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정보 통신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합 정보 통신망(ISDN)은 음성, 데이터, 영상을 단일 회선으로 처리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로, 1970년대부터 1980년대에 걸쳐 기본 개념이 발표되고 표준화 과정을 거쳤다. ISDN은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BRI)와 1차군 속도 인터페이스(PRI)를 제공하며, B 채널과 D 채널을 통해 음성 및 데이터 전송, 신호 및 제어를 수행한다. 한국에서는 1990년대 초 상용화되었으나,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으로 쇠퇴하여 현재는 일부 분야에서 백업 회선 등으로 활용된다. 독일, 일본 등 각국에서도 ISDN 서비스가 제공되었으나, ADSL, 광섬유 인터넷 등 대체 기술의 등장으로 인해 점차 서비스가 중단되거나 축소되었다. ISDN은 전화, 화상 회의, 방송, 백업 회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트워크 접속 - 네트워크 접속 지점
네트워크 접속 지점(NAP)은 미국에서 ISP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 연결점 중 하나이며, 미국 과학재단이 지원하여 설립되었고, 현재는 공용 교환 설비를 제공하지만 인터넷 트래픽의 대부분은 NAP를 거치지 않고 처리된다. - 네트워크 접속 - 음향 결합기
음향 결합기는 전화 수화기를 모뎀에 물리적으로 결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로, 과거 통신 규제 시대에 널리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특수한 용도로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 전화 - 무선 전화
무선 전화는 음성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통신 기술로, AM, FM 등 다양한 변조 방식을 사용하며 해상 통신에 널리 쓰였으나 위성 통신 발달로 중요성이 감소하고 디지털 시스템으로 대체되는 추세 속에서 규제 및 사회적 논란도 있다. - 전화 - 국제전화
국제전화는 국가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이며, 국제 통신망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다양한 서비스 방식과 국제전화 번호 체계를 가지며, 과거에는 관련 문제들이 발생하기도 했다. - 통신 - 무선 통신
무선 통신은 전선 없이 전자기파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마르코니의 무선 전신 실험 성공 이후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으며,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 잡았다. - 통신 - 메이데이
메이데이는 심각한 위험에 처한 선박, 항공기 등이 즉각적인 구조를 요청할 때 사용하는 국제적인 구조 신호로, 1923년 프레더릭 스탠리 맥포드가 프랑스어 "m'aidez"에서 착안하여 고안되었으며, 허위 호출은 범죄로 간주된다.
종합 정보 통신망 | |
---|---|
개요 | |
명칭 | 종합 정보 통신망 |
로마자 표기 | Jonghap Jeongbo Tongsinmang |
영어 명칭 |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
약칭 | ISDN |
유형 | 디지털 전화 표준 모음 |
개발 및 표준화 | |
시작 연도 | 1980년 |
최초 발표 | 1988년 |
표준화 기관 | ITU-T |
관련 표준 | 기존 전화 서비스 다이얼업 인터넷 접속 |
후속 기술 | 광대역 통신망 DSL FTTx |
기술적 특징 | |
주요 특징 | 디지털 통신망 다양한 서비스 통합 지원 (음성, 데이터, 영상) 채널 기반 통신 |
관련 기술 | SDN |
네트워크 계층 | 링크 계층 |
기타 | |
참고 문헌 | Dr. rer. nat. Peter Bocker, "ISDN The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Concepts, Methods, Systems." |
참고 논문 | IEEE Journal on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s, "CCITT Recommendations on the ISDN: A Review" (Decina, Scace, May 1986) |
2. 역사
종합 정보 통신망(ISDN)은 음성과 데이터를 디지털 형태로 전송하는 통신망으로, 기존 아날로그 전화망에 비해 향상된 품질과 속도를 제공한다. 1970년대 후반, 벨 연구소는 기존 구리 전화선을 활용하여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마지막 마일" 솔루션 개발에 착수했다.
1978년경, 벨 연구소의 랄프 와인드럼, 배리 보시크, 조 레클라이더는 고객 측 회선이 약 4~5마일 거리에서 약 160 kbit/s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64 kbit/s 음성 통화 품질 회선 두 개와 별도의 16 kbit/s 데이터 회선 하나를 전송하기에 충분한 수준이었다.[31]
당시 단일 꼬임선 회선만 사용 가능했던 고객 환경으로 인해, 별도의 상향 및 하향 연결을 사용하는 T1 솔루션은 보편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웠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에코 제거 기술이 제안되었고, 존 시오피 등의 노력으로 채택되었다.[31]
인코딩 방식에 있어서는, 새로운 표준이 국제 표준이 되어야 했기에 여러 지역 디지털 표준을 통합하는 과정이 필요했다. 1984년 벨 시스템 해체로 미국의 개발 중심지가 미국표준협회(ANSI) T1D1.3 위원회로 이전되었고, 토마스 스타가 이 작업을 이끌었다. ANSI는 영국전신전화(British Telecom)의 피터 아담스가 제안한 2B1Q 표준을 선택했다. 이 표준은 80 kHz 기본 주파수에서 보드당 2비트를 인코딩하여 160 kbit/s 기본 속도를 제공했다.[32]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는 유럽 경제 공동체 전역에서 ISDN을 자유화하고 규제하고자 했다.[3] 유럽 공동체 이사회는 1986년 12월 CEPT의 틀 안에서 ISDN의 조정된 도입을 위해 이사회 권고안 [https://eur-lex.europa.eu/eli/reco/1986/659 86/659/EEC]을 채택했다.[4] 유럽전기통신표준연구소(ETSI)는 1988년 CEPT에 의해 설립되어 관련 표준 개발을 주도했다.
하지만 1990년대 초, ADSL 기술이 등장하면서 ISDN은 최종 마일 연결 솔루션으로서의 지위를 빠르게 잃었다. 현재 ISDN은 화상 회의 시스템 등 일부 틈새 시장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2. 1. 디지털 회선의 등장
1881년 꼬임선 구리선이 전화 통신에 도입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20세기 전반에 걸쳐 자동 교환 기술이 발전하였고, 2차 세계 대전 이후 전화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회선 연결 문제가 중요해졌다. 벨 연구소는 음성 디지털 부호화 연구를 통해 음성 회선에 대한 표준으로 64 kbit/s(일부 시스템에서는 56 kbit/s)를 사용하게 되었다.[31] 1962년에는 T1 시스템을 도입하여 1.544 Mbit/s의 데이터를 전송했다. T1은 교차 마크 반전(AMI)이라는 단순한 인코딩 방식을 사용했는데, 이는 회선의 이론적 용량의 몇 퍼센트에 불과했지만 1960년대 전자공학에는 적절했다.[31]1970년대 후반, 기존 고객 회선을 활용한 디지털화, 즉 "마지막 마일" 솔루션 개발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상위 링크가 광섬유 회선 도입 이후 훨씬 더 높은 성능의 시스템으로 점점 집계되었기 때문에, 전체 전화 네트워크에서 기존 고객 회선 연결이 99% 이상을 차지하게 되었다. 시스템을 완전 디지털로 전환하려면 수 마일 길이에 품질이 다양할 수 있는 기존 고객 회선에 적합한 새로운 표준이 필요했다.[31]
2. 2. 표준화 과정
1978년경, 벨 연구소의 랄프 와인드럼, 배리 보시크, 조 레클라이더는 고객 측 회선이 약 4~5마일 거리에서 약 160 kbit/s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단계 솔루션 개발을 시작했다. 이는 64 kbit/s의 음성 통화 품질 회선 두 개와 별도의 16 kbit/s 데이터 회선 하나를 전송하기에 충분한 수준이었다.[31]당시 주요 문제는 고객이 수화기 위치까지 단일 꼬임선 회선만 가질 수 있다는 점이었는데, 이는 별도의 상향 및 하향 연결을 사용하는 T1 솔루션을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만들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에코 제거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초기에는 높은 대역폭으로 인해 적용이 쉽지 않다는 논쟁이 있었다. 결국 존 시오피 등의 노력으로 에코 제거 방식이 채택되었다.[31]
인코딩 방식에 대한 논쟁도 있었는데, 새로운 표준이 국제 표준이 되어야 했기 때문에 여러 지역 디지털 표준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었다. 1984년 벨 시스템 해체로 인해 미국의 개발 중심지가 미국표준협회(ANSI) T1D1.3 위원회로 이전되었고, 토마스 스타가 이 작업을 이끌었다. 결국 ANSI는 영국전신전화(British Telecom)의 피터 아담스가 제안한 2B1Q 표준을 선택했다. 이 표준은 80 kHz 기본 주파수에서 보드당 2비트를 인코딩하여 160 kbit/s 기본 속도를 제공했다.[32]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는 유럽 경제 공동체 전역에서 ISDN을 자유화하고 규제하고자 했다.[3] 유럽 공동체 이사회는 1986년 12월 CEPT의 틀 안에서 ISDN의 조정된 도입을 위해 이사회 권고안 [https://eur-lex.europa.eu/eli/reco/1986/659 86/659/EEC]을 채택했다.[4] 유럽전기통신표준연구소(ETSI)는 1988년 CEPT에 의해 설립되었고, 이후 관련 표준 개발을 주도했다.
2. 3. 상용화 및 쇠퇴
ISDN은 초기 높은 기대와는 달리 지역별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1990년대 초, ADSL 기술이 등장하면서 ISDN은 최종 마일 연결 솔루션으로서의 지위를 빠르게 잃었다. 현재 ISDN은 화상 회의 시스템 등 일부 틈새 시장에서만 사용되고 있다.미국에서는 시장의 여러 변화로 인해 ISDN 도입이 미온적이었다. 긴 표준화 과정 동안 새로운 개념들이 등장하면서 ISDN 시스템은 대체로 불필요한 것이 되었다. 사무실에서는 메리디언 노스타(Meridian Norstar)와 같은 다회선 디지털 교환기가 전화 회선을 대체했고, 이더넷(Ethernet)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은 사무실 내 컴퓨터 간 연결의 기준이 된 10 Mbit/s 정도의 성능을 제공했다. ISDN은 음성 통화 부문에서 실질적인 이점을 제공하지 못했고, 데이터 전송 부문에서는 경쟁력이 훨씬 떨어졌다. 게다가 모뎀은 계속해서 개선되어 1980년대 후반에는 9600 bit/s 시스템, 1991년에는 14.4 kbit/s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가정 고객을 위한 ISDN의 가치 제안은 상당히 훼손되었다.[41]
반대로 유럽에서는 규제 지원, 인프라 요구 사항, 당시 비슷한 고속 통신 기술의 부재로 인해 ISDN이 성공적으로 배치되었다. 이 기술은 통신의 "마지막 1마일"을 디지털화하여 기존 아날로그 시스템에 비해 음성, 데이터 및 비디오 전송의 품질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능력으로 널리 채택되었다.
1990년대 초의 연구는 결국 1995년에 등장한 ADSL 개념으로 이어졌다. 알카텔(Alcatel)은 다른 많은 회사들이 여전히 ISDN에 매달려 있는 동안 ADSL에 뛰어들었다. 알카텔은 10년 이상 ADSL 시스템의 주요 공급업체로 남아있었다.
ADSL은 최종 마일 연결에 대한 고객 대상 솔루션으로 ISDN을 빠르게 대체했다. ISDN은 고객 측에서는 대부분 사라졌으며, 전용 화상 회의 시스템 및 유사한 레거시 시스템과 같은 틈새 역할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개발 및 시험 서비스가 진행되었으나, 저렴한 상시 접속 정액 요금의 IP 가입자 회선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일반 가정용 상용 서비스화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미국에서는 ISDN(128kbps)이 2000년경까지 광대역(브로드밴드)의 정의에 포함되었으나,[41] ADSL과 케이블 모뎀의 등장으로 미국 의회와 FCC 보고서 등에서는 375kbps 이상을 광대역으로 정의하는 것이 많아졌다.[41]
2001년 당시 ISDN 회선은 시장 점유율 35%를 차지했지만, 그 점유율은 급속히 하락하고 ADSL과 SDSL이 보급되었다.[41]
3. ISDN의 구성
ISDN은 데이터, 음성, 화상, 팩스 등을 단일 회선으로 제공하며, 여러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통신 서비스이다. 이전 기술과 달리 통합된 스위칭 및 전송을 제공한다.[5]
일본의 기본 속도 TCM-ISDN은 유럽 및 아시아의 Euro-ISDN과 가입자 회선 인터페이스가 달라 호환되지 않는다. 1차군 속도 가입자 회선 인터페이스도 지역에 따라 다르다. DSU를 제외한 부분은 소프트웨어 변경만으로 각국 대응이 가능한 기기가 많다.
기본 인터페이스 NT의 단말측(S점·T점)은 4선식 버스 배선으로, 최대 8대의 단말 연결이 가능한 포인트-멀티포인트 구성이다. 종류는 다음과 같다.
- 단거리 수동 버스 배선: 최대 케이블 길이 200m 이하, 임의 장소에 모듈러 잭 설치 가능.
- 연장 수동 버스 배선: 최대 케이블 길이 500m 이하, 말단에 모듈러 잭 집중 설치.
모듈러 잭은 버스 배선에 직접 또는 스터브(1m 이내)를 거쳐 부착하며, 단말까지 코드는 10m 이내(포인트-포인트 구성은 25m)로 제한된다.
1차군 속도 인터페이스 NT의 단말측(S점·T점)은 4선식 배선으로, 1대만 연결 가능한 포인트-포인트 구성이다.
전송된 신호는 회선 종단 장치(NT1)에서 S점 인터페이스로 변환되어 라우터, G4 팩스 등 S점 인터페이스 장비(TE1)에 접속된다. 사내교환기(NT2)를 통해 내선 통신도 가능하다.
TE1 | --S점-- | NT2 | --T점-- | NT1 | --(LI)U점-- | 가입자선 |
S점 인터페이스가 복잡하여, 터미널 어댑터(TA)를 통해 아날로그 전화기·팩시밀리(TE2), LAN, 컴퓨터 등을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터미널 어댑터는 정전 보상을 위해 건전지가 필요하다.
TE2 | --R점-- | TA | --S점-- | NT2 | --T점-- | NT1 | --(LI)U점-- | 가입자선 |
NT2와 TA 기능을 가진 터미널 어댑터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TE2 | --R점-- | TA + NT2 | --T점-- | NT1 | --(LI)U점-- | 가입자선 |
NT1, NT2, TA 기능을 모두 갖춘 터미널 어댑터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TE2 | --R점-- | TA + NT2 + NT1 | --(LI)U점-- | 가입자선 |
- (LI) U점: 전송로 인터페이스 규정점 (NT1의 모듈러 잭 또는 광 커넥터).
- T점: ISDN 사용자망 인터페이스 규정점 (NT1의 모듈러 잭).
- S점: NT2의 모듈러 잭.
- R점: TE의 전화용 모듈러 잭.
3. 1. 접속 방식
ISDN은 기본 전송률 인터페이스(BRI)와 주요 속도 인터페이스(Primary Rate Interface, PRI)의 두 가지 주요 접속 방식을 제공한다.[34]기본 접속 인터페이스(BRI)는 각각 64 kbit/s 대역폭을 가진 두 개의 B 채널과 16 kbit/s 대역폭을 가진 하나의 D 채널로 구성된다. 이 세 개의 채널은 2B+D로 지칭될 수 있다. BRI-ISDN은 유럽에서 매우 인기가 있지만 북미에서는 훨씬 덜 일반적이다. 일본에서는 INS64로 알려져 널리 사용된다.[7][8]
주 접속 인터페이스(PRI)는 유럽에서는 주 접속(PRA, primary rate access)이라고도 하며, 더 많은 수의 B 채널과 64 kbit/s 대역폭의 D 채널을 포함한다. PRI의 B 채널 수는 국가에 따라 다르다. 북미와 일본에서는 1.544 Mbit/s( T1)의 집계 비트 전송률을 가진 23B+1D이며, 유럽, 인도, 호주에서는 2.048 Mbit/s(E1)의 집계 비트 전송률을 가진 30B+2D이다.[9]
광대역 통합 서비스 디지털 네트워크(BISDN, Broadb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은 또 다른 ISDN 구현 방식이며, 동시에 여러 유형의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주로 네트워크 백본 내에서 사용되며 비동기 전송 모드(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을 사용한다.
ISDN BRI 회선의 B 채널을 본딩하여 총 128 kbit/s의 이중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넷 연결을 사용하는 동안 음성 통화에는 사용할 수 없다. 여러 BRI의 B 채널을 본딩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용도는 384K 화상 회의 채널이다.
8-제로 대체 바이폴라 인코딩 기술을 사용하여 호출 데이터는 데이터(B)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신호(D) 채널은 호출 설정 및 관리에 사용된다. 호출이 설정되면 양 끝 단 사이에 단순한 64 kbit/s 동기식 양방향 데이터 채널(실제로는 각 방향으로 하나씩 두 개의 단방향 채널로 구현됨)이 호출이 종료될 때까지 지속된다. 동일한 또는 다른 끝점으로 베어러 채널 수만큼 많은 호출이 있을 수 있다. 베어러 채널은 B 채널 본딩이라는 프로세스를 통해 또는 다중 링크 PPP "번들링"을 사용하거나 PRI의 H0, H11 또는 H12 채널을 사용하여 더 높은 대역폭의 단일 채널로 다중화될 수도 있다.
D 채널은 X.25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고 X.25 패킷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X.31에 지정되어 있다. 실제로 X.31은 영국, 프랑스, 일본, 독일에서만 상업적으로 구현되었다.
기본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정한다.
- U 인터페이스: 교환기와 일반적으로 북미 이외의 네트워크에서 경계점인 네트워크 종단 장치(NTU) 간의 2선식 인터페이스이다.
- T 인터페이스: 컴퓨팅 장치와 모뎀의 디지털 등가물인 터미널 어댑터 간의 직렬 인터페이스이다.
- S 인터페이스: ISDN 소비자 장치가 연결되는 4선식 버스이다. S 및 T 참조점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종단 1(NT1)에서 'S/T'로 표시된 단일 인터페이스로 구현된다.
- R 인터페이스: 비 ISDN 장치와 터미널 어댑터(TA) 사이의 지점을 정의하며, 이러한 장치와의 변환을 제공한다.

3. 2. 채널 구성
ISDN은 B 채널과 D 채널, 두 가지 유형의 채널을 사용한다.[5] B 채널은 데이터(음성 포함) 전송에 사용되며, D 채널은 신호 및 제어에 사용된다 (데이터 전송에도 사용 가능).[5]채널 종류 | 설명 | 대역폭 |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 |
---|---|---|---|
B 채널 | 데이터 전송용 | 64 kbps (2개 채널) | LAPD |
D 채널 | 신호 및 제어용 (패킷 데이터 통신에도 사용 가능) | 16 kbps, 64 kbps | PPP, HDLC |
B 채널을 묶어 더 높은 대역폭을 제공하는 H 채널도 정의되어 있다.[5]
채널 종류 | 설명 |
---|---|
H01 채널 | B 채널 6개 묶음 |
H11 채널 | B 채널 24개 묶음 |
H12 채널 | B 채널 30개 묶음 |
ISDN에는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BRI)와 일차군 속도 인터페이스, 두 종류가 있다.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BRI, Basic Rate Interface)는 64 kbit/s 대역폭을 가진 B 채널 두 개와 16 kbit/s 대역폭을 가진 D 채널 하나로 구성된다.[44] 2B+D로 표기할 수 있다.[44]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는 SOHO, 개인, 백업 회선으로 사용된다.
가입자 회선 전송 방식으로는 아날로그 전화 회선과 같은 2심 꼬임선 케이블통신 회선이 자주 사용된다. 전화국에 설치된 전화 교환기에서 DSU 동작과 음성 통화에 필요한 최소한의 전원이 공급된다. 전송 방식은 지역 및 전기통신사업자에 따라 다르다.
3. 3. 참조점
ISDN 표준에서는 통신 사업자와 최종 사용자 장비 사이의 특정 지점을 나타내는 여러 개의 참조점이 정의되어 있다.- R: 비 ISDN 단말 장비(''단말 장비 2'', TE2)와 이러한 장비와의 변환을 제공하는 ''단말 어댑터(TA)'' 사이의 지점.
- S: ISDN 단말 장비(''단말 장비 1'', TE1) 또는 TA와 ''네트워크 종단 장치 2''(NT2) 장치 사이의 지점.
- T: NT2와 네트워크 종단 장치 1(NT1) 장치 사이의 지점.
대부분의 NT-1 장치는 NT2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으므로, S 및 T 참조점은 일반적으로 S/T 참조점으로 통합된다.[43]
북미에서는 NT1 장치가 고객 구내 장비(CPE)로 간주되며 고객이 유지 관리해야 하므로 U 인터페이스가 고객에게 제공된다. 다른 지역에서는 NT1 장치를 통신 사업자가 유지 관리하며 S/T 인터페이스가 고객에게 제공된다. 인도에서는 서비스 제공업체가 U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서비스 제공의 일환으로 서비스 제공업체가 NT1을 공급할 수도 있다.[44]
기본 인터페이스는 기본 전송률 인터페이스(BRI)이며, 다음과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정한다.
- U 인터페이스: 교환기와 네트워크 종단 장치(NTU) 간의 2선식 인터페이스.
- T 인터페이스: 컴퓨팅 장치와 터미널 어댑터 간의 직렬 인터페이스.
- S 인터페이스: ISDN 소비자 장치가 연결되는 4선식 버스. S 및 T 참조점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종단 1(NT1)에서 'S/T'로 표시된 단일 인터페이스로 구현됨.
- R 인터페이스: 비 ISDN 장치와 터미널 어댑터(TA) 사이의 지점.
일본의 경우, U점, T점, S점, R점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LI) U점: 전송로 인터페이스 규정점 -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의 경우 NT1의 RJ-11 6극 모듈러 잭 또는 나사 체결 부분, 일차군 속도 인터페이스의 경우 NT1의 광 커넥터 부분.
- T점: ISDN 사용자망 인터페이스 규정점 -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의 경우 NT1의 RJ-45 8극 모듈러 잭 또는 나사 체결 부분, 일차군 속도 인터페이스의 경우 NT1의 나사 체결 부분.
- S점: NT2의 RJ-45 8극 모듈러 잭 또는 나사 체결 부분.
- R점: TE의 전화용 6극 모듈러 잭 부분.
단말 장치와 전기통신 회선 설비의 최초 연결 지점이 분계점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의 경우 보안기 또는 주배선반의 단말측 나사 체결 부분이며, 1차군 속도 인터페이스의 경우 배선반의 광 커넥터 부분이다.
3. 4. 장비 구성
ISDN 장비 구성은 다음과 같다.- (LI) U점: 전송로 인터페이스 규정점이다.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의 경우 NT1의 RJ-11 6극 모듈러 잭 또는 나사 체결 부분, 일차군 속도 인터페이스의 경우 NT1의 광 커넥터 부분이다.
- T점: ISDN 사용자망 인터페이스 규정점이다.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의 경우 NT1의 RJ-45 8극 모듈러 잭 또는 나사 체결 부분, 일차군 속도 인터페이스의 경우 NT1의 나사 체결 부분이다.
- S점: NT2의 RJ-45 8극 모듈러 잭 또는 나사 체결 부분이다.
- R점: TE의 전화용 6극 모듈러 잭 부분이다.
기본 인터페이스 NT의 단말측(S점·T점)은 종단된 4선식 버스 배선이며, 포인트-멀티포인트 구성이라 불리는 방식은 1개당 최대 8대의 단말 연결이 가능하다.
기본 인터페이스에는 다음 2가지 종류가 있다.
- 단거리 수동 버스 배선: 최대 케이블 길이가 200m 이하의 배선이며, 임의의 장소에 단말 접속용 모듈러 잭을 설치할 수 있다.
- 연장 수동 버스 배선: 최대 케이블 길이가 500m 이하의 배선이며, 말단부 근처에 집중하여 단말 접속용 모듈러 잭을 설치할 수 있다.
단말 접속용 모듈러 잭은 버스 배선에 직접 부착하거나, 길이 1m 이내의 스터브를 거쳐 부착한다. 모듈러 잭에서 단말까지의 코드는 원칙적으로 10m 이내로 제한되지만, 포인트-포인트 구성인 경우에 한해 25m까지 연장할 수 있다.
1차군 속도 인터페이스 NT의 단말측(S점·T점)은 4선식 배선이며, 포인트-포인트 구성은 1개당 1대만의 단말 연결이 가능하다.
전송로에서 전송된 신호를 회선 종단 장치(NT1)에서 S점 인터페이스로 변환하여, 초고속 전송이 가능한 라우터·G4 팩스 등의 S점 인터페이스 장비(TE1)를 접속한다. 또한, 사내교환기(NT2) 등을 사용하여 내선 통신 등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TE1|--S점--|NT2|--T점--|NT1|--(LI)U점--가입자선
S점 인터페이스가 복잡하기 때문에 실제로 S점 인터페이스를 갖춘 단말기(G4 팩스나 ISDN 대응 전화기)는 적고, 터미널 어댑터(TA)로 변환하여 기존의 아날로그 전화기·팩시밀리(TE2)나 LAN·컴퓨터 기기를 연결하여 이용하는 형태가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터미널 어댑터는 ISDN 회선으로부터의 전원 공급만으로는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건전지 등으로 정전 보상을 하는 것이 있다.
|TE2|--R점--|TA|--S점--|NT2|--T점--|NT1|--(LI)U점--가입자선
NT2와 TA의 기능을 가진 터미널 어댑터의 경우
|TE2|--R점--|TA + NT2|--T점--|NT1|--(LI)U점--가입자선
NT1, NT2, TA의 기능을 모두 갖춘 터미널 어댑터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TE2|--R점--|TA + NT2 + NT1|--(LI)U점--가입자선
4. 한국의 ISDN
1990년대 초의 연구는 1995년에 등장한 ADSL 개념으로 이어졌다. 알카텔(Alcatel)은 ADSL의 초기 지지자였으며, 다른 회사들이 ISDN에 매달리는 동안 ADSL에 뛰어들었다. 크리시 프라부는 "알카텔은 수익을 내기 전에 ADSL에 10억 달러를 투자해야 하지만, 그만한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알카텔은 전화국에서 사용되는 대형 다중 모뎀 시스템인 최초의 DSL 접속 다중화기(DSLAM)를 도입했고, 나중에는 톰슨 브랜드로 고객용 ADSL 모뎀을 출시했다. 알카텔은 10년 이상 ADSL 시스템의 주요 공급업체였다.
ADSL은 최종 마일 연결에 대한 고객 대상 솔루션으로 ISDN을 빠르게 대체했다. ISDN은 고객 측에서는 대부분 사라졌으며, 전용 화상 회의 시스템 및 유사한 레거시 시스템과 같은 틈새 역할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5. 각국의 ISDN 현황
- '''독일:''' ISDN이 매우 인기가 많았으며, 2003년 기준으로 2,500만 회선(독일 전체 가입자 회선의 29%, 전 세계 ISDN 회선의 20%)이 설치되었다.[15] 도이치텔레콤(DTAG)은 BRI와 PRI를 모두 제공했다. 경쟁 통신 회사들은 종종 ISDN만 제공하고 아날로그 회선은 제공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자들은 일반적으로 POTS 장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료 하드웨어와 통합된 종단 장치를 제공했다. ADSL 서비스의 광범위한 보급으로 인해 ISDN은 주로 음성 및 팩스 트래픽에 사용되었다. 2010년경부터 대부분의 독일 통신 사업자들은 DSL 회선을 기반으로 VoIP를 점점 더 많이 제공하기 시작했고 ISDN 회선 제공을 중단했다. 2018년부터 독일에서는 새로운 ISDN 회선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었으며, 기존 ISDN 회선은 2016년부터 단계적으로 폐지되었고 기존 고객들은 DSL 기반 VoIP 제품으로 전환하도록 권장되었다. 도이치텔레콤은 2018년까지 단계적으로 폐지할 계획이었지만,[20] 2020년으로 연기했고, 보다폰과 같은 다른 사업자들은 2022년까지 단계적 폐지를 완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일본:''' 1988년 4월 19일, NTT는 INS Net 64 및 INS Net 1500이라는 상표명의 전국적인 ISDN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22] 2000년부터 NTT의 ISDN 서비스는 FLET's ISDN으로 알려졌으며, NTT가 모든 ISP 서비스에 사용하는 "FLET's" 브랜드를 포함하고 있다. ADSL, 케이블 인터넷, 광섬유 인터넷 등의 대체 기술이 인기를 얻으면서 ISDN 가입자 수가 감소했다. 2010년 11월 2일, NTT는 2020년경부터 2025년경까지 PSTN에서 IP 네트워크로 백엔드를 이전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 이전으로 인해 ISDN 서비스는 중단될 예정이며, 대안으로 광섬유 서비스가 권장된다.[23]
- '''미국:''' ISDN-BRI는 일반적인 전화 접속 기술로 인기를 얻지 못하고 틈새 시장 제품으로 남았다. ISDN은 "It Still Does Nothing"(아직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Innovations Subscribers Don't Need"(가입자에게 필요 없는 혁신) 등 부정적인 두문자어로 알려져 왔다.[27][28] 광대역 인터넷의 정의에 사용된 최소 대역폭은 64 kbit/s에서 1.0 Mbit/s까지 다양하지만, 2006년 OECD 보고서는 일반적으로 광대역을 다운로드 데이터 전송 속도가 256 kbit/s 이상인 것으로 정의한다.[30] ADSL과 같은 대안이 인기를 얻으면서 BRI에 대한 소비자 시장은 발전하지 못했다. 2013년 베라이즌(Verizon)은 미국 북동부에서 ISDN 서비스 주문을 더 이상 받지 않겠다고 발표했다.[34]
2005년 인구 1,000명당 ISDN 회선 비율은 다음과 같다.[15]
6. 활용 분야
ISDN은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활용되었다.
- 전화 산업: ISDN은 전화망의 핵심 기술로 사용되었다. 전화 회사 교환기 사이의 신호는 SS7을 통해 전달된다. ISDN은 메시지를 빠르게 전송하여 통화 연결 시간을 단축하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사기 행위를 줄였다.[10]
- 화상 회의: ISDN은 1990년대의 패킷 교환 네트워크보다 낮은 지연 시간과 더 나은 신뢰성을 제공하는 직접적인 종단 간 연결을 제공하여 화상 회의 시스템에 널리 활용되었다. H.320 표준은 ISDN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으며, G.711(PCM) 및 G.728(CELP)과 같은 오디오 코덱과 이산 코사인 변환(DCT) 비디오 코덱인 H.261 및 H.263을 포함한다.[11][12]
- 방송 산업: ISDN은 저지연, 고품질, 장거리 오디오 회선을 전환하는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로 방송 산업에서 널리 사용된다. ISDN BRI는 스테레오 양방향 오디오를 전송하거나, 단일 채널을 사용하여 저지연 모노 오디오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BBC 라디오 3는 라이브 원격 방송을 위해 여러 ISDN BRI를 사용한다. ISDN 서비스는 원격 스튜디오, 경기장 및 원격 방송을 주요 방송 스튜디오에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위성을 통한 ISDN은 전 세계 현장 기자들이 사용한다.[13]
- 백업 회선: 기업의 사내 및 인터넷 연결을 위한 백업 회선으로 활용되었다.[14]
참조
[1]
서적
ISDN The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Concepts, Methods, Systems.
Springer Berlin Heidelberg
[2]
논문
CCITT Recommendations on the ISDN: A Review
1986-05-01
[3]
논문
Telecommunications Law and Policy in the European Community
https://ir.lawnet.fo[...]
2022-10-18
[4]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22-10-18
[5]
논문
Pragmatic Introduction of Digital Switching and Transmission in Existing Networks
1979-07-01
[6]
웹사이트
What is ISDN?
https://web.archive.[...]
Southwestern Bell
2013-04-06
[7]
웹사이트
What Is Basic Rate Interface?
http://www.wisegeek.[...]
2013-04-06
[8]
웹사이트
ISDN\SwitchType
http://msdn.microsof[...]
Microsoft
2013-04-06
[9]
서적
Digital Telephony
https://archive.org/[...]
Wiley Interscience
2000-01-01
[10]
논문
Future trends
AT&T Bell Laboratories
1986-03-01
[11]
뉴스
The H.320 Recommendation Overview
https://www.eetimes.[...]
2019-11-07
[12]
서적
IEEE WESCANEX 97: communications, power, and computing : conference proceedings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997-05-22
[13]
웹사이트
IPDTL, Source-Connect vs Skype for voice over talent
https://web.archive.[...]
McCoy Productions
2014-02-05
[14]
웹사이트
BRI ISDN Backup With Backup Interface
https://www.cisco.co[...]
2020-03-04
[15]
간행물
Studie
http://www.bmbf.de/p[...]
BMBF
[16]
웹사이트
ISDN ON BUSINESSLINE® COMPLETE
https://web.archive.[...]
2015-03-15
[17]
웹사이트
ISDN Product Cease Sale and longer-term exit
https://enterprise-s[...]
2016-09-21
[18]
웹사이트
Warning: Final countdown to Telstra ISDN network shutdown
https://www.mobileco[...]
2022-05-31
[19]
웹사이트
Arcor will ab Sommer Fernsehen per Internet anbieten
http://www.teltarif.[...]
2007-01-24
[20]
웹사이트
Deutsche Telekom - 100% IP by 2018
https://www.youtube.[...]
2014-03-16
[21]
논문
e-Seva: Enabling Bill Payment Without Queues
https://archive.toda[...]
[22]
웹사이트
Kitahama
http://denwakyoku.jp[...]
[23]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10-11-02
[24]
웹사이트
Our history in Norway - Telenor Group
https://www.telenor.[...]
[25]
웹사이트
The Big Switch Off
http://www.tmc-telec[...]
[26]
article
ISDN: A Solution in Search of a Problem
http://www.japaninc.[...]
1995-09-01
[27]
서적
The Irwin Handbook of Telecommunications
https://books.google[...]
McGraw-Hill Professional
2005-10-26
[28]
서적
The Call Center Dictionary: The Complete Guide to Call Center & Customer Support Technology Solutions
https://books.google[...]
Focal Press
2002-01-03
[29]
서적
Telecompetition: The Free Market Road to the Information Highway
https://books.google[...]
[30]
보고서
Broadband Statistics
http://www.oecd.org/[...]
OECD
[31]
간행물
Statement of Chairman
https://web.archive.[...]
FCC
[32]
뉴스
FCC redefines "broadband" to mean 768 kbit/s, "fast" to mean "kinda slow"
https://www.engadget[...]
2008-03-19
[33]
간행물
Internet Access service offerings
https://web.archive.[...]
CenturyTel
[34]
뉴스
Verizon: No Longer Taking Orders for ISDN Service in Northeast Starting May 18
https://web.archive.[...]
2013-03-28
[35]
설명
[36]
웹사이트
인터넷워킹 용어·약어집
http://www.cisco.com[...]
시스코시스템즈
[37]
논문
개발이야기 ISDN의 표준화
2011-01-00
[38]
일반
[39]
일반
[40]
법률
전기통신사업법 제71조
https://laws.e-gov.g[...]
[41]
웹사이트
IT포럼
https://www.nttcom.c[...]
NTTコムウェア
[42]
저널
CCITT Recommendations on the ISDN: A Review
1986-05-00
[43]
웹인용
Verizon: No Longer Taking Orders for ISDN Service in Northeast Starting May 18
http://www.talkers.c[...]
2013-03-28
[44]
웹인용
What is ISDN?
http://public.swbell[...]
Southwestern Be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