 일본 도쿄 인근에 주일미군의 탄도미사일방위부대 새 사령부를 설치했다. 새 사령부는 가나가와현 사가미하라시에 있는 미군 시설 사가미종합보급창에 마련되었다. 새 사령부는 미군 제38방공포병여단 사령부 요원들로 구성되었고, 하와이 제94 육군방공미사일사령부 소속으로 일본에 배치된 2대의 사드 레이더를 통제한다.
2018년 10월 31일, 제38방공포병여단은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관을 지원하고 미일 동맹을 강화하기 위해 통합 합동 대공 및 미사일 방어를 제공하기 위해 재소집되었다.
4. 역대 지휘관
(Pat Costello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