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요시다 내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4차 요시다 내각은 1952년 10월 30일부터 1953년 5월 21일까지 존속한 일본의 내각이다. 요시다 시게루가 내각총리대신을 맡았으며, 오가타 다케토라가 부총리를 겸임했다. 이누카이 다케루, 오카자키 가쓰오, 무카이 다다하루 등이 국무대신을 역임했다. 1953년 2월, 요시다 시게루 총리의 "바카야로" 발언으로 중의원이 해산되었고, 이로 인해 자유당이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하여 요시다 시게루는 총리직에서 물러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3년 일본 - 바카야로 해산
바카야로 해산은 1953년 요시다 시게루 총리가 "바카야로" 발언을 하여 촉발된 중의원 해산으로, 이는 당시 요시다 내각의 불안정과 자유당 내부 갈등을 심화시켜 불신임안 가결로 이어진 전후 일본 정치의 혼란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 1953년 일본 - 제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제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1953년 4월 24일 치러졌으며, 자유당이 46석을 얻어 제1당을 유지했으나 과반수에는 미치지 못했고, 투표율은 63.18%를 기록했다. - 1952년 일본 - 제2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52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사회당 분열 속에서 자유당이 압승을 거두며 장기 집권을 이끌었으나, 공산당 몰락, 야당 지지율 하락, 높은 기권율, 무소속 당선 등 정치적 혼란과 특징을 남겼다. - 1952년 일본 - 연합군 점령하 일본
연합군 점령하 일본은 1945년 일본 항복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한 연합군이 일본을 점령하여, 전쟁 능력 제거와 민주주의 국가 건설을 목표로 비무장화, 자유화, 민주화, 경제 개혁 등을 추진했으며,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으로 점령이 종료되었다. - 요시다 시게루 - 바카야로 해산
바카야로 해산은 1953년 요시다 시게루 총리가 "바카야로" 발언을 하여 촉발된 중의원 해산으로, 이는 당시 요시다 내각의 불안정과 자유당 내부 갈등을 심화시켜 불신임안 가결로 이어진 전후 일본 정치의 혼란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 요시다 시게루 - 아소 다로
아소 다로는 기업인이자 정치인으로, 아소 시멘트 사장을 역임하고 1979년 중의원 의원으로 당선되어 여러 요직을 거쳐 제92대 내각총리대신을 지냈으며 현재 자유민주당 부총재 및 최고 고문이다.
제4차 요시다 내각 | |
---|---|
제4차 요시다 내각 | |
내각 명칭 | 제4차 요시다 내각 |
일본어 명칭 | 第4次吉田内閣 |
대수 | 50대 |
국가 원수 | 쇼와 |
정부 수반 직함 | 내각총리대신 |
정부 수반 | 요시다 시게루 |
정부 수반 이력 | 중의원 의원・자유당 총재 |
부총리 | 오가타 다케토라 |
성립일 | 1952년 10월 30일 |
종료일 | 1953년 5월 21일 |
이전 내각 | 제3차 요시다 내각 (제3차 개조) |
다음 내각 | 제5차 요시다 내각 |
![]() | |
정치 | |
여당 | 자유당 녹풍회 |
야당 | 개진당 일본 우익사회당 일본 좌익사회당 일본 공산당 노농당 |
의회 | 중의원: 다수당 참의원: 연립 다수당 |
이전 선거 | 1952년 총선거 1953년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해산일 | 1953년 3월 14일 (바카야로 해산) |
의회 | |
의회 회기 | 제15대-16대 국회 |
기타 | |
각료 명단 | 내각 각료 명단 |
2. 재직 기간
제4차 요시다 내각은 1952년(쇼와 27년) 10월 30일부터 1953년(쇼와 28년) 5월 21일까지 존속하였다.[1] 재직 일수는 204일이다.
제4차 요시다 내각은 1952년 10월 30일에 임명되었다.
3. 내각
직책 대수 성명 사진 출신 비고 내각총리대신 50 요시다 시게루 80x80픽셀 중의원 자유당 자유당 총재 국무대신 오가타 다케토라 93x93픽셀 중의원 자유당 부총리 1952년 11월 28일 취임 법무대신 2 이누카이 다케루 84x84픽셀 중의원 자유당 외무대신 72 오카자키 가쓰오 82x82픽셀 중의원 자유당 대장대신 56 무카이 다다하루 80x80픽셀 민간 문부대신 69 오카노 기요히데 86x86픽셀 중의원 자유당 후생대신 22 야마가타 가쓰미 86x86픽셀 참의원 자유당 농림대신 15 오가사와라 산쿠로 91x91픽셀 중의원 자유당 16 히로카와 고젠 79x79픽셀 1952년 12월 5일 ~ 1953년 3월 3일 17 다고 가즈타미 86x86픽셀 1953년 3월 3일 ~ 통상산업대신 6 이케다 하야토 84x84픽셀 중의원 자유당 7 오가사와라 산쿠로 91x91픽셀 1952년 12월 5일 ~ 운수대신 14 이시이 미쓰지로 71x71픽셀 중의원 자유당 우정대신 4 다카세 소타로 76x76픽셀 참의원 록풍회 노동대신 7 도쓰카 구이치로 80x80픽셀 중의원 자유당 건설대신 7 사토 에이사쿠 85x85픽셀 8 도쓰카 구이치로 80x80픽셀 1953년 2월 10일 ~ 행정관리청장관 10 혼다 이치로 60x60픽셀 중의원 쇼와회 자치청장관 2 보안청장관 1 기무라 도쿠타로 80x80픽셀 중의원 자유당 경제심의청장관 3 이케다 하야토 84x84픽셀 4 오가사와라 산쿠로 91x91픽셀 1952년 11월 29일 ~ 5 미즈타 미키오 87x87픽셀 1953년 3월 3일 ~ 홋카이도 개발청장관 4 사토 에이사쿠 85x85픽셀 5 도쓰카 구이치로 80x80픽셀 1953년 2월 10일 ~ 국무대신 오노기 히데지로 91x91픽셀 참의원 자유당 하야시야 가메지로 80x80픽셀
3. 1. 국무대신
제4차 요시다 내각의 국무대신은 다음과 같다.
직책 | 대수 | 성명 | 사진 | 출신 | 비고 |
---|---|---|---|---|---|
내각총리대신 | 50 | 요시다 시게루 | 80x80픽셀 | 중의원 자유당 | 자유당 총재 |
국무대신 | 오가타 다케토라 | 93x93픽셀 | 중의원 자유당 | ||
부총리 | 1952년 11월 28일 취임 | ||||
법무대신 | 2 | 이누카이 다케루 | 84x84픽셀 | 중의원 자유당 | |
외무대신 | 72 | 오카자키 가쓰오 | 82x82픽셀 | 중의원 자유당 | |
대장대신 | 56 | 무카이 다다하루 | 80x80픽셀 | 민간 | |
문부대신 | 69 | 오카노 기요히데 | 86x86픽셀 | 중의원 자유당 | |
후생대신 | 22 | 야마가타 가쓰미 | 86x86픽셀 | 참의원 자유당 | |
농림대신 | 15 | 오가사와라 산쿠로 | 91x91픽셀 | 중의원 자유당 | |
16 | 히로카와 고젠 | 79x79픽셀 | 1952년 12월 5일 ~ 1953년 3월 3일 | ||
17 | 다고 가즈타미 | 86x86픽셀 | 1953년 3월 3일 ~ | ||
통상산업대신 | 6 | 이케다 하야토 | 84x84픽셀 | 중의원 자유당 | |
7 | 오가사와라 산쿠로 | 91x91픽셀 | 1952년 12월 5일 ~ | ||
운수대신 | 14 | 이시이 미쓰지로 | 71x71픽셀 | 중의원 자유당 | |
우정대신 | 4 | 다카세 소타로 | 76x76픽셀 | 참의원 록풍회 | |
노동대신 | 7 | 도쓰카 구이치로 | 80x80픽셀 | 중의원 자유당 | |
건설대신 | 7 | 사토 에이사쿠 | 85x85픽셀 | ||
8 | 도쓰카 구이치로 | 80x80픽셀 | 1953년 2월 10일 ~ | ||
행정관리청장관 | 10 | 혼다 이치로 | 60x60픽셀 | 중의원 쇼와회 | |
자치청장관 | 2 | ||||
보안청장관 | 1 | 기무라 도쿠타로 | 80x80픽셀 | 중의원 자유당 | |
경제심의청장관 | 3 | 이케다 하야토 | 84x84픽셀 | ||
4 | 오가사와라 산쿠로 | 91x91픽셀 | 1952년 11월 29일 ~ | ||
5 | 미즈타 미키오 | 87x87픽셀 | 1953년 3월 3일 ~ | ||
홋카이도 개발청장관 | 4 | 사토 에이사쿠 | 85x85픽셀 | ||
5 | 도쓰카 구이치로 | 80x80픽셀 | 1953년 2월 10일 ~ | ||
국무대신 | 오노기 히데지로 | 91x91픽셀 | 참의원 자유당 | ||
하야시야 가메지로 | 80x80픽셀 |
3. 2. 내각관방장관, 부장관
오가타 다케토라가 국무대신 겸임으로 내각관방장관을 맡았으며, 1953년 3월 24일부터는 후쿠나가 겐지가 내각관방장관을 맡았다. 법제국 장관은 사토 다쓰오였다. 내각관방부장관은 간노 요시마루( ~ 1953년 3월 23일), 다나카 후와조(1953년 3월 28일 ~ ), 에구치 미토루였다.3. 3. 정무 차관
1952년(쇼와 27년) 11월 10일에 임명된 정무 차관은 다음과 같다.- 법무 정무 차관 - 오시타니 도미조
- 외무 정무 차관 - 나카무라 고하치
- 대장 정무 차관 - 아이치 기이치
- 문부 정무 차관 - 히로세 요헤에
- 후생 정무 차관 - 오치 시게루( ~ 1953년 3월 3일) / 간케 기로쿠(1953년 3월 11일 ~ )
- 농림 정무 차관 - 마쓰우라 도스케( ~ 1953년 3월 3일) / 시노다 고사쿠(1953년 3월 5일 ~ )
- 통상 산업 정무 차관 - 고다이라 히사오
- 운수 정무 차관 - 기무라 고헤이
- 우정 정무 차관 - 히라이 기이치
- 노동 정무 차관 - 후쿠다 하지메
- 건설 정무 차관 - 미이케 마코토( ~ 1953년 5월 14일)
- 행정 관리 정무 차관 - 나카가와 고헤이
- 자치 정무 차관 - 스즈키 젠코
- 보안 정무 차관 - 오카다 고로
- 경제 심의 정무 차관 - 오가와 헤이지
- 홋카이도 개발 정무 차관 - 아오야마 쇼이치
4. 바카야로 해산
1953년 2월 28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요시다 시게루 총리가 일본사회당 우파 의원 니시무라 에이이치의 질문에 대해 "바카야로(바보 녀석)"라고 발언한 것이 발단이 되었다. 이 발언은 야당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내각 불신임 결의안이 제출되었다. 자유당 내에서도 요시다 시게루에 대한 반대파의 움직임이 있었고, 결국 불신임안이 가결되었다. 이에 요시다 시게루는 중의원을 해산하고 총선거를 실시했다.
총선거 결과, 자유당은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했고, 요시다 시게루는 총리직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오늘날 바카야로 해산으로 알려진 요시다의 발언이 있었던 것이 바로 이 내각 시절이다. 제2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결과 발족한 내각이었지만, 이 발언으로 불과 6개월 남짓 만에 중의원 해산되었다. "바카야로 해산"은 일본 정치사에서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당시 일본 정치의 불안정성과 요시다 시게루 총리의 권위주의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참조
[1]
웹사이트
Fourth Yoshida Cabinet
http://www.kantei.go[...]
[2]
text
[3]
뉴스
【第4次安倍政権】新内閣が発足 安倍晋三首相、第98代首相に選出
https://www.sankei.c[...]
2017-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