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경제 공동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럽 경제 공동체(EEC)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설립된 국제 기구이다. 1957년 로마 조약 체결로 설립되었으며,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CSC)를 기반으로 초국가주의와 국제법에 따라 경제 통합을 추진했다. EEC는 관세 동맹, 공동 농업 정책, 경쟁 정책 등을 통해 단일 시장을 목표로 했으며, 이후 유럽 연합(EU)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EEC는 유럽 이사회, 유럽 집행위원회, 유럽 의회, 유럽 사법 재판소 등의 기구를 통해 운영되었으며, 2009년 리스본 조약 발효로 유럽 연합에 통합되어 소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없어진 국제 기구 - 경제상호원조회의
경제상호원조회의는 소련이 마셜 플랜에 대응하여 1949년 설립한 사회주의 국가 경제 협력 기구로, 소련의 영향력, 경제적 불균형, 비효율적 계획경제로 목표 달성에 실패하고 1991년 해체되었다. - 없어진 국제 기구 -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는 1951년 파리 조약을 통해 설립되어 석탄과 철강의 공동 시장을 창설하고, 초국가주의 원칙으로 경제 성장과 회원국 간의 전쟁 방지를 목표로 했다. - 유럽 연합의 역사 - 유럽 공동체
유럽 공동체는 유럽 경제 공동체, 유럽 원자력 공동체,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를 통합한 기구로, 경제 통합, 관세 동맹, 공동 시장 창설을 목표로 하였으나, 마스트리흐트 조약 이후 유럽 연합의 핵심 구성 요소가 되었다가 리스본 조약으로 유럽 연합에 흡수·통합되었다. - 유럽 연합의 역사 - 공동 외교 안보 정책
공동 외교 안보 정책은 유럽 연합의 외교 및 안보 정책을 조정하고 실행하는 체제로, 유럽 연합의 가치와 이익 보호, 국제 협력 증진, 평화와 안보 강화를 목표로 하며, 유럽 연합 이사회, 외교이사회 등 주요 구성 요소를 통해 공동 행동과 공동 입장을 실행하고 공동 안보 및 방위 정책과 연관된다. - 2009년 폐지 -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일제강점기 친일반민족행위 진상 규명을 위해 2005년 발족하여 2009년까지 활동한 국무총리 소속 위원회이며, 친일 행위자를 선정, 조사하고 관련 사료를 편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 2009년 폐지 - 신설동
신설동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 위치한 지역으로, 조선시대 ‘신설계’에서 유래되어 갑오개혁 이후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으며,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2009년 용두동과 통합, 신설동역과 서울풍물시장 등의 명소가 있다.
유럽 경제 공동체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유럽 경제 공동체/유럽 공동체 |
다른 언어 표기 | 덴마크어: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 그리스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
약칭 | EEC/EC |
지위 | 경제 동맹 |
시대 | 냉전 |
현재 | 유럽 연합 영국 |
기관 소재지 | 브뤼셀 룩셈부르크 시 스트라스부르² |
최대 도시 | 런던 |
공용어 | 덴마크어 네덜란드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그리스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
국가 | "환희의 송가" |
통화 | EUA/ECU (회계) 벨기에 프랑 덴마크 크로네 프랑스 프랑 독일 마르크 그리스 드라크마 아일랜드 파운드 이탈리아 리라 룩셈부르크 프랑 네덜란드 길더 포르투갈 에스쿠도 스페인 페세타 파운드 스털링 |
집행위원장 | 유럽 위원회 위원장 |
초대 위원장 | 발터 할슈타인 |
초대 위원장 임기 | 1958–1967 |
제2대 위원장 | 장 레이 |
제2대 위원장 임기 | 1967–1970 |
제3대 위원장 | 프랑코 마리아 말파티 |
제3대 위원장 임기 | 1970–1972 |
제4대 위원장 | 시코 만숄트 |
제4대 위원장 임기 | 1972–1973 |
제5대 위원장 | 프랑수아-자비에 오르톨리 |
제5대 위원장 임기 | 1973–1977 |
제6대 위원장 | 로이 젠킨스 |
제6대 위원장 임기 | 1977–1981 |
제7대 위원장 | 가스통 토른 |
제7대 위원장 임기 | 1981–1985 |
제8대 위원장 | 자크 들로르 |
제8대 위원장 임기 | 1985–1993 |
입법부 | 각료 이사회 유럽 의회 |
존속 기간 | 1958–1993 |
조약 서명 | 조약 체결 |
조약 서명일 | 1957년 3월 25일 |
설립 | 설립 |
설립일 | 1958년 1월 1일 |
유럽 공동체 | 유럽 공동체 출범 |
유럽 공동체 날짜 | 1967년 7월 1일 |
단일 시장 | 단일 시장 출범 |
단일 시장 날짜 | 1993년 1월 1일 |
해체 | EEC가 유럽 공동체가 됨, EU의 3개 기둥 중 1개 |
해체일 | 1993년 11월 1일 |
폐지 | 기둥 폐지 |
폐지일 | 2009년 12월 1일 |
각주 | ¹ 이 정보 상자는 EEC가 독립 기구였을 때의 정보를 다루고 있다. 1993년 이후 EU 내에서의 운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유럽 연합 및 유럽 공동체 문서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² 사실상, 이 도시들은 주요 기관을 개최했지만 수도로 명명되지는 않았다. |
2. 역사적 배경
1951년 파리 조약 체결로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CSC)가 설립된 이후, 유럽 연방을 목표로 유럽 방위 공동체와 유럽 정치 공동체 설립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공동 의회 (ECSC 의회)에서 유럽 정치 공동체 조약이 작성되는 동안, 프랑스 의회에서 유럽 방위 공동체 안이 거부되었다. 이에 장 모네는 ECSC 의장직에서 사임하고, 정치 통합 대신 경제 통합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공동체 구성을 추진하였다.[6]
1955년 메시나 회의 이후 폴앙리 스파크는 관세 동맹에 대한 보고서(스파크 보고서)를 작성하였고, 이는 1956년 발 뒤셰스 성에서 열린 정부 간 협상의 기초가 되었다.[7] 스파크 보고서는 올린 보고서와 함께 로마 조약의 기초가 되었다.
1956년 폴앙리 스파크는 발 뒤셰스 성에서 열린 공동 시장과 유럽 원자력 공동체(Euratom)에 관한 정부 간 회의를 주재하여 1957년 로마 조약을 준비했다. 이 회의를 통해 1957년 3월 25일 유럽 경제 공동체(EEC)를 설립하는 로마 조약이 체결되었다.
하지만 일부 회원국이 주권 침해를 이유로 반발하면서, EEC와 유럽 원자력 공동체는 기존 공동체에 비해 초국가적인 성격이 약화되었다. EEC는 관세 동맹 설립을, 유럽 원자력 공동체는 원자력 에너지 분야 협력을 목표로 하였다. EEC는 빠르게 세 공동체 중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활동 범위를 넓혀갔다. EEC의 초기 주요 성과로는 1962년 농산물 공통 가격 수준 설정, 1968년 특정 제품 역내 관세 철폐 등이 있다.
1962년 공동 농업 정책을 둘러싼 회원국 간 긴장 고조와 샤를 드골 프랑스 대통령의 '빈 의자' 전술에 따른 룩셈부르크 타협 (1966년)을 통해 국가 이익 관련 사안에 대한 회원국 거부권이 인정되었다.[47][48]
1967년 통합 조약 발효로 ECSC와 유럽 원자력 공동체 기관이 EEC 기관에 통합되었고, 유럽 의회와 유럽 사법 재판소는 세 공동체에서 공유되었다. 이로써 세 공동체는 전체적으로 유럽 공동체(EC)로 불리게 되었다.
2. 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의 상황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은 전쟁의 피해를 극복하고 평화와 번영을 이루기 위한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야 했다. 1951년 4월, 파리 조약이 체결되어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CSC)가 설립되었다. 이는 초국가주의와 국제법에 기반한 국제 공동체로, 유럽 경제를 지원하고 통합을 통해 회원국 간의 미래 전쟁을 예방하기 위해 설계되었다.[6]연방 유럽을 목표로 유럽 방위 공동체와 유럽 정치 공동체라는 두 개의 공동체가 더 제안되었다. 공동 의회 (ECSC 의회)에서 유럽 정치 공동체에 대한 조약이 작성되는 동안, 제안된 유럽 방위 공동체는 프랑스 의회에서 거부되었다. 장 모네는 항의의 표시로 ECSC 의장직에서 사임하고 정치 통합이 아닌 경제 통합을 기반으로 하는 대안적인 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6] 1955년 메시나 회의 이후 폴앙리 스파크는 관세 동맹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는 임무를 맡았다. 스파크 보고서는 스파크 위원회가 1956년 발 뒤셰스 컨퍼런스 센터에서 열린 정부 간 협상의 초석이 되었다.[7]
2. 2. 유럽 통합 운동의 태동
1951년 4월, 파리 조약이 체결되어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CSC)가 설립되었다. 이는 초국가주의와 국제법에 기반한 국제 공동체로, 유럽 경제를 지원하고 통합을 통해 회원국 간의 미래 전쟁을 예방하기 위해 설계되었다.연방 유럽을 목표로 유럽 방위 공동체와 유럽 정치 공동체가 제안되었다. 공동 의회 (ECSC 의회)에서 유럽 정치 공동체 조약이 작성되는 동안, 제안된 방위 공동체는 프랑스 의회에서 거부되었다. ECSC 의장 장 모네는 항의의 표시로 고위 당국에서 사임하고 정치 통합이 아닌 경제 통합을 기반으로 하는 대안적인 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6] 1955년 메시나 회의 이후 폴앙리 스파크는 관세 동맹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는 임무를 맡았다. 소위 스파크 보고서는 스파크 위원회가 1956년 발 뒤셰스 컨퍼런스 센터에서 열린 정부 간 협상의 초석이 되었다.[7]
2. 3.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ECSC) 설립
1951년 4월, 파리 조약이 체결되어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CSC)가 설립되었다. 이는 초국가주의와 국제법에 기반한 국제 공동체로, 유럽 경제를 지원하고 통합을 통해 회원국 간의 미래 전쟁을 예방하기 위해 설계되었다.[6]2. 4. 로마 조약 체결과 EEC 설립
1951년 파리 조약 체결로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CSC)가 설립된 이후, 1957년 로마 조약 체결로 유럽 경제 공동체(EEC)가 설립되면서 유럽 통합 과정이 본격화되었다.1956년 폴앙리 스파크는 발 뒤셰스 성에서 열린 공동 시장과 유럽 원자력 공동체(Euratom)에 관한 정부 간 회의를 주재하여 1957년 로마 조약을 준비했다. 이 회의를 통해 1957년 3월 25일 유럽 경제 공동체(EEC)를 설립하는 로마 조약이 체결되었다.[6][7]
EEC는 관세 동맹을 창설하고, 유럽 원자력 공동체(Euratom)는 원자력 분야에서의 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EEC는 빠르게 가장 중요한 공동체가 되었고 활동을 확장했다. EEC의 첫 번째 중요한 업적 중 하나는 1962년 농산물에 대한 공통 가격 수준을 설정한 것이다. 1968년에는 특정 품목에 대한 내부 관세(회원국 간 무역 관세)가 철폐되었다.[8]
3. 설립과 초기 발전
1951년 4월 파리 조약으로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CSC)가 설립되었다. 이는 유럽 연방을 목표로 유럽 통합을 통해 회원국 간의 미래 전쟁을 예방하기 위해 설계된 초국가적인 국제 공동체였다.
유럽 방위 공동체와 유럽 정치 공동체 설립이 추가로 제안되었으나, 프랑스 의회에서 유럽 방위 공동체 설립안이 거부되면서 무산되었다. 이에 ECSC 의장 장 모네는 항의하며 사임하고, 경제 통합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공동체 설립에 착수했다.[6] 1955년 메시나 회의 이후 폴앙리 스파크는 관세 동맹에 대한 보고서(스파크 보고서) 작성 임무를 맡았고,[7] 이 보고서는 올린 보고서와 함께 로마 조약의 기초가 되었다.
1956년 폴앙리 스파크는 발 뒤셰스 컨퍼런스 센터에서 공동 시장과 유라톰에 관한 정부 간 회의를 주재하여 1957년 로마 조약 체결을 이끌어냈다. 그 결과 유럽 경제 공동체(EEC)와 유럽 원자력 공동체(Euratom)(EURATOM 또는 EAEC)가 설립되었다. 이들은 주권 침해를 우려한 일부 국가들의 반대로 이전 공동체들보다 초국가적 성격이 약했다.[8] 독일은 EEC 창립 회원국이 되었고, 콘라트 아데나워가 지도자가 되었다. 할슈타인 위원회 첫 공식 회의는 1958년 1월 16일 발뒤셰 성에서 열렸다. EEC는 관세 동맹을 창설하고, 유라톰은 원자력 분야 협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8]
EEC의 초기 주요 성과로는 1962년 농산물 공통 가격 수준 설정, 1968년 특정 품목에 대한 내부 관세(회원국 간 무역 관세) 철폐가 있다.
1962년 발효된 공동 농업 정책 재정 제안과 관련, 프랑스 대통령 샤를 드골은 이사회 다수결 투표제 도입에 반대하며 '빈 의자 정책'을 펼쳤다. 프랑스 대표단은 유럽 기관에서 철수했고, 이는 EEC 의사 결정을 마비시켰다. 결국 1966년 1월 29일 룩셈부르크 타협을 통해 회원국들이 국가적 이익에 관한 분야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신사 협정이 체결되면서 위기는 해소되었다.[9][10]
1967년 7월 1일 합병 조약 발효로 ECSC와 Euratom 기관이 EEC 기관과 통합되었고, 의회와 법원을 공유하게 되었다. 이들은 집합적으로 ''유럽 공동체''로 알려졌다.
3. 1. 로마 조약의 주요 내용
1957년 3월 25일에 체결된 로마 조약은 유럽 경제 공동체(EEC)를 설립하고, "평화와 자유를 보존하고 유럽 각국의 국민들 사이에 더욱 긴밀한 연합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설정했다.[28]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표들을 제시했다.- 관세 동맹 수립: 회원국 간 관세를 철폐하고, 외부 세계에 대해서는 공동 관세율을 설정하여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한다. 조약은 관세의 10% 감축과 세계 수입 할당량의 최대 20%를 규정했다.[28]
- 공동 시장 형성: 상품뿐만 아니라 서비스, 자본, 인력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여 경제 통합을 심화한다.
- 공동 정책 수립: 농업, 교통, 무역 등 주요 분야에서 공동 정책을 수립하여 회원국 간 경제 협력을 강화한다. 예를 들어 표준화 (CE 마크) 등이 있다.[28]
- EEC 확장: 유럽 전역으로 EEC를 확장하여 더 많은 국가를 통합 과정에 참여시킨다.
1957년 3월 25일 로마 조약 원문 제2조를 인용하면, EEC는 "경제 활동의 조화로운 발전, 지속적이고 균형 잡힌 확장, 안정성 증대, 생활 수준의 가속적인 향상 및 회원국 간의 더욱 긴밀한 관계"를 목표로 했다. 냉전에 대한 두려움을 감안하여 많은 서유럽인들은 빈곤이 "인구를 공산주의 선전에 취약하게 만들 것"이라는 우려를 했으며, 즉 번영의 증가는 서방과 동방 블록 간의 힘을 조화시키는 것 외에도 제2차 세계 대전 후 프랑스와 독일과 같은 회원국 간의 화해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미였다.
공동체에 맡겨진 과제는 유럽 의회, 이사회, 집행위원회 및 사법 재판소로 나뉘었다. 또한 시장에 대한 제한이 완화되어 회원국 간의 무역이 더욱 자유로워졌다. 회원국 국민(상품, 서비스 및 자본 제외)은 이동의 자유를 누릴 자격이 있었다. 공동 농업 정책(CAP)은 농업 분야를 규제하고 보조했다. 일자리를 잃은 근로자들을 위해 유럽 사회 기금이 시행되었다. 유럽 투자 은행은 "새로운 자원을 개방하여 공동체의 경제적 확장을 촉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1957년 3월 25일 로마 조약 제3조). 이러한 모든 시행에는 해외 영토가 포함되었다. 유럽 소비자에게 제품 가격을 낮추기 위해 경쟁이 유지되어야 했다.
관세 동맹의 경우, 조약은 관세의 10% 감축과 세계 수입 할당량의 최대 20%를 규정했다. 관세 동맹에 대한 진전은 계획된 12년보다 훨씬 빨리 이루어졌다. 그러나 프랑스는 알제리 전쟁으로 인해 일부 좌절을 겪었다.[29]
3. 2. 초기 기관 구성
1957년 로마 조약으로 설립된 유럽 경제 공동체(EEC)는 행정 및 입법 권한을 가진 세 개의 정치 기구와 한 개의 사법 기구를 가졌다. 1975년에는 다섯 번째 기구인 감사원이 설립되었다.[36] 이들 기구(감사원 제외)는 1957년 EEC에 의해 설립되었지만, 1967년부터는 세 공동체 모두에 적용되었다.
일반적으로 이사회, 의회 또는 다른 당사자가 집행위원회에 입법을 요청하면, 집행위원회가 법안 초안을 작성하여 이사회와 의회에 제출한다. 이사회는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의회는 의견을 제시하며, 사용되는 입법 절차에 따라 거부권을 행사할 수도 있었다. 집행위원회는 연합의 일상 운영을 처리하고, 법규 준수를 감시하며, 위반 시 다른 기관을 법원에 제소하는 역할을 담당했다.[36]
1993년 마스트리흐트 조약 이후, 이들 기구는 유럽 연합의 기구가 되었지만, 기둥 구조로 인해 일부 영역에서는 권한이 제한되었다. 그러나 의회는 입법 및 집행위원회에 대한 통제 권한을 강화했다. 사법재판소는 법률에 있어 최고 권위를 가지며 공동체의 법적 분쟁을 해결했고, 감사원은 조사 권한만 가졌다.[36]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CSC)의 기관 중 일부는 유럽 경제 공동체(EEC)와 유럽 원자력 공동체에 계승되었다. 공동 총회와 사법 재판소는 권한이 확장되어 EEC와 유럽 원자력 공동체에도 적용되었다. 그러나 EEC와 유럽 원자력 공동체는 ECSC와 다른 집행 기관을 가졌다. ECSC의 각료 이사회 대신 유럽 경제 공동체 이사회가 설치되었고,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최고 기관 대신 유럽 공동체 집행위원회가 설치되었다.[59]
당시 프랑스 정부는 최고 기관의 초국가적 권한에 불신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정부간주의적 성격을 가진 이사회가 우선되도록 최고 기관의 권한을 억제하려 했다. 따라서 이사회는 공동체 운영에 대한 집행 권한을 강화했다. 1967년 브뤼셀 조약 발효로 ECSC와 유럽 원자력 공동체의 집행 기관이 EEC의 기관에 통합되어, 세 공동체를 운영하는 단일 기관 체제가 구축되었다. 통합 이후 "유럽 공동체(European Communities)"라는 용어가 각 기관의 공식 명칭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유럽 집행위원회의 공식 명칭은 이전의 '유럽 경제 공동체 집행위원회'에서 '유럽 공동체 집행위원회'로 변경되었다.[59][60][61]
3. 3. 초기 성과와 도전 과제
유럽 경제 공동체(EEC)는 1962년 농산물에 대한 공통 가격 수준을 설정하고, 1968년 특정 품목에 대한 회원국 간 내부 관세를 철폐하는 등 초기 성과를 달성했다.[8] 이는 관세 동맹을 목표[8]로 하는 EEC의 중요한 진전이었다.그러나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EEC는 초기부터 여러 도전 과제에 직면해야 했다. 회원국 간의 주권 침해 우려와 할슈타인 위원회의 초국가적 권한에 대한 반발은 EEC 운영에 어려움을 초래했다.[8]
특히, 1962년 공동 농업 정책(CAP) 재정 제안과 관련하여 이사회에서 다수결 투표제가 도입되자, 프랑스 대통령 샤를 드골은 이에 반대하며 '빈 의자 위기'를 일으켰다.[9] 프랑스 대표단은 유럽 기관에서 철수했고, 이는 EEC의 의사 결정을 마비시켰다. 결국 1966년 룩셈부르크 타협을 통해 회원국들이 국가적 이익에 관한 분야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신사 협정이 체결되면서 위기는 해소되었다.[9][10]
4. 확장과 심화
유럽 경제 공동체(EEC)는 회원국을 확장하고 정책 영역을 넓혀가며 발전했다.
1960년대 덴마크, 아일랜드, 영국, 노르웨이가 가입을 신청했지만, 프랑스 대통령 샤를 드 골은 영국의 가입을 트로이 목마에 비유하며 반대하여 보류되었다.[11][12] 1969년 조르주 퐁피두가 프랑스 대통령이 되면서 협상이 재개되었고, 1973년 덴마크, 아일랜드, 영국이 공동체에 가입했다.[14] 노르웨이는 국민투표 결과로 가입하지 않았다.
1962년 공동 농업 정책 시행 과정에서 이사회의 다수결 투표 도입에 반대한 프랑스는 "빈 의자 정책"을 펼쳤다.[9][10] 1966년 룩셈부르크 타협을 통해 회원국들은 국가 이익과 관련된 분야에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9][10]
1967년 합병 조약이 발효되어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CSC)와 유라톰(Euratom)의 기관이 EEC의 기관과 통합되었다.[47][48] 이들은 의회와 법원을 공유하며 ''유럽 공동체''(EC)로 불렸다.
그리스는 1981년,[23]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1986년에 가입했다.[24] 1987년 터키가 가입을 신청하여 현재까지 절차가 진행 중이다.
1986년 단일 유럽 의정서가 체결되어 제도 개혁, 권한 확대, 외교 정책 협력, 단일 시장 구축의 기반을 마련했다.[25] 1993년 마스트리흐트 조약이 발효되어 유럽 연합(EU)이 설립되고 유럽 통화 연합이 추진되었다.
4. 1. 1973년 1차 확장 (영국, 아일랜드, 덴마크)
1960년대에 유럽 경제 공동체(EEC)의 첫 번째 확장이 시도되었다. 1961년 덴마크, 아일랜드, 영국이 가입 신청을 했고, 1962년에는 노르웨이가 가입 신청을 했다.[11] 그러나 당시 프랑스 대통령 샤를 드 골은 영국의 가입을 미국의 영향력을 위한 트로이 목마로 간주하여 반대했다.[12] 그 결과, 이들 국가의 가입 신청은 보류되었다.1967년 5월 11일, 이들 네 국가는 다시 가입 신청을 했다. 1969년 샤를 드 골의 뒤를 이어 조르주 퐁피두가 프랑스 대통령이 되면서 거부권이 해제되었다.[14] 에드워드 히스의 친유럽적인 영국 정부 하에 1970년에 협상이 시작되었는데, 공통 농업 정책과 영국의 영연방과의 관계에 대한 의견 차이를 해결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년 후 가입 조약이 체결되어, 1972년 국민투표에서 가입이 부결된 노르웨이를 제외하고[14] 덴마크, 아일랜드, 영국이 1973년 1월 1일부로 공동체에 정식으로 가입했다.[14]
4. 2. 1980년대 남유럽 확장 (그리스, 스페인, 포르투갈)
1975년 6월 12일, 그리스는 민주주의 체제 복귀를 계기로 공동체 가입을 희망했으며, 1981년 1월 1일 가입이 실현되었다.[53] 스페인과 포르투갈도 1977년에 공동체 가입을 희망하여, 1986년 1월 1일 두 국가가 동시에 가입했다.[54]
4. 3. 단일 유럽 의정서 (1986)
1980년대에는 회원국 간 협력 분야를 확대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었고, 유럽 공동체의 확장 또한 예상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단일유럽의정서가 체결되었다. 1986년 2월 17일 룩셈부르크에서, 그리고 같은 달 28일 헤이그에서 각국 외무장관들이 서명했다.[55] 이 의정서는 1987년 7월 1일에 발효되었다.[55]단일유럽의정서는 제도 개혁, 권한 확장, 외교 정책 협력, 그리고 단일 시장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55] 이는 유럽 연합 조약 관련 작업에 영향을 주었고, 결국 1993년 유럽 연합 (EU) 출범으로 이어졌다.
4. 4. 마스트리흐트 조약 체결 (1992)
유럽 연합 조약에 대한 작업은 단일 유럽 의정서에 이어 진행되었으며, 1991년 12월 10일에 합의되어 그 다음 해에 서명되었다. 1993년 11월 1일에 이 조약이 발효되면서 유럽 연합(EU)이 창설되었고, 유럽 통화 연합으로의 길이 열렸다.EU는 유럽 공동체를 3대 기둥 중 하나로 통합했다. 유럽 경제 공동체(EEC)의 활동 영역은 확대되어 ''유럽 공동체''로 개명되었고, EEC의 초국가적 구조를 따랐다. EEC의 기구들은 EU의 기구가 되었지만, 사법부, 의회, 집행위원회는 새로운 기둥들에 제한된 영향력만 행사했는데, 이는 유럽 공동체보다 더 정부 간 시스템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기구의 명칭에도 반영되었는데, 이사회는 공식적으로 "''유럽 연합'' 이사회"였고, 집행위원회는 공식적으로 "''유럽 공동체'' 집행위원회"였다.
마스트리흐트 조약 이후, 의회는 더욱 공식적인 역할을 맡게 되었다. 마스트리흐트 조약은 공동체 문제에 대해 의회에 이사회와 동등한 입법권을 부여하는 공동 의사결정 절차를 도입했다. 이는 1979년 이소글루코스 결정에 의해 설정된 비공식적인 의회 거부권을 대체했다.[26] 또한 EEC에서 기존의 국가와 같은 단순 다수결 투표를 폐지하고, 국제기구에서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격 있는 다수결 투표로 대체했다.
유럽 공동체 기둥의 제3조에 명시된 권한은 로마 조약 제3조에 명시된 권한보다 많았다. 이는 로마 조약에 이미 내재된 권한, 로마 조약에서 언급된 권한, 로마 조약 제235조에 따라 확대된 권한이 있기 때문이다. 초국가적 네트워크를 포괄하고, 기존 권한을 공유하던 문화위원회와 교육위원회의 업무를 다루기 위해 권한이 추가되었다. 제3조에 새롭게 추가된 유일한 항목은 내부 시장에서의 사람들의 출입 및 이동을 다루는 권한이다.
4. 5. 유럽 연합 내 EEC의 역할
EU는 유럽 경제 공동체(EEC)를 3대 기둥 중 하나로 통합했다. EEC의 활동 영역은 확대되어 '유럽 공동체'로 개명되었고, EEC의 초국가적 구조를 따랐다. EEC의 사법부, 의회, 집행위원회는 EU의 기구가 되었지만, 새로운 기둥들에 제한된 영향력만 행사했는데, 이는 유럽 공동체가 정부 간 시스템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기구의 명칭에도 반영되었는데, 이사회는 공식적으로 "'유럽 연합' 이사회"였고, 집행위원회는 공식적으로 "'유럽 공동체' 집행위원회"였다.[25]암스테르담 조약은 개인의 자유로운 이동(예: 비자, 불법 이민, 난민)에 대한 책임을 사법 및 내무 기둥에서 유럽 공동체로 이관했다(결과적으로 사법 및 내무 기둥은 범죄 사건에 대한 경찰 및 사법 협력(PJCC)으로 개명됨).[27] 암스테르담 조약과 니스 조약은 거의 모든 정책 분야에 공동 의사결정 절차를 확대하여 의회에 이사회와 동등한 권한을 부여했다.
2009년 리스본 조약 발효 후, 기둥 구조는 사라졌다. 유럽 공동체는 그 법인격과 함께, 다른 두 기둥을 통합한 새롭게 통합된 유럽 연합에 흡수되었다(그러나 유라톰은 별도로 남았다).
4. 6. 리스본 조약과 EEC의 소멸 (2009)
2009년 리스본 조약의 발효로 유럽 연합의 3대 기둥 구조는 폐지되었다. 유럽 공동체는 그 법인격과 함께, 다른 두 기둥을 통합한 새롭게 통합된 유럽 연합에 흡수되었다(그러나 유럽 원자력 공동체(Euratom)는 별도로 남았다). 이는 원래 유럽 헌법에 따라 제안되었지만, 해당 조약은 2005년 비준에 실패했다.[45]5. 주요 기구
유럽 경제 공동체(EEC)는 행정 및 입법 권한을 가진 세 개의 정치 기구와 하나의 사법 기구, 그리고 1975년에 설립된 유럽 감사원을 두었다. 유럽 감사원을 제외한 이들 기구는 1957년 EEC 설립과 함께 만들어졌지만, 1967년부터는 세 공동체 모두를 관할했다. 이사회는 회원국 정부를, 유럽 의회는 시민을, 유럽 집행위원회는 유럽의 이익을 대표했다.[36]
이사회, 의회 또는 다른 당사자가 집행위원회에 입법을 요청하면, 집행위원회는 이를 초안으로 작성하여 이사회의 승인과 의회의 의견을 얻기 위해 제출했다(사용되는 유럽 연합 입법 절차에 따라 의회가 거부권을 가지는 경우도 있었다). 집행위원회의 의무는 연합의 일상 운영을 처리하고, 법을 준수하지 않는 다른 기관을 유럽 사법 재판소에 제소함으로써 입법이 이행되도록 보장하는 것이었다.[36] 1993년 마스트리흐트 조약 이후, 이들 기구는 유럽 연합의 기구가 되었지만, 기둥 구조로 인해 일부 영역에서는 권한이 제한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의회는 입법과 집행위원회에 대한 감독 권한을 더 많이 얻었다.
회원국들은 각 기관에 대표를 두었다. 이사회는 각국 정부를 대표하는 각료들로 구성되었다. 각 국가는 유럽 집행위원 한 명을 임명할 권한이 있었지만, 유럽 집행위원회에서는 국가 이익이 아닌 공동체의 이익을 대표해야 했다. 2004년 이전에는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영국과 같은 대형 회원국들은 집행위원 두 명을 두었다. 유럽 의회의 경우, 회원들은 인구에 비례하여 일정 수의 의석을 배정받았지만, 1979년 이후로는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되었고, 국적이 아닌 정치적 성향에 따라 의석을 차지했다. 유럽 사법 재판소를 포함한 대부분의 다른 기관들은 회원들의 국가적 분담을 어떤 형태로든 가지고 있었다.
5. 1. 유럽 이사회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유럽 공동체 이사회는 입법 및 집행 권한을 가진 공동체의 주요 정책 결정 기구였다. 의장국은 6개월마다 회원국 간 순환제로 운영되었다. 이사회는 각 회원국 장관으로 구성되며, 다루는 사안에 따라 회의가 열렸다. 예를 들어, 농업을 논의할 때는 각국 농업 담당 장관이 모여 회의를 개최했다.[62]참석하는 장관은 자국 정부를 대표하며 자국 정치 제도에 대해 책임을 졌다. 투표는 인구에 따라 배분된 득표수에 따른 과반수 결정 또는 만장일치로 이루어졌다. 이처럼 다양한 형태로 출석하는 장관들은 유럽 의회와 입법 및 재정 권한을 공유했다.[62]
이사회는 기본 조약에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1961년부터 회원국 정상들이 개최한 회의인 유럽 이사회와 연계되어 있었다.[62]
5. 2. 유럽 집행위원회 (European Commission)
유럽 공동체 집행위원회는 공동체의 집행부로서, 유럽 연합법을 초안하고, 공동체의 일상 업무를 처리하며, 유럽 연합 조약을 준수하는 역할을 맡았다.[36] 집행위원회는 공동체 전체의 이익을 대표하는 독립적인 기구로 설계되었다. 각 회원국은 한 명의 유럽 집행위원을 임명했으며 (대형 국가는 각각 두 명, 소형 국가는 한 명씩) 집행위원회 위원 중 한 명은 이사회가 임명한 유럽 집행위원회 위원장이었고, 위원회를 주재하고 대표하는 역할을 했다.[59][60][61]유럽 경제 공동체 (EEC)는 ECSC의 기구 중 일부를 계승하여 공동의회와 사법재판소의 권한이 동일한 역할로 EEC와 유라톰으로 확대되었다. 그러나 EEC와 유라톰은 ECSC와는 다른 집행 기구를 가지고 있었다. ECSC의 이사회 대신 유럽 경제 공동체 이사회가 있었고, 고등위원회 대신 유럽 공동체 집행위원회가 있었다.[37][38][39]
당시 프랑스 정부는 고등위원회의 초국가적 권력을 의심하게 되었고, 정부 간 방식의 이사회를 선호하여 그 권한을 축소하려고 했다. 따라서 이사회는 ECSC의 상황보다 EEC 운영에서 더 큰 집행 역할을 맡았다. 1967년 합병 조약에 따라 ECSC와 유라톰의 집행부는 EEC의 집행부와 합병되어 세 개의 별도 공동체를 관할하는 단일 기관 구조를 만들었다. 이후로는 "유럽 공동체"라는 용어가 기관에 사용되었다 (예: "유럽 경제 공동체 집행위원회"에서 "유럽 공동체 집행위원회"로).[37][38][39]
5. 3. 유럽 의회 (European Parliament)
유럽 의회는 공동체에서 이사회와 집행위원회에 대해 자문 역할을 했다.[41] 초기에는 협의 절차만 존재하여 의회의 의견이 종종 무시되기도 했다.[42] 단일 유럽 의정서는 의회에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여, 동의 절차를 통해 제안에 대한 거부권을, 협력 절차를 통해 이사회가 만장일치하지 않을 경우 이사회와 동등한 권한을 부여했다.1970년과 1975년, 예산 조약은 의회에 공동체 예산에 대한 권한을 부여했다. 1980년까지 의원들은 시간제로 의회에서 활동하는 국가 의원들이었다. 로마 조약은 이사회가 투표 방식을 결정한 후 선거를 실시하도록 규정했지만, 이행되지 않아 1979년까지 선거가 연기되었다(1979년 유럽 의회 선거 참조). 이후 의회는 5년마다 선거를 통해 구성되었다. 그 후 20년 동안 의회는 입법 채택에 대한 이사회와의 공동 결정권, 집행위원장과 집행위원회 전체 임명에 대한 승인 또는 거부권, 공동체가 체결한 국제 협정에 대한 승인 또는 거부권을 점진적으로 확보했다.
5. 4. 유럽 사법 재판소 (European Court of Justice)
유럽 공동체 사법 재판소는 공동체 법에 관한 최고 법원으로서, 각 회원국에서 한 명씩의 판사와 그들 중에서 선출된 재판장으로 구성되었다.[37] 그 역할은 공동체 법이 모든 회원국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도록 보장하고, 기관 또는 회원국 간의 법적 분쟁을 해결하는 것이었다.[36] 공동체 법이 국가법보다 우선했기 때문에 강력한 기관이 되었다.5. 5. 유럽 감사원 (European Court of Auditors)
유럽 감사원은 공동체 예산에서 나오는 납세자의 자금이 공동체 기구들에 의해 올바르게 사용되었는지 확인하는 기관이다.[43] 유럽 감사원은 매 회계연도에 대해 의회와 이사회에 감사 보고서(Auditor's report)를 제출하고, 재정 입법 및 사기 방지 조치에 대한 의견과 제안을 제시한다.[43] 유럽 감사원은 1975년에 설립되었으며, 원래 조약에는 언급되지 않은 유일한 기구이다.[43]6. 정책 분야
유럽 경제 공동체(EEC)는 3대 기둥 중 하나로 통합되면서 유럽 공동체(EC)로 이름이 바뀌었고, 활동 영역이 확대되었다. EEC의 기구들은 EU의 기구가 되었지만, 사법부, 의회, 집행위원회는 새로운 기둥들에서는 제한적인 영향력만 행사했다. 이는 유럽 공동체가 EEC보다 더 정부 간 시스템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이다.[26]
유럽 공동체는 초국가적 네트워크를 포괄하고, 문화위원회와 교육위원회의 업무를 다루기 위해 권한을 추가했다. 새롭게 추가된 권한 중 하나는 내부 시장에서의 사람들의 출입 및 이동을 다루는 것이었다.
마스트리흐트 조약 이후, 의회는 공동 의사결정 절차를 통해 공동체 문제에 대해 이사회와 동등한 입법권을 가지게 되었다. 이는 1979년 이소글루코스 결정에 의해 설정된 비공식적인 의회 거부권을 대체한 것이다.[26] 암스테르담 조약은 개인의 자유로운 이동(예: 비자, 불법 이민, 난민)에 대한 책임을 사법 및 내무 기둥에서 유럽 공동체로 이관했다.[27] 암스테르담 조약과 니스 조약은 거의 모든 정책 분야에 공동 의사결정 절차를 확대하여 의회에 이사회와 동등한 권한을 부여했다.
2009년 리스본 조약 발효 후, 기둥 구조는 사라졌다. 유럽 공동체는 법인격과 함께, 다른 두 기둥을 통합한 새롭게 통합된 유럽 연합에 흡수되었다.
유럽 공동체 기둥이 폐지될 당시 다루었던 분야는 다음과 같다.[27]
분야 |
---|
6. 1. 관세 동맹과 공동 시장
1957년 3월 25일 로마 조약 원문 제2조에 따르면, EEC는 "경제 활동의 조화로운 발전, 지속적이고 균형 잡힌 확장, 안정성 증대, 생활 수준의 가속적인 향상 및 회원국 간의 더욱 긴밀한 관계"를 목표로 했다.[28] 많은 서유럽인들은 냉전에 대한 두려움으로 빈곤이 "인구를 공산주의 선전에 취약하게 만들 것"이라고 우려했으며(Meurs 2018, p. 68), 이는 번영의 증가는 서방과 동방 블록 간의 힘을 조화시키는 것 외에도 2차 세계 대전 후 프랑스와 독일과 같은 회원국 간의 화해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미였다.
공동체는 회원국 간 상품, 서비스, 자본, 노동력의 자유로운 이동을 목표로 했다. 또한 시장에 대한 제한을 완화하여 회원국 간 무역을 더욱 자유롭게 했다.
관세 동맹의 경우, 조약은 관세의 10% 감축과 세계 수입 할당량의 최대 20%를 규정했다. 관세 동맹은 계획된 12년보다 훨씬 빨리 이루어졌으나, 프랑스는 알제리와의 전쟁으로 인해 일부 좌절을 겪었다.[29]
설립 조약 전문에 명시된 유럽 경제 공동체(EEC)의 주된 목적은 “평화와 자유를 유지하고, 유럽 여러 나라 국민들의 더욱 밀접한 통합의 기초를 구축하는 것”이었다. 균형 있는 경제 성장을 목표로 하여, 1) 외부에 대한 공통 관세 제도를 가진 관세 동맹 설립, 2) 농업, 운송, 통상에 대한 공통 정책, 3) 유럽 다른 지역으로의 공동체 확장을[56] 통해 달성될 것으로 여겨졌다. 관세 동맹은 계획보다 12년 앞서 진행되었지만, 프랑스는 알제리 전쟁으로 인해 진전이 지연되었다.[57]
6. 2. 공동 농업 정책 (CAP)
Common Agricultural Policy영어 (CAP, 공동 농업 정책)는 농산물 가격 안정, 농가 소득 보장, 농업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하는 정책이었다.[9][10] 1962년에 발효된 공동 농업 정책은 유럽 경제 공동체(EEC)의 중요한 정책 중 하나였다.그러나 1962년 공동 농업 정책의 재정 지원에 관한 제안을 둘러싸고 위기가 발생했다. 만장일치로 결정하던 과도기가 끝나고 이사회에서 다수결 투표가 도입되었다. 당시 프랑스 대통령 샤를 드골은 초국가주의에 반대했고, 다른 회원국들이 공동 농업 정책에 이의를 제기할 것을 우려하여 프랑스 대표단을 유럽 기관에서 철수시키는 "빈 의자 정책"을 펼쳤다. 결국 1966년 1월 29일 룩셈부르크 타협을 통해 타협이 이루어졌고, 신사협정에 따라 회원국들은 국가적으로 중요한 이익과 관련된 분야에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9][10]
6. 3. 경쟁 정책
경쟁 정책은 역내 시장에서 공정한 경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정책이다.6. 4. 기타 정책 분야
유럽 경제 공동체는 사회 정책, 환경 정책, 소비자 보호 정책, 역내 개발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이러한 정책들은 관세 동맹과 단일 시장을 넘어 공동체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데 기여했다.공동체는 초국가적 네트워크를 포괄하고, 기존 권한을 공유하던 문화위원회와 교육위원회의 업무를 다루기 위해 권한을 추가했다. 새롭게 추가된 권한 중 하나는 내부 시장에서의 사람들의 출입 및 이동을 다루는 것이었다.
암스테르담 조약은 비자, 불법 이민, 난민 등 개인의 자유로운 이동에 대한 책임을 사법 및 내무 기둥에서 유럽 공동체로 이관했다.[27] 그 결과, 사법 및 내무 기둥은 범죄 사건에 대한 경찰 및 사법 협력(PJCC)으로 개명되었다.[27]
유럽 공동체 기둥이 폐지될 당시 다루었던 분야는 다음과 같다.[27]
분야 |
---|
7. 대한민국과의 관계
유럽 경제 공동체와 대한민국 간의 관계는 현재 제공된 자료가 없어 기술할 수 없습니다.
8. 평가와 유산
유럽 경제 공동체(EEC)는 관세 동맹 창설, 원자력 분야 협력 등을 통해 유럽 통합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세계 경제 및 한반도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8] 1962년 농산물 공통 가격 수준 설정, 1968년 회원국 간 특정 품목 내부 관세 철폐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1965년 프랑스가 공통 농업 정책 재정 문제와 관련하여 '빈 의자 사태'를 일으켰으나, 1966년 룩셈부르크 타협을 통해 회원국들이 국가적 이익에 관한 분야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되면서 위기를 극복했다.[9][10]
1967년 합병 조약으로 EEC는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CSC), 유럽 원자력 공동체(Euratom)와 기관을 통합하여 ''유럽 공동체''(EC)를 형성, 이후 조약들을 통해 단순한 경제 문제를 넘어 정치,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통합을 강화하며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언급한 ''공통 유럽의 집'' 건설이라는 목표를 향해 나아갔다.
EEC는 "평화와 자유를 보존하고 유럽 각국의 국민들 사이에 더욱 긴밀한 연합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28] 관세 동맹과 공동 관세율 수립, 농업, 교통, 무역에 대한 공동 정책 수립, EEC의 확장 등을 추진했다.
1957년 로마 조약은 "경제 활동의 조화로운 발전, 지속적이고 균형 잡힌 확장, 안정성 증대, 생활 수준의 가속적인 향상 및 회원국 간의 더욱 긴밀한 관계"를 목표로 명시했다. 특히, 냉전 상황에서 빈곤이 공산주의 확산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 속에서, 경제 성장을 통해 서유럽 국가 간의 화해와 동구권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고자 했다.
EEC는 유럽 의회, 이사회, 집행위원회, 사법 재판소 등의 기관을 통해 회원국 간 무역 자유화, 인력 이동 자유화, 공통 농업 정책(CAP) 시행, 유럽 사회 기금 운영, 유럽 투자 은행 설립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또한, 유럽 소비자에게 제품 가격을 낮추기 위해 경쟁을 유지했다.
8. 1. 유럽 통합에 대한 기여
유럽 경제 공동체(EEC)는 유럽 통합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EEC는 관세 동맹을 창설하고 원자력 분야 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빠르게 유럽 공동체 내에서 가장 중요한 기구가 되었다.[8] EEC의 초기 주요 성과 중 하나는 1962년 농산물에 대한 공통 가격 수준을 설정한 것이며, 1968년에는 회원국 간 특정 품목에 대한 내부 관세가 철폐되었다.1965년에는 공통 농업 정책 재정 문제와 관련하여 '빈 의자 사태'가 발생했다. 프랑스는 이사회에서의 다수결 투표 방식에 반대하며 유럽 기관에서 철수했으나, 1966년 룩셈부르크 타협을 통해 회원국들이 국가적 이익에 관한 분야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되면서 위기를 극복했다.[9][10]
1967년 합병 조약이 발효되면서 EEC는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CSC), 유럽 원자력 공동체(Euratom)와 기관을 통합하여 ''유럽 공동체''(EC)를 형성했다. EC는 이후 조약들을 통해 단순한 경제 문제를 넘어 정치,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통합을 강화하며,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언급한 ''공통 유럽의 집'' 건설이라는 목표를 향해 나아갔다.
EEC는 "평화와 자유를 보존하고 유럽 각국의 국민들 사이에 더욱 긴밀한 연합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28] 이를 위해 관세 동맹과 공동 관세율 수립, 농업, 교통, 무역에 대한 공동 정책 수립, EEC의 확장 등을 추진했다.
1957년 로마 조약은 "경제 활동의 조화로운 발전, 지속적이고 균형 잡힌 확장, 안정성 증대, 생활 수준의 가속적인 향상 및 회원국 간의 더욱 긴밀한 관계"를 목표로 명시했다. 특히, 냉전 상황에서 빈곤이 공산주의 확산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 속에서, 경제 성장을 통해 서유럽 국가 간의 화해와 동구권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고자 했다.
EEC는 의회, 유럽 의회, 이사회, 집행위원회, 사법 재판소 등의 기관을 통해 회원국 간 무역 자유화, 인력 이동 자유화, 공통 농업 정책(CAP) 시행, 유럽 사회 기금 운영, 유럽 투자 은행 설립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또한, 유럽 소비자에게 제품 가격을 낮추기 위해 경쟁을 유지했다.
관세 동맹은 당초 계획보다 빠르게 진전되었으나, 프랑스는 알제리 전쟁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29]
8. 2. 세계 경제에 대한 영향
유럽 경제 공동체(EEC)는 회원국 간의 관세 동맹을 창설하고, 농업, 교통, 무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동 정책을 추진하여 경제 통합을 이루어냈다. 1962년에는 농산물에 대한 공통 가격 수준을 설정하고, 1968년에는 회원국 간 무역에서 특정 품목에 대한 내부 관세를 철폐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8] 이러한 경제 통합은 회원국 간의 무역을 증진시키고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데 기여했다.EEC는 단순한 경제 공동체를 넘어 정치적 통합을 추구했다. 1959년 말, 여섯 회원국의 외무장관들은 정치 및 국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분기별 회의를 개최하기로 합의했다.[8] 이는 EEC가 경제적 영역을 넘어 정치적 발전을 향해 나아가는 첫걸음이었다.
EEC의 설립은 냉전 시대 서유럽 국가들이 경제적 번영을 통해 공산주의 확산을 막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와 독일 등 회원국 간의 화해를 도모하려는 목적도 있었다. EEC는 "경제 활동의 조화로운 발전, 지속적이고 균형 잡힌 확장, 안정성 증대, 생활 수준의 가속적인 향상 및 회원국 간의 더욱 긴밀한 관계"를 목표로 했다.[28]
EEC는 관세 동맹을 통해 회원국 간 무역 장벽을 낮추고, 공동 농업 정책(CAP)을 통해 농업 분야를 지원했다. 또한, 유럽 사회 기금을 통해 일자리를 잃은 근로자들을 지원하고, 유럽 투자 은행을 설립하여 경제 확장을 위한 자금 조달을 지원했다. 이러한 정책들은 회원국 간의 경제적 격차를 줄이고, 공동체 전체의 발전에 기여했다.
8. 3. 한반도에 대한 시사점
유럽 경제 공동체(EEC)와 유럽 원자력 공동체(Euratom) 설립은 유럽 통합의 중요한 진전이었지만, 초기에는 국가 주권 침해에 대한 우려로 초국가적 성격이 제한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EEC는 관세 동맹을 창설하고 농산물 공통 가격 수준을 설정하는 등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1968년에는 회원국 간 내부 관세가 철폐되었다.[8]프랑스의 샤를 드골 대통령은 초국가주의에 반대하며, 공통 농업 정책 재정 문제와 관련하여 '빈 의자 정책'을 펼쳤다. 이는 1966년 룩셈부르크 타협으로 이어져, 회원국들이 국가적 이익에 관한 분야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9][10]
1967년 합병 조약을 통해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CSC)와 유럽 원자력 공동체의 기관이 EEC와 통합되면서, 이들은 유럽 의회와 유럽 사법 재판소를 공유하게 되었다. 이들은 ''유럽 공동체''로 불리며, 점차 통합의 수준을 높여갔다. 이는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언급한 ''공통 유럽의 집''처럼, 정치적 통합과 평화롭고 통일된 유럽이라는 목표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과정이었다.
참조
[1]
문서
Treaty on the functioning of the European Union
[2]
웹사이트
European Community
http://www.encyclope[...]
Encyclopædia Britannica
2009-01-30
[2]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EU Publications
https://web.archive.[...]
The University of Exeter
2009-01-30
[2]
웹사이트
Glossary of The European Union and European Communities
http://www.uta.fi/FA[...]
2009-01-30
[3]
웹사이트
From 1963: The Two Faces of the Common Market
https://www.chicagob[...]
The University of Chicago Booth School of Business
[4]
웹사이트
Maastricht Treaty
https://www.europarl[...]
2024-08-30
[5]
웹사이트
European Economic Community
https://jammukashmir[...]
2024-08-30
[6]
논문
The Lessons of Benelux and the European Coal and Steel Community for the European Economic Community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1958-05-01
[7]
웹사이트
Spaak report
http://aei.pitt.edu/[...]
[8]
간행물
Towards Political Union
European Parliament Political Committee
1964-01-01
[9]
뉴스
Fifty years of fraternal rivalry
http://news.bbc.co.u[...]
2007-03-19
[10]
웹사이트
The 'empty chair' policy
http://www.cvce.eu/o[...]
2016-08-07
[11]
웹사이트
General de Gaulle's first veto
https://www.cvce.eu/[...]
University of Luxemburg
2022-05-04
[12]
웹사이트
General de Gaulle's first veto
https://www.cvce.eu/[...]
University of Luxemburg
2022-05-04
[13]
웹사이트
The accession of Greece
https://www.cvce.eu/[...]
University of Luxemburg
2018-03-18
[14]
뉴스
1994: Norway votes 'no' to Europe
http://news.bbc.co.u[...]
1994-11-28
[15]
서적
Democratizing the European Union: Issue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Perspectives on Democratizat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Comparative Politics
https://books.google[...]
OUP USA
2013
[17]
웹사이트
Press releases
https://web.archive.[...]
[18]
웹사이트
European Flag
https://european-uni[...]
2022-06-17
[19]
웹사이트
Report on the Insertion of a new Rule 202a on the use by Parliament of the symbols of the Union (2007/2240(REG))- Explanatory Statement
http://www.europarl.[...]
[20]
웹사이트
Regarding The "Adonnino Report" - Report to the European Council by the ad hoc committee "On a People's Europe", A 10.04 COM 85, SN/2536/3/85
https://www.ombudsma[...]
[21]
서적
Political Symbolism and European Integration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5
[22]
웹사이트
Evolution of the European Council: The implications of a permanent seat
https://web.archive.[...]
Dragoman.org
2007-07-12
[23]
웹사이트
The accession of Greece
http://www.cvce.eu/o[...]
Centre Virtuel de la Connaissance sur l'Europe, Universite de Luxembourg
2016
[24]
웹사이트
The Accession Treaties with Spain and Portugal
http://www.cvce.eu/o[...]
[25]
웹사이트
The provisions of the Single European Act
http://www.cvce.eu/o[...]
2016-08-07
[26]
문서
Case 138/79
[27]
웹사이트
What are the three pillars of the EU?
http://www.eu-oplysn[...]
Folketingets EU-Oplysning
[28]
웹사이트
The achievements of the EEC
http://www.cvce.eu/o[...]
CVCE
2013-04-26
[29]
웹사이트
The European Customs Union
http://www.cvce.eu/o[...]
CVCE
2013-04-26
[30]
웹사이트
http://www.populstat[...]
[31]
문서
Belgian and Luxembourgish francs
[32]
문서
German reunification
1990-01-01
[33]
문서
East Germany
[34]
문서
Cornish, Gaelic, Irish, Scots, Welsh
[35]
문서
Aranese, Basque, Catalan, Galician
[36]
웹사이트
Institutions: The European Commission
http://europa.eu/ins[...]
Europa (web portal)
2007-06-25
[37]
웹사이트
Merging of the executives
http://www.cvce.eu/o[...]
CVCE
2013-04-26
[38]
웹사이트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http://www.cvce.eu/o[...]
CVCE
2013-04-26
[39]
웹사이트
European Commission
http://www.cvce.eu/o[...]
CVCE
2013-04-26
[40]
웹사이트
Institutions: The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http://europa.eu/ins[...]
Europa (web portal)
2007-06-25
[41]
웹사이트
Europeans used to ignore their parliament. Not any longer {{!}} Caroline de Gruyter
http://www.theguardi[...]
the Guardian
2019-05-29
[42]
웹사이트
The European Parliament needs independence and a strong voice
https://www.thenewfe[...]
The New Federalist
2022-08-31
[43]
웹사이트
Institutions: Court of Auditors
http://europa.eu/ins[...]
Europa (web portal)
2007-06-25
[44]
서적
중학 사회 역사, 詳説世界史B
교육출판, 株式会社 山川出版社
2004-03-05
[45]
논문
The Lessons of Benelux and the European Coal and Steel Community for the European Economic Community
American Economic Association
1958-05-01
[46]
웹사이트
Intergovernmental Committee on European Integration. The Brussels Report on the General Common Market
http://aei.pitt.edu/[...]
University of Pittsburgh
1956-06-01
[47]
뉴스
Fifty years of fraternal rivalry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3-19
[48]
웹사이트
The 'empty chair’ policy
http://www.cvce.eu/o[...]
CVCE Centre for European Studies
2013-08-09
[49]
서적
Democratizing the European Union: Issue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Perspectives on Democratizat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1
[50]
웹사이트
Election of the President of the European Parliament
http://www.europarl.[...]
[51]
웹사이트
The European Flag
http://www.coe.int/T[...]
Council of Europe
2008-11-23
[52]
웹사이트
European flag???questions and answers
http://www.cvce.eu/o[...]
CVCE Centre for European Studies
2013-08-09
[53]
웹사이트
The accession treaty with Greece
http://www.cvce.eu/o[...]
CVCE Centre for European Studies
2013-08-09
[54]
웹사이트
The Accession Treaties with Spain and Portugal
http://www.cvce.eu/c[...]
CVCE Centre for European Studies
2013-08-09
[55]
웹사이트
Single European Act
http://www.cvce.eu/o[...]
CVCE Centre for European Studies
2013-08-09
[56]
웹사이트
The achievements of the EEC
http://www.cvce.eu/o[...]
CVCE Centre for European Studies
2013-08-09
[57]
웹사이트
The European Customs Union
http://www.cvce.eu/o[...]
CVCE Centre for European Studies
2013-08-09
[58]
웹사이트
Institutions of the EU - European Commission
http://europa.eu/ins[...]
EUROPA
2008-11-23
[59]
웹사이트
Merging of the executives
http://www.cvce.eu/o[...]
CVCE Centre for European Studies
2013-08-09
[60]
웹사이트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http://www.cvce.eu/o[...]
CVCE Centre for European Studies
2013-08-09
[61]
웹사이트
European Commission
http://www.cvce.eu/c[...]
CVCE Centre for European Studies
2013-08-09
[62]
웹사이트
Institutions: The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http://europa.eu/ins[...]
EUROPA
2013-08-09
[63]
웹사이트
Institutions: Court of Auditors
http://europa.eu/ins[...]
EUROPA
2008-11-23
[64]
문서
Treaty on the functioning of the European Un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