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천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천왕은 고구려의 제15대 왕으로, 봉상왕의 반역으로 인해 아버지 고돌고가 죽자 신분을 숨기고 숨어 지내다 국상 창조리에 의해 옹립되어 즉위했다. 즉위 후 중국 군현 세력과 대립하여 현도군, 서안평, 낙랑군, 대방군을 공격하여 축출하고 요동 지역에서 선비족 모용부와 대립했다. 32년간 재위하다 331년에 사망했으며, 사후 미천의 들에 묻혀 미천왕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미천왕에 대한 설화가 전해지며, 드라마와 소설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천왕 - 돌고
    돌고는 고구려 서천왕의 아들이자 봉상왕의 동생으로, 반역 혐의로 처형되었지만 그의 아들 을불이 봉상왕을 폐위시키고 왕위에 오르면서 고구려 왕실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그의 혈통은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 미천왕 - 안악 3호분
    안악 3호분은 357년에 축조된 고구려 돌방무덤으로, 내부 구조와 벽화를 통해 당시 생활상을 보여주며, 특히 모줄임천장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사례이고, 묘주에 대한 다양한 주장이 존재한다.
  • 331년 사망 - 계몽자 그레고리오
    계몽자 그레고리오는 아르메니아를 기독교로 개종시키고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의 수호성인이 되었으며, 아르메니아의 티리다테스 3세 왕을 기독교로 개종시키고 아르메니아가 기독교를 국교로 채택하는 데 기여했다.
  • 4세기 한국의 군주 - 아신왕
    아신왕은 백제 제17대 국왕으로, 고구려의 침략에 맞서 왜와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는 등 국운 유지를 위해 노력했으나, 전쟁에서의 패배로 백제의 쇠퇴를 막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그의 삶과 결정은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 4세기 한국의 군주 - 침류왕
    침류왕은 근구수왕의 장남으로 384년 백제의 왕이 되었으며, 동진과의 외교를 통해 고구려에 대항하고, 마라난타를 통해 불교를 수용하여 백제에 불교를 처음 전파하고 사찰을 건립했으나, 재위 2년 만에 사망했다.
미천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태왕
재위 기간300년 9월 ~ 331년 2월
즉위300년 9월
이전 국왕봉상왕
다음 국왕고국원왕
이름고을불/우불/을불리
출생지국내성
사망일331년 2월
사망지국내성
능묘미천원
자녀고국원왕 , 고무
추존왕호양태왕
시호미천태왕
아버지고돌고
직업
배우자왕후 주씨
왕가
왕조고구려
이름 정보
한글 (미천왕)미천왕
한자 (미천왕)美川王
로마자 표기 (미천왕)Micheon-wang 또는 Hoyang-wang
한글 (본명)고을불, 을불리, 또는 우불
한자 (본명)高乙弗, 乙弗利, 또는 憂弗
로마자 표기 (본명)Go Eulbul, Eulbulli, 또는 U-bul
기타
안악 3호분에 그려진 벽화, 일부에서는 미천왕으로 추정
안악 3호분에 그려진 벽화로, 일부에서는 미천왕으로 추정

2. 생애

293년 아버지 돌고가 백부인 봉상왕에게 반역으로 몰려 죽자 을불은 도망쳐 신분을 숨기고 고용살이와 소금장수 등을 하며 지냈다.[2] 사람들은 봉상왕보다 을불을 더 지지했다. 300년 국상 창조리는 봉상왕을 폐위하고 을불을 왕위에 앉혔다.[2]

미천왕은 도망쳐 비참한 삶을 살았다. 하인으로 숨어 밤새 연못에 돌을 던져 주인이 깨지 않도록 하는 등 고된 일을 했다고 한다. 1년 후 그는 그 집을 나와 소금 장수가 되었으나 재산을 모으는 데는 실패했다.[3][4]

압록강 동쪽의 사수촌에서 노파가 소금을 달라고 하여 한 말 정도를 주었으나, 더 달라고 하자 주지 않아 원한을 샀다. 노파는 신발을 소금 속에 넣었고, 을불은 이를 모르고 소금 장사를 하러 나갔다. 노파는 압록재(관청)에 고발했고, 압록재는 신발 값에 해당하는 소금을 노파에게 주고 을불에게 곤장을 쳤다. 을불의 얼굴은 수척해져서, 누구도 왕손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다.

300년 국상 창조리봉상왕을 폐위하고 옹립하여 미천왕이 즉위하였다. 미천왕은 고구려 군대를 매우 강력하게 발전시켰다. 중국의 서진이 붕괴되는 동안[5], 요동반도와 다른 중국의 군현들로 영토를 확장했다.[6]

미천왕 시대에는 10단계였던 관위제를 13단계로 재편하여 왕권을 지탱하는 기반을 강화했고, 이는 이후 고구려 발전의 기초가 되었다.

302년 현도군을 공격하여 8천여 명을 사로잡았으며,[7] 311년 서안평(西安平)을 점령하여 낙랑군대방군의 보급로를 끊었다.[1] 313년 낙랑군을 멸망시켰고,[1] 314년 대방군을 병합하여 중국 군현 세력을 축출하였다.[1][9] 315년 다시 현도성을 공격하였다.

재위 32년인 331년 2월에 사망하여 미천의 들에 매장되어 미천왕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이후, 고국원왕 12년 (342년)에 전연모용황에게 침략당했을 때, 왕릉이 파헤쳐졌다.

2. 1. 즉위 전

293년 아버지 돌고가 백부인 봉상왕에게 반역으로 몰려 죽임을 당하자 을불은 도망쳐 신분을 숨기고 고용살이와 소금장수 등을 하면서 숨어 지냈다.[2] 사람들은 봉상왕보다 을불을 더 지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300년 국상 창조리가 봉상왕을 폐위할 마음을 품고 을불을 찾아 모셨으며, 이후 봉상왕을 폐위한 뒤 왕으로 옹립되었다.[2]

미천왕은 도망쳐 비참한 삶을 살았다. 하인으로 숨어 밤새 연못에 돌을 던져 주인이 깨지 않도록 하는 등 고된 일을 했다고 한다. 1년 후 그는 그 집을 나와 소금 장수가 되었으나 막대한 재산을 모으는 데 실패했다고 전해진다.[3][4]

압록강 동쪽의 사수촌에 있는 집에서, 노파가 소금을 달라고 하여 한 말 정도를 주었으나, 더 달라고 하자 주지 않아 원한을 샀다. 노파는 신발을 소금 속에 넣었고, 을불은 이를 모르고 소금 장사를 하러 나갔다. 노파는 압록재(관청)에 고발했고, 압록재는 신발 값에 해당하는 소금을 노파에게 주고 을불에게 곤장을 쳤다. 을불의 얼굴은 수척해져서, 누구도 왕손이라고 생각하지 못하게 되었다.

2. 2. 치세

300년 국상 창조리봉상왕을 폐위하고 옹립하여 미천왕이 즉위하였다. 미천왕은 고구려 군대를 매우 강력하게 발전시켰다. 중국의 서진이 붕괴되는 동안[5], 요동반도와 다른 중국의 군현들로 영토를 확장했다.[6]

미천왕 시대에는 10단계였던 관위제를 13단계로 재편하여 왕권을 지탱하는 기반을 강화했고, 이는 이후 고구려 발전의 기초가 되었다.

재위 32년인 331년 2월에 사망하여 미천의 들에 매장되어 미천왕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이후, 고국원왕 12년 (342년)에 전연모용황에게 침략당했을 때, 왕릉이 파헤쳐졌다.

2. 2. 1. 중국 군현 세력과의 전쟁

미천왕은 즉위 초부터 중국 군현 세력과 치열하게 대립하였다. 302년 현도군을 공격하여 8천여 명을 사로잡았으며,[7] 311년 서안평(西安平)을 점령하여 낙랑군대방군의 보급로를 끊는 데 성공하였다.[1] 313년 낙랑군을 멸망시켰고,[1] 314년 대방군을 병합하여 중국 군현 세력을 축출하였다.[1][9] 315년 다시 현도성을 공격하였다.

중국 군현 세력이 축출된 이후 요서 지방에서 선비족의 일파인 모용부가 세력을 확대함에 따라 대립이 격화되기 시작했다. 318년 경, 동진(東晉)의 평주 자사(平州刺史)·최비(崔毖)의 작전에 따라 선비족의 다른 일파인 단부(段部)·우문부(宇文部)와 함께 모용외를 공격하였는데 실패하였으며, 이후 모용부가 요동을 장악하면서 본격적인 대립이 시작되었다.[5][6]

319년 동진의 최비가 요동을 잃고 고구려로 도망쳐 왔으며, 하성(河城)을 지키던 여노(如孥)가 모용부의 공격에 포로로 잡히기도 하였다.[5] 이에 미천왕은 군사를 일으켜 요동을 공격하였으며, 모용외 역시 두 아들을 보내 침략해 왔다. 이에 미천왕이 휴전을 청하여 잠시 휴전이 성립되었다. 320년 겨울에도 요동을 침략하였으며, 이후 일진일퇴를 거듭하였다. 330년 후조(後趙)의 석륵에게 사신을 보내 중국 방향에서 모용부를 견제하려 하기도 하였다.[11]

2. 2. 2. 모용부와의 대립

318년 경, 동진(東晉)의 평주 자사(平州刺史) 최비의 작전에 따라 선비족의 다른 일파인 단부·우문부와 함께 모용외를 공격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이후 모용부가 요동을 장악하면서 본격적인 대립이 시작되었다.[5][6] 319년에는 동진의 최비가 요동을 잃고 고구려로 도망쳐 왔으며, 하성(河城)을 지키던 여노자(如奴子|여노자중국어)가 모용부의 공격에 포로로 잡히기도 하였다.[5] 이에 미천왕은 군사를 일으켜 요동을 공격하였으며, 모용외 역시 두 아들을 보내 침략해 왔다. 미천왕은 휴전을 청하여 잠시 휴전이 성립되었다. 320년 겨울에도 요동을 침략하였으며 이후 일진일퇴를 거듭하였다. 330년에는 후조(後趙)의 석륵에게 사신을 보내 중국 방향에서 모용부를 견제하려 하였다.[11]

3. 사후

331년에 미천왕은 서거하였으며, 지금의 서대총으로 추정되는 미천(美川)의 들에 장사지냈다. 342년전연의 군대가 고구려를 위협하려고 미천왕릉을 도굴하여 시신을 가져갔으며, 고국원왕343년에 많은 공물을 바치고 시신을 돌려받았다.[13][14] 미천왕이 묻힌 미천원은 문자 그대로 "아름다운 시냇물이 있는 정원"이라는 뜻이다.[6] 12년 후, 고국원왕 치세에 미천왕의 유해는 전연 침략자들에 의해 파헤쳐져 몸값으로 붙잡혔다.

4. 설화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本紀)〉 미천왕조에 전해지는 고구려 미천왕에 관한 전설이다. 봉상왕의 동생 고돌고의 아들 고을불이 왕의 화를 피해 방랑길에 올라 온갖 고생을 하다가 후에 국상 창조리 등의 영접을 받아 왕위에 오르게 된다는 설화이다.

방랑 중에 있었던 일을 보면 어느 마을 부잣집(음모) 머슴살이를 하던 중 주인이 맹꽁이 울음소리가 듣기 싫다 하여 밤새도록 연못에 돌을 던지기도 하였고, 그 집을 나와 소금장수를 할 때에는 누명을 쓰고 관가에서 매를 얻어맞기도 하였다. 이 때문에 얼굴이 여위고 복장이 남루하게 되어, 사람들이 그를 보고도 왕손임을 알지 못했다. 조불과 소우가 그를 발견했을 때 형색은 여위고 파리하였으나 행동거지가 평범하지 않아 소우 등은 이 사람이 을불이라 생각하고, 나아가 절을 하며 말하자 미천왕이 "나는 야인이요, 왕손이 아닙니다. 다시 살펴보시오."라고 말했으나 소우의 설득에 소우와 조불은 마침내 을불을 받들어 돌아왔다.

5. 가계


  • 조부: 서천왕(? ~292) - 제13대 국왕
  • 조모: 왕후 우씨(王后 于氏) - 서부(西部) 대사자(大使者) 우수(于漱)의 딸. 271년에 왕후로 간택됨.
  • 아버지: 고추가(古鄒加) 돌고(? ~293)
  • 어머니: 미상
  • 왕비: 왕후 주씨(王后 周氏) - 342년 모용황에게 미천왕의 시신과 함께 포로로 끌려가 355년까지 인질로 고초를 겪음.
  • 장남: 고국원왕(? ~371) - 제16대 국왕
  • 차남: 고무

6.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참조

[1] 서적 A brief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16-01-31
[2] 웹사이트 King Bongsang http://world.kbs.co.[...] Korean Broadcasting System 2016-01-31
[3] 웹사이트 King Micheon (1) http://world.kbs.co.[...] Korean Broadcasting System 2016-01-31
[4] 서적 고구려 시대 의 불교 수용사 연구 https://books.google[...] Kyŏngsŏwŏn 2016-01-31
[5] 학술지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Northeast History Foundation 2007
[6] 웹사이트 King Micheon(2) http://world.kbs.co.[...] Korean Broadcasting System 2016-01-31
[7] 서적 고구려의 정치와 사회 Northeast Asia History Foundation 2007
[8] 서적 The new history of Korean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16-02-01
[9] 서적 Samguk sagi(三國史記 卷第十七 髙句麗本紀 第五) http://db.history.go[...] 2016-02-01
[10] 웹사이트 Three Kingdoms and other States http://www.korea.net[...] 2016-02-01
[11] 서적 Samguk sagi (三國史記 卷第十七 髙句麗本紀 第五) http://db.history.go[...] 2016-02-01
[12] 문서 고구려 건국과 관련된 기록
[13] 문서 삼국사기, 삼국유사 등 고구려 관련 문헌
[14]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