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사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사석은 조선 숙종 때의 문신으로, 1632년에 태어나 1693년에 사망했다. 1662년 대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갔으며, 숙종 재위 기간 동안 승지, 황해도·강원도·충청도 관찰사, 이조참판, 예조·호조·병조판서 등을 역임하며 좌의정까지 올랐다. 당쟁에 휘말려 파직된 후 유배되었으며, 갑술환국 이후 복관되었다. 여러 드라마에서 등장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2. 생애

1632년 조계원의 아들로 태어나, 1660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1662년 대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다. 검열 재직 중 현종의 명을 어기고 파직되었으나 곧 복직되어 1672년 정언이 되었다.[1][3][4][5]

이후 숙종 때 승지, 황해도, 강원도, 경기도 관찰사와 이조참판, 예조판서, 호조판서, 대사헌, 지의금부사, 한성부판윤, 우참찬, 이조판서, 좌참찬, 판의금부사, 병조판서 등 요직을 두루 거쳐 1687년 우의정에 올랐다.[6][7][8][9] 1688년 좌의정에 올랐으나,[13] 김만중이 조사석과 동평군 이항, 후궁 장씨의 결탁설을 유포하여 숙종의 노여움을 사기도 했다.[10][11][12] 남구만여성제의 등용을 건의하기도 했다.[14]

1690년 왕세자 책봉 하례에 불참하여 숙종의 신임을 잃고, 경신대출척 당시 김석주를 도와 남인을 무고하게 살육했다는 탄핵으로 파직되었다.[15] 고성 유배 중 풍질로 사망했으나, 1694년 갑술환국으로 복권되었다.[1][16]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진출 (1632년 ~ 1672년)

1632년 형조판서를 지낸 조계원과 신씨 사이에서 5남 중 넷째로 태어났다.[1] 1660년(현종 원년)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2년 뒤인 1662년(현종 3년)에 대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다. 검열로 있을 당시 현종이 이숙(李䎘)·박증휘(朴增煇) 등을 유배보내면서 이 일을 기록하지 말도록 했는데 이를 거부해 파직되었다.[3] 그러나 곧 파직이 거두어졌고,[4] 1672년 정언이 되었다.[5]

2. 2. 중앙 요직 역임과 당쟁 (1672년 ~ 1690년)

1672년 정언이 되었다.[5] 이후 숙종 때 승지, 황해도관찰사, 강원도관찰사, 충청도수군절도사, 경기도관찰사, 수어사, 이조참판을 거쳐 1680년 예조판서,[6] 호조판서, 이듬해에 대사헌,[7] 지의금부사, 한성부판윤, 우참찬, 이조판서, 좌참찬을 거쳐 1684년 판의금부사,[8] 병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1687년 우의정에 올랐다.[9] 같은 해 김만중이 조사석이 동평군 이항과 가까이 지내며 후궁 장씨와 결탁하여 출세하였다는 말이 항간에 떠돈다고 전했다가 숙종의 노여움을 사 유배되기도 했다.[10][11][12] 이듬해인 1688년 좌의정에 올랐고,[13] 당시 유배되어 있던 남구만여성제의 서용을 청하기도 했다.[14] 1690년 왕세자 책봉일에 하례에 참석하지 않아 숙종의 신임을 완전히 잃게 되었으며, 끝내 이것이 빌미가 되어 경신대출척 당시 김석주를 도와 무고한 남인을 살육하는데 참여했다는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으며[15]

2. 3. 몰락과 죽음 (1690년 ~ 1693년)

1690년 왕세자 책봉일에 하례에 참석하지 않아 숙종의 신임을 완전히 잃게 되었다. 결국, 이것이 원인이 되어 경신대출척 당시 김석주를 도와 무고한 남인을 살육하는데 참여했다는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으며,[15] 고성에 유배되었다. 유배지에서 풍질에 걸려 12월 24일 사망했다.[1] 1694년 갑술환국으로 복권되었다.[16]

2. 4. 사후 복권과 평가

1694년 갑술환국으로 복권되었다.[16]

3. 조사석이 등장한 작품

3. 1. 드라마

趙師錫중국어을 연기한 배우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서적 《국역 국조인물고》 속고5 조사석의 묘갈명(墓碣銘)
[2]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숙종실록 4권, 숙종 1년 6월 4일 신유 1번째기사 中 "서인으로 떴다 잠겼다 하면서 용납되기를 구한 자는 조사석(趙師錫)·이단석(李端錫)·이하(李夏) 등이었다."
[3]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현개 16권, 8년(1667 정미 / 청 강희(康熙) 6년) 1월 30일(을사) 2번째기사 1667-01-30
[4]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현개 17권, 8년(1667 정미 / 청 강희(康熙) 6년) 3월 10일(갑신) 4번째기사 1667-03-10
[5]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현종 20권, 13년(1672 임자 / 청 강희(康熙) 11년) 4월 22일(정유) 2번째기사 1672-04-22
[6]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숙종 9권, 6년(1680 경신 / 청 강희(康熙) 19년) 7월 18일(을사) 1번째기사 1680-07-18
[7]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숙종 12권, 7년(1681 신유 / 청 강희(康熙) 20년) 8월 19일(기해) 1번째기사 1681-08-19
[8]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숙종 15권, 10년(1684 갑자 / 청 강희(康熙) 23년) 12월 11일(임인) 2번째기사 1684-12-11
[9]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숙종 18권, 13년(1687 정묘 / 청 강희(康熙) 26년) 5월 1일(무인) 1번째기사 1687-05-01
[10]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숙보 18권, 13년(1687 정묘 / 청 강희(康熙) 26년) 9월 10일(을유) 1번째기사 1687-09-10
[11] 문서 김만중은 이 일을 사위 [[이이명]]의 형 [[이사명]]에게 들었는데 이것이 [[기사환국]] 때 김만중을 비롯한 서인이 공격당하는 빌미가 되었다.
[12] 서적 소신에 목숨을 건 조선의 아웃사이더 역사의 아침 2007
[13]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숙종 19권, 14년(1688 무진 / 청 강희(康熙) 27년) 1월 20일(갑오) 1번째기사 1688-01-20
[14]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숙종 19권, 14년(1688 무진 / 청 강희(康熙) 27년) 10월 11일(경술) 2번째기사 1688-10-11
[15]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숙종 23권, 17년(1691 신미 / 청 강희(康熙) 30년) 윤7월 17일(경오) 2번째기사 1691-07-17
[16]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숙종 26권, 20년(1694 갑술 / 청 강희(康熙) 33년) 4월 2일(기사) 7번째기사 1694-04-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