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리오 카치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줄리오 카치니는 16세기 후반 이탈리아의 작곡가, 가수, 류트 연주자이다. 그는 피렌체 메디치 궁정에서 활동하며 오페라의 전신인 인테르메디오에 참여했고, 피렌체 카메라타에 참여하여 모노디 양식 개발에 기여했다. 카치니는 새로운 음악 스타일을 개척하여 바로크 음악에 영향을 미쳤으며, 1602년에는 단선율과 바소 콘티누오를 위한 모음집인 《새로운 음악》을 출판했다. 그는 세 편의 오페라와 여러 독창곡을 작곡했으며, 그의 작품은 레시타티보와 바로크 음악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그의 작품으로 알려진 "아베 마리아"는 실제로는 블라디미르 바빌로프의 작품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음악 이론가 -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는 르네상스 후기와 바로크 초기 이탈리아의 작곡가이자 오페라의 선구자로, 만토바 궁정 활동과 오페라 《오르페오》 초연을 통해 극적인 음악극 장르를 개척하고 베네치아 산 마르코 대성당 악장으로 교회 음악을 개혁하며 오페라 발전에 기여, 모노디 양식 발전과 불협화음 활용, 악기 편성 혁신 등으로 음악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이탈리아의 음악 이론가 - 루이지 케루비니
루이지 케루비니는 이탈리아 출신 프랑스 작곡가이자 파리 음악원 원장으로, 고전주의와 낭만주의를 융합한 오페라와 종교 음악으로 유명하며, 특히 다장조 레퀴엠은 베토벤 등으로부터 극찬을 받았다. - 르네상스 시대의 작곡가 - 카를로 제수알도
카를로 제수알도는 16세기 이탈리아의 귀족이자 작곡가로, 아내 살해 사건으로 유명하며 반음계적 화성과 격정적인 감정 표현이 특징인 마드리갈을 작곡했다. - 르네상스 시대의 작곡가 - 그레고리오 알레그리
그레고리오 알레그리는 17세기 이탈리아 바로크 시대 작곡가이자 시스티나 성당 합창단 알토 가수로, 조반니 베르나르디노 나니노에게 음악 교육을 받고 페르모 대성당에서 생계를 유지하며 종교 음악을 작곡했으며, 특히 미제레레는 시스티나 성당에서 매년 연주되고 모차르트의 필사 일화로 유명하며, 콘체르타토 양식과 팔레스트리나 양식을 융합한 독특한 스타일로 초기 현악 사중주 작곡가로도 평가받는다. - 1551년 출생 - 보리스 고두노프
보리스 고두노프는 이반 뇌제 측근에서 차르까지 오른 16세기 말~17세기 초 러시아의 중요 인물로, 섭정 시절 개혁을 단행하고 차르로서는 서구 문물 수용 정책을 펼쳤으나 기근과 가짜 드미트리 1세의 난으로 혼란을 겪다 사망했다. - 1551년 출생 - 심우승
심우승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기대승의 문하에서 수학, 임진왜란 당시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승진을 거듭했으며, 호조참의 재직 중 재정 안정에 기여, 경기감사 재임 시에는 세금과 부역을 균등하게 하는 정책을 시행하여 백성들의 칭송을 받았고 사후 호성공신 2등에 책록, 청계부원군으로 추봉,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줄리오 카치니 | |
---|---|
기본 정보 | |
이름 | 줄리오 카치니 |
원어 이름 | Giulio Caccini |
출생 | 1545년/1551년 경 |
출생지 | 로마? |
사망 | 1618년 12월 10일 |
사망 장소 | 토스카나 대공국, 피렌체 |
직업 | |
직업 | 음악가 |
담당 악기 | 악기 정보 없음 |
경력 | |
활동 기간 | 활동 기간 정보 없음 |
레이블 | 레이블 정보 없음 |
소속사 | 소속사 정보 없음 |
공동 작업자 | 공동 작업자 정보 없음 |
구성원 | |
멤버 | 멤버 정보 없음 |
이전 멤버 | 이전 멤버 정보 없음 |
2. 생애
줄리오 카치니의 어린 시절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로마에서 태어나 류트, 비올, 하프를 배우고 가수로 명성을 얻었다. 1560년대 토스카나 대공 프란체스코 데 메디치에게 발탁되어 피렌체에서 음악 공부를 더 하게 되었다.
1579년부터 메디치 궁정에서 테너 가수로 활동하며 비올이나 아치류트를 연주했고, 결혼식, 국정 행사, ''인테르메디오'' 등 다양한 공연에 참여했다. 조반니 데 바르디 백작의 집에 모여 고대 그리스 드라마 음악의 부흥을 꿈꾸던 피렌체 카메라타에 합류하여 모노디라는 새로운 음악 양식을 개발하는 데 기여했다.
16세기 말, 카치니는 가수, 교사, 작곡가로 활동하며 몬테베르디의 오페라 ''오르페오''에 출연한 조반니 과르베르토 말리 등 많은 음악가를 가르쳤다. 1592년에는 로마를 방문하여 자신의 음악을 선보였으나, 보수적인 로마에서는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
카치니는 에밀리오 데 카발리에리, 야코포 페리 등과 경쟁하며 질투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1600년 프랑스 앙리 4세와 마리아 데 메디치의 결혼 축제 감독직에서 카발리에리를 밀어내고, 페리보다 먼저 자신의 오페라 ''에우리디체''를 출판하는 등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노력했다.
1605년 이후 영향력은 줄었지만, 다중 합창 종교 음악 작곡과 연주를 계속했다. 피렌체에서 사망하여 산티시마 안눈치아타 성당에 묻혔다.
2. 1. 초기 생애
줄리오 카치니는 로마에서 태어났으며, 목수 미켈란젤로 카치니의 아들이었다. 그는 피렌체 조각가 조반니 카치니의 형이었다. 로마에서 류트, 비올, 하프를 공부하고 가수로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1560년대에 토스카나 대공 프란체스코 데 메디치는 그의 재능에 깊은 인상을 받아 피렌체로 데려가 더 공부시켰다.1579년, 카치니는 메디치 궁정에서 테너 가수로 활동하며 비올이나 아치류트를 연주했다. 그는 결혼식과 국정 행사 등 다양한 오락에 참여했고, 오페라의 전신 중 하나인 화려한 ''인테르메디오''에도 참여했다. 이 시기에 그는 조반니 데 바르디 백작의 집에 모여 고대 그리스 드라마 음악의 잃어버린 영광을 되찾고자 했던 인문주의자, 작가, 음악가, 학자들의 모임인 피렌체 카메라타에 참여했다. 카치니의 능력과 재능으로 카메라타는 모노디라는 개념을 개발했는데, 이는 감정적인 독창적인 보컬 라인에 단순한 화음 화성을 동반하는 것으로, 르네상스 말기 다성 관행에서 혁신적인 이탈이었다.
16세기 마지막 20년 동안 카치니는 가수, 교사, 작곡가로 활동했다. 그는 몬테베르디의 첫 오페라 ''오르페오''의 첫 프로덕션에서 노래한 카스트라토 조반니 과르베르토 말리를 포함해 수십 명의 음악가를 새로운 스타일로 훈련시켰다.
2. 2. 피렌체 궁정 활동
1579년까지 카치니는 메디치 궁정에서 노래를 불렀다. 그는 테너였으며 비올이나 아치류트를 연주하며 노래를 불렀다. 그는 결혼식과 국정 행사 등 다양한 오락에 참여했으며, 오페라의 전신 중 하나였던 화려한 음악적, 극적, 시각적 스펙터클인 호화로운 ''인테르메디오''에 참여했다.[1] 또한 이 시기에 그는 조반니 데 바르디 백작의 집에서 모여 고대 그리스 드라마 음악의 잃어버린 영광을 되찾는 데 헌신했던 그룹인 피렌체 카메라타에 참여했는데, 이들은 고대 세계의 인문주의자, 작가, 음악가, 학자들이었다. 카치니의 가수, 연주자, 작곡가로서의 능력에 지성과 재능이 더해지면서 카메라타는 모노디라는 개념을 개발했는데, 이는 감정적으로 효과적인 독창적인 보컬 라인으로, 하나 이상의 악기에서 상대적으로 단순한 화음 화성을 동반하는 것으로, 르네상스 말기의 다성 관행에서 혁신적인 이탈이었다.[1]16세기 마지막 20년 동안, 카치니는 가수, 교사, 작곡가로서의 활동을 계속했다. 그의 교사로서의 영향력은 과소평가되었을 수 있는데, 그는 몬테베르디의 첫 번째 오페라 ''오르페오''의 첫 번째 프로덕션에서 노래한 카스트라토 조반니 과르베르토 말리를 포함하여 수십 명의 음악가를 새로운 스타일로 노래하도록 훈련시켰다.[1]
카치니는 1592년에 바르디 백작의 비서로서 로마로 한 번 더 여행했다. 그의 저술에 따르면, 그의 음악과 노래는 열렬한 반응을 얻었다.[1]
카치니의 성격은 완벽하게 훌륭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며, 그는 직업적인 삶뿐만 아니라 메디치 가문에서의 개인적인 발전을 위해서도 질투와 시기에 의해 자주 동기 부여를 받았다.[1] 한 번은 그는 대공 프란체스코에게 메디치 가문의 두 연인에 대해 알렸다. 피에트로 데 메디치의 아내인 엘레오노라 디 가르치아 디 톨레도는 베르나르디노 안티노리와 부적절한 관계를 맺고 있었고, 그의 알림은 피에트로에 의한 엘레오노라의 살해로 직접 이어졌다.[1] 그는 에밀리오 데 카발리에리와 야코포 페리 모두와 격렬한 경쟁을 벌인 것으로 보이는데, 그는 1600년 프랑스 앙리 4세와 마리아 데 메디치의 결혼 축제 감독직에서 카발리에리를 해임하도록 주선한 사람일 수 있으며 (이 사건으로 카발리에리는 분노하여 피렌체를 떠났다), 동시에 페리의 오페라가 출판되기 전에 자신의 오페라 ''에우리디체''를 서둘러 인쇄했고, 동시에 자신의 가수 그룹에게 페리의 프로덕션과 아무런 관련도 맺지 말라고 지시한 것으로 보인다.[1]
1605년 이후, 카치니는 덜 영향력 있었지만, 그는 신성한 다중 합창 음악의 작곡과 연주에 계속 참여했다.[1]
2. 3. 로마 방문과 경쟁
1592년, 카치니는 바르디 백작의 비서 자격으로 로마를 방문했다. 카치니 자신의 기록에 따르면, 그의 음악과 노래는 로마에서 열광적인 반응을 얻었다. 그러나, 팔레스트리나와 로마 악파의 본거지였던 로마는 음악적으로 보수적인 도시였고, 카치니의 양식을 따른 음악은 1600년 이후까지 상대적으로 드물었다.카치니는 직업적인 경쟁심과 질투심이 강한 인물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에밀리오 데 카발리에리와 야코포 페리 모두와 격렬한 경쟁을 벌였다. 1600년 프랑스 앙리 4세와 마리아 데 메디치의 결혼 축제 감독직에서 카발리에리를 해임하도록 주선한 사람이 카치니였을 가능성이 있다. (이 사건으로 카발리에리는 분노하여 피렌체를 떠났다.) 또한, 카치니는 페리의 오페라가 출판되기 전에 자신의 오페라 ''에우리디체''를 서둘러 인쇄했고, 동시에 자신의 가수 그룹에게 페리의 작품 제작에 어떠한 협력도 하지 말라고 지시한 것으로 보인다.
2. 4. 말년
1605년 이후, 카치니는 영향력이 줄었지만, 신성한 다중 합창 음악 작곡과 연주에 계속 참여했다. 그는 피렌체에서 사망했으며, 성 안눈치아타 교회에 묻혔다.3. 음악과 영향
카치니는 새롭게 등장한 모노디 양식, 즉 ''레치타티보 양식''(stile recitativo)을 확립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양식은 피렌체뿐만 아니라 이탈리아 다른 지역에서도 명성을 얻었다.[2] 16세기 말, 피렌체와 베네치아는 가장 진보적인 음악의 발신지였으며, 두 지역의 음악적 혁신이 융합되면서 바로크 양식이 발전했다.[2] 카치니는 연설처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직접적인 음악 표현 양식을 고안했으며, 이는 훗날 오페라의 레치타티보로 발전하여 바로크 음악의 다양한 양식과 질감적 요소에 영향을 미쳤다.[2]
카치니는 주로 모노디와 독창곡 작곡가였으며 화음 악기 반주를 사용했다(그는 스스로 하프를 연주했다). 1602년(새로운 스타일)과 1614년에 노래 및 독창 마드리갈 모음집을 출판했는데, 두 작품 모두 ''새로운 음악''이라는 제목을 사용했다(후자는 ''누오베 무지케 에 누오바 마니에라 디 스크리베를레''로 출판). 대부분의 마드리갈은 통작곡되었고 반복이 거의 없지만, 일부 노래는 연가 형식이다. 가장 유명하고 널리 퍼진 곡 중 하나는 마드리갈 ''아마릴리, 미아 벨라''이다.
블라디미르 바빌로프가 작곡한 아베 마리아는 종종 카치니의 작품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한다.
3. 1. 모노디 양식 확립
카치니는 새롭게 창조된 단선율 양식, 즉 ''stile recitativo''(레치타티보 양식)을 확립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양식은 피렌체뿐만 아니라 이탈리아 다른 지역에서도 인기를 얻었다.[2] 16세기 말, 유럽에서 가장 진보적인 음악 중심지는 피렌체와 베네치아였으며, 각 지역의 음악적 혁신이 결합하여 바로크 음악 양식이 발전하게 되었다.[2] 카치니의 업적은 연설처럼 쉽게 이해되는 직접적인 음악 표현 방식을 창조한 것이었는데, 이는 훗날 오페라 레시타티보로 발전했고, 바로크 음악의 다양한 양식과 질감적 요소에 영향을 미쳤다.[2]카치니의 가장 영향력 있는 작품은 1602년에 출판된 독창과 바소 콘티누오를 위한 단선율 및 노래 모음집인 ''Le nuove musiche(새로운 음악)''이다.[2] 이 모음집은 카치니가 단선율과 바소 콘티누오의 발명가이자 규범자로 자리매김하려는 시도였으며, 실제로 성공을 거두었다.[2]
이 책의 서문은 카치니가 ''affetto cantando''(열정적인 노래)라고 부른 단선율 연주에 대한 가장 명확한 설명을 담고 있다.[2] 카치니의 서문에는 장식의 음악적 예시가 포함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가수가 전달하고자 하는 감정에 따라 특정 구절을 다르게 장식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2] 또한 이 양식에 대한 칭찬과 당시 보수적인 작곡가들의 작품에 대한 경멸도 담겨 있다.[2]
이 서문은 통주 저음 양식의 세컨다 프라티카의 숫자 베이스를 처음으로 설명하려는 시도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도 음악 이론사에서 중요하다.[3] 카치니는 저음 파트 위에 숫자, 즉 3도와 6도를 표시하는 데 익숙해졌으며, 샤프가 있으면 장조, 플랫이 있으면 단조를 나타낸다고 설명했다.[3]
3. 2. 『새로운 음악』(Le nuove musiche)
카치니의 가장 영향력 있는 작품은 1601년에 출판된 독창과 바소 콘티누오를 위한 단선율 및 노래 모음집인 ''새로운 음악(Le nuove musiche)''이다.[2] 종종 최초의 단선율 출판 모음집으로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1602년 3월 베네치아에서 출판된 도메니코 멜리의 첫 번째 모음집(''stile veneto'', 새해가 3월 1일에 시작됨)이 그보다 앞섰다. 이 모음집은 카치니가 단선율과 바소 콘티누오의 발명가이자 규범자로 자리매김하려는 시도였으며, 이는 분명 성공적이었다. 이 모음집은 1602년 7월까지 출판되지 않았지만 카치니는 이 모음집을 로렌조 살비아티 경에게 헌정하는 서한의 날짜를 1601년 2월, 즉 새해가 3월 25일에 시작되는 ''stile fiorentino''로 표기했다. 이것이 이 모음집의 날짜가 종종 1601년으로 기록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더욱이 그는 서문에서 이 양식을 설명하면서 스스로를 이 양식의 발명가로 명확히 자리매김한다.이 책의 서문은 카치니가 ''affetto cantando''(열정적인 노래)라고 부른 단선율의 연주에 대한 가장 명확하게 쓰여진 설명일 것이다. 카치니의 서문에는 장식의 음악적 예시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가수가 전달하고자 하는 정확한 감정에 따라 특정 구절을 여러 가지 다른 방식으로 장식할 수 있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으며, 또한 이 양식에 대한 격찬과 당시의 더 보수적인 작곡가들의 작품에 대한 경멸을 담고 있다.
이 서문은 통주 저음 양식의 세컨다 프라티카의 숫자 베이스를 처음으로 설명하려는 시도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음악 이론사에서도 중요하다.[3]
새롭게 등장한 모노디 형식, 즉 ''레치타티보 양식''(stile recitativo)은 피렌체뿐만 아니라 이탈리아의 다른 지역에서도 명성을 얻었다. 16세기 말 가장 진보적인 음악의 발신지는 피렌체와 베네치아였으며, 두 지역의 음악적 발명의 융합은 결과적으로 바로크 양식으로 알려진 것을 발전시켰다. 카치니의 업적은 연설 등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직접적인 음악 표현 양식을 고안한 것이다. 이 표현 양식은 후에 오페라의 레치타티보로 발전했으며, 그 외 많은 바로크 음악의 양식적 또는 본문적 요소에 영향을 미쳤다.
3. 3. 오페라
카치니는 다음 세 개의 오페라를 작곡했다.- 에우리디체 (1600)
- 케팔로의 납치 (1600, 첫 번째 ''누오베 무지케''에 발췌 출판)
- 에우리디체 (1602)
처음 두 작품은 다른 작곡가들과의 협업이었는데, 특히 첫 번째 ''에우리디체''는 페리의 곡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그는 인테르메디오 ''Io che dal ciel cader farei la luna''(1589)의 음악을 작곡했다. 피렌체의 기록에 따르면 1610년경 다성 음악에도 참여했지만, 여러 성부를 위한 음악은 남아있지 않다. 그는 주로 모노디와 독창곡 작곡가였으며 화음 악기 반주를 사용했다(그는 스스로 하프를 연주했다).
3. 4. 기타 작품
카치니는 오페라 ''에우리디체''(1600), ''케팔로의 납치''(1600, 첫 번째 ''누오베 무지케''에 발췌 출판), ''에우리디체''(1602)의 음악을 작곡했다. 처음 두 작품은 다른 작곡가들과의 협업이었는데, 특히 첫 번째 ''에우리디체''는 페리의 곡이 대부분이었다. 그는 인테르메디오 ''Io che dal ciel cader farei la luna''(1589)의 음악도 작곡했다. 피렌체의 기록에 따르면 1610년경 다성 음악에도 참여했지만, 여러 성부를 위한 음악은 남아있지 않다.그는 주로 모노디와 독창곡 작곡가였으며 화음 악기 반주를 사용했다(그는 스스로 하프를 연주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는 큰 명성을 얻었다. 1602년(새로운 스타일)과 1614년에 노래와 독창 마드리갈 모음집 두 개를 출판했는데, 두 작품 모두 ''새로운 음악''이라는 제목을 사용했다(후자는 ''누오베 무지케 에 누오바 마니에라 디 스크리베를레''로 출판). 대부분의 마드리갈은 통작곡되었고 반복이 거의 없지만, 일부 노래는 연가 형식이다. 가장 유명하고 널리 퍼진 곡 중 하나는 마드리갈 ''아마릴리, 미아 벨라''이다.
블라디미르 바빌로프가 작곡한 아베 마리아는 종종 카치니의 작품으로 잘못 알려진다.
카치니는 다음 세 개의 오페라 작품을 집필했다.
- 에우리디체 ''Euridice'' (1600년)
- 케팔로의 납치 ''Il rapimento di Cefalo'' (1600년)
- 에우리디체(제2작) ''Euridice'' (1602년)
처음 두 작품은 다른 인물의 곡이 포함되어 있다 (첫 번째 "에우리디체"는 대부분이 페리의 곡이다). 그는 인테르메디오 "''Io che dal ciel cader farei la luna''"(1589년)의 곡도 작곡했다. 다음 두 권의 가곡과 마드리갈 곡집도 간행했다.
- 곡집·교칙본 『새로운 음악』 ''Le Nuove Musiche'' (1601년)
- 곡집·교칙본 『새로운 음악과 새로운 서법』 ''Nuove Musiche e nuova maniera di scriverle'' (1614년)
마드리갈의 대부분은 통절 형식이며 반복은 거의 없지만, 일부 가곡은 유절 형식이다. 피렌체의 기록에 따르면 카치니는 1610년경 다성 음악에 관여했지만, 다성을 위한 가곡은 현존하지 않는다. 그는 주로 단성 음악 작곡가였으며, 그 재능으로 널리 명성을 얻었다.
4. "카치니의 아베 마리아"
이 곡은 실제로는 1970년경 소련의 음악가 블라디미르 바빌로프(1925-1973)가 작곡한 가곡이다.
녹음과 악보는 1990년대 초반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출처가 밝혀지지 않았고, 현재 구할 수 있는 출판 악보는 모두 편곡된 것이며, 가사가 "아베 마리아"를 반복하는 내용 또한 바로크 양식과는 맞지 않는다.
바빌로프는 자신의 작품을 고전 작곡가의 이름을 빌려 발표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자신이 협연한 이레네 보가초바의 1972년 녹음에서는 "작곡자 불상"의 '아베 마리아'로 발표했다. 바빌로프 사후 10년이 지나 CD로 녹음된 마리아 비에슈(1996)나 이네사 갈란테의 데뷔 음반(1994)에서는 작곡자가 "D. 카치니"로 표기되어, 줄리오 카치니의 작품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초기 녹음에는 비에슈와 갈란테 외에도, 슬라바(1995), 리나 음르트치안(1990) 등 소련 아티스트들의 연주가 있다. 20세기 말 레슬리 개릿과 슬라바의 CD로 단숨에 인지도가 높아졌으며, 많은 가수가 녹음하고 영화에도 사용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CD나 악보의 곡 해설에서는 언급되지 않아, 현재 일반적으로 카치니의 작품으로 오인되고 있다.
5. 녹음
''Euridice.''영어 Scherzi Musicali with 니콜라스 아흐텐 지휘. 2009, Ricercar RIC 269[1]
초기 녹음에는 마리아 비에슈와 이네사 갈란테 외에도, 슬라바(1995), 리나 음르트치안(1990) 등 소련 아티스트들의 연주가 있다. 20세기 말 레슬리 개릿과 슬라바의 CD로 단숨에 인지도가 높아졌으며, 많은 가수가 녹음하고 영화에도 사용되었다.
참조
[1]
서적
Great Composers, 1300-1900: A Biographical and Critical Guide
https://books.google[...]
H. W. Wilson Company
[2]
서적
Introduction to Le nuove musiche
A-R Editions, Inc.
[3]
서적
Introduction to Le nuove musiche
A-R Editions, I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