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690년은 청나라 강희제 29년, 일본 겐로쿠 3년, 조선 숙종 16년에 해당하며, 주요 사건으로 조선의 장희빈 중전 책봉, 영국 동인도 회사의 콜카타 지역 획득, 보인 강 전투 발발 등이 있었다. 유럽에서는 윌리엄 3세가 제임스 2세를 보인 강 전투에서 격파하고 프랑스로 망명하게 했으며, 런던에서 바클레이스 은행이 설립되었다. 아시아에서는 미토 도쿠가와 미쓰쿠니가 미토 번 번주 자리를 양위하고, 주자학이 막부의 관학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690년 | |
---|---|
달력 | |
천간 | 경오 |
지지 | 말 |
간지 | 경오년 |
주요 사건 | |
년도 | 1690 |
날짜 | 1690년 |
문화 | |
탄생 | 존 스몰먼 (1690년 1월 11일) 영국 의회 의원 니콜라스 베르누이 (1690년 1월 27일) 스위스 수학자 존 티펫 (1690년 1월 27일) 영국 작가 토마스 블랙웰 (1690년 2월 1일) 스코틀랜드 고전학자 벤자민 크로스비 (1690년 2월 28일) 영국 상인 카를로 디 리누치 (1690년 3월 3일) 이탈리아 로마 카톨릭 주교 로버트 팔러 (1690년 3월 20일) 영국 육군 장교 크리스티안 헤네켄 (1690년 4월 7일) 독일 성직자이자 작가 존 헨리 알버티 (1690년 4월 16일) 독일 신학자 프레데리크 호프만 (1690년 4월 27일) 폴란드 왕립 외과 의사 피터 티에리 (1690년 5월 15일) 독일 성직자 요한 얀트 (1690년 5월 20일) 독일 신학자 카를로 루치오 (1690년 6월 6일) 이탈리아 로마 카톨릭 주교 조셉 스미스 (1690년 6월 20일) 영국 사업가 마리아 로비라 (1690년 7월 4일) 이탈리아 수녀 다니엘 스템 (1690년 7월 16일) 독일 오르가니스트 요한 리시 (1690년 7월 18일) 스위스 법학자 존 라이트 (1690년 8월 10일) 영국 의회 의원 클레멘스 아우구스트 (1690년 8월 17일) 쾰른 대주교 프란츠 루돌프 라우터 (1690년 8월 28일) 독일 목사 윌리엄 워드 (1690년 9월 13일) 영국 작가이자 자선사업가 마리아 란도 (1690년 11월 13일) 이탈리아 수녀 존 베넷 (1690년 12월 5일) 영국 사업가이자 정치인 프란체스코 카포라레 (1690년 12월 21일) 이탈리아 작곡가 제임스 도슨 (1690년 12월 23일) 영국 장교이자 반역자 카를로 포스코 (1690년 12월 27일) 이탈리아 시인 클라우디오 카시미로 (1690년) 이탈리아 작가 장 바티스트 루소 (1690년) 프랑스 시인 |
사망 | 로렌조 베네치아 (1690년 1월 15일) 이탈리아 화가 오라치오 그라시 (1690년 1월 25일) 이탈리아 수학자 장 마르시아 (1690년 2월 13일) 프랑스 신학자 조셉 갈렌 (1690년 2월 16일) 프랑스 신학자이자 작가 지오바니 비스타 (1690년 2월 17일) 이탈리아 건축가 윌리엄 마세이 (1690년 2월 19일) 영국 성직자 지오바니 메릴 (1690년 2월 23일) 이탈리아 화가 페르디난드 토마소 (1690년 3월 1일) 이탈리아 로마 카톨릭 주교 요한 폰 고트젠 (1690년 3월 11일) 프로이센 장군 마리 코크 (1690년 4월 27일) 프랑스 수녀 로베르트 드 시프레 (1690년 5월 1일) 프랑스 정원 디자이너 마리 로렌 드 롬 (1690년 5월 4일) 프랑스 귀족 여성 아레트 브라이클 (1690년 6월 20일) 네덜란드 예술가 요한 폰 노르만 (1690년 7월 26일) 스웨덴 장군 앤디 보렌 (1690년 8월 2일) 영국 작가 로버트 캠벨 (1690년 8월 13일) 스코틀랜드 법관 로베르트 베르거 (1690년 8월 18일) 오스트리아 조각가 토마스 파워 (1690년 8월 31일) 아일랜드 로마 카톨릭 주교 장 드 발렌시아 (1690년 9월 21일) 프랑스 수학자 마르티나 모란 (1690년 10월 25일) 스페인 수녀 크리스토프 노이만 (1690년 11월 15일) 독일 성직자 니콜라스 드 뷰시 (1690년 11월 21일) 프랑스 예술가 이삭 톰킨스 (1690년 12월 1일) 영국 장로교 목사 프란시스 앤트럼 (1690년 12월 11일) 영국 성직자 가스파르 안데레아 (1690년 12월 21일) 스페인 카톨릭 성직자 세실리아 린치 (1690년) 아일랜드 귀족 여성 알렉산드르 페트로프 (1690년) 러시아 정치인 |
2. 연호
3. 사건
- 조선 숙종 16년에 장희빈이 중전의 자리에 올랐고, 조선 숙종은 아들 윤을 왕세자로 책봉하였다.[1]
- 영국 동인도 회사가 인도 동부 콜카타(캘커타) 지역을 획득하였다.[1]
- 9월 25일 -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퍼블릭 어커런시스''의 유일한 호가 발행되었으나 식민지 당국에 의해 압수되었다.
- 10월 6일
- 윌리엄 피프스 경이 이끄는 매사추세츠 청교도들이 퀘벡 시를 포위 공격했지만, 6일 만에 실패했다.
- 카나본(웨일스)에서 규모 5.2의 지진이 발생하여 런던과 더블린까지 진동이 느껴졌다.[8][9]
- 12월 4일 - 동알프스에서 파괴적인 지진이 발생하여 24명의 사상자와 카린티아주 빌라흐 지역의 피해를 야기하였다.[13]
- 12월 29일 - 이탈리아 교황령 안코나에서 지진이 발생하여 10명이 사망한다.[18]
- 세르비아 정교회 총대주교 아르세니예 3세 차르노예비치가 코소보에서 일어난 오스만 제국의 잔혹 행위 이후 두 차례의 대세르비아 이주 중 첫 번째 이주를 합스부르크 제국으로 이끌었다.
- 영국과 웨일스에서 폐지된 지 1년 후 스코틀랜드 왕국에서 화로세가 폐지되었다.
- 프랑스의 물리학자 드니 파팽은 라이프치히에 머무르는 동안 자신의 '소화기'에서 대기압의 기계적 힘을 관찰하고 물을 퍼내는 데 사용되는 왕복식 증기 기관의 작동 모델을 최초로 제작했지만 효율적이지는 않았다.
- 네덜란드의 크리스티안 하위헌스가 그의 저서 『빛에 관한 논문』을 출판하였다. 이 책은 이론 및 수학 물리학의 선구적인 작품으로 여겨진다.
-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가 목성 대기 내에서 미분 회전을 관찰하였다.
- 캐나다(뉴프랑스) 퀘벡주 롱괴유에 롱괴유 요새라는 석조 요새가 완공되었다. 이는 캐나다에서 유럽의 성과 가장 유사한, 귀족을 위한 요새화된 주거지로 간주될 수 있는 유일한 건물 중 하나이다.
-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시에 있는 방어 시설인 바뱅 댐의 건설이 완료되었다.[19]
- 앙투안 퓌레티에르가 편찬한 프랑스 사전이자 백과사전인 『Dictionnaire universel, contenant generalement tous les mots françois』가 사후에 출판되었다.
- 뷔제 섬 서쪽 부분이 세인트 피터 대홍수로 사라진 가능성이 있는 해.
3. 1. 유럽
- 7월 1일 - 보인 강 전투 발발.
- 7월 10일 (구력 6월 30일) – 비치 헤드 해전: 영국-네덜란드 연합 함대가 프랑스에게 패배하여, 영국에 대한 재코바이트 침공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 7월 11일 (구력 7월 1일) – 아일랜드 보인 강 전투: 잉글랜드의 윌리엄 3세(오라녜의 빌헬름)가 폐위된 제임스 2세를 패배시키고, 제임스 2세는 프랑스로 망명한다.[7] 아일랜드의 반란은 오렌지 군대가 완전한 통제권을 확보할 때까지 1년 더 계속된다.
- 7월 26일 – 프랑스 상륙대가 영국 데번주 테그머스를 습격하여 불태웠다. 그러나 아일랜드에서 제임스 2세의 지위가 상실됨에 따라 본격적인 침공 계획은 곧 취소되었고, 테그머스 습격이 영국에 대한 마지막 프랑스 공격이 된다.
- 1월 7일 – 런던 시의 세인트 세펄크 교회에서 최초로 완전한 풀 펠(full peal)이 울려 퍼져, 변화식 종치기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 1월 27일 – 잉글랜드에서 의회(Convention Parliament)가 해산되었다.
- 2월 6일 – 윌리엄 3세 국왕이 512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하원(House of Commons)을 위한 1690년 영국 총선을 실시하였다.
- 3월 20일 – 휘그당 243명, 토리당 241명, 무소속 28명으로 거의 동수로 나뉜 제2차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 의회가 런던에서 소집되었다.
- 4월 25일 – 스코틀랜드 의회가 장로교 스코틀랜드 교회에서 주교직(episcopy)을 폐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앵글리칸계 스코틀랜드 성공회는 주교직을 유지하며 별도의 교파로 존속했다.
- 5월 20일 – 잉글랜드에서 폐위된 제임스 2세의 추종자들을 사면하는 은혜 법령(Act of Grace)을 통과시켰다.
- 6월 14일 – 잉글랜드의 윌리엄 3세(오라녜의 빌헬름)가 제임스 2세에 맞서기 위해 아일랜드에 상륙했다.
- 11월 9일 – 잉글랜드 사우스 밈스 근처에서 여러 도적들이 미들랜즈에서 런던으로 가는 세금 수송대를 습격하여 15000GBP를 빼앗았다.[12]
- 11월 17일 – 21세기에도 다국적 은행이자 대출 기관으로 활동하는 바클레이스 은행이 존 프리임과 토마스 굴드에 의해 프리임 & 굴드라는 이름으로 런던에서 설립되었다. 이 은행은 1736년 제임스 바클레이가 파트너가 되면서 이름이 바뀌었다.
- 12월 10일 – 극작가 헨리 네빌 페인이 제임스 2세를 왕위에 복귀시키려는 몽고메리 음모에 가담한 혐의로 고문을 받았다. 이는 영국에서 정치범이 법적으로 고문을 받은 마지막 사례이다.[14]
- 12월 13일 – 영국의 초대 왕실 천문학자 존 플램스티드가 천왕성을 처음으로 관측하고 기록했지만, 잘못하여 34 황소자리 별로 분류했다.[15]
- 영국과 웨일스에서 폐지된 지 1년 후 스코틀랜드 왕국에서 화로세(Hearth Tax)가 폐지되었다.
- 프랑스의 물리학자 드니 파팽은 라이프치히에 머무르는 동안 자신의 '소화기'에서 대기압의 기계적 힘을 관찰하고 물을 퍼내는 데 사용되는 왕복식 증기 기관의 작동 모델을 최초로 제작했지만 효율적이지는 않았다.
- 네덜란드의 크리스티안 하위헌스가 그의 저서 『빛에 관한 논문』을 출판했다. 이 책은 이론 및 수학 물리학의 선구적인 작품으로 여겨진다.
- 2월~3월 - 잉글랜드 왕국에서 1690 English general election|1690년 잉글랜드 총선영어 실시.
- 영국이 포클랜드 제도를 명명.
3. 2. 아시아
- 조선 숙종 16년[19]
- * 장희빈이 중전의 자리에 오른다.[19]
- * 조선 숙종이 아들 윤을 왕세자로 책봉한다.[19]
- 일본
- * 겐로쿠 3년[19]
- * 황기 2350년[19]
- * 11월 14일 - 미토 도쿠가와가의 도쿠가와 미쓰쿠니가 미토 번 번주 자리를 조카 도쿠가와 쓰나조에게 양위하다.[19]
- * 코노에 모토히로가 이치조 후유쓰네를 대신하여 관백에 취임하다.[19]
- * 도쿠가와 쓰나요시가 에도의 유시마에 공자묘를 이전시켜 후일의 유시마 성당의 원형이 된다.[19]
- * 야마모토야마가 에도에서 차 상인으로 창업하다.[19]
- * 엥겔베르트 캠퍼가 나가사키 데지마의 네덜란드 상관 의사로서 일본에 온다.[19]
- * 주자학이 막부의 관학이 된다.[19]
- * 베시 동산이 발견된다.[19]
- * 키세루 사냥이 시작되었다. (흡연 금지법)[19]
- 중국
- * 청나라 강희제 29년[19]
- 베트남
- * 후 레 왕조 정화 11년[19]
- 영국 동인도 회사가 인도 동부 콜카타(캘커타) 지역을 받았다.[19]
3. 3. 아메리카
- 1월 27일: 존 스트롱이 지휘하는 함선 HMS 웰페어의 선원들이 유럽인으로서 최초로 포클랜드 제도에 상륙하였다.[2]
- 2월 8일: 뉴욕 식민지 스케넥터디 마을에서 스케넥터디 학살이 발생하여, 200명의 프랑스인, 모호크족, 알곤킨족 전사들이 라신 학살에 대한 보복으로 대부분의 주민들을 살해하거나 사로잡았다.
- 4월 16일: 바부다에서 약 16km 떨어진 카리브해에서 규모 8.0의 대지진이 발생하여, 세인트키츠 네비스와 안티구아에도 영향을 미쳤다.[5]
- 5월 16일: 매사추세츠만 식민지 출신 민병대 446명과 선원 226명이 7척의 군함을 타고 노바스코샤를 침공하여 포트로열 전투가 발생했다. 아카디아 포트로열을 방어하는 프랑스 식민지 군인은 겨우 90명에 불과했고, 아카디아 총독 루이 알렉상드르 드 프리슈 드 메네발은 항복했다.
- 6월: 마나우스에서 약 45km 하류 아마존강 좌안에서 규모 7의 브라질 지진이 발생하여, 숲을 통해 지진파가 1000km 떨어진 곳까지 감지되었다.[6]
- 10월 6일: 윌리엄 피프스 경이 이끄는 매사추세츠 청교도들이 퀘벡 시를 포위 공격했지만, 6일 만에 실패했다.
- 캐나다(뉴프랑스) 퀘벡주 롱괴유에 롱괴유 요새라는 석조 요새가 완공되었다. 이는 캐나다에서 유럽의 성과 가장 유사한, 귀족을 위한 요새화된 주거지로 간주될 수 있는 유일한 건물 중 하나이다.
3. 4. 기타
- 장희빈이 중전의 자리에 올랐다.[1]
- 조선 숙종이 아들 윤을 왕세자로 책봉하였다.[1]
- 영국이 포클랜드 제도를 명명하였다.[1]
- 영국 동인도 회사가 인도 동부 콜카타(캘커타) 지역을 획득하였다.[1]
- 9월 25일 -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퍼블릭 어커런시스''의 유일한 호가 발행되었으나 식민지 당국에 의해 압수되었다.[8]
- 10월 6일
- 윌리엄 피프스 경이 이끄는 매사추세츠 청교도들이 퀘벡 시를 포위 공격했지만, 6일 만에 실패로 끝났다.[8]
- 카나본(웨일스)에서 규모 5.2의 지진이 발생하여 런던과 더블린까지 진동이 느껴졌다.[8][9]
- 12월 4일 - 동알프스에서 파괴적인 지진이 발생하여 24명의 사상자와 카린티아주 빌라흐 지역의 피해를 야기하였다.[13]
- 12월 29일 - 이탈리아 교황령 안코나에서 지진이 발생하여 10명이 사망한다.[18]
- 세르비아 정교회 총대주교 아르세니예 3세 차르노예비치가 코소보에서 일어난 오스만 제국의 잔혹 행위 이후 두 차례의 대세르비아 이주 중 첫 번째 이주를 합스부르크 제국으로 이끌었다.[18]
- 영국과 웨일스에서 폐지된 지 1년 후 스코틀랜드에서 화로세가 폐지된다.[18]
- 프랑스의 물리학자 드니 파팽은 라이프치히에 머무르는 동안 자신의 '소화기'에서 대기압의 기계적 힘을 관찰하고 물을 퍼내는 데 사용되는 왕복식 증기 기관의 작동 모델을 최초로 제작했지만 효율적이지는 않았다.[18]
- 네덜란드의 크리스티안 하위헌스가 그의 저서 『빛에 관한 논문』을 출판한다. 이 책은 이론 및 수학 물리학의 선구적인 작품으로 여겨진다.[18]
-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가 목성 대기 내에서 미분 회전을 관찰한다.[18]
- 캐나다 퀘벡주 롱괴유에 있는 롱괴유 요새라는 석조 요새의 건설이 완료된다. 이것은 캐나다에서 성으로 간주될 수 있는 유일한 건물 중 하나이며, 그중에서도 유럽의 성과 가장 유사하다.[18]
-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시에 있는 방어 시설인 바뱅 댐의 건설이 완료된다.[19]
- 앙투안 퓌레티에르가 편찬한 프랑스 사전이자 백과사전인 『Dictionnaire universel, contenant generalement tous les mots françois』가 사후에 출판된다.[19]
- 뷔제 섬 서쪽 부분이 세인트 피터 대홍수로 사라진 가능성이 있는 해.[19]
- 런던에서 바클레이즈 은행의 전신이 설립되었다.[12]
- 네덜란드의 물리학자 크리스티안 호이겐스가 빛의 파동설을 주장하였다.[12]
- 조반니 카시니가 이 무렵 목성의 무늬를 기록하였으며, 1997년에 소행성이 충돌한 흔적으로 추정되었다.[12]
4. 탄생
- 1월 1일
- * 크리스티안 팔스터(Christian Falster), 덴마크 작가 (1752년 사망)
- * 서서나 몽고메리(Susanna Montgomerie), 에글린턴 백작 부인, 스코틀랜드의 문학 후원자이자 사교계 여주인 (1780년 사망)
- 1월 10일 – 윌리엄 스멜트(William Smelt), 영국 국회의원 (1755년 사망)
- 1월 13일 – 고트프리트 하인리히 슈톨첼(Gottfried Heinrich Stölzel), 스페인 음악가 (1749년 사망)
- 1월 14일
- * 로렌초 프라텔리니(Lorenzo Fratellini), 이탈리아 화가 (1729년 사망)
- * 크리소스토무스 한탈러(Chrysostomus Hanthaler), 오스트리아 역사가 (1754년 사망)
- 1월 16일 – 후안 쿠리엘(Juan Curiel), 스페인 지식인이자 정치인 (1775년 사망)
- 1월 17일 – 페터 슈니틀러(Peter Schnitler), 덴마크/노르웨이 법률가이자 군인 (1757년 사망)
- 1월 19일 – 윌리엄 던컴(William Duncombe), 영국 번역가 (1769년 사망)
- 1월 22일 – 니콜라 랑크레(Nicolas Lancret), 프랑스 화가 (1743년 사망)
- 1월 24일
- * 피니어스 보울스(Phineas Bowles), 영국 육군 장교 (1749년 사망)
- * 제임스 워드(James Ward), 아일랜드 성공회 사제 (1736년 사망)
- 1월 25일 – 장-폴 드 롬 다르덴(Jean-Paul de Rome d'Ardène), 프랑스 식물학자, 농업 전문가이자 사제 (1769년 사망)
- 1월 28일 – 코벳 키나스턴(Corbet Kynaston), 영국 국회의원 (1740년 사망)
- 2월 1일 – 프란체스코 마리아 베라치니(Francesco Maria Veracini), 이탈리아 작곡가 (1768년 사망)

- 2월 3일 – 리처드 로울린슨(Richard Rawlinson), 영국 성직자, 골동품 수집가 (1755년 사망)
- 2월 5일 – 요한 다니엘 슈마허(Johann Daniel Schumacher), 러시아 학자 (1761년 사망)
- 2월 6일
- * 조반니 바티스타 마이니(Giovanni Battista Maini), 이탈리아 예술가 (1752년 사망)
- * 킬리안 스토베우스(Kilian Stobæus), 스웨덴 의사 (1742년 사망)

- 2월 7일 – 뷔르템베르크-엘스 공작 찰스 프리드리히 2세(Charles Frederick II, Duke of Württemberg-Oels) (1761년 사망)
- 2월 9일 – 마리아 비토리아 데 사보이아(Maria Vittoria of Savoy), 이탈리아 공주 (1766년 사망)

- 2월 11일 – 윌리엄 블랙켓 경(Sir William Blackett, 2nd Baronet), 영국 정치인 (1728년 사망)
- 2월 14일 – 야콥 에른스트 폰 리히텐슈타인-카스텔코른(Jakob Ernst von Liechtenstein-Kastelkorn), 오스트리아 대주교 (1747년 사망)
- 2월 17일
- * 마르첼로 파피니아노 쿠사니(Marcello Papiniano Cusani), 이탈리아 대주교 (1766년 사망)
- * 새뮤얼 필립스(Samuel Phillips), 미국 성직자 (1771년 사망)
- 2월 22일 – 다니엘레 팔라티(Daniele Farlati), 이탈리아 예수회 사제이자 역사가 (1773년 사망)
- 2월 26일 – 사무엘 반 더 푸테(Samuel van der Putte), 네덜란드 여행가이자 탐험가 (1745년 사망)
- 2월 28일 – 알렉세이 페트로비치(Alexei Petrovich), 러시아 황태자 (1718년 사망)
- 3월 1일
- * 실비오 발렌티 곤자가(Silvio Valenti Gonzaga), 가톨릭 추기경 (1756년 사망)
- * 빅토르 아마데우스 1세(Victor Amadeus I, Prince of Carignano), 이탈리아 귀족 (1741년 사망)
- 3월 3일 – 길버트 리빙스턴(Gilbert Livingston) (1690-1746년 사망)
- 3월 10일 – 요한 야콥 슈마우스(Johann Jakob Schmauss), 독일 법률가 (1757년 사망)
- 3월 12일 – 조지 리(George Lee, 2nd Earl of Lichfield), 영국 귀족 (1743년 사망)
- 3월 16일 – 벤자민 엘벨(Benjamin Elbel), 독일 신학자 (1756년 사망)
- 3월 18일 – 크리스티안 골드바흐(Christian Goldbach), 프로이센 수학자 (1764년 사망)
- 3월 23일 – 카지미어 빌헬름(Casimir William of Hesse-Homburg), 헤세-훔부르크 공작 (1726년 사망)
- 3월 24일 – 상그람 싱 2세(Sangram Singh II), 메와르의 마하라나 (1734년 사망)

- 3월 29일 – 존 몽태규(John Montagu, 2nd Duke of Montagu), 영국 공작 (1749년 사망)
- 4월 2일 – 안젤로 피오(Angelo Piò), 이탈리아 조각가 (1769년 사망)
- 4월 8일 – 도메니코 마리아 만니(Domenico Maria Manni), 이탈리아 역사가 (1788년 사망)
- 4월 9일 – 요한 헨리크 셰펠(Johan Henrik Scheffel), 스웨덴 화가 (1781년 사망)
- 4월 13일 – 요아힘 바그너(Joachim Wagner), 오르간 제작자 (1749년 사망)
- 4월 14일 – 얀 반델라르(Jan Wandelaar), 네덜란드 북부 출신의 화가이자 판화가 (1759년 사망)
- 4월 15일 – 존 월롭 1세 포츠머스 백작(John Wallop, 1st Earl of Portsmouth), 영국 정치인이자 귀족 (1762년 사망)
- 4월 20일 – 주세페 곤자가 구아스탈라 공작(Giuseppe Gonzaga, Duke of Guastalla), 이탈리아 귀족 (1746년 사망)
- 4월 22일
- * 존 카터렛 그랜빌 2세 백작(John Carteret, 2nd Earl Granville), 영국 정치가 (1763년 사망)
- * 로버트 레이크스 장로(Robert Raikes the Elder), 영국 인쇄업자 (1757년 사망)
- 4월 25일 – 고틀리브 무파트(Gottlieb Muffat), 오스트리아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 (1770년 사망)
- 4월 26일 – 앙리-조제프 레가(Henri-Joseph Rega), 루뱅 대학교의 의사이자 총장 (1754년 사망)
- 5월 1일 – 루크 샤우브(Luke Schaub), 영국 외교관 (1758년 사망)
- 5월 2일 – 탈봇 옐버턴 서식스 1세 백작(Talbot Yelverton, 1st Earl of Sussex), 영국 백작 (1731년 사망)
- 5월 10일 – 장 모로 드 세셸(Jean Moreau de Séchelles), 프랑스 정치인 (1761년 사망)
- 5월 14일 – 장 부이예(Jean Bouillet), 프랑스 의사 (1777년 사망)
- 5월 25일 – 요제프 요한 아담 리히텐슈타인 공(Joseph Johann Adam, Prince of Liechtenstein) (1732년 사망)
- 5월 30일 – 안톤 슈투름(Anton Sturm), 독일 조각가 (1757년 사망)
- 6월 2일 – 루이 쁘띠 드 바쇼몽(Louis Petit de Bachaumont), 프랑스 작가 (1771년 사망)

- 6월 3일 – 프랑수아 드 파리(François de Pâris), 가톨릭 사제이자 신학자 (1727년 사망)
- 6월 9일 – 미셸-에티엔 투르고(Michel-Étienne Turgot), 프랑스 변호사 (1751년 사망)
- 6월 11일 – 조반니 안토니오 지아이(Giovanni Antonio Giay), 이탈리아 작곡가 (1764년 사망)
- 6월 13일 – 게오르크 알브레히트 동프리슬란트 공(George Albert, Prince of East Frisia) (1734년 사망)

- 7월 7일 – 요한 토비아스 크렙스(Johann Tobias Krebs), 독일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 (1762년 사망)
- 7월 10일 – 헨리 옥센든 경(Sir Henry Oxenden, 4th Baronet), 영국 정치인 (1720년 사망)
- 7월 12일 – 에피스 사전트(Epes Sargent), 군인 (1762년 사망)

- 7월 13일 – 플라키두스 뵈켄(Placidus Böcken), 독일 변호사 (1752년 사망)
- 7월 25일 – 페르디난트 폰 플레텐베르크(Ferdinand von Plettenberg), 독일 정치인 (1737년 사망)
- 8월 3일 – 장 파리 드 몽마르텔(Jean Pâris de Monmartel), 프랑스 사설 은행가 (1766년 사망)
- 9월 4일 – 폴리카르프 라이저 4세(Polykarp Leyser IV), 독일 학자 (1728년 사망)
- 9월 7일 – 카를 하인리히 폰 보가츠키(Karl Heinrich von Bogatzky), 독일 찬송가 작곡가 (1774년 사망)
- 9월 8일
- * 자카리 피어스(Zachary Pearce), 영국 주교 (1774년 사망)
- * 로렌초 자바테리(Lorenzo Zavateri), 이탈리아 바로크 바이올리니스트 (1764년 사망)
- 9월 10일 – 마에다 요시노리(Maeda Yoshinori), 다이묘 (1745년 사망)
- 9월 12일 – 피터 덴스(Peter Dens), 벨기에 가톨릭 신학자 (1775년 사망)
- 9월 15일 – 이냐치오 프로타(Ignazio Prota), 이탈리아 작곡가 (1748년 사망)
- 9월 18일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벡 공작 샤를 루이(Charles Louis, Duke of Schleswig-Holstein-Sonderburg-Beck) (1774년 사망)
- 9월 23일 – 주세페 바자니(Giuseppe Bazzani), 이탈리아 화가 (1769년 사망)
- 9월 28일
- * 자크-바르텔르미 미셸 뒤 크레스트(Jacques-Barthélemy Micheli du Crest), 제네바 지도 제작자 (1766년 사망)
- * 미셸 푸르몽(Michel Fourmont), 프랑스 종교인이자 교수 (1746년 사망)
- * 제임스 머레이, 애솔 공작 2세(James Murray, 2nd Duke of Atholl), 영국 정치인 (1764년 사망)
- 10월 9일 – 로버트 우드콕(Robert Woodcock), 잉글랜드의 화가이자 작곡가 (1728년 사망)
- 10월 13일 – 장 드 불롱주(Jean de Boullonges), 프랑스 정치인 (1769년 사망)
- 10월 14일 – 레오폴드 필립 다렌베르크(Léopold Philippe d'Arenberg), 오스트리아 원수 (1754년 사망)
- 10월 15일 – 마르타 블런트(Martha Blount), 알렉산더 포프의 친구 (1762년 사망)

- 10월 18일 – 토마스 루이스(Thomas Lewis), 영국 정치인 (1777년 사망)
- 10월 19일 – 루이-기욤 베리에(Louis-Guillaume Verrier), 캐나다 변호사 (1758년 사망)
- 10월 28일 – 페터 토르덴스키올드(Peter Tordenskjold), 노르웨이 해군 장교 (1720년 사망)

- 10월 29일 – 마틴 폴크스(Martin Folkes), 잉글랜드의 골동품 수집가, 화폐학자, 수학자, 천문학자 (1754년 사망)

- 11월 4일 – 기욤-이아생트 부쟁(Guillaume-Hyacinthe Bougeant), 프랑스 예수회 사제이자 작가 (1743년 사망)
- 11월 5일
- * 카를로 주세페 메를로(Carlo Giuseppe Merlo), 이탈리아 후기 바로크 시대 건축가 (1760년 사망)
- * 프리드리히 루드비히 뷔르템베르크-빈넨탈 공(Frederick Louis of Württemberg-Winnental), 독일군 사령관 (1734년 사망)
- 11월 7일
- * 프란시스코 카리에도(Francisco Carriedo), 필리핀 장군 (1743년 사망)
- * 도미니크 마르쿠아르트,뢰벤슈타인-베르트하임-로셰포르 공작(Dominic Marquard, Prince of Löwenstein-Wertheim-Rochefort), 독일 귀족 (1735년 사망)
- 11월 10일 – 크리스티네 샤를로테 폰 졸름스-브라운펠스(Christine Charlotte of Solms-Braunfels), 헤세-훔부르크 방백부인 (1771년 사망)
- 11월 13일 – 에른스트 요한 폰 비론(Ernst Johann von Biron), 쿠를란트와 세미갈리아 공작 (1772년 사망)
- 11월 16일 – 존 브라운로, 타이콘넬 제1대 자작(John Brownlow, 1st Viscount Tyrconnel), 아일랜드 자작 (1754년 사망)
- 11월 17일 – 노엘-니콜라 코이펠(Noël-Nicolas Coypel), 프랑스 화가 (1734년 사망)
- 11월 22일 – 프랑수아 콜랭 드 블라몽(François Colin de Blamont), 프랑스 작곡가 (1760년 사망)
- 11월 24일 (세례) – 찰스 테오도어 파헬벨(Charles Theodore Pachelbel), 독일/미국 작곡가 (1750년 사망)
- 11월 28일 – 카를로 로돌리(Carlo Lodoli), 이탈리아 건축가 (1761년 사망)

- 11월 29일 – 크리스티안 아우구스트, 안할트-체르브스트 공(Christian August, Prince of Anhalt-Zerbst), 독일 장군 (1747년 사망)
- 12월 1일
- * 카를 필립 폰 그라이펜클라우 추 폴라츠(Karl Philipp von Greifenclau zu Vollraths), 독일 주교 (1754년 사망)
- * 필립 요크, 하드위크 제1대 백작(Philip Yorke, 1st Earl of Hardwicke), 영국 변호사, 정치인, 대법관 (1764년 사망)
- 12월 2일 – 로버트 샤프토(Robert Shafto), 영국 정치인 (1729년 사망)
- 12월 3일 – 조제 마리아 다 폰세카 에 에보라(José Maria da Fonseca e Évora), 프란체스코 수도사이자 주교, 포르투갈 프란체스코 수도회 총대리 (1752년 사망)
- 12월 18일 – 에드먼드 이샴 경, 제6대 준남작(Sir Edmund Isham, 6th Baronet), 잉글랜드 준남작이자 국회의원 (1772년 사망)
- 12월 22일
- * 마리 앤 엘레오노르 드 부르봉(Marie Anne Éléonore de Bourbon), 프랑스 귀족 (1760년 사망)
- * 메이딩구 팜헤이바(Meidingu Pamheiba), 마니푸르(Manipur)의 왕 (1751년 사망)
- 12월 25일 – 윌리엄 다이시(William Dicey) (1756년 사망)
- 날짜 불명 – 토마스 카터(Thomas Carter), 아일랜드 정치인 (1763년 사망)
- 9월 10일 (겐로쿠 3년 8월 8일) - 마에다 요시노리(前田吉徳), 가가 번 제6대 번주 (1745년 사망)
- 생몰일 불명
- * 혼다 타다요시(本多忠良), 로쥬 (1751년 사망)
- * 혼인보 도치(本因坊道知), 바둑 기사 (1727년 사망)
- * 니와 히데노부(丹羽秀延), 제7대 니혼마쓰 번주 (1728년 사망)
5. 사망
- 1월 3일 - 힐렐 벤 나프탈리 제비(Hillel ben Naphtali Zevi), 리투아니아 랍비 (1615년 출생)
- 1월 8일 - 안드레이 베조브라조프(Andrei Bezobrazov), 러시아 관리 (1614년 출생)
- 1월 20일 - 요하네스 게젤리우스 장로(Johannes Gezelius the elder), 핀란드 주교 (1615년 출생)

- 1월 26일 - 마르찬 알렉산데르 오긴스키(Marcjan Aleksander Ogiński), 폴란드 귀족 (1632년 출생)
- 1월 27일 - 안나 엘레오노어 폰 슈톨베르크-베르니게로데(Anna Eleonore of Stolberg-Wernigerode), 정치인 (1651년 출생)
- 2월 1일
- * 조지 리빙스턴, 린리스고 제3대 백작(George Livingston, 3rd Earl of Linlithgow), 스코틀랜드 정치인 (1616년 출생)
- * 필리프 메스트레자(Philippe Mestrezat), 제네바 목사 (1618년 출생)
- 2월 3일 - 앤 도딩턴(Anne Doddington) (1642년 출생)
- 2월 6일 - 얀 반 부켄(Jan van Buken), 플랑드르 화가 (1635년 출생)
- 2월 7일
- * 존 팔도(John Faldo), 잉글랜드 목사 (1633년 출생)
- * 윌리엄 모리스 경, 초대 준남작(Sir William Morice, 1st Baronet), 잉글랜드 왕당파 정치가 (1620년 출생)
- 2월 9일
- * 요한 루이, 나사우-오트바일러 백작(John Louis, Count of Nassau-Ottweiler) (1625년 출생)
- * 데이비드 피터세 슐러(David Pieterse Schuyler), 네덜란드 태생 모피 상인, 선장 및 상인 (1636년 출생)
- 2월 10일 - 기스베르트 페르호크(Gijsbert Verhoek), 네덜란드 화가 (1644년 출생)
- 2월 14일 - 존 베리(John Berry), 영국 왕립 해군 장교 (1635년 출생)
- 2월 20일 - 테오도르 카롤리(Theodor Caroli), 독일 의사 (1660년 출생)
- 2월 22일 - 샤를르 르 브룅(Charles Le Brun), 프랑스 화가이자 미술 이론가 (1619년 출생)
- 2월 23일 - 엘리자베스 워커(Elizabeth Walker), 잉글랜드 약사 (1623년 출생)
- 2월 27일 - 에드워드 몽태규(Edward Montagu) (1649-1690), 잉글랜드 정치인 (1649년 출생)
- 3월 1일 - 리처드 웬먼, 웬먼 제4대 자작(Richard Wenman, 4th Viscount Wenman), 잉글랜드 정치인이자 아일랜드 자작 (1657년 출생)
- 3월 5일 - 요슈아 자나벨(Joshua Janavel), 발덴시안 반란군 (1617년 출생)

- 3월 17일
- * 얀 반 미에리스(Jan van Mieris), 네덜란드 화가 (1660년 출생)
- * 요아힘 모스크바 총대주교(Patriarch Joachim of Moscow), 모스크바 총대주교 (1620년 출생)

- 3월 18일 - 윌리엄 포트먼 경, 제6대 준남작(Sir William Portman, 6th Baronet), 잉글랜드 정치인 (1643년 출생)
- 3월 20일 - 세바스티안 무뇨스(Sebastián Muñoz), 화가 (1654년 출생)
- 3월 21일 - 헨리 티옹(Henry Teonge), 영국 작가 (1621년 출생)
- 3월 28일 - 에마뉘엘 자네스(Emmanuel Tzanes), 그리스 화가 (1610년 출생)
- 4월 1일
- * 앵글시 백작 제임스 애네슬리(James Annesley, 2nd Earl of Anglesey), 정치인 (1645년 출생)
- * 요한 크리스토프 폰 프라이베르크-알멘딩엔(Johann Christoph von Freyberg-Allmendingen), 독일 사제 (1616년 출생)
- 4월 6일 - 게데온 체트베르틴스키(Gedeon Chetvertinsky), 루테니아 공작, 종교 인물, 키예프 대주교 (1634년 출생)
- 4월 15일 - 미하이 1세 아파피(Michael I Apafi), 트란실바니아의 헝가리 왕자 (1632년 출생)
- 4월 16일 - 게시나 테르 보르흐(Gesina ter Borch), 네덜란드 황금기 화가 (1633년 출생)
- 4월 17일 - 카스파르 치글러(Caspar Ziegler), 독일 법학자, 시인, 작곡가 (1621년 출생)
- 4월 18일
- * 멜키오르 헤슬러(Melchior Heßler), 독일 기술자이자 건축가 (1619년 출생)
- * 아이야슐리 이스마일 파샤(Ayaşlı Ismail Pasha), 오스만 제국의 그랜드 비지어 (1620년 출생)
- * 로렌 공작 샤를 5세(Charles V, Duke of Lorraine), 오스트리아 출신 신성 로마 제국 장군 (1643년 출생)
- 4월 20일 - 바이에른의 마리아 안나 빅토리아(Maria Anna Victoria of Bavaria), 프랑스 왕세자비 (1660년 출생)
- 4월 21일 - 야코프 더 그라프(Jacob de Graeff), 네덜란드 황금기의 더 그라프 가문 구성원 (1642년 출생)
- 4월 25일 - 소 다비드 테니어르(David Teniers the Younger), 플랑드르 화가 (1610년 출생)
- 4월 28일 - 에티엔 르 옹그르(Étienne Le Hongre), 프랑스 조각가 (1628년 출생)
- 4월 30일 - 르네 르 페(René Le Pays), 프랑스 시인 (1634년 출생)
- 5월 9일
- * 테오도르 하크(Theodore Haak), 독일 태생 학자 (1605년 출생)
- * 레이몽 푸아송(Raymond Poisson), 프랑스 배우 (1630년 출생)

- * 아브라함 라이트(Abraham Wright), 영국 신학 작가이자 부제 (1611년 출생)
- 5월 12일 - 존 러시워스(John Rushworth), "역사적 자료집" 저자 (1612년경 출생)
- 5월 15일 - 에버하르트 베르너 하펠(Eberhard Werner Happel), 작가 (1647년 출생)
- 5월 21일 - 존 엘리엇(John Eliot), 퓨리탄 선교사 (1604년 출생)

- 5월 22일 - 요한 야코프 쉬츠(Johann Jacob Schütz), 독일 변호사 (1640년 출생)
- 5월 23일 - 프란체스코 디 마리아(Francesco di Maria), 이탈리아 화가 (1623년 출생)
- 5월 26일
- * 새뮤얼 링컨(Samuel Lincoln), 에이브러햄 링컨의 미국 식민지 조상 (1622년 출생)
- * 에리세이라 백작 3세 루이스 드 메네세스(Luís de Meneses, 3rd Count of Ericeira), 포르투갈 정치인이자 역사가 (1632년 출생)
- 5월 27일 - 조반니 레그렌치(Giovanni Legrenzi), 이탈리아 작곡가 (1626년 출생)
- 6월 4일
- * 알바의 첫째 남작 경 찰스 어스킨(Sir Charles Erskine, 1st Baronet of Alva), 스코틀랜드 정치인 (1643년 출생)
- * 프랑수아 토르테바(François Tortebat), 프랑스 판화가 (1616년 출생)

- 6월 8일 - 장 프레스트(Jean Prestet), 프랑스 사제이자 수학자 (1648년 출생)
- 6월 11일 - 프레드릭 블루마르트(Frederik Bloemaert), 네덜란드 판화가이자 드래프츠맨 (1610년 출생)
- 6월 13일 - 피츠하딩 백작 3세 모리스 버클리(Maurice Berkeley, 3rd Viscount Fitzhardinge), 영국 정치인 (1628년 출생)
- 6월 19일 - 에제키엘 홉킨스(Ezekiel Hopkins), 아일랜드 주교 (1634년 출생)
- 7월 1일
- * 알브레히트 게오르크 폰 림부르크(Albrecht Georg of Limburg), 림부르크 백작 (1660년 출생)
- * 닐 오닐 경(Sir Neil O'Neill), 2대 남작, 아일랜드 가톨릭 귀족이자 군인 (1658년 출생)
- * 필리프 작센-메르제부르크-라우흐슈테트 공작(Philipp, Duke of Saxe-Merseburg-Lauchstädt), 독일 귀족 (1657년 출생)
- * 조지 워커(George Walker) (1645-1690), 아일랜드 군인이자 성공회 사제 (1645년 출생)
- 7월 8일 - 아론 벤 모세스 테오밈(Aaron ben Moses Teomim), 랍비 (1630년 출생)
- 7월 9일 - 호소카와 유키타카(Hosokawa Yukitaka), 다이묘 (1637년 출생)
- 7월 10일
- *얀 반 브라켈(Jan van Brakel), 네덜란드 제독 (1638년 출생)
- * 도메니코 가브리엘리(Domenico Gabrielli), 이탈리아 첼리스트이자 작곡가 (1659년 출생)
- 7월 11일
- * 존 번예이트(John Burnyeat), 영국 퀘이커 작가 (1631년 출생)
- * 프리드리히 슈옴베르크(Frederick Schomberg), 1대 슈옴베르크 공작, 프랑스 원수 (1615년 출생)
- 7월 15일 - 카를로 안토니오 부시(Carlo Antonio Bussi), 스위스 화가 (1658년 출생)
- 7월 21일
- * 그레고리오 카라파(Gregorio Carafa), 칼라브리아 출신 62대 성 요한 기사단(Knights Hospitaller)장 (1615년 출생)
- * 크리스토발 데 산타 카탈리나(Cristobal of Saint Catherine), 스페인 가톨릭 사제 (1638년 출생)
- 7월 23일 - 리처드 기브슨(Richard Gibson), 영국 화가 (1615년 출생)
- 7월 25일 - 프랑수아 바이이(François Bailly), 프랑스 석공이자 건축가 (1630년 출생)
- 7월 28일 - 밥티스트 노엘(Baptist Noel), 영국 정치인 (1658년 출생)
- 7월 29일 - 존 브로켓(John Brockett), 뉴헤이븐 식민지 공동 설립자 (1611년 출생)
- 8월 5일 - 세바스티아노 피사니(Sebastiano Pisani), 베로나 주교였던 로마 가톨릭 고위 성직자 (1630년 출생)
- 8월 10일 - 요하네스 슈필베르크(Johannes Spilberg), 네덜란드 화가 (1619년 출생)
- 8월 17일 - 가스파로 카발리에리(Gasparo Cavalieri), 이탈리아 추기경 (1648년 출생)
- 8월 20일 - 알렉산더 폰 부르농빌(Alexander von Bournonville), 플랑드르 귀족이자 장군 (1616년 출생)
- 8월 31일 - 메리 티멜비(Mary Thimelby), 루뱅 산타 모니카 수녀원 수녀원장이자 작가 (1610년 출생)
- 9월 2일 - 필립 빌헬름, 팔츠 선제후(Philip William, Elector Palatine), 독일 출신 통치자 (1615년 출생)
- 9월 5일
- * 루이-프랑수아 드 라 보메 드 쉬즈(Louis-François de la Baume de Suze), 로마 가톨릭 주교 (1595년 출생)
- * 고트프리트 벨슈(Gottfried Welsch), 독일 의사 (1618년 출생)

- 9월 8일
- * 옌스 미켈센 에렌보르크(Jens Mikkelsen Ehrenborg), 덴마크 군인이자 공무원, 후에 스웨덴 귀족이 됨 (1621년 출생)
- * 윌리엄 글린 경(Sir William Glynne), 1대 남작, 영국 정치인 (1638년 출생)
- * 세바스티앙 크납(Sebastien Knab), 로마 가톨릭 고위 성직자, 나흐체반 대주교 (1632년 출생)
- * 라자로 모렐리(Lazzaro Morelli), 이탈리아 화가 (1608년 출생)
- 9월 14일 - 호세 히메네스 도노소(José Jiménez Donoso), 화가 (1632년 출생)
- 9월 17일 - 윌리엄 피에르퐁(William Pierrepont), 4대 킹스턴어폰헐 백작, 영국 백작 (1662년 출생)
- 9월 19일
- * 조반니 스테파노 다네디(Giovanni Stefano Danedi), 이탈리아 화가 (1612년 출생)
- * 엘리자베스 퍼시(Elizabeth Percy), 노섬벌랜드 백작 부인, 영국 귀족 (1646년 출생)

- 9월 21일 - 워리오슬리 노엘(Wriothesley Noel), 2대 게인즈버러 백작, 영국 정치인 (1661년 출생)
- 9월 23일 - 예부슈(Yebušu), 1등급 공작 (1627년 출생)
- 9월 25일 - 피터 판 린트(Pieter van Lint), 플랑드르 화가 (1609년 출생)
- 9월 26일 - 요아힘 에른스트 폰 그룸브코(Joachim Ernst von Grumbkow), 독일 장군 (1637년 출생)
- 10월 1일 - 지롤라모 코르네르(Girolamo Corner), 베네치아의 정치가이자 군 지휘관[20]
- 10월 3일 - 로버트 바클레이(Robert Barclay), 스코틀랜드의 퀘이커교 변증가 (1648년 출생)
- 10월 7일
- * 아르놀드 판 라베스테인(Arnold van Ravesteyn), 네덜란드 황금기 화가
- * 자크 사바리(Jacques Savary), 성공한 프랑스 상인 (1622년 출생)
- 10월 9일
- * 헨리 핏츠로이 그래프턴 공작 1세(Henry FitzRoy, 1st Duke of Grafton), 찰스 2세 국왕의 사생아이자 영국의 공작 (1663년 출생)
- * 조셉 저드슨(Joseph Judson), 대리인 (1619년 출생)
- * 존 메이나드(John Maynard)(1604-1690), 영국의 변호사이자 정치인

- 10월 10일
- * 라우리드스 린데노브(Laurids Lindenov), 덴마크 귀족이자 노르웨이의 공무원 (1640년 출생)
- * 루이 샤를 달베르 드 뤼네(Louis Charles d'Albert de Luynes), 프랑스 귀족
- 10월 13일 - 올레 보르크(Ole Borch), 덴마크 과학자 (1626년 출생)
- 10월 15일
- * 후안 데 발데스 레알(Juan de Valdés Leal), 스페인 화가이자 에칭 화가 (1622년 출생)

- * 아담 프랑수아 판 더 뫼렌(Adam Frans van der Meulen), 플랑드르 화가 (1632년 출생)
- 10월 17일 - 마가렛 마리아 알라코크(Margaret Mary Alacoque), 가톨릭 성녀이자 신비가 (1647년 출생)
- 10월 20일 - 헨리 펠턴 남작 2세(Sir Henry Felton, 2nd Baronet), 영국 국회의원 (1619년 출생)
- 10월 21일 - 이자벨 루이사 베이라 공주(Isabel Luísa, Princess of Beira), 포르투갈 왕족 (1669년 출생)
- 10월 22일 (매장) - 윌리엄 볼(William Ball), 영국 천문학자 (1631년경 출생)
- 10월 23일
- * 토마스 마이너(Thomas Minor), 미국 도시 창립자 (1608년 출생)
- * 안토니 워털루(Antonie Waterloo), 플랑드르 화가이자 판화가 (1609년 출생)
- 10월 25일
- * 장-바티스트 크리스틴(Jean-Baptiste Christyn), 스페인 네덜란드의 법률가이자 외교관, 브라반트의 총리

- * 코르넬리스 하자르트(Cornelius Hazart), 네덜란드 예수회 사제이자 논쟁적인 저술가 (1617년 출생)
- 10월 27일 - 로버트 마크햄 남작 2세(Sir Robert Markham, 2nd Baronet), 영국 정치인 (1644년 출생)
- 10월 30일 - 히에로니무스 판 베버닝(Hieronymus van Beverningh), 네덜란드 외교관이자 정치인 (1614년 출생)
- 11월 3일
- * 장-바티스트 콜베르 드 세이닐레이 백작(Jean-Baptiste Colbert, Marquis de Seignelay), 프랑스 정치인 (1651년 출생)
- * 니콜라스 델브스(Nicholas Delves), 영국 정치인 (1618년 출생)
- 11월 4일 - 요한 빌헬름 작센-예나 공작(Johann Wilhelm, Duke of Saxe-Jena), 독일 귀족 (1675년 출생)
- 11월 5일 - 자코모 빌라니(Giacomo Villani), 가톨릭 주교 (1605년 출생)
- 11월 12일 - 프란체스코 아리구아(Francesco Arrigua), 로마 가톨릭 고위 성직자, 니코테라 주교 (1615년 출생)
- 11월 17일 - 샤를 드 생트모르 몽토시에 공작(Charles de Sainte-Maure, duc de Montausier), 프랑스 군 지휘관 (1610년 출생)
- 11월 27일 - 레니에르 메간크(Renier Meganck), 플랑드르 화가 (1637년 출생)
- 12월 1일 - 스티븐 그린리프(Stephen Greenleaf), 미국 식민지 정치인 (1628년 출생)
- 12월 10일 - 프랜시스 몰리(Francis Morley), 영국 국회의원 (1623년 출생)
- 12월 15일 - 토마스 앨런 남작 1세(Sir Thomas Allen, 1st Baronet), 런던 미들섹스 카운티 남작 (1630년 출생)
- 12월 16일 - 루이즈 엘리자베트 쿠를란트 공녀(Louise Elisabeth of Courland), 헤세-호름부르크 방백 (1646년 출생)
- 12월 19일 - 구스타프 뒤벤(Gustaf Düben), 스웨덴 작곡가 (1628년 출생)
- 12월 23일 - 존 존스턴 남작 3세(Sir John Johnston, 3rd Baronet), 스코틀랜드 군 장교이자 납치범 (1648년 출생)
- 12월 28일 - 토마소 코스타(Tommaso Costa), 이탈리아 화가 (1634년 출생)
- 12월 30일 - 필립 바빙턴(Philip Babington), 정치인 (1632년 출생)
- 본인방 도적(本因坊道策), 바둑 기사 (1669년 출생)
참조
[1]
서적
Captain Thomas Pound
Wilson & Son University Press
[2]
서적
A Chronology of Antarctic Exploration
Quaritch
[3]
웹사이트
EclipseWise - Annular Solar Eclipse of 1690 Mar 10
https://eclipsewise.[...]
2022-10-05
[4]
서적
Thinking about Yugoslavia: Scholarly debates about the Yugoslav breakup and the wars in Bosnia and Kosovo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Significant Earthquake Information: 1690 April 16
https://www.ngdc.noa[...]
[6]
논문
On the footprints of a major Brazilian Amazon earthquake
https://www.scielo.b[...]
[7]
서적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Weidenfeld & Nicolson
[8]
웹사이트
BBC Blogs - Wales - Earthquakes in Wales
https://www.bbc.co.u[...]
2012-06-21
[9]
웹사이트
Earthquake in Wales
https://oakeleyarms.[...]
2015-05-31
[10]
웹사이트
Catholic.net - Saint Lawrence Giustiniani
https://catholic.net[...]
2022-10-05
[11]
웹사이트
Catholic.net - St. John of Sahagun
https://catholic.net[...]
2022-10-05
[12]
웹사이트
9th November 1690 Highway Robbery – South Mimms Parish Council
https://www.southmim[...]
2019-11-09
[13]
웹사이트
RHISE VOL. 2 - Eisinger and Gutdeutsch, The Villach Earthquake of December 4th, 1690 in the German Sources.
https://emidius.mi.i[...]
2022-10-05
[14]
서적
Judicial Torture, the Liberties of the Subject and Anglo-Scottish Relations, 1660-1960
Oxford University Press and British Academy
[15]
서적
An Account of the Rev'd John Flamsteed, to Which is Added his British Catalogue of Stars
Lords Commission of the Admiralty
[16]
서적
Currency and Banking in the Province of the Massachusetts-Bay
American Economic Association
[17]
서적
The Early Paper Money of America
Krause Publications
[18]
웹사이트
Significant Earthquake Information: 1690 April 16
https://www.ngdc.noa[...]
[19]
서적
Vauban: ingénieur et homme de guerre
https://books.google[...]
Éd. de l'Armançon
[20]
웹사이트
CORNER, Girolamo
https://www.trecca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