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대는 군대의 기본적인 전술 단위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300명에서 1,000명 사이의 병력으로 구성된다. 대대는 대대본부와 2개에서 5개의 중대로 구성되며, 상급 부대의 지휘를 받아 단독 작전 수행이 가능하다. 대대장은 중령 또는 대령이 맡으며, 예하 중대 외에 각 처부를 지휘한다. NATO는 대대를 "중대보다 크고 연대보다 작은" 단위로 정의하며, 각 회원국은 자국의 군대에서 대대에 상응하는 명칭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규모별 부대 및 편성 - 중대
    중대는 군대의 기본 전술 및 행정 단위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규모와 구성을 거쳐 현대에는 100~250명 규모로 유지되며 소대, 중대 본부 등으로 구성되고 대위가 지휘한다.
  • 규모별 부대 및 편성 - 분대
    분대는 군대에서 공식 편제상 가장 작은 병력 단위이며, 육군에서는 소대의 하급 부대로 분대장이 지휘하고, 인원은 6명에서 12명 사이이며, 해군, 헌병, 경찰, 소방대 등에서도 유사한 단위로 존재한다.
  • 군사에 관한 - 중대
    중대는 군대의 기본 전술 및 행정 단위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규모와 구성을 거쳐 현대에는 100~250명 규모로 유지되며 소대, 중대 본부 등으로 구성되고 대위가 지휘한다.
  • 군사에 관한 - 분대
    분대는 군대에서 공식 편제상 가장 작은 병력 단위이며, 육군에서는 소대의 하급 부대로 분대장이 지휘하고, 인원은 6명에서 12명 사이이며, 해군, 헌병, 경찰, 소방대 등에서도 유사한 단위로 존재한다.
대대
대대 (大隊)
군사 부대 정보 상자
군사 부대 정보 상자
기본 정보
군사 단위 유형부대
규모약 300명 ~ 1,000명
구성2개에서 6개 중대, 포병 대대, 기병 대대, 전투 지원 부대
상위 부대연대, 여단, 전투단, 기갑여단
하위 부대중대, 기병 중대, 포병 중대
역사
어원프랑스어 "bataillon"에서 유래 (이탈리아어 "battaglione"에서 파생), "싸우다"를 뜻하는 라틴어 "battuere"에서 기원
사용 시기16세기 후반부터 현재까지
초기 형태16세기 후반, 보병 부대 단위로 사용 시작
현대적 개념19세기 후반, 현대적 개념으로 정립
역할 및 특징
주요 역할독립적인 작전 수행
주요 전투 부대
전투 지원 기능 수행
특징자체적인 지휘 체계 보유
전투 및 지원 임무 수행
여러 중대로 구성
필요에 따라 증강 가능
각국 대대 명칭
영어Battalion
프랑스어Bataillon
이탈리아어Battaglione
스페인어Batallón
일본어大隊 (だいたい, daitai)
한국군
한국군 대대보병대대
기계화보병대대
기갑대대
포병대대
공병대대
정보통신대대
정비대대
군수지원대대
수송대대
일본군
일본군 대대보병대대
전차대대
포병대대
공병대대
수송대대
일본군 부대 구분대대 이상을 '부대', 중대 이하를 '대'로 칭함
기타
참고일부 국가에서는 기병대대를 "스쿼드론"(Squadron)이라고 부름

2. 구성

대대는 대대본부와 2개에서 5개 사이의 중대로 구성되며, 몇 개의 대대 직할대가 추가될 수 있다. 대대 규모의 부대가 되면 지휘부 인원을 별도의 본부중대로 구성하고, 전투지원을 위한 화력 편성이 추가된다. 사단장이나 연대장 등 상급 지휘관의 판단에 따라 다른 부대로부터 다른 병과의 중대, 소대를 일시 배속받아 전투단(combat team, task force)을 만들기도 한다.[46]

대대는 상급 제대의 지휘 하에 단독으로 작전에 투입될 수 있는 최소 부대 단위로 간주된다. 특히 보병 병과의 경우 대대를 기본 전술 단위부대(Basic tactical unit)라고 한다. 같은 병과의 중대만 모이는 것이 일반적이나, 미국 육군처럼 기계화보병 2개 중대, 기갑 2개 중대가 1개 제병협동대대(Combined Arms Battalion)를 이루는 사례도 있다. 대한민국 국군 기계화보병사단의 기갑 수색 대대처럼 전차, 장갑차, 자주박격포들을 모아 대대전투단 편제로 만들어버린 경우도 있다.[47]

대대장은 자신의 휘하에 참모를 둘 수 있는 최하위 지휘관이다. 즉 예하 중대 이외에 각 처부(인사과, 정보과, 작전과, 군수과, 동원과 등)를 둘 수 있다. 대한민국 육군의 지역방위사단이나 그보다 작은 동원사단은 평상시에는 전방의 중대 또는 소대 병력 규모로 대대 편성을 유지한다.

대단히 특이한 경우로 소위가 대대장에 보직되기도 한다. 특전사 각 여단 직할 시설대대가 그 경우이며 시설대대는 대대장이 소위, 주임원사가 작전과장을 겸직하며 중대장이 상사이다. 임무는 본대가 영외로 나가 활동을 할 경우 영내(부대 소재지) 경비를 하는 것이 유일하다.

독일 연방방위군의 경우 장군참모 장교 요원이 배치되는 가장 작은 부대이다. 상비 보병사단, 지역방위 보병사단 소속 신병교육대의 경우는 대대급이라 신병교육대대로 부르며 중령이 보직된다.

대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3]

구분구성
대대본부대대장, 부대대장, 참모부(인사과장, 정보과장, 작전과장, 군수과장 및 각 참모장교, 참모요원)
본부중대통신소대, 정찰소대, 화기소대, 수송소대, 전투근무지원소대 등
제1중대소총중대(Rifle Company)
제2중대소총중대
제3중대소총중대
제4중대중화기중대(Heavy Weapons Company)



대대는 종종 같은 유형(예: 보병, 전차 또는 정비)의 2개 이상의 주요 임무 중대들로 구성되지만, 미국 육군의 합동병과 대대와 같이 예외도 있다. 주요 임무 중대 외에도 대대는 일반적으로 사령부 직원과 전투지원, 그리고 이것들이 사령부 및 지원중대로 통합될 수 있다. 대대에는 전투지원중대가 포함될 수도 있다.

대대는 며칠 이상 작전을 지속하기 위해 보급원이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대대의 탄약, 소모성 무기(예: 수류탄과 일회용 로켓 발사기), 물, 식량, 연료, 윤활유, 예비 부품, 배터리 및 의료 물품은 일반적으로 대대 병사와 대대 차량이 운반할 수 있는 양만 있기 때문이다. 지휘관의 참모는 작전을 조정하고 계획한다. 대대의 하급 중대와 그 소속 소대는 지휘, 통제, 통신 및 정보, 그리고 대대의 지원 체계에 대대 사령부에 의존한다.

3. NATO

NATO는 대대를 "중대보다 크고 연대보다 작은" 단위로 정의하며, "본부와 함께 2개 이상의 중대, 포대 또는 소대 규모의 부대들로 구성"된다고 규정한다.[5] 대대를 나타내는 표준 NATO 기호는 틀 안의 부대 아이콘 위에 쌍으로 된 수직선으로 표시된다.[5]

NATO 회원국 군대에서 대대에 대한 명칭
국가명칭
미국[6]대대 또는 중대
벨기에[7]Bataillon|바타용프랑스어, escadrille|에스카드히프랑스어
영국[8]대대, 연대, 야전 구급대, 비행대, 전투단 또는 특수부대
불가리아[9] (батальон|바탈룐bg), (дивизион|디비지온bg)
캐나다[10]대대, 연대 또는 중대
크로아티아Bojna|보이나hr, bataljun|바탈륜hr
체코[11]Prapor, oddíl|프라포르, 오딜cs, letka|레트카cs
덴마크[12]Bataljon, afdeling|바탈룐, 아프델링da, bataljons kampgruppe|바탈룐스 캄프그루페da
핀란드Pataljoona|파탈요나fi, bataljon|바탈룐sv
프랑스[13]Bataillon|바타용프랑스어, groupement|그루프망프랑스어
독일[14]Bataillon, Abteilung, Bootsgeschwader, Schiff|바탈룐, 압타일룽, 보츠게슈바더, 쉬프de, Lehrgruppe|레어그루페de
그리스[15]
헝가리[16]Zászlóalj, osztály|자슬로얼, 오스탈리hu
이탈리아[17]Battaglione, gruppo, gruppo squadroni, autogruppo|바탈리오네, 그루포, 그루포 스콰드로니, 아우토그루포it, reparto|레파르토it
리투아니아[18]Batalionas, eskadrilė|바탈리오나스, 에스카드릴레lt
북마케도니아батальон|바탈룐mk,
네덜란드[19]Bataljon, afdeling, groep, colonne|바탈룐, 아프델링, 흐루프, 콜로너nl, commando|코만도nl
노르웨이[20]Bataljon, stridsgruppe|바탈룐, 스트리드스그루페no
폴란드[21]Batalion, dywizjon|바탈리온, 디비존pl
포르투갈[22]Batalhão, grupo|바탈량, 그루푸pt
루마니아Batalion|바탈리온ro
스페인[23]Batallón, grupo|바탈룐, 그루포es, grupo táctico|그루포 탁티코es
터키[24]Tabur|타부르tr


4. 각국의 대대

NATO는 대대를 "중대보다 크고 연대보다 작은" 단위로 정의하며, "본부와 함께 2개 이상의 중대, 포대 또는 소대 규모의 부대들로 구성"된다고 규정한다.[5] 대대를 나타내는 표준 NATO 기호는 틀 안의 부대 아이콘 위에 쌍으로 된 수직선으로 표시된다.[5]

NATO 지도 기호[4]

미확인 편성의 우호적인 대대
--
우호적인 기계화 보병 대대
--
우호적인 전차 대대
--
적대적인 기동 보병 대대
--
우호적인 야전 구급대



대한민국 국군의 경우 대대장은 보통 중령이 담당하며, 지역방위 사단이나 공군의 경우는 소령이 맡기도 한다. 대대는 대대본부와 2~5개 중대로 구성되며, 몇 개의 대대 직할대가 추가될 수 있다. 대대 규모 부대는 지휘부 인원을 별도의 본부중대로 구성하고, 전투지원을 위한 화력 편성이 추가된다. 미국 육군처럼 기계화보병 2개 중대, 기갑 2개 중대가 1개 제병협동대대를 이루는 사례나, 대한민국 국군 기계화보병사단의 기갑 수색 대대처럼 전차, 장갑차, 자주박격포들을 모아 대대전투단 편제로 만들어버린 경우도 있다. 대한민국 육군의 지역방위사단이나 그보다 작은 동원사단은 평상시에는 전방의 중대 또는 소대의 병력 규모로 대대 편성을 유지한다. 상비 보병사단, 지역방위 보병사단 소속 신병교육대의 경우는 대대급이라 신병교육대대로 부르며 중령이 보직된다.

독일 연방방위군의 경우 장군참모 장교 요원이 배치되는 가장 작은 부대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각국의 보병 대대는 3개 보병 중대와 지원화기를 갖춘 1개의 화기중대를 본부 소대가 지휘하는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일반적으로 대대당 12정 정도의 기관총을 보유하고 있으며, 경화포박격포 등을 장비하고 있었다.

다음은 NATO 회원국 군대의 대대에 대한 명칭을 정리한 표이다.

NATO 회원국 군대에서 대대에 대한 명칭
국가명칭
미국[6]대대 또는 중대
벨기에[7]Bataillon|바타용프랑스어, 또는 escadrille|에스카드히프랑스어
영국[8]대대, 연대, 야전 구급대, 비행대, 전투단 또는 특수부대
불가리아[9] (батальон|바탈룐bg), 또는 (дивизион|디비지온bg)
캐나다[10]대대, 연대 또는 중대
크로아티아Bojna|보이나hr 또는 드물게 bataljun|바탈륜hr
체코[11]Prapor, oddíl|프라포르, 오딜cs, 또는 letka|레트카cs
덴마크[12]Bataljon, afdeling|바탈룐, 아우델링da, 또는 bataljons kampgruppe|바탈룐스 캄프그루페da
핀란드Pataljoona|파탈요나fi, 또는 bataljon|바탈룐sv
프랑스[13]Bataillon|바타용프랑스어, 또는 groupement|그루프망프랑스어
독일[14]Bataillon, Abteilung, Bootsgeschwader, Schiff|바탈리온, 압타일룽, 보츠게슈바더, 쉬프de, 또는 Lehrgruppe|레어그루페de
그리스[15]
헝가리[16]Zászlóalj, osztály|자슬로얼, 오스탈리hu
이탈리아[17]Battaglione, gruppo, gruppo squadroni, autogruppo|바탈리오네, 그루포, 그루포 스콰드로니, 아우토그루포it, 또는 reparto|레파르토it
리투아니아[18]Batalionas, eskadrilė|바탈리오나스, 에스카드릴레lt
북마케도니아батальон, bataljon|바탈룐mk
네덜란드[19]Bataljon, afdeling, groep, colonne|바탈룐, 아프델링, 흐루프, 콜로너nl, 또는 commando|코만도nl
노르웨이[20]Bataljon, stridsgruppe|바탈룐, 스트리드스그루페no
폴란드[21]Batalion, dywizjon|바탈리온, 디비존pl
포르투갈[22]Batalhão, grupo|바탈량, 그루푸pt
루마니아Batalion|바탈리온ro
스페인[23]Batallón, grupo|바탈룐, 그루포es, 또는 grupo táctico|그루포 탁티코es
터키[24]Tabur|타부르tr


4. 1. 영국 육군

'대대'라는 용어는 영국 육군 보병과 전기 기계 기술병과 및 정보병과를 포함한 일부 병과에서 사용된다. 이전에는 영국 육군 공병(연대로 전환되기 전)에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해체된 영국 육군 보급병과와 영국 육군 개척병과에서도 사용되었다. 다른 병과는 일반적으로 "연대"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보병 대대는 일반적으로 연대 내에서 번호가 매겨진다(예: 제1대대, 라이플 연대, 일반적으로 제1 라이플 대대로 불림). 일반적으로 사령부 중대, 지원 중대 및 3개의 소총 중대(일반적으로 A, B, C 중대)가 있다. 각 중대는 소령이 중대장으로 지휘하며, 대위 또는 상급 중위가 차석 지휘관(2IC)을 맡는다. 사령부 중대에는 통신, 군수장교, 급식, 정보, 행정, 급여, 훈련, 작전 및 의료 요소가 포함된다. 지원 중대에는 일반적으로 대전차, 기관총, 박격포, 개척병 및 정찰 소대가 포함된다. 기계화 부대는 일반적으로 차량 및 장비의 현장 수리를 수행하기 위해 전기 기계 기술병과(REME)의 경량 지원 분견대(LAD)가 배속된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전장에 있던 영국 대대는 약 845명의 병력을 보유했지만, 2012년 기준 영국 대대는 약 650명의 병력을 보유했다. 전후 지속적인 감축으로 많은 보병 연대가 단일 대대로 축소되었으며(다른 연대는 여러 대대를 유지하는 대규모 연대를 형성하기 위해 합병되었음, 예: 로열 앵글리안 연대).

대대 사령부의 중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직책계급
대대장(CO)중령
차석 지휘관(2i/c)소령
부관대위
군수장교(QM)하급 대위
군수장교(기술)
의무장교(MO)영국 육군 의무 서비스 대위 또는 소령
행정장교참모총장단 대위 또는 소령
군목(목사)영국 육군 군목부 4급 또는 3급 군목
작전장교(Ops)중위
정보장교(IO)중위 또는 대위
연대 통신장교(RSO)영국 육군 통신병과 대위
연대 상사(RSM)준위 1급
연대 군수 중사(RQMS)준위 2급
연대 군수 중사(기술)준위 2급



다른 병과의 대대는 병과 내에서 별도의 기수 번호가 부여된다(예: 제101대대 REME).

전투단은 대대장의 지휘 아래 작전하는 다른 군 부대에서 파견된 소부대와 함께 보병대대 또는 기갑연대로 구성된다.

4. 2. 캐나다 육군

캐나다 육군에서 대대는 보병과 전투지원부대의 표준 부대 편성이다. 각 대대는 중대라고 하는 하나 이상의 하급 부대로 나뉜다.

캐나다군에서 대부분의 대대는 100명에서 200명의 병사로 구성된 예비군 부대이며, 각각 약 반 중대 규모의 작전 가능한 현장 배치 부대를 포함한다. 9개의 정규군 보병 대대는 각각 3개 또는 4개의 소총 중대와 1개 또는 2개의 지원 중대를 포함한다. 캐나다 대대는 일반적으로 중령이 지휘하지만, 규모가 작은 예비 대대는 소령이 지휘할 수 있다.

다음 연대는 둘 이상의 대대로 구성되어 있다.

  • 로열 캐나다 연대 (정규군 3개 대대 및 예비군 1개 대대)
  • 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 (정규군 3개 대대)
  • 로열 22e 연대 (정규군 3개 대대 및 예비군 2개 대대)
  • 로열 뉴펀들랜드 연대 (예비군 2개 대대)


전술적으로 캐나다 대대는 보병 전투단의 핵심을 형성하며, 여기에는 장갑차, 포병, 전투 공병 및 전투지원부대와 같은 다양한 지원 부대가 포함된다. 보병 전투단은 일반적으로 그 중심이 되는 보병 대대장이 지휘하며, 임무의 성격에 따라 300명에서 1,500명 이상의 병사로 구성될 수 있다.

4. 3. 인도 육군

인도 육군의 대대는 4개의 소총 중대(rifle company)로 구성되며, 각 소총 중대는 3개의 소대(platoon)로 구성된다. 인도 육군 대대는 대령이 지휘한다.[25] 일반적으로 대대는 보병 연대(regiment)에 배속되며, 연대는 여러 개의 대대와 연대 중앙 대대로 구성된다.

4. 4. 네덜란드 육군

네덜란드 육군에서 기계화 보병대대는 일반적으로 지휘 및 의무 중대 1개, 기계화 보병 중대 3개, 지원 중대 1개로 구성되며, 지원 중대는 중(重)박격포 소대 3개와 TOW 대전차 미사일 소대 3개를 보유하고 있다.[1]

전투 중대는 (일반적으로 기계화된) 보병, 전투 공병 또는 전차로 구성된다. 후자의 경우, 부대를 eskadronnl이라고 하는데, 이는 대략 "비행 중대"로 번역된다. 네덜란드 육군에는 또한 보급 및 수송, 통신 등 특정 임무를 전문으로 하는 지원 대대가 있다.[1]

네덜란드는 유엔 평화유지 임무를 위해 상비적으로 배치되는 대대 4개를 보유하고 있다.[1]

보병대대, 지원대대, 전투대대 및 네덜란드 해병대는 모두 대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각 대대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1]

대대 지휘부일반 행정지휘 중대보병 중대 (3개)지원 중대


4. 5. 소련군 (해체)

400px


소련군에서 기계화소총대대는 BTR 장갑차 또는 BMP 보병전투차량으로 편성될 수 있었는데, 1980년대 후반까지는 전자가 더 많았다. 두 유형 모두 12명의 대대 본부와 3개의 기계화소총중대(각 110명), 그리고 여러 전투 지원 부대로 구성되었다. 전투 지원 부대는 다음과 같다.

  • 박격포 중대: 8문의 120mm 120-PM-43 박격포 또는 82mm 2B9 바실레크 자동 박격포
  • 방공소대: 9문의 개인휴대식 지대공 미사일(MANPAD) - SA-7 그레일, SA-14 그렘린, SA-16 짐렛 중 하나
  • 자동유탄발사기 소대: 6문의 30mm AGS-17 자동유탄발사기


BTR 대대에는 대전차소대가 추가되었는데, 4문의 AT-3 새거 또는 AT-4 스피곳 대전차 미사일 발사기와 2문의 73mm SPG-9 무반동포로 구성되었다. 고도의 대비태세를 유지하는 BTR 부대는 때때로 미사일 발사기 6문과 무반동포 3문을 보유하기도 했다. 두 유형 모두 신호소대, 보급소대, 정비소와 의무대와 같은 동일한 지원 부대를 가지고 있었다. 대전차소대가 추가됨에 따라, 완편된 BTR 대대는 지휘차량 3대를 포함하여 525명의 인원과 60대의 BTR로 구성되었고, BMP 대대는 지휘차량 3대를 포함하여 497명의 인원과 45대의 BMP로 구성되었다.[27]

1980년대 소련 전차 대대 및 중대


1980년대 후반 이전 소련 전차 대대는 3개의 전차 중대(각각 13대의 T-64, T-72, T-80 전차)와 지휘 전차에 탑승한 대대 본부, 본부 및 정비 소대를 포함하여 총 165명의 인원과 40대의 전차로 구성되었다. T-54, T-55, T-62 전차를 사용하는 대대는 31명 또는 40명의 병력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동유럽의 군대는 각 전차 중대가 총 10대의 전차로 구성된 더 작은 편제(총 135명의 인원과 31대의 전차)로 표준화하기 시작했다.[28][29]

1980년대 소련 122mm 야포 대대


1980년대 후반 소련 야포 대대는 대대 본부, 본부 소대, 정비 및 보급 소대, 그리고 3개의 사격 중대(각 중대는 6문의 2S1 흐보즈디카 자주포 또는 견인식 D-30 곡사포로 구성, 인원은 각각 260명 또는 240명)로 구성되었다. 로켓 발사기 야포 대대는 본부 및 본부 소대, 정비 중대, 그리고 BM-21 그라드로 무장한 3개의 사격 중대(총 255명)로 구성되었다.[30][31]

4. 6. 스웨덴군

17세기 중반부터 18세기 중반까지 스웨덴의 대대(battalion)는 전투에서 가장 작은 전술 단위였다. 600명으로 구성된 이 부대는 8개 중대 규모의 보병 연대에서 4개의 보병 중대를 임시로 합쳐 전투 개시 시 편성되었다. 연대장인 오베르스테(överste)(대령)는 제1대대를, 그의 부관인 오베르스텔뢰이텐란트(överstelöjtnant)(중령)는 제2대대를 지휘했다. 대대장과 모든 장교들은 부대 앞에서 행진했다. 부사관(underofficers)들은 탈영을 방지하고 전사한 장교를 대체하기 위해 부대 옆과 뒤에서 행진했다. 마요르(majorer), 오베르스텔뢰이텐란트(중령), 오베르스테(대령)와 같은 고위 장교들은 주요 임무 외에도 중대를 지휘했다. 오베르스테(대령)가 연대와 제1대대 작전에 집중할 수 있도록 그의 중대 지휘는 카프텐뢰이텐란트(kaptenlöjtnant)에게 위임되었다. 전투 중에는 펜리크(fänrik)를 제외한 모든 장교가 각자의 중대 일부를 담당했다. 부사관(NCO) 계급은 후리르(furir), 쇠라레(förare), 펠트베벨(fältväbel), 세르젠트(sergeant), 루스트메스타레(rustmästare)로 구성되었다.

4. 7. 스위스군

2004년 스위스군의 주요 개혁으로 기존 연대 시스템이 폐지되고, 임무 중심의 작전 부대의 기본 구성 요소로 대대를 중심으로 한 전투팀 방식이 채택되었다. 대대 규모는 병과에 따라 다르다.[1]

4. 8. 미군

미국 육군에서 대대는 사령부와 2개에서 6개의 중대, 포대 또는 분대가 편성된 부대이다.[32] 보통 서수(제1대대, 제2중대 등)로 식별되며, 보통 A중대, B중대 등의 단일 문자로 식별되는 하급 부대를 거느린다.[32] 대대는 독자적인 작전을 계획하고 수행하는 제한적인 능력을 가진 전술적 및 행정적 조직이며, 일반적으로 여단, 군집 또는 연대의 유기적인 구성 요소이다.[33]

미 육군 대대는 중령이 지휘하는 대대장, 소령이 지휘하는 작전장교, 사령부 상사(CSM), 사령부 직원 및 보통 3개에서 5개의 중대를 포함하며, 총 300명에서 1,000명[34] (그러나 일반적으로 500명에서 600명)의 병사로 구성된다.[35]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대부분의 보병 연대는 3개 대대(제1, 제2, 제3 대대)로 구성되었으며, 각 대대는 3개의 소총 중대와 1개의 중화기 중대로 구성되었다.[36] J중대는 없었는데, 이는 18세기와 19세기의 구식 활자에서 대문자 I와 J가 서로 비슷하게 보여 쉽게 혼동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미 육군은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중 보병 사단에 화력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독립 전차 대대를 창설했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 초까지 전형적인 기동(보병 또는 전차) 대대는 5개의 중대로 구성되었다. 1980년대 후반에는 대부분의 보병 및 전차 대대에 네 번째 "선(Line)" 중대(D 중대)가 추가되었다.

2005년에서 2006년부터 미 육군의 기계화 및 전차 대대는 합동 무기 대대(CAB)로 재편성되었다. 각 합동 무기 대대는 필요한 중대로 유기적으로 구성되었다. 더 높은 수준에서는 각 기갑 여단은 3개의 CAB, 1개 정찰 중대, 1개 포병 대대, 1개 여단 공병 대대(BEB), 1개 여단 지원 대대(BSB)로 구성된다.

미국 해병대 대대는 대대 본부와 본부 및 지원 중대(포대)로 구성된다. 대대는 일반적으로 2~5개의 유기적인 중대(포병의 경우 포대)를 포함하며, 총 500~1,200명의 해병으로 구성된다.

미국 해병대에서 보병 또는 "소총" 대대는 일반적으로 본부 및 지원 중대, 3개의 소총 또는 "선봉" 중대, 그리고 무기 중대로 구성된다. 해병대 보병 연대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설명된 것처럼 대대와 중대 지정을 사용하며, D, H, M 중대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각 대대에 제4 소총 중대를 증강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예비로 보유된다.

미국 해병대 보병 대대는 해병 원정 부대(MEU)의 지상 전투 요소(GCE)로서 대대 상륙 부대(BLT)로 임무 조직된다. 표준 미국 해병대 보병 대대는 일반적으로 포병 포대와 전차, 상륙돌격장갑차, 경장갑 정찰차, 정찰 해병 및 전투 공병 각각 1개 소대로 지원된다. 종종 항공 함포 사격 연락 중대(ANGLICO) 장교가 함포 사격 지원을 조정하기 위해 대대에 배치된다.

미국 해군에는 건설 대대와 해군 화물 취급 대대가 있다. 이들은 육군이나 해병대 대대와 거의 유사하게 편성되어 있으며, 참모와 지휘관의 계급과 경험도 비슷하다.

미군의 보병대대는 보병중대 3개를 지원하는 중화기 중대를 보유하고 있어 동시대 일본군 등에 비해 대대 단위로 풍부한 지원 화기를 보유하고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편제는 다음과 같다.

보병대대



보병중대는 소총 3개 소대와 화기소대 1개로 편성되었고, 화기소대는 M2 60mm 박격포 분대 3개와 기관총 분대 2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병 3개 소대를 3문의 M2 60mm 박격포가 지원하는 체계였다. M1 81mm 박격포는 중화기중대의 박격포 소대에 6문이 배치되어 있었다.

4. 9. 일본 자위대

대대기, 해당 기는 주로 2등육좌가 지휘하는 대대·대 편성의 부대에 수여되고 있기 때문에 2개의 선이 들어가 있다. 사진은 대전차대 기


육상자위대에서는 사단에 특과대대(특과연대 예하)·고사특과대대·정찰전투대대·시설대대·통신대대·제1정비대대 및 제2정비대대(후방지원연대 예하)를, 여단에 정찰전투대대 및 2등육좌를 대장으로 하는 대대 규모의 고사특과대·전차대·시설대·통신대를 두고 있다. 그 외에, 수륙기동단에 특과대대·전투상륙대대·후방지원대대, 제1공정단에 보통과대대·특과대대, 방면직할부대 예하의 대대(제1특과단제1특과군 예하의 특과대대, 방면시스템통신군 예하에 기지시스템통신대대·방면후방지원대 예하(일부)에 전반지원대대 및 직접지원대대·방면혼성단 예하에 교육대대) 등이 배치되어 있다.

보통과(보병) 대대는 제1공정단을 제외하고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그 때문에 연대 아래에 직접 중대가 배치된다). 그 대신 상황에 따라 보통과 중대와 복수 병과로 구성되는 연합부대인 중대전투군을 편성하는 경우가 있으며, 규모는 여러 외국의 대대에 상당한다. 그러한 중대전투군의 지휘를 맡기기 위해, 육자의 중대장에게는, 원래라면 대대장급인 3좌가 임명되는 일도 적지 않다.

1952년의 국회 답변에 따르면, 당시의 보통과연대의 대대의 정원은 805명이고, 특과연대의 대대의 정원은 609명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조직 편성은 다음과 같다.

  • 대대장: 2등육좌 또는 이에 준하는 3좌. 상관의 지휘 감독을 받고, 대대본부의 사무를 관장하며, 대대의 대무를 총괄한다. 주둔지사령관을 겸임하는 대대장은 재임 중에 1등육좌(삼)로 승진하거나 당해 계급의 자가 취임하는 경우도 있다[1]
  • 대대본부
  • 부대대장(3등육좌): 대대의 대무에 대해 대대장을 돕고, 대대본부 내부의 사무를 정리하고, 대대장에게 사고가 있을 때, 또는 대대장이 결원되었을 때는, 대대장의 직무를 수행한다. 근년의 간부직 충족률 저하에 따라 사단 등 직할 대대를 제외하고는 필치가 아니고, 3계 주임 또는 예하 중대의 선임 중대장이 겸임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 제1계 주임(인사·서무): 3좌 또는 1위 보직
  • 제2계 주임(정보·보전): 1위 보직
  • 제3계 주임(운용·훈련): 3좌 보직(단 부대대장을 겸임 또는 제2계 주임과 제3계 주임이 겸임되는 경우도 있다)
  • 제4계 주임(병참·후방): 1위 보직
  • 막료
  • 중대 또는 이에 준하는 대(2개 이상) 또는 직할 소대 또는 반[2]

4. 10. 구 일본 제국 육군

1890년 11월 1일 제정된 「육군정원령」(明治23年11月 1일 칙령 제267호)에 따르면, 당시 보병대대의 평시 정원은 다음과 같았다.[1] 1개 대대는 4개 중대로 구성되었다.[1] 여기서 「군조」는 1등군조(판임관 3등) 또는 2등군조(판임관 4등)를 의미한다.[1] 총공장은 1등군조 상당관이며, 총공하장은 2등군조 상당관이다.[1]

구분구성
대대본부[1](인원 16명, 승마 3필)
중대[1](인원 136명(내, 장교 5명, 하사 10명, 병 120명, 각 부 1명))



따라서 대대 전체는 장교 22명, 하사 47명, 병 480명, 각 부 11명, 총계 560명의 정원이었다.[1]

후년, 편성은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 대대장
  • 대대본부: 약 120명
  • 중대(4개): 194명
  • 기관총중대: 약 140명, HMG×8 또는 약 80명으로 기관총 4정
  • 보병포소대: 56명(대대에 보병포 소대를 두지 않고, 연대에 보병포 중대를 두는 경우도 있었다)

참조

[1] 웹사이트 Military Units: Army https://www.defense.[...]
[2] 서적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1933-01-01
[3] 서적 Encyclopedia of Military Science Sage Publications 2013-01-01
[4] 서적 APP-6C Joint Military Symbology http://armawiki.zumo[...] NATO 2011-05-01
[5] 서적 APP-6D NATO Joint Military Symbology NATO Standardization Office 2017-10-01
[6] 간행물 APP-6D B-31
[7] 간행물 APP-6D B-4
[8] 간행물 APP-6D B-14
[9] 간행물 APP-6D B-5
[10] 간행물 APP-6D B-6
[11] 간행물 APP-6D B-7
[12] 간행물 APP-6D B-10
[13] 간행물 APP-6D B-13
[14] 간행물 APP-6D B-8
[15] 간행물 APP-6D B-15
[16] 간행물 APP-6D B-17
[17] 간행물 APP-6D B-19
[18] 간행물 APP-6D B-20
[19] 간행물 APP-6D B-23
[20] 간행물 APP-6D B-24
[21] 간행물 APP-6D B-25
[22] 간행물 APP-6D B-26
[23] 간행물 APP-6D B-11
[24] 간행물 APP-6D B-30
[25] 웹사이트 Structure of Army https://www.indianar[...] indianarmy.nic.in 2020-01-22
[26] 웹사이트 FM 100-2-3 http://cgsc.contentd[...] United States Army 1991-06-01
[27] 서적 The Soviet Army: Troops, Organization and Equipment US Army
[28] 서적 The Soviet Army: Troops, Organization and Equipment US Army
[29] 서적 The Soviet Army: Troops, Organization and Equipment US Army
[30] 서적 The Soviet Army: Troops, Organization and Equipment US Army
[31] 서적 The Soviet Army: Troops, Organization and Equipment US Army
[32] 웹사이트 Military Units: Army https://www.defense.[...] 2024-06-23
[33] 웹사이트 Battalion Military Unit Structure & Organization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6-23
[34] 웹사이트 Military Units: How Each Service Is Organized https://www.dodlive.[...] DoD News, Defense Media Activity 2019-02-01
[35] 웹사이트 Battalion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19-02-01
[36] 웹사이트 Battalion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19-02-01
[37] 뉴스 မြန်မာစစ်တပ်ကို ခွဲခြမ်းစိတ်ဖြာခြင်း အပိုင်း (၁) https://burma.irrawa[...] 2023-06-22
[38] 서적 Building the Tatmadaw ISEAS Publishing 2009-12-31
[39] 웹사이트 "ကျားတော့ကျား၊ ဒါပေမဲ့ စက္ကူကျား"(ဆောင်းပါး) (အပိုင်း၁-ဖွဲ့စည်းရေး) https://www.facebook[...] June 2024
[40] 동영상 https://www.youtube.[...] 2024-06-23
[41] 웹사이트 မြန်မာစစ်တပ် ဘာကြောင့် အားနည်းသွားသလဲ https://www.bbc.com/[...] 2024-01-02
[42] 웹사이트 မြန်မာစစ်တပ် ဘာကြောင့် အားနည်းသွားသလဲ https://www.bbc.com/[...] 2024-01-02
[43] 뉴스 စစ်ကောင်စီ၏ စစ်အင်အား အကျပ်အတည်း ဆိုက်နေပြီ https://burma.irrawa[...] 2022-09-14
[44] 뉴스 မြန်မာစစ်တပ်ကို ခွဲခြမ်းစိတ်ဖြာခြင်း အပိုင်း (၁) https://burma.irrawa[...] 2023-06-26
[45] 뉴스 မြန်မာစစ်တပ်ကို ခွဲခြမ်းစိတ်ဖြာခြင်း အပိုင်း (၂) https://burma.irrawa[...] 2023-06-26
[46] 일반
[47]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