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35SS경찰척탄병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5SS경찰척탄병사단은 1945년 1월에 경찰여단 비르트로 시작하여, 2월에 사단으로 확장된 무장 친위대 부대이다. 동부 전선에서 싸웠으며, 1945년 4월 소련군의 공세에 맞서 오데르-나이세 강 방어전에 참여했다. 베를린 공방전 중에는 전투단을 편성하여 할베 전투에 투입되었으나, 4월 말에 대부분의 병력이 전사하거나 포로로 잡히면서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치 독일의 경찰 조직 - 질서경찰
    질서경찰은 나치 독일의 경찰 조직으로, 친위대에 통합되어 이념적 반대자 박해와 홀로코스트에 가담했으며, 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국방군에 인력을 제공하다 독일 패전 후 해체되었다.
  • 나치 독일의 경찰 조직 - 행정경찰
    행정경찰은 나치 독일에서 주 경찰국과 지방 경찰국을 중심으로 운영된 경찰 조직의 일부로, 재정, 여권, 외국인 통제, 주민등록, 교통 규제, 상업 시설 관리, 범죄 규정, 사회복지, 공중보건 등 다양한 행정 업무를 수행했으며, 행정경찰 공무원의 승진은 근무 성적, 상사 평가, SS 회원 여부 등에 따라 결정되었다.
  • 무장친위대 보병사단 - 제27SS의용척탄병사단 랑게마르크
    제27SS의용척탄병사단 랑게마르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벨기에 플란데르 출신 의용병으로 구성되어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에 소속되었으며, 레닌그라드, 우크라이나, 나르바 등지에서 전투를 치르다 소련군에 항복했다.
  • 무장친위대 보병사단 - 제28SS의용척탄병사단 발로니엔
    제28SS의용척탄병사단 발로니엔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에 소속된 사단으로, 벨기에 왈롱 지역 출신 의용병으로 구성되어 동부 전선에서 활동하며 여러 전투에 참전했다.
  • 베를린 공방전 - 한스 크렙스 (1898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육군 참모총장을 지낸 한스 크렙스는 동부 전선에서 활동하며 베를린 전투에서 퓌러 벙커를 지휘하다 히틀러 자살 후 소련과의 강화 교섭 실패 후 자살했다.
  • 베를린 공방전 - 베를린 전투
    베를린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소련군이 독일의 수도 베를린을 점령하기 위해 감행한 공세 작전으로, 격렬한 시가전 끝에 베를린 함락과 독일의 항복을 이끌어내며 유럽 전선 종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제35SS경찰척탄병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사단 휘장
사단 휘장
명칭제35SS 경찰 척탄병 사단
원어 명칭35. SS- und Polizei-Grenadier-Division (독일어)
별칭35. SS 경찰 척탄병 사단 (일부 출처)
연혁
창설1945년 3월 1일
해산1945년 5월 8일
국가나치 독일
소속[[File:Flag Schutzstaffel.svg|23px]] 무장친위대
병과보병
규모사단
전구동부 전선
지휘관
지휘관요하네스 비르트 (Johannes Wirth) 오버퓌러
지휘관뤼디거 핍코른 슈탄다르텐퓌러
전투
주요 전투제2차 세계 대전
젤로프 고지 전투
할베 전투
기타
참고일부 출처에서는 부대 명칭을 제35SS 경찰 척탄병 사단으로 표기함.

2. 편성

1945년 초, 독일 드레스덴에서 경찰 부대를 기반으로 창설된 '''경찰여단 비르트'''(Polizei-Brigade "Wirth"de)가 모체가 되었다. 이 여단은 동부 전선에 투입되어 전투를 치렀으며, 1945년 2월 10일 친위대 작전 본부의 결정에 따라 '''제35SS경찰척탄병사단'''(35. SS- und Polizei-Grenadier-Divisionde)으로 확장 및 개편되었다. 개편 과정에서 본토 방공군 부대, 국민돌격대 등이 편입되어 병력이 증강되었으며, 3월 1일 뤼디거 피프코른 친위대 대령이 사단장으로 임명되었다. 4월 6일 기준으로 사단 병력은 10,125명이었다.

사단의 주요 구성 부대는 다음과 같다.

영어 명칭독일어 명칭
SS-경찰 척탄병 연대 89 (제1, 제2, 제3 대대)SS-Polizei-Grenadier-Regiment 89 (I. – III.)de
SS-경찰 척탄병 연대 90 (제1, 제2 대대)SS-Polizei-Grenadier-Regiment 90 (I. – II.)de
SS-경찰 척탄병 연대 91 (제1, 제2 대대)SS-Polizei-Grenadier-Regiment 91 (I. – II.)de
SS-경찰 포병 연대 35 (제1, 제2, 제3 대대)SS-Polizei-Artillerie-Regiment 35 (I. – III.)de
SS-경찰 사격병 대대 35SS-Polizei-Füsilier-Abteilung 35de
SS-전차 대전차 대대 35SS-Panzerjäger-Abteilung 35de
SS-경찰 공병 대대 35SS-Polizei-Pionier-Bataillon 35de
SS-경찰 통신 대대 35SS-Polizei-Nachrichten-Abteilung 35de
SS-보급 연대 35SS-Versorgungs-Regiment 35de
SS-군사 경찰 순찰대 35SS-Feldgendarmerie-Trupp 35de


2. 1. 초기 편성 (경찰여단 비르트)

1945년 1월 31일, 드레스덴 헬러아우의 "제2경찰병학교(Polizei-Waffen-Schule II)"에서 보병, 통신병, 포병, 대전차 병력으로 구성된 '''경찰여단 비르트'''(Polizei-Brigade "Wirth")가 보안 부대로 처음 편성되었다.

2월 10일, 동부 전선에서 격전을 벌이던 중, 친위대 작전 본부는 이 여단을 사단 규모로 확장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부대 명칭은 '''제35SS경찰척탄병사단'''(35. SS- und Polizei-Grenadier-Division)으로 변경되었다.

2월 14일 이후, 사단은 오데르강 서안의 그륀베르크 북방에 배치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수감자들로 구성된 SS 돌격여단 딜레방어와 함께 전선에 투입되어 일부 마을을 탈환하는 데 성공하기도 했다. 그러나 2월 15일, 붉은 군대가 구벤 방면으로 진격해오면서 나이세강 서안의 독일군 부대가 고립될 위험에 처했다. 결국 두 부대는 점령했던 마을을 포기하고 오데르강과 나이세강이 합류하는 지점의 서쪽 강변까지 후퇴하여 새로운 방어선을 구축해야 했다.

사단으로의 개편 및 증강 작업은 계속되었다. 2월 24일부터는 본토 방공군(Heimat luftverteidigung) 소속 제1203(자동차화) 대공포 대대(Flak-Abteilung 1203(mot.))가 사단에 편입되었고, 브라운슈바이크 SS 장교 학교(SS-Junkerschule Braunschweig)에서 120명의 장교가 충원되었다. 3월에는 국민돌격대 2개 대대와 SS 위병 제4대대 '쿠어마르크'가 추가로 편입되었다. 3월 16일에는 기존 질서 경찰로 구성되었던 2개 경찰 연대가 각각 SS-경찰연대 29(SS-Polizei-Regiment 29)와 SS-경찰연대 30(SS-Polizei-Regiment 30)으로 개칭되었다.

3월 1일, 뤼디거 피프코른(Ruediger Pipkorn) 친위대 대령이 사단장으로 임명되었다. 당시 붉은 군대의 주력 공세가 폼메른 지역으로 집중되었기 때문에, 사단 편성 작업은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었다. 4월 6일 기준으로 사단 병력은 10,125명에 달했다.

4월 12일, 사단은 중앙군 집단 예하 제4 기갑군에 배속되어 실전 투입 준비를 완료했다. 4월 16일, 나이세강 전선에서 소련 붉은 군대의 대규모 공세가 시작되었다. 제35SS경찰척탄병사단이 속한 제5군단은 이반 코네프 원수가 지휘하는 소련 제1 우크라이나 전선군의 공격을 집중적으로 받았고, 전투 개시 4일 만에 중앙군 집단 본대와 연결이 끊어져 고립되었다. 이후 사단은 바이스엘 군 집단 소속 제9군의 지휘를 받게 되었으나, 4월 21일 시점까지 제5군단 내에서 비교적 손실이 적은 부대는 제35SS경찰척탄병사단뿐이었다.

사단의 주요 구성 부대는 다음과 같다.

영어 명칭독일어 명칭
SS-경찰 척탄병 연대 89 (제1, 제2, 제3 대대)SS-Polizei-Grenadier-Regiment 89 (I. – III.)
SS-경찰 척탄병 연대 90 (제1, 제2 대대)SS-Polizei-Grenadier-Regiment 90 (I. – II.)
SS-경찰 척탄병 연대 91 (제1, 제2 대대)SS-Polizei-Grenadier-Regiment 91 (I. – II.)
SS-경찰 포병 연대 35 (제1, 제2, 제3 대대)SS-Polizei-Artillerie-Regiment 35 (I. – III.)
SS-경찰 사격병 대대 35SS-Polizei-Füsilier-Abteilung 35
SS-전차 대전차 대대 35SS-Panzerjäger-Abteilung 35
SS-경찰 공병 대대 35SS-Polizei-Pionier-Bataillon 35
SS-경찰 통신 대대 35SS-Polizei-Nachrichten-Abteilung 35
SS-보급 연대 35SS-Versorgungs-Regiment 35
SS-군사 경찰 순찰대 35SS-Feldgendarmerie-Trupp 35


2. 2. 제35SS경찰척탄병사단으로 확장

1945년 2월 10일, Polizei-Brigade "Wirth"|경찰여단 비르트deu가 동부 전선에서 격전을 벌이던 중, 친위대 작전 본부는 이 여단을 사단으로 확장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날부로 여단은 '''35. SS- und Polizei-Grenadier-Division|제35SS경찰척탄병사단deu'''으로 개칭되었다.

사단 편제를 갖추기 위해 부대 증강이 이루어졌다. 2월 24일부터 Heimat luftverteidigung|본토 방공군deu 소속의 Flak-Abteilung 1203(mot.)|제1203(자동차화) 대공포 대대deu가 사단에 편입되었다. 장교단은 'SS-Junkerschule Braunschweig|브라운슈바이크 SS 장교 학교deu'에서 120명이 충원되었다. 또한 3월에는 국민돌격대 2개 대대와 SS 위병 제4대대 '쿠어마르크'가 사단에 편입되었다. 3월 16일에는 기존의 질서 경찰로 구성된 2개 경찰 연대가 각각 SS-Polizei-Regiment 29, 30|SS-경찰 연대 29, 30deu으로 개칭되었다.

3월 1일에는 뤼디거 피프코른 친위대 대령이 사단장으로 임명되었다. 이 시기 붉은 군대는 공세의 중점을 폼메른 방면으로 이동시켰기 때문에, 사단 편성 작업은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었다. 4월 6일 기준으로 사단의 병력은 10,125명에 달했다.

3. 전투 서열

wikitext

부대 명칭 (한국어)원어 명칭 (독일어)소속 대대
제89SS경찰척탄병연대SS-Polizei-Grenadier-Regiment 89de제1, 제2, 제3 대대
제90SS경찰척탄병연대SS-Polizei-Grenadier-Regiment 90de제1, 제2 대대
제91SS경찰척탄병연대SS-Polizei-Grenadier-Regiment 91de제1, 제2 대대
제35SS경찰포병연대SS-Polizei-Artillerie-Regiment 35de제1, 제2, 제3 대대
제35SS경찰경기병대대SS-Polizei-Füsilier-Abteilung 35de
제35SS대전차엽병대대SS-Panzerjäger-Abteilung 35de
제35SS경찰공병대대SS-Polizei-Pionier-Bataillon 35de
제35SS경찰통신대대SS-Polizei-Nachrichten-Abteilung 35de
제35SS정비연대SS-Versorgungs-Regiment 35de
제35SS군사경찰 순찰대SS-Feldgendarmerie-Trupp 35de


4. 주요 전투

제35SS경찰척탄병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동부 전선에서 주로 활동했다. 1945년 4월, 소련군의 공세에 맞서 구벤 지역을 방어하던 중 사단 병력을 전투단으로 재편성하여 대응하였다.[1] 이후 베를린 공방전 막바지에 벌어진 할베 전투에 휘말리면서 큰 손실을 입고 사실상 와해되었으며, 대부분의 병력은 전사하거나 소련군의 포로가 되었다.[2]

4. 1. 전투단 편성 및 할베 전투

제35SS경찰척탄병사단은 구벤 방어 중 소련 제1우크라이나 전선군의 접근에 따라 "플렉너 전투단"과 주력 부대인 "피프코른 전투단"으로 나뉘었다. 플렉너 전투단은 구벤 시가지를 방어하고, 피프코른 전투단은 기동전을 통해 소련군의 공세를 격퇴하는 임무를 맡았다.

1945년 4월 23일, 베를린에서 시가전이 한창일 때, 피프코른 전투단은 뤼벤으로 반격하여 큰 손실에도 불구하고 뤼벤 서역을 탈환했다. 그러나 같은 시기, 제9군은 상부로부터 서쪽으로 탈출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에 제9군 사령관 테오도어 부세 대장은 방어선 남쪽에서 활동 가능한 유일한 부대였던 피프코른 전투단을 주력으로 삼아 할베 전투 중 바루트 방면으로 소련군 방어선을 돌파하기로 결정했다.

4월 25일, 피프코른 전투단은 격전을 치르며 도른스발데까지 진출했으나, 후속 부대가 붉은 군대에 격퇴당하면서 고립되었다. 이곳에 제21기갑사단 소속으로 별도의 돌파 작전을 수행하던 루크 전투단이 합류했다. 전력은 보강되었지만 붉은 군대의 공세는 계속되었고, 결국 피프코른 사단장이 전사했다. 지휘관을 잃은 피프코른 전투단은 루크 전투단의 지휘 아래 바루트 북쪽으로 공격을 시도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다음 날인 4월 26일, 소련군의 대규모 증원으로 돌파 가능성은 사라졌다.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 이날 밤, 루크 대령은 탄약과 연료가 거의 소진되자 예하 장병들에게 손실에 관계없이 서쪽의 엘베강 방면으로 탈출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두 전투단은 사실상 해체되었다. 루크 대령은 소수 병력과 함께 제9군 본대에 합류하려 했으나, 4월 27일 붉은 군대에 항복했다. 두 전투단의 장병 중 극소수만이 서쪽으로 탈출하여 미군에게 항복하고 포로가 되었으며, 대부분은 바루트 근교 전투에서 전사하거나 소련군의 포로가 되었다.

한편, 구벤을 방어하던 플렉너 전투단은 4월 23일 철수 허가를 받고 할베 방면으로 이동하여 4월 27일까지 제9군 잔여 병력과 합류했다. 다음 날인 4월 28일, 프레크너 전투단은 제9군 잔여 부대와 함께 바루트 북동쪽에서 붉은 군대 방어선을 돌파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소수의 생존 장병들은 제12군과 합류하여 베리츠 근교에서 미군에게 항복했다.

5. 지휘관


  • 상급지도자 요하네스 비르트 (1945년 2월–3월)[2]
  • 대령 뤼디거 피프코른 (1945년 3월–5월)

취임퇴임계급(당시)성명
1945년 3월 1일1945년 4월 25일친위대 대령뤼디거 피프코른 (Ruediger Pipkorn)


참조

[1] 서적 Tessin
[2] 서적 Bisho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