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죽산 음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죽산 음씨는 원나라 예부시랑 음준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음준은 고려 공민왕 때 노국공주를 수행하여 고려에 들어와 죽산군에 봉해졌다. 고구려 시대에 음우와 음모가 활동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개국원종공신 음철이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조선 시대에 4명의 과거 급제자를 배출했으며, 1985년에는 약 3천 명, 2000년에는 약 2천 3백 명의 인구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죽산 음씨 - 음성직
    음성직은 서울도시철도공사 사장 재직 시절 뇌물 수수 혐의로 기소되었으며, 공공기관 운영의 투명성과 공직자 윤리의 중요성을 제기한 인물이다.
죽산 음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가문 이름죽산 음씨
한자 표기竹山陰氏
관향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창성 시조(음준)
역사적 배경
시조 음준(음준)은 }} (예부)의 관직을 지냄
군호(죽산군)
현대 정보
2000년 인구 조사2,260명
주요 인물
주요 인물음성직

2. 시조

시조 '''음준'''(陰俊)은 원나라 예부시랑으로 공민왕 비인 노국공주를 수행하고 고려에 들어와 죽산군(竹山君)에 봉해졌다.

3. 역사

삼국 시대 고구려대에 음(陰)씨로 추정되는 음우(陰友)[5]와 음모(陰牟)[6]라는 인물이 활동하였다. 음우(陰友)는 고구려재상이었다.[7] 음모(陰牟)는 미천왕이 고난을 겪을 때 그를 숨겨준 고구려의 백성이다.[8]

3. 1. 고려시대

삼국 시대 고구려대에 음(陰)씨로 추정되는 음우(陰友)[5]와 음모(陰牟)[6]라는 인물이 활동하였다. 음우(陰友)는 고구려재상이었다.[7] 음모(陰牟)는 미천왕이 고난을 겪을 때 그를 숨겨준 고구려의 백성이다.[8]

3. 2. 조선시대

4. 인물

시조 음준의 아들 음철(陰澈)은 조선의 개국원종공신으로 영의정에 추증되고 문절(文節)이란 시호를 받았다. 음철의 아들로 소경(少卿)을 지낸 음곤(陰崑)과 판사를 역임한 음윤(陰崙)의 대에서 가문이 크게 번창했다.

군자감정을 지낸 음기남(陰起南)과 병조판서에 추증된 음희철(陰希哲) 등도 가문을 빛냈다. 음도광(陰道光)은 부호군을 역임했다.

공조참의를 지낸 음성석(陰聖惜)과 참봉을 지낸 음인수(陰仁洙)와 음인성(陰仁星)도 있다.

4. 1. 고려

4. 2. 조선

음철(陰澈)은 조선의 개국원종공신으로 영의정에 추증되고 문절(文節)이란 시호를 받았다. 음철의 아들로 소경을 지낸 음곤(陰崑)과 판사를 역임한 음윤(陰崙) 대에서 가문이 크게 번창했다.

군자감정을 지낸 음기남(陰起南)과 병조판서에 추증된 음희철(陰希哲) 등도 가문을 빛냈다. 음도광(陰道光)은 부호군을 역임했다.

음성석(陰聖惜)은 공조참의를 지냈으며, 음인수(陰仁洙)와 음인성(陰仁星) 은 각각 참봉을 지냈다.

5. 과거 급제자

죽산 음씨는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 4명을 배출하였다.


  • 음윤보(陰允輔) : (진사시) 연산군 1년(1495년) 을묘(乙卯) 증광시(增廣試) 3등
  • 음경창(陰慶昌) : (생원시) 중종 29년(1534년) 갑오(甲午) 식년시(式年試) 3등
  • 음태기(陰泰起) : (무과) 숙종 25년(1699년) 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1위 장원(壯元)
  • 음춘관(陰春觀) : (무과) 영조 26년(1750년) 경오(庚午)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6. 인구

1985년에는 706가구 2,946명, 2000년에는 699가구 2,260명이었다.

7. 기타

삼국 시대 고구려대에 음(陰)씨로 추정되는 음우(陰友)[5]와 음모(陰牟)[6]라는 인물이 활동하였다. 음우(陰友)는 고구려재상이었다.[7] 음모(陰牟)는 고구려 미천왕이 고난을 겪을 때 그를 숨겨준 고구려의 백성이다.[8]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죽산음씨 竹山陰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논문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4
[4] 간행물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음우(陰友) http://encykorea.aks[...]
[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음모(陰牟) http://encykorea.aks[...]
[7]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상 음우가 죽다 ( 271년 7월(음) ) http://db.history.go[...]
[8] 우리역사넷 을불(미천왕)의 역경 http://contents.hi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