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이 하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이 하조(Joy Harjo)는 1951년 오클라호마주 털사에서 태어난 머스코기/크리크 부족 출신의 미국 시인이다. 그녀는 "네이티브 아메리칸 르네상스" 작가로 평가받으며, 미국 페미니스트 문학에도 영향을 미쳤다. 2019년 미국 시인 협회 임원이 되었으며, 같은 해 미국 계관 시인으로 임명되었다. 하조는 시, 산문,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특히 토착민의 역사, 문화, 페미니즘, 사회 정의에 대한 주제를 다룬다. 그녀의 작품은 구술 전통을 활용하며, 자연과 여성의 경험을 강조한다. 하조는 여러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다양한 문학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멕시코주 출신 작가 - 드루 고더드
드루 고더드는 미국의 영화 및 텔레비전 작가, 감독, 제작자로서, TV 시리즈 《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와 《로스트》의 작가 및 프로듀서, 영화 《클로버필드》의 각본가, 영화 《캐빈 인 더 우즈》의 감독, 그리고 《마션》으로 아카데미 각색상 후보에 오른 다재다능한 인물이다. - 뉴멕시코주 출신 작가 - 아리 애스터
아리 애스터는 공포 영화와 가족 드라마의 결합, 독특한 스타일로 주목받는 미국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 제작가이며, 대표작으로는 《유전》, 《미드소마》, 《보 이즈 어프레이드》 등이 있다. - 오클라호마주 출신 작가 - 윌 로저스
윌 로저스는 1879년에 태어나 1935년에 사망한 체로키족 혈통의 미국의 배우, 유머 작가, 칼럼니스트, 사회 평론가로, 로프 기술을 시작으로 영화, 라디오, 신문 등 다양한 매체에서 활동하며 미국적 가치관을 대변하고 사회와 정치 문제를 풍자하며 큰 인기를 얻었으며, 비행 중 사고로 사망했다. - 오클라호마주 출신 작가 - 척 노리스
척 노리스는 대한미국에서 무술을 접한 후 척 노리스 시스템을 창시한 미국의 무술가이자 배우, 영화 제작자로서, 액션 영화와 드라마 출연 외에도 킥스타트 키즈 재단 설립, 공화당 지지 등의 사회 활동을 하고 있으며, 인터넷 유머인 '척 노리스 팩트'로도 알려져 있다. - 미국의 아동문학 작가 - 로라 잉걸스 와일더
로라 잉걸스 와일더는 미국의 작가로, 자신의 어린 시절과 서부 개척 시대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자전적 소설 시리즈 『작은 집』으로 유명하며 미국 문학과 대중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원주민 묘사의 편향성에 대한 비판도 있는 작가이다. - 미국의 아동문학 작가 - 제프 키니
제프 키니는 《윔피 키드》 시리즈로 유명한 미국의 작가이자 만화가이며, 《윔피 키드의 일기》를 온라인에 연재하고 인쇄본을 출판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영화 총괄 프로듀서로 참여하고, 어린이 웹사이트와 서점을 운영한다.
조이 하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조이 하조 |
다른 이름 | 조이 하조-사풀파 |
직업 | 작가, 시인, 공연가, 교육자, 미국 계관 시인 |
국적 | 머스코기 국가, 미국 |
출생일 | 1951년 5월 9일 |
출생지 | 오클라호마주털사 |
사조 | 아메리카 원주민 르네상스 |
장르 | 시, 논픽션, 소설 |
학력 | 뉴멕시코 대학교 (문학사) 아이오와 대학교 (미술학 석사) |
관직 | |
직함 | 미국 계관 시인 |
임기 시작 | 2019년 |
임기 종료 | 2022년 |
이전 | 트레이시 K. 스미스 |
이후 | 에이다 리몬 |
2. 생애
조이 하조는 어린 시절부터 예술을 통해 삶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자신의 목소리를 찾고자 노력했다. 여러 인터뷰에서 예술을 "구원(salvation)"으로, 시를 통해 "목소리(voice)"를 발견했다고 언급한 바 있다.[85]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를 정체성과 시의 원동력으로 삼아온 하조는, 스캇 마머데이, 제임스 웰치, 레슬리 마몬 실코, 사이먼 오티즈 등과 함께 "네이티브 아메리칸 르네상스" 작가로 꼽힌다. 또한 에이드리언 리치와 오드리 로드의 영향을 받아 미국 페미니스트 문단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평가받는다. 2019년에는 네이티브 아메리칸 시인 최초로 미국 시인 협회 임원 및 제23대 미국 계관 시인으로 임명되었다.
1975년 첫 시집 《마지막 노래(The Last Song)》를 출간한 하조는, 토착민의 억압된 역사에 대한 통찰력을 보여주었다. 이후 《무슨 달이 나를 이렇게 만들었을까?(What Moon Drove Me to This?)》, 《그녀에게는 말 몇 필이 있었네(She Had Some Horses)》, 《세계의 중심으로부터의 비밀(Secrets from the Center of the World)》, 《하늘에서 떨어진 여자(The Woman Who Fell from the Sky)》, 《다음 세상으로 가는 지도 : 시와 이야기들(A Map to the Next World : Poetry and Tales)》, 《우리가 인간이 된 방법(How We Became Human : New and Selected Poems)》, 《영혼 대담, 노래 언어(Soul Talk, Song Language)》, 《신성한 존재에 대한 갈등 해결(Conflict Resolution for Holy Beings)》, 《미국의 일출(An American Sunrise : Poems)》 등 다수의 시집과 산문집을 발표했다.
하조의 작품은 자전적이고, 자연 세계와 생존, 언어의 한계에 대해 다룬다. 토착민 전통 기도, 노래, 동물 이미지, 신화, 민속학 등을 활용하여 토착민의 경험을 독특하게 그려낸다. 특히 '장소의 시학'을 통해 장소에 대한 기억과 정체성의 지속을 강조한다.
하조는 시 창작 외에도 색소폰 연주, 보컬, 쇼 호스트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는 예술가이다. 포에틱 저스티스(Poetic Justice), 애로우 다이내믹스(Arrow Dynamics) 등의 밴드를 이끌며 공연 및 음반을 발매했고, 2009년에는 올해의 최우수 토착 여성 아티스트상을 수상했다. 2009년부터는 원 우먼 쇼(one-woman show) <윙스 오브 나이트 스카이, 윙스 오브 모닝 라이트(Wings of Night Sky, Wings of Morning Light)>를 진행하고, 뮤지컬 <재즈가 발명되었을 때 우린 거기 있었다(We Were There When Jazz Was Invented)>를 제작하기도 했다.
애리조나 대학교, 애리조나 주립대학교, 뉴멕시코 대학,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테네시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토착 예술 재단(Native Arts and Cultures Foundation)의 창립 멤버로 활동했다. 아메리카 토착민 작가 협회 평생 공로상, 미국 시인 협회 월리스 스티븐스상, 미국 시 협회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상, 루스 릴리상 시 부문, 아메리칸 북 어워드, 미국 펜 센터상 논픽션 부문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음악가로서 하조는 7개의 CD를 발매했으며, 여기에는 자작곡과 다른 아메리카 원주민 예술가들의 곡이 수록되어 있다.[35] 2008년 앨범 ''은하수를 통과하며. 나는 나의 적들을 위해 기도한다''로 네이티브 아메리칸 음악상(NAMMY) 올해의 여성 아티스트상을 수상했다. ''나는 나의 적들을 위해 기도한다''는 2021년에 발매된 하조의 일곱 번째 앨범이다.[36]
하조는 색소폰과 플루트를 연주하며, 솔로 또는 "애로우 다이내믹스 밴드"와 함께 공연한다. 유럽, 남아메리카, 인도, 아프리카, 밴쿠버 민속 음악 축제, 1996년 애틀랜타 하계 올림픽 문화 올림피아드, 2010년 밴쿠버 올림픽, DEF 시 잼, 워싱턴 D.C.의 미국 의회 도서관 등 다양한 무대에서 공연했다.[31]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51년 5월 9일 미국 오클라호마주 털사에서 태어났다.[85] 네이티브 아메리칸으로서 머스코기/크리크 부족 소속이다. 하조가 오클라호마주에서 태어났으며 머스코기 부족의 일원이라는 사실은 아주 중요한 역사적 함의를 지니는데,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하조의 작품 세계의 근간을 형성하고, 시인에게 네이티브 아메리칸 작가로서의 자의식을 제공해 왔다.하조는 복잡한 혈통을 타고났는데, 이 복잡한 혈통만큼이나 하조의 삶은 상처와 트라우마로 점철되어 있다.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과 가정 폭력으로 하조의 부모는 시인이 어릴 때 이혼을 했고, 어머니가 재혼해 생긴 새아버지 역시 가정 폭력을 휘둘렀다. 겨우 16세 되던 해 새아버지에게서 쫓겨난 하조는 뉴멕시코주 산타페로 가서 미국 인디언 예술 연구소에 진학하고, 18세 무렵 동급생과 결혼해 아들을 낳지만 곧 이혼한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하조는 학업을 포기하지 않고 앨버커키의 뉴멕시코 대학교에 진학해 미술과 창작을 전공하게 되며, 이때 사이먼 오티즈를 만난다. 하조는 오티즈의 시 낭송 행사에 참여하고 오티즈는 곧 하조의 멘토 역할을 하게 되는데, 1970년대 초 네이티브 아메리칸 인권 운동인 “레드 파워 운동”이 앨버커키를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될 때 하조와 오티즈는 함께 이 운동의 출판물이나 선전물 제작에 참여한다. 자연스럽게 연인, 사실혼 관계로 발전한 둘 사이에 1973년 딸 레이니 돈(Rainy Dawn)이 태어난다. 하지만 두 시인은 불화로 인해 곧 결별하고, 이후 하조는 아이오와 대학교에 진학해 아이오와 작가 워크숍에서 문예 창작으로 석사 학위를 받는다.
하조는 1951년 5월 9일 오클라호마주 털사에서 태어났다.[2] 그녀의 아버지 앨런 W. 포스터는 머스코기족 등록 시민이었다. 그녀의 어머니는 아칸소 출신의 위네마 베이커 포스터였으며, 하조는 그녀가 아일랜드계 미국인, 프랑스계 미국인, 체로키족 혈통이며, 아마도 치카소족 혈통일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하조는 어머니가 체로키족 후손이라고 스스로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어머니와 외할머니가 등록되지 않았다고 말했다.[3][4] 하조는 머스코기족 등록 시민이다.[5]
하조의 작품은 어머니, 이모, 할머니의 창의력과 그녀의 문화에서 큰 영감을 받았다. 그녀는 중학교 2학년 때 첫 시를 썼다.[6]
16세에 하조는 고등학교를 다니기 위해 뉴멕시코주 산타페에 있는 미국 인디언 예술 연구소에 다녔는데, 당시 이곳은 인디언 사무국 기숙학교였다.[7][8] 하조는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했고, 그것이 자신을 표현하는 방식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9] 하조는 화가였던 고모할머니 로이스 하조 볼에게서 영감을 받았다.[10]
하조는 뉴멕시코 대학교에 예비 의학 전공으로 입학했다. 그녀는 1학년 이후 전공을 미술로 바꿨다. 마지막 학년에는 사이먼 J. 오르티즈와 레슬리 마몬 실코를 포함한 다양한 아메리카 원주민 작가들에게 영감을 받아 창작으로 전공을 바꿨다. 그녀의 첫 시집인 [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Joy-Harjo The Last Song]은 1975년에 출판되었다.[11][12] 하조는 1978년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문예창작 석사 학위를 받았다.[13] 그녀는 또한 뉴멕시코주 산타페에 있는 인류학 영화 센터에서 영화 제작 수업을 들었다.[14]
2. 2. 개인적인 삶
Joy Harjo영어는 1951년 5월 9일 오클라호마주 털사에서 태어났다.[2] 머스코기족 등록 시민이다.[5]아버지의 알코올 중독과 가정 폭력으로 부모는 하조가 어릴 때 이혼했고, 어머니가 재혼한 새아버지 역시 가정 폭력을 휘둘렀다. 16세에 새아버지에게서 쫓겨난 하조는 뉴멕시코주 산타페에 있는 미국 인디언 예술 연구소에 진학하고, 18세에 동급생과 결혼해 아들을 낳지만 곧 이혼한다.[85] 1967년 이 연구소에서 동료 학생 필 윌몬을 만났고, 그와의 사이에서 아들을 낳았으나 1971년에 관계가 끝났다. 1972년, 아코마 푸에블로 부족 출신의 시인 시몬 오르티스를 만나 딸을 낳았다.[45] 하조는 두 아이를 홀로 키웠다.[46]
이런 상황 속에서도 학업을 포기하지 않고 뉴멕시코 대학교에 진학해 미술과 창작을 전공했으며, 아이오와 대학교 작가 워크숍에서 문예 창작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하조는 여러 인터뷰에서 예술을 삶의 "구원(salvation)"으로 여겼고, 특히 시를 통해 자신의 "목소리(voice)"를 발견했다고 언급한다.[85]
하조는 오웬 초폭사 사풀파와 결혼했으며, 그의 자녀들의 계모이다.[47][48][49]
2. 3. 문학 및 예술 활동
조이 하조는 시인이자 작가, 음악가, 연극 배우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는 예술가이다. 1975년 아홉 편의 시를 담은 첫 시집 《마지막 노래(The Last Song)》를 출간한 이후, 현재까지 꾸준히 작품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30] 2022년에는 50년간의 시작(詩作) 활동을 기념하는 시선집 《진홍빛 빛 속에서 해질녘 엮기(Weaving Sundown in a Scarlet Light)》를 출간했다.[34]하조는 시뿐만 아니라 소설, 에세이, 희곡, 아동 도서 등 다양한 장르의 글을 쓰고 있다. 대표적인 시집으로는 《무슨 달이 나를 이렇게 만들었을까?(What Moon Drove Me to This?)》, 《그녀에게는 말 몇 필이 있었네(She Had Some Horses)》, 《세계의 중심으로부터의 비밀(Secrets from the Center of the World)》, 《하늘에서 떨어진 여자(The Woman Who Fell from the Sky)》, 《다음 세상으로 가는 지도: 시와 이야기들(A Map to the Next World: Poetry and Tales)》, 《우리가 인간이 된 방법(How We Became Human: New and Selected Poems)》, 《신성한 존재에 대한 갈등 해결(Conflict Resolution for Holy Beings)》, 《미국의 일출(An American Sunrise: Poems)》 등이 있다.[31]
하조의 작품은 주로 자아, 예술, 사회 정의와 같은 주제를 다루며, 특히 구술 역사 기법을 활용하여 문학적 낭독과 음악 공연을 통해 구술 전통을 이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27][28][29] 또한, 토착 부족들의 이야기와 역사, 페미니스트와 사회 정의 시의 전통, 토착 신화, 상징, 가치를 작품에 담아내고 있다. 특히 그녀의 시는 특정 장소에 대한 기억을 통해 존재와 정체성의 지속을 강조하는 토착민 문화의 생존 전략을 암시하는 '장소의 시학'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하조는 알토 색소폰 연주자이자 보컬리스트로도 활동하며, 재즈 밴드 '포에틱 저스티스(Poetic Justice)'와 '애로우 다이내믹스(Arrow Dynamics)'를 이끌며 공연과 음반 발매를 하고 있다.[16] 2009년에는 올해의 최우수 토착 여성 아티스트상(Native American Music Award for Best Female Artist of the Year)을 수상하기도 했다.[35]
하조는 40세에 색소폰을 연주하기 시작했으며, 시를 읽을 때 색소폰 연주를 통해 음악을 더하고, 다른 방식으로 청중들의 마음에 닿을 수 있다고 믿는다.[37] 그녀는 시를 읽을 때 목소리에 음악적인 톤을 더해, 모든 시에서 노래를 창조한다.

3. 작품 세계
음악가로서 하조는 7개의 CD를 발매했으며, 여기에는 그녀의 자작곡과 다른 아메리카 원주민 예술가들의 곡이 수록되어 있다.[35] 2008년에는 ''은하수를 통과하며. 나는 나의 적들을 위해 기도한다''로 네이티브 아메리칸 음악상(NAMMY) 올해의 여성 아티스트상을 수상했다. 이 앨범은 2021년에 발매된 하조의 일곱 번째이자 최신 앨범이다.[36]
하조는 색소폰과 플루트를 연주하며, 솔로 또는 "애로우 다이내믹스 밴드"라는 즉석 밴드와 함께 공연한다. 유럽, 남아메리카, 인도, 아프리카뿐만 아니라 1996년 애틀랜타 하계 올림픽 문화 올림피아드, 2010년 밴쿠버 올림픽 등 북미의 다양한 무대에서 공연했다.[31]
40세에 색소폰을 연주하기 시작한 하조는 시를 읽을 때 색소폰을 연주하여 음악을 더하고, 다른 방식으로 청취자들의 마음에 닿을 수 있다고 믿는다. 그녀는 시를 읽을 때 목소리에 음악적인 톤을 더해, 모든 시에서 노래를 창조한다.[37]
창작 활동 외에도 미국의 정치 및 원주민 문제에 대해 글을 쓰고 연설해 왔으며, 머스코기 네이션의 일원으로서 "원주민의 목소리"로 시를 쓴다.[38]
3. 1. 주제 의식
조이 하조는 시, 책, 희곡 등 다양한 장르에서 글을 쓰며, 자아 정체성, 예술, 사회 정의와 같은 주제를 자주 다룬다.[27] 구술 역사 기법을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묘사하며, "글로 쓰인 텍스트는 [그녀에게] 고정된 구술성"이라고 믿는다.[28] 이야기, 노래, 목소리 억양 등을 활용하여 청중의 관심을 사로잡는 그녀의 문학 낭독회와 음악 공연은 구술 전통을 이어가는 방법이다.[29]하조의 시는 제국주의와 식민주의가 여성 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학자 미슈아나 고먼은 "하조 시의 풍부한 상호 텍스트성과 다른 원주민 문제, 즉 주권, 인종 형성, 사회적 조건에 대한 그녀의 강렬한 연결과 인식은 새롭게 정렬된 글로벌 공간 내에서 정착민 식민지 구조의 기능을 풀고 연결하는 기반을 제공한다"라고 썼다.[39] 하조는 자신의 시에서 주류 문화에 반대하여 머스코기/크릭 배경과 영성을 탐구하며, 아메리카 원주민의 토지 권리와 "그녀의 사람들"이 사라져 가는 현실의 심각성을 다룬다.[40]
하조의 많은 작품은 크릭족의 가치, 신화, 믿음을 반영한다.[40][41] 그녀는 억압받는 공동체를 위해 과거의 잘못에 대한 인식을 불러일으키고자 하며, 인간, 동물, 식물, 하늘, 지구 간의 단결과 분리의 부재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활동한다.[42] 하조는 식민주의가 아메리카 원주민 여성들을 억압하도록 만들었다고 보고, 남녀 간의 더 많은 정치적 평등을 장려한다.[43]
3. 2. 문학적 특징
조이 하조는 시, 책, 희곡 등 다양한 장르에서 많은 작품을 썼다. 그녀의 작품은 자아 정체성, 예술, 사회 정의와 같은 주제를 자주 다룬다.[27]하조는 이러한 문제들을 묘사하기 위해 구술 역사 기법을 사용하며, "글로 쓰인 텍스트는 [그녀에게] 고정된 구술성"이라고 믿는다.[28] 그녀는 이야기, 노래, 목소리 억양을 사용하여 청중의 주의를 사로잡는 등 구술 전통을 이어가는 방법을 사용한다. 시를 읽을 때, 그녀는 "[그녀는] 이미지조차 아닌 소리에서 시작한다"고 말하는데, 이는 그녀의 공연에서 드러나는 구술 전통을 보여준다.[29]
하조는 자신의 시에서 주류 문화에 반대하여 머스코기/크릭 배경과 영성을 탐구한다. 그녀의 작품은 아메리카 원주민의 토지 권리와 "그녀의 사람들"의 실종의 심각성을 다루면서, 아메리카 원주민 역사를 지워버린 이전의 서사를 거부한다.[40]
하조의 많은 작품은 크릭족의 가치, 신화, 믿음을 반영한다.[40][41] 그녀는 아메리카 원주민 공동체뿐만 아니라 억압받는 공동체를 위해 과거의 잘못에 대한 인식을 불러일으키고자 한다. 원주민 권리와 페미니즘에 대한 그녀의 활동은 인간, 동물, 식물, 하늘, 지구 간의 단결과 분리의 부재에 대한 믿음에서 비롯된다.[42] 하조는 모든 생명체 간의 연결을 이해할 때 가장 인간적이 된다고 믿으며, 식민주의가 아메리카 원주민 여성들이 공동체 내에서 억압받도록 이끌었다고 보고, 남녀 간의 더 많은 정치적 평등을 장려한다.[43]
현대 미국 시에 대해 하조는 "나는 미국을 표현하는 많은 문화를 통해 시를 만드는 세대의 존재를 보고 듣는다... 시는 항상... 국가의 상태를... 반영한다. 테렌스 헤이즈의 미국 소네트는 선거 이후의 사랑의 시로 입지를 굳힌다. 레일리 롱 솔저의 시는 라코타 역사의 현장에서 나타나 수 세기가 쌓이고 새로운 노래를 만드는 것을 통해 피를 흘린다. 신성하고 세속적인 것들이 얽히고 셔윈 비츠위의 시에서 네 개의 성스러운 산이 지키는 땅에 스며든다."라고 말했다.[44]
4. 주요 작품
하조는 음악가로서 자작곡과 다른 아메리카 원주민 예술가들의 곡이 수록된 7개의 CD를 발매했다.[35] 1998년 솔로 앨범 ''진정한 네이티브 조이''와 2003년 음성 시 앨범 ''20세기의 끝에서 온 편지''를 발매했으며, 2008년 앨범 ''은하수를 통과하며. 나는 나의 적들을 위해 기도한다''로 네이티브 아메리칸 음악상(NAMMY) 올해의 여성 아티스트상을 수상했다. 2021년에 발매된 ''나는 나의 적들을 위해 기도한다''는 그녀의 일곱 번째이자 최신 앨범이다.[36]
색소폰과 플루트를 연주하는 하조는 솔로로 공연하거나 "애로우 다이내믹스 밴드"라는 즉석 밴드와 함께 공연한다. 유럽, 남아메리카, 인도, 아프리카뿐만 아니라 밴쿠버 민속 음악 축제, 1996년 애틀랜타 하계 올림픽 문화 올림피아드, 2010년 밴쿠버 올림픽, DEF 시 잼, 워싱턴 D.C.의 미국 의회 도서관 등 북미의 다양한 무대에서 공연했다.[31] 40세에 색소폰을 연주하기 시작했다.[37]
4. 1. 시집
조이 하조는 1975년 아홉 편의 시로 구성된 첫 번째 작품집인 『마지막 노래』(The Last Song)를 출판했다.[30] 이후 그녀는 다음의 시집들을 펴냈다.[31]제목 | 출판사 | 출판년도 | ISBN |
---|---|---|---|
마지막 노래(The Last Song) | Puerto Del Sol | 1975 | 해당없음 |
What Moon Drove Me to This? | I. Reed Books | 1979 | 978-0-918408-16-7 |
Remember | Strawberry Press | 1981 | 해당없음 |
She Had Some Horses | Thunder's Mouth Press | 1983 | 978-1-56025-119-4 (2008년 W. W. Norton & Company에서 재출간, 978-0-393-33421-0) |
Secrets from the Center of the World | University of Arizona Press | 1989 | 978-0-8165-1113-6 |
미친 사랑과 전쟁(In Mad Love and War) | Wesleyan University Press | 1990 | 978-0-8195-1182-9 |
Fishing | Ox Head Press | 1992 | 해당없음 |
The Woman Who Fell From the Sky | W. W. Norton & Company | 1994 | 978-0-393-03715-9 |
A Map to the Next World | W. W. Norton & Company | 2000 | 978-0-393-04790-5 |
How We Became Human New and Selected Poems: 1975–2001 | W. W. Norton & Company | 2004 | 978-0-393-32534-8 |
성스러운 존재를 위한 갈등 해결(Conflict Resolution for Holy Beings: Poems) | W. W. Norton & Company | 2015 | 978-0-393-24850-0 |
미국 선라이즈(An American Sunrise: Poems) | W. W. Norton & Company | 2019 | 978-1-324-00386-1 |
진홍빛 빛 속에서 해질녘 엮기(Weaving Sundown in a Scarlet Light: Fifty Poems for Fifty Years) | W. W. Norton & Company | 2023 | 978-1-324-03648-7 |
『미친 사랑과 전쟁』(1990)은 미국 도서상과 델모어 슈워츠 기념상을 수상했다.[31] 『성스러운 존재를 위한 갈등 해결』(2015)은 그리핀 시 문학상 후보에 올랐고 미국 도서관 협회에서 올해의 주목할 만한 도서로 선정되었다.[31] 『미국 선라이즈』(2019)는 2020년 오클라호마 도서상을 수상했다.[31] 가장 최근 시집은 『진홍빛 빛 속에서 해질녘 엮기: 50년 동안의 50편의 시』(2022)이다.[31]
4. 2. 산문집
조이 하조는 다음 산문집들을 출간했다.- Crazy Brave: A Memoir|미친 용기: 회고록영어 (2012)
- Poet Warrior|시인 전사영어 (2021)
- Catching the Light|빛을 잡다영어 (2022)
4. 3. 기타
하조는 음악가로서 7개의 CD를 발매했으며, 여기에는 자작곡과 다른 아메리카 원주민 예술가들의 곡이 수록되어 있다.[35] 1998년 솔로 앨범 ''진정한 네이티브 조이''와 2003년 음성 시 앨범 ''20세기의 끝에서 온 편지''를 발매한 이후, 2008년 앨범 ''은하수를 통과하며. 나는 나의 적들을 위해 기도한다''로 네이티브 아메리칸 음악상(NAMMY) 올해의 여성 아티스트상을 수상하는 등 수많은 상과 인정을 받았다. 2021년에 발매된 ''나는 나의 적들을 위해 기도한다''는 그녀의 일곱 번째이자 최신 앨범이다.[36]
하조는 색소폰과 플루트를 연주하며, 솔로로 공연하거나 "애로우 다이내믹스 밴드"라는 즉석 밴드와 함께 공연하기도 한다. 그녀는 유럽, 남아메리카, 인도, 아프리카뿐만 아니라 밴쿠버 민속 음악 축제, 1996년 애틀랜타 하계 올림픽 문화 올림피아드, 2010년 밴쿠버 올림픽, DEF 시 잼, 워싱턴 D.C.의 미국 의회 도서관 등 북미의 다양한 무대에서 공연했다.[31]
40세에 색소폰을 연주하기 시작한 하조는 시를 읽을 때 색소폰을 연주하여 음악을 더하고, 다른 방식으로 청취자들의 마음에 닿을 수 있다고 믿는다. 그녀는 시를 읽을 때 목소리에 음악적인 톤을 더해, 모든 시에서 노래를 창조한다.[37]
5. 수상 경력
연도 | 상 이름 | 주최 | 작품 | 비고 |
---|---|---|---|---|
1976 | 키바 클럽 니조니 데이즈 미술 쇼 드로잉 부문 1, 2등상 | 뉴멕시코 대학교 | ||
1977 | 작가 포럼 | 콜로라도 대학교 콜로라도 스프링스 | ||
1978 | 미국의 뛰어난 젊은 여성 | |||
창작 문학 펠로우십 | 미국 예술 기금 | |||
1980 | 산타페 예술 축제 시 부문 1위 | |||
1984 | 미국 올해의 젊은 여성 | |||
1987 | 뉴멕시코 음악상 | |||
미국 원주민 문학 및 언어 예술 분야 NEH 하계 지원금 | 애리조나 대학교 | |||
1989 | 시 부문 펠로우십 | 애리조나 예술 위원회 | ||
1990 | 미국 원주민 예술 공로상 | |||
1991 | 델모어 슈워츠 기념 상 | 뉴욕 대학교 | 미친 사랑과 전쟁 속에서 | |
오클랜드 PEN, 조세핀 마일스 시 상 | ||||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상 | 미국 시 협회 | |||
아메리칸 북 어워드 | 비포 콜럼버스 재단 | 미친 사랑과 전쟁 속에서 | ||
1992 | 명예 박사 학위 | 베네딕토 수도원 대학교 | ||
1993 | 우드 로우 윌슨 펠로우십 | 그린 마운틴 칼리지 | ||
1994 | 위터 바이너 시 펠로우십 | |||
1995 | 평생 공로상 | 미 대륙 원주민 작가 협회[17] | ||
오클라호마 도서상 | 하늘에서 떨어진 여자 | |||
1996 | 브라보 상 | 앨버커키 예술 연합 | ||
1997 | 올해의 음악가 | 워드크래프트 서클 오브 네이티브 작가 및 스토리텔러 | 시적 정의 | |
뉴멕시코 주지사 예술 공로상 | ||||
1998 | 명예 박사 학위 | 세인트 메리 인 더 우즈 칼리지 | ||
릴라 월리스-리더스 다이제스트 펀드 작가상 | 비영리 단체 아틀라틀과 함께 원주민 사회에 문학 자료 제공 | |||
오클라호마 도서상 최종 후보 | 적의 언어 재창조 | |||
창작 지원 펠로우십 | 미국 국립 예술 기금 | |||
북미 인권 연구상 | 마이어스 센터 | 글로리아 버드와 함께 적의 언어 재창조 | ||
2001 | 올해의 작가/어린이 도서 부문 | 워드크래프트 서클 오브 네이티브 라이터스 앤 스토리텔러스 | 《행운의 고양이》 | |
2002 | PEN/비욘드 마진스 상 | 『A Map to the Next World: Poetry and Tales』[18] | ||
이글 스피릿 공로상 | 아메리칸 인디언 영화제 | |||
최우수 뮤직 비디오("이글 송") 후보 | 아메리칸 인디언 영화제 | |||
펜/뵐커 시 문학상 후보 | 《다음 세계로 가는 지도》 | |||
2003 | 오클라호마 도서상 시 부문 | 《우리가 인간이 된 방법: 신작 및 선정시 1975–2001》 | ||
평생 공로상 | 오클라호마 도서 센터 | 《우리가 인간이 된 방법: 신작 및 선정시 1975–2001》 | ||
마운틴 앤 플레인스 북셀러스상 | ||||
2003-2004 | 올해의 작가 | 워드크래프트 서클 오브 네이티브 라이터스 앤 스토리텔러스 | 《A 러브 수프림》 | |
2004 | 올해의 스토리텔러 | 워드크래프트 서클 오브 네이티브 라이터스 앤 스토리텔러스 | ||
2005 | 올해의 작가, 각본 부문 | 워드크래프트 서클 오브 네이티브 라이터스 앤 스토리텔러스 | 《천 개의 길》 | |
2005 | 프레미오 프론테리조상 | 보더스 페스티벌 | ||
2008 | 네이티브 컨템포러리 송 부문 | 네이티브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 ||
2009 | 네이티브 컨템포러리 송 및 최우수 월드 뮤직 송 부문 | 네이티브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 ||
올해의 여성 아티스트 | 네이티브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NAMMY) | |||
라스무슨 펠로우상 | 미국 예술가 | |||
이글 스피릿 공로상 | ||||
2011 | 최우수 현대 기악 부문 | 인디언 서머 뮤직 어워드 | Red Dreams, A Trail Beyond Tears의 "Rainbow Gratitude" | |
무스코크 여성 리더십 어워드 | ||||
최우수 플루트 앨범 후보 | 원주민 음악상 | |||
2012 | 무스코크 크릭 네이션 명예의 전당 헌액 | |||
2013 | 아메리칸 북 어워드 | 콜럼버스 재단 이전 | Crazy Brave | |
창작 논픽션 부문 | PEN USA 문학상 | Crazy Brave | ||
2014 | 블랙 어스 연구소 상 | |||
존 사이먼 구겐하임 기념 재단 펠로우십 | ||||
오클라호마 작가 명예의 전당 헌액 | ||||
2015 | 시 부문 윌리스 스티븐스 상 | 미국 시인 아카데미 이사회 | ||
주목할 만한 도서 | 미국 도서관 협회 | 성스러운 존재들을 위한 갈등 해결 | ||
2016 | 성스러운 존재들을 위한 갈등 해결 | 그리핀 시상 | 최종 후보 | |
2017 | 루스 릴리 시상 | |||
2018-2021 | 털사 아티스트 펠로우십 | |||
2019 | 잭슨 상 | 시인 & 작가 | ||
문학상 | 부족 기록 보관소, 도서관 및 박물관 협회 | |||
올해의 털사인 | TulsaWorld | |||
미국 계관 시인 | ||||
총장 | 미국 시인 아카데미 | |||
2020 | 오클라호마 도서상 | 미국 새벽 | ||
명예 박사 학위 | 미국 원주민 예술 연구소 | |||
회원 임명 |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 |||
2021 | 국제 매트릭스 상 | 여성 커뮤니케이션 협회 | ||
평생 공로상 사이디 상 | 여성 커뮤니케이션 협회 털사 전문 지부 | |||
명예 박사 학위 | SUNY 버팔로 | |||
UNC 애슈빌 | ||||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 ||||
스미스 칼리지 | ||||
PEN 오클랜드 조세핀 마일스 상 | 세상의 빛이 약해졌을 때 우리 노래가 울려 퍼졌다 | |||
제31회 웨스트 도서상 시 부문 | 세상의 빛이 약해졌을 때 우리 노래가 울려 퍼졌다 | |||
전미 여성 명예의 전당 헌액 | ||||
2021 | 아메리카 원주민 명예의 전당 헌액 | |||
2021 | 제14대 오클라호마 문화 보물로 지정 | 제44회 오클라호마 주지사 예술상 | ||
2021 | 선출 회원 | 미국 철학회 | ||
2021 | 선출 회원, 문학부 | 미국 예술 문학 아카데미 | ||
2021 | 시 수록 | NASA 우주선 LUCY 명판 | 목성 트로이 소행성군 정찰 우주선 | |
2022 | 안나 C. 로스 유산상 | YWCA 피너클 어워드 | ||
명예 박사 학위 | 테네시 대학교 녹스빌 | |||
오클라호마 명예의 전당 헌액 | ||||
리더십 상 | 미국 시인 아카데미 | |||
전미 예술상, 평생 공로상 | 미국 예술가 연맹 | |||
제32회 웨스트 도서상 비소설 부문 | 시인 전사 | |||
2022 | 초대 레지던스 아티스트 | 오클라호마주 털사 밥 딜런 센터 | ||
2023 | 아이반 샌드로프 평생 공로상 | 전미 도서 비평가 협회 | ||
볼린겐 상 미국 시 부문 | 예일 대학교 | 진홍빛 빛 속으로 해질녘을 엮다와 미국 시에 대한 평생 공로와 기여 | ||
2023 | 하퍼 리 상 | |||
2024 | 루민 평생 공로상 | 오클라호마 대학교 게일로드 저널리즘 및 대중 커뮤니케이션 대학 | ||
명예 문학박사 |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 |||
2024 | 헤밍웨이 특별 강연 |
6.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조이 하조는 미국의 정치 및 원주민 문제에 대해 글을 쓰고 연설하며, 머스코기 네이션의 일원으로서 "원주민의 목소리"로 시를 쓴다.[38] 그녀의 시는 제국주의와 식민주의가 여성에게 가하는 폭력을 탐구한다.[39]
하조는 자신의 시에서 머스코기/크릭 배경과 영성을 탐구하며 주류 문화에 반대한다. 그녀의 작품은 아메리카 원주민의 토지 권리와 "그녀의 사람들"의 실종 문제를 다루며, 아메리카 원주민 역사를 지우려는 서사를 거부한다.[40]
하조의 작품은 크릭의 가치, 신화, 믿음을 반영하며,[40][41] 억압받는 공동체를 위해 과거의 잘못에 대한 인식을 불러일으킨다. 그녀는 인간, 동물, 식물, 하늘, 지구 간의 단결과 분리의 부재를 믿으며, 모든 생명체 간의 연결을 이해할 때 가장 인간적이 된다고 믿는다.[42] 하조는 식민주의가 아메리카 원주민 여성들을 억압했고, 남녀 간의 더 많은 정치적 평등을 장려한다.[43]
현대 미국 시에 대해 하조는 "미국을 표현하는 많은 문화를 통해 시를 만드는 세대의 존재"를 언급하며, "시는 항상 국가의 상태를 반영한다"고 말한다. 테렌스 헤이즈, 레일리 롱 솔저, 셔윈 비츠위와 같은 시인들을 언급하며, 미국은 식민주의 이전부터 다문화적이었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말한다.[44]
7. 평가
연도 | 내용 |
---|---|
2022 | 오클라호마주 털사 밥 딜런 센터 초대 레지던스 아티스트 |
2021 | 미국 예술 문학 아카데미, 문학부 선출 회원 |
2021 | 미국 철학회, 선출 회원 |
2020 |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임명 |
2019 | 미국 시인 아카데미 총장, 회원 임명 |
2021년 가을 | 목성 트로이 소행성군을 최초로 정찰하는 NASA 우주선 LUCY의 명판에 시 수록 |
2018-2021 | 털사 아티스트 펠로우십 |
조이 하조는 아래 기관으로부터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연도 | 기관 |
---|---|
1992 | Benedictine College|베네딕토회 대학교영어 (캔자스) |
1998 | Saint Mary-in-the-Woods College|세인트 메리-인-더-우즈 칼리지영어 |
2020 | 미국 인디언 예술 연구소 |
2021 | 스미스 칼리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UNC Asheville|UNC 애슈빌영어, University at Buffalo|뉴욕 주립 대학교 버팔로영어 |
2022 | 테네시 대학교 녹스빌 |
참조
[1]
웹사이트
Story Map Cascade
https://www.loc.gov/[...]
[2]
웹사이트
About Joy Harjo
https://poets.org/po[...]
Academy of American Poets
2020-03-02
[3]
웹사이트
Joy Harjo
https://voicesofokla[...]
Voices of Oklahoma
2023-08-10
[4]
뉴스
Wynema Jewell Pickett
https://obituaries.c[...]
The Claremore Daily Progress
2011-10-13
[5]
웹사이트
Harjo, Joy 1951–
https://www.okhistor[...]
[6]
웹사이트
Biography: Joy Harjo
https://www.womenshi[...]
2023-10-19
[7]
웹사이트
Meet Joy Harjo, The 1st Native American U.S. Poet Laureate
https://www.npr.org/[...]
2019-06-21
[8]
웹사이트
Joy Harjo: Feminist, Indigenous, Poetic Voice
https://www.thoughtc[...]
2017-03-18
[9]
웹사이트
Joy Harjo Biography
https://www.womenshi[...]
[10]
웹사이트
'Harjo, Joy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1-10-11
[11]
웹사이트
Interview with Poet Joy Harjo
https://www.southwes[...]
2019-01-30
[12]
웹사이트
A Poet's Words From the Heart of Her Heritage
https://www.latimes.[...]
1989-02-10
[13]
웹사이트
Librarian of Congress Names Joy Harjo the Nation's 23rd Poet Laureate
https://www.writersw[...]
[14]
웹사이트
Harjo, Joy 1951–
https://www.okhistor[...]
[15]
AV media
"Firekeeper's Daughter: A Celebration of Indigenous Literature with Angeline Boulley & Louise Erdich"
https://www.youtube.[...]
National Congress of American Indians
2021-06-02
[16]
웹사이트
Joy Harjo
https://poets.org/po[...]
2019-06-21
[17]
웹사이트
Lifetime Achievement Awards from the Native Writers Circle of America
http://www.hanksvill[...]
Karen M. Strom
2015-05-01
[18]
웹사이트
PEN Open Book Award Winners
https://pen.org/pen-[...]
2020-03-02
[19]
뉴스
New Group Is Formed to Sponsor Native Arts
https://www.nytimes.[...]
2015-05-01
[20]
웹사이트
NACF National Leadership Council Members
http://www.nativeart[...]
2014-05-14
[21]
웹사이트
Current News, American Indian Studies Program,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http://www.ais.illin[...]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2012-09-29
[22]
웹사이트
The Creative Writing Program Welcomes Joy Harjo to the Faculty as a Professor & Chair of Excellence {{!}} Department of English
https://english.utk.[...]
2020-03-02
[23]
웹사이트
Executive Leadership
https://www.nativear[...]
2023-03-11
[24]
뉴스
Joy Harjo Becomes The First Native American U.S. Poet Laureate
https://www.npr.org/[...]
NPR
2019-06-19
[25]
웹사이트
Joy Harjo will serve a rare third term as U.S. poet laureate
https://www.pbs.org/[...]
2020-11-19
[26]
문서
“Joy Harjo Official Site.” Joy Harjo, https://www.joyharjo.com/.
https://www.joyharjo[...]
[27]
간행물
'Review: Harjo, Joy. How We Became Human: New and Selected Poems.'
2002-06-15
[28]
간행물
'Review: Joy Harjo. Crazy Brave: A Memoir.'
2014
[29]
간행물
Joy Harjo: Overview.
1994
[30]
웹사이트
Joy Harjo
https://www.poetryfo[...]
2016-11-18
[31]
웹사이트
Joy Harjo Official Site
https://www.joyharjo[...]
2021-11-24
[32]
웹사이트
Joy Harjo
https://www.loc.gov/[...]
2021-11-24
[33]
뉴스
Joy Harjo's 'Crazy Brave' Path To Finding Her Voice
https://www.npr.org/[...]
2021-12-06
[34]
웹사이트
Joy Harjo Biography
https://www.womenshi[...]
2021-12-06
[35]
웹사이트
About Joy Harjo
http://joyharjo.com/[...]
[36]
웹사이트
First Native American Poet Laureate, Joy Harjo releases new album "I Pray For My Enemies" – Skope Entertainment Inc
https://skopemag.com[...]
2021-05-02
[37]
간행물
About Joy Harjo
2005
[38]
간행물
Joy Harjo: Overview
1994
[39]
서적
Mark My Words: Native Women Mapping Our Nation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3
[40]
간행물
"Tending to the past": The Historical Poetics of Joy Harjo and Natasha Trethewey
2014
[41]
웹사이트
Joy Harjo
https://www.poetryfo[...]
2017-04-18
[42]
서적
Activism and the American Novel: Religion and Resistance in Fiction by Women of Color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2012-08-29
[43]
간행물
Indigenous Women and Feminism: Politics, Activism, Culture
2013
[44]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Joy Harjo, U.S. Poet Laureate
https://poets.org/te[...]
2019-06-19
[45]
서적
Writing the Southwest
https://books.google[...]
Plume Books
[46]
웹사이트
Joy Harjo: An Interview
https://www.pw.org/c[...]
1993-07-01
[47]
서적
Poet Warrior: A Memoir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2021-09-07
[48]
웹사이트
LUCKY HEART by Joy Harjo (Joy Harjo-Sapulpa) December 27, 2017
http://www.nativeame[...]
[49]
웹사이트
Group Blog Home
https://knoxvilletn.[...]
[50]
웹사이트
About Joy Harjo {{!}} Academy of American Poets
https://poets.org/po[...]
[51]
웹사이트
Creek Nation will induct four into new Hall of Fame
https://www.pressrea[...]
2012-10-06
[52]
웹사이트
Challenge Bowl 2023
https://www.muscogee[...]
[53]
웹사이트
Before Columbus Foundation – Nonprofit educational and service organization dedicated to the promotion and dissemination of contemporary American multicultural literature since 1976. Host of the annual American Book Awards.
http://www.beforecol[...]
[54]
웹사이트
Association of Writers & Writing Programs
https://www.awpwrite[...]
[55]
웹사이트
Joy Harjo – 2014 John Simon Guggenheim Memorial Foundation Fellow
http://www.gf.org/fe[...]
[56]
웹사이트
Wallace Stevens Award
https://www.poets.or[...]
[57]
웹사이트
Griffin Poetry Prize: 2016 Shortlist
https://www.griffinp[...]
[58]
뉴스
Joy Harjo Awarded 2017 Ruth Lilly Poetry Prize and $100,000
https://newsmaven.io[...]
2017-05-09
[59]
웹사이트
JOY HARJO WINS JACKSON POETRY PRIZE
https://www.pw.org/a[...]
2019-04-24
[60]
웹사이트
2019 International Conference of Indigenous Archives, Libraries, and Museums {{!}} ATALM
https://www.atalm.or[...]
[61]
뉴스
Joy Harjo Is Named U.S. Poet Laureate
https://www.nytimes.[...]
2019-06-19
[62]
웹사이트
2020 Oklahoma Book Awards – OK Dept. of Libraries
https://libraries.ok[...]
[63]
웹사이트
Native Nations Poetry Anthology Wins PEN Oakland Award {{!}} Department of English
https://www.english.[...]
[64]
웹사이트
Winners 2020-2029 – Reading the West
https://readingthewe[...]
[65]
웹사이트
Michelle Obama, Mia Hamm chosen for Women's Hall of Fame
https://www.inquirer[...]
2021-03-08
[66]
웹사이트
Inductees - NNAHOF
https://nativehallof[...]
[67]
웹사이트
Joy Harjo, Kristin Chenoweth honored at Oklahoma Governor's Arts Awards
https://www.oklahoma[...]
[68]
웹사이트
NATIONAL BOOK CRITICS CIRCLE ANNOUNCES FINALISTS FOR PUBLISHING YEAR 2022
https://www.bookcrit[...]
2023-02-01
[69]
웹사이트
Gaylord College Announces 2024 Lumine Lifetime Achievement Award Recipient Joy Harjo
https://www.ou.edu/g[...]
2024-02-07
[70]
웹사이트
Joy Harjo will be awarded DLitt on Tuesday 11 June 2024 during the morning graduation ceremony.
https://graduation.w[...]
University of St Andrews
2024-06-11
[71]
웹사이트
Hemingway Distinguished Lecture
https://www.wikidata[...]
2024-07-07
[72]
웹사이트
2024 Distinguished Lecturer: Joy Harjo
https://comlib.org/p[...]
The Community Library
2024-07-31
[73]
웹사이트
2021 Newly Elected Members –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Letters
https://artsandlette[...]
2021-11-24
[74]
웹사이트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Welcomes New Members for 2021
https://www.amphilso[...]
2021-11-24
[75]
웹사이트
Joy Harjo
https://www.amacad.o[...]
2021-11-24
[76]
웹사이트
Joy Harjo and Natasha Trethewey Named Academy of American Poets Chancellors {{!}} poets.org
https://poets.org/ac[...]
2021-11-24
[77]
웹사이트
The Lucy Plaque - Lucy Mission
http://lucy.swri.edu[...]
2021-11-24
[78]
웹사이트
Letter From The End of the Twentieth Century - album by Joy Harjo
https://www.joyharjo[...]
2019-11-06
[79]
웹사이트
Native Joy For Real an album by Joy Harjo
https://www.joyharjo[...]
2019-11-06
[80]
웹사이트
She Had Some Horses
https://www.joyharjo[...]
2019-11-06
[81]
웹사이트
Winding Through The Milky Way an album by Joy Harjo
https://www.joyharjo[...]
2019-11-06
[82]
웹사이트
Red Dreams, Trail Beyond Tears an album by Joy Harjo
https://www.joyharjo[...]
2019-11-06
[83]
웹사이트
I Pray For My Enemies
https://www.joyharjo[...]
2021-10-26
[84]
웹사이트
This America
https://www.joyharjo[...]
2021-10-26
[85]
웹인용
About Joy Harjo {{!}} Academy of American Poets
https://poets.org/po[...]
2020-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