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는 이탈리아의 작곡가로, 르네상스 음악에서 바로크 음악으로의 전환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북부 이탈리아 크레모나에서 태어나 만토바 공작 빈첸초 1세의 궁정 음악가로 활동하며 오페라 《오르페오》와 《아리아나》를 작곡하여 명성을 얻었다. 이후 베네치아의 산 마르코 대성당 악장으로 임명되어 교회 음악 개량에 힘썼으며, 베네치아에 세계 최초의 공중 가극장이 개관되자 가극과 발레 음악을 발표하며 가극의 창시자로 불렸다. 몬테베르디는 18개 이상의 오페라를 작곡했으며, 《오르페오》, 《포페아의 대관식》, 《율리시스의 귀환》, 《아리아나》의 아리아 "아리아나의 슬픔" 등이 대표작으로 꼽힌다. 그는 마드리갈, 종교 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도 혁신적인 시도를 했으며, 음악적 논쟁을 통해 새로운 음악 양식을 옹호하기도 했다. 몬테베르디는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를 잇는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으며, 서양 음악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음악 이론가 - 루이지 케루비니
    루이지 케루비니는 이탈리아 출신 프랑스 작곡가이자 파리 음악원 원장으로, 고전주의와 낭만주의를 융합한 오페라와 종교 음악으로 유명하며, 특히 다장조 레퀴엠은 베토벤 등으로부터 극찬을 받았다.
  • 이탈리아의 음악 이론가 - 주세페 타르티니
    주세페 타르티니는 바로크 시대 후기의 이탈리아 바이올린 연주자, 작곡가, 음악 이론가로, 기교적인 연주와 몽환적인 분위기의 작품을 남겼으며, 대표작인 《악마의 트릴》 외에도 다양한 기악곡을 작곡했고, 차음 발견 및 화성론 연구에 기여했다.
  • 크레모나 출신 - 잔루카 비알리
    잔루카 비알리는 이탈리아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크레모네세, 삼프도리아, 유벤투스, 첼시에서 공격수로 활약하며 여러 클럽에서 우승을 경험했고 이탈리아 국가대표로도 활동했으며 은퇴 후 감독과 해설가로 활동하다 췌장암으로 사망했다.
  • 크레모나 출신 - 안토니오 카브리니
    안토니오 카브리니는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유벤투스와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한 이탈리아의 전설적인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공격적인 왼쪽 풀백으로서 세리에 A 우승 6회,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 등 수많은 업적을 남겼으며 이탈리아 수비수 역대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 신부 - 프라 필리포 리피
    프라 필리포 리피는 15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로, 마사초의 영향을 받아 종교화를 현실적으로 묘사했으며, 프라토 대성당의 프레스코화를 비롯한 여러 작품을 남겼다.
  •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 신부 - 안토니오 비발디
    안토니오 비발디는 바로크 시대 이탈리아의 작곡가이자 바이올리니스트로, 베네치아 피에타 고아원에서 다수의 작품을 작곡했으며, 바이올린 협주곡 《사계》로 널리 알려져 바로크 및 후대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말년에 빈곤 속에서 사망 후 20세기에 재평가되었다.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지도
기본 정보
이름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로마자 표기Claudio Monteverdi
다른 표기Claudio Monteuerde
클라우디오 몬테우에르데
발음

출생1567년 5월 15일 (세례)
출생지크레모나
사망1643년 11월 29일
사망지베네치아
국적이탈리아
활동 시기1590년–1613년
직업작곡가
장르클래식 음악
초상화
1644년 'Fiori poetici'에 실린 몬테베르디의 초상화
서명
몬테베르디 서명

2. 생애와 작품

몬테베르디는 1567년 이탈리아 북부 크레모나의 의사 집안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크레모나 대성당의 악장 마르크 안토니오 인게그네리에게 음악을 배웠다. 16세에 <교회용 합창곡집>을 발표하며 작곡가로서의 재능을 보였다.[156]

1590년부터 만토바 빈첸초 1세 궁정에서 음악가로 활동하며 오르페오(1607), 아리안나(1608) 등의 오페라를 작곡하여 명성을 얻었다. 《오르페오》는 극적인 힘과 오케스트레이션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근대 오페라의 출발점으로 평가받는다.

1613년 베네치아 산 마르코 대성당 악장으로 임명되어 쇠퇴했던 성당 음악을 재건했다. 마드리갈집 제6, 7, 8권을 출판했으며, 1638년 제8권에는 "전쟁과 사랑의 마드리갈"과 토르쾃토 타소의 해방된 예루살렘을 소재로 한 탄크레디와 클로린다의 전투가 포함되어 있다.[156]

1632년 가톨릭 사제로 서품되었다.[155] 말년에는 율리시즈의 귀환(1641), 포페아의 대관식(1642) 등의 오페라를 작곡했다. 《포페아의 대관식》은 네로를 소재로 한 역사극으로, 몬테베르디의 최고 걸작으로 꼽힌다.

베네데토 페라리, 프란체스코 카발리 등 많은 오페라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하인리히 쉬츠는 몬테베르디에게서 배운 새로운 양식을 독일에 전파했다. 1637년 베네치아에 세계 최초의 공중 가극장이 개관되자, 가극·발레 음악을 발표하여 가극의 창시자로 불리게 되었다.[156]

2. 1. 크레모나 시기 (1567-1591)

마르칸토니오 인제네리에게서 음악을 배웠다. 몬테베르디는 이탈리아 북부 크레모나의 의사 집안에서 태어났으며,[156] 1567년 5월 15일 크레모나의 산 나자로 에 첼소 교회에서 세례를 받았다. 등록부에는 "클라우디오 주안 안토니오(Claudio Zuan Antonio)"로, 아버지의 이름은 "메세르 발다사르 몬데베르도(Messer Baldasar Mondeverdo)"로 기록되어 있다.[5] 그는 약사 발다사레 몬테베르디와 그의 첫 번째 부인 마달레나 지냐니 사이의 첫째 아이였다.[6] 크레모나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국경과 가까웠고, 몬테베르디가 후에 그의 경력을 쌓게 될 만토바 공국이 지배하는 땅에서도 멀지 않았다.[5]

몬테베르디의 스승 인제네리가 마에스트로 디 카펠라였던 크레모나 대성당


몬테베르디의 초기 음악 교육에 대한 명확한 기록이나, 그가 대성당 합창단의 일원이었거나 크레모나 대학교에서 공부했다는 증거는 없다. 몬테베르디의 첫 번째 출판물은 세 목소리를 위한 모테트곡집인 Sacrae cantiunculaela(성가)로, 그가 겨우 열다섯 살이었던 1582년 베네치아에서 출판되었다. 이 작품과 그의 다른 초기 출판물에서 그는 1581년부터 1592년까지 크레모나 대성당의 마에스트로 디 카펠라였던 마르칸토니오 인제네리의 제자라고 자신을 소개한다. 10대 시절부터 종교 음악 작품을 발표하며 작곡가로서의 재능을 보였다. 음악학자 팀 카터는 인제네리가 "그에게 대위법과 작곡에 대한 견고한 기반을 제공했고", 몬테베르디는 또한 비올 계열의 악기 연주와 노래를 공부했을 것이라고 추론한다.[6][7][8][9]

몬테베르디의 첫 번째 출판물은 초기부터 크레모나를 넘어선 그의 관계를 보여준다. 그의 두 번째 출판물인 Madrigali spiritualila(영적 마드리갈, 1583)는 브레시아에서 인쇄되었다. 초기에는 르네상스 다성 음악 양식을 따랐으나, 점차 감정 표현을 중시하는 새로운 양식을 모색했다. 그의 다음 작품들(그의 첫 번째 세속 작품)은 그의 전기 작가 파올로 파브리에 따르면 다섯 목소리를 위한 마드리갈곡집으로, "16세기 후반의 모든 작곡가에게 필수적인 시험장… 탁월한 세속 장르"였다. 첫 번째 마드리갈곡집(베네치아, 1587)은 베로나의 마르코 베리타 백작에게 헌정되었고, 두 번째 마드리갈곡집(베네치아, 1590)은 1587년에 그를 위해 비올라 다 브라초를 연주했던 밀라노 상원 의장 자코모 리카르디에게 헌정되었다.[6][8][10]

2. 2. 만토바 시기 (1591-1613)

몬테베르디는 1590년 만토바의 빈첸초 1세 곤차가 궁정에서 가수이자 비올라 다 감바 연주자로 일하기 시작했다.[156] 1602년에는 궁정 악장이 되었다.[156] 그는 두 번째 마드리갈집 서문에서 자신을 '비부올라'(vivuola) 연주자라고 묘사했는데, 이는 비올라 다 감바 또는 비올라 다 브라초를 의미할 수 있다.[9][11]

빈첸초 공작은 궁정을 음악 중심지로 만들기 위해 유명 음악가들을 영입하려 했다.[15] 몬테베르디가 만토바에 왔을 때, 궁정의 마에스트로 디 카펠라(maestro di capella)는 플랑드르 출신 음악가 지아케스 드 베르트(Giaches de Wert)였다.[15] 이 시기 궁정의 다른 주목할 만한 음악가들로는 작곡가이자 바이올리니스트인 살로모네 로시(Salomone Rossi), 로시의 여동생이자 가수인 마다마 에우로파(Madama Europa), 프란체스코 라시(Francesco Rasi)가 있었다.[15] 몬테베르디는 1599년 궁정 가수 클라우디아 데 카타네이스와 결혼했다.[9]

몬테베르디는 40세까지 주로 마드리갈 작곡에 전념하여 8권의 작품집을 출판했다. 1605년에 출판된 제5권 (''Quinto Libro'')은 몬테베르디와 조반니 마리아 아르투지와의 논쟁의 장이 되었다. 아르투지는 당시의 새로운 작곡 양식의 "조잡함"과 "파격"을 비판했다.[153] 몬테베르디는 제5권 서문에서 음악 연주를 "제1작법"(prima pratica, 제1양식, 제1기법 등의 번역도 있음), "제2작법"(seconda pratica)의 두 가지 흐름으로 나눌 것을 제안했다. "제1작법"은 종래의 16세기적인 다성 음악의 이상을, "제2작법"은 보다 자유로운 대위법을 사용하고, 소프라노와 베이스에 중점을 두는 것을 가리킨다.

1607년, 몬테베르디는 첫 오페라 작품인 오르페오(''L'Orfeo'')를 만토바에서 초연했다. 만토바 공의 명령을 받아 사육제 축제를 위해 작곡된 것이었다. 『오르페오』는 극적인 힘과 오케스트레이션이 획기적이었다. 몬테베르디의 오페라 작품은 "바로크 이전"(프레-바로크) 또는 "초기 바로크"로 분류되지만, 근대 오페라의 출발점으로 간주된다.

몬테베르디의 다음 큰 작품은 1610년의 성모 마리아의 저녁 기도(''Vespro della Beata Vergine'', 『성모 마리아의 晩課』라고도 함)였다.

1612년 빈첸초 공작이 죽고, 만토바 공작의 자리를 계승한 프란체스코 4세 곤차가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몬테베르디를 해고했다.[154]

2. 3. 베네치아 시기 (1613-1643)

1613년 몬테베르디는 베네치아의 산 마르코 대성당 악장으로 임명되어, 전임자 줄리오 체사레 마르티넨고의 재정적 실책으로 쇠퇴하고 있던 합창단과 관현악단을 재건했다.[154] 성당 측은 1609년 조반니 크로체의 죽음 이후 쇠퇴하던 성당 음악이 재건된 것에 안도했다고 한다.

베네치아에 있는 동안 몬테베르디는 마드리갈집 제6, 7, 8권을 출판했다. 1638년의 제8권(''Ottavo Libro'')은 30년 이상에 걸쳐 쓰여진 곡을 수록한 최대 규모의 것이다. 마드리갈 양식의 걸작으로 널리 간주되는 "전쟁과 사랑의 마드리갈"(''Madrigali dei guerrieri ed amorosi'')이 포함되어 있으며, 토르쾃토 타소의 해방된 예루살렘을 소재로 한 오케스트라와 중창에 의한 극적인 탄크레디와 클로린다의 전투(1624년)도 수록되어 있다.[156] 이 작품은 현악기의 트레몰로(같은 음의 빠른 반복)와 피치카토(손가락으로 현을 튕기는 것)를 극적인 장면의 효과로 사용한 초기의 예로서도 주목된다.

1637년 베네치아에 세계 최초의 공중 가극장이 개관되자, 몬테베르디는 오페라, 발레 음악을 발표하여 가극의 창시자로 불리게 되었다.[156]

말년의 몬테베르디는 병에 자주 쓰러졌지만, 율리시즈의 귀환(1641년)과 포페아의 대관식(1642년) 두 편의 걸작 오페라를 작곡했다. 포페아의 대관식네로 황제를 소재로 한 역사극이며, 비극, 서정적인 장면뿐 아니라 코믹한 장면도 포함되어 있다. 등장인물의 사실적인 묘사와 이전보다 따뜻한 선율 등으로 몬테베르디의 최고 걸작으로 불리기도 한다.

몬테베르디는 말년까지 베네치아에서 큰 음악적 영향력을 유지했으며, 베네데토 페라리, 프란체스코 카발리 등 많은 오페라 작곡가가 그의 문하에서 배출되었다. 하인리히 쉬츠는 1628년 두 번째 베네치아 방문 후 몬테베르디에게서 배운 새로운 양식을 독일로 가져가 독일어 음악에 응용했다.

3. 주요 작품

몬테베르디는 오페라, 마드리갈, 종교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작품들을 남겼다.



마드리갈은 9개의 작품집으로 출판되었으며, 특히 8번째 마드리갈 모음집에는 탄크레디와 클로린다의 전투가 포함되어 있다.

  • 탄크레디와 클로린다의 전투 ''Il Combattimento di Tancredi e Clorinda''


종교 음악으로는 《성모 마리아의 저녁기도》와 《도덕적이고 영적인 숲》 등이 있다.

  • 성모 마리아의 저녁기도 ''Vespro della Beata Vergine''
  • 음악의 해학 ''Scherzi Musicali''
  • 도덕적·종교적 숲 ''Selva Morale e Spirituale''

3. 1. 오페라

몬테베르디는 적어도 18개의 오페라를 작곡했지만, 현재 온전히 전해지는 작품은 많지 않다. 다음은 현존하는 몬테베르디의 주요 오페라 작품들이다.

  • 오르페오》(L'Orfeo, 1607):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오페라 중 하나로, 풍부한 기악 편성과 극적인 표현이 돋보인다.
  • 《아리아나》(L'Arianna, 1608): 현재는 아리아 '아리아나의 탄식'만 전해진다.[156]
  • 《율리세스의 귀환》(Il ritorno d'Ulisse in patria, 1640): 호메로스오디세이아를 바탕으로 한 작품으로, 인간적인 고뇌와 감동을 깊이 있게 그려냈다.
  • 포페아의 대관식》(L'incoronazione di Poppea, 1643): 로마 황제 네로와 포페아의 사랑 이야기를 다룬 작품으로, 몬테베르디 오페라 중 최고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오르페오 (베네치아판, 1609년)의 표지


율리세스의 귀환 (1641년)의 사본 악보

3. 2. 마드리갈

몬테베르디는 40세까지 주로 마드리갈 작곡에 전념하여 9권의 작품집을 출판했다. 그는 르네상스 다성 음악의 전통에서 출발했지만, 점차 새로운 기법들을 도입하여 바로크 모노디 양식으로의 변화를 이끌어냈다. 몬테베르디의 마드리갈 작품집은 르네상스 다성 음악에서 바로크 모노디 양식으로의 극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군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제5권은 조반니 마리아 아르투시와의 논쟁을 통해 새로운 음악 양식을 옹호한 작품으로 유명하며, 제8권은 극적인 표현과 혁신적인 기법이 돋보이는 대표작으로 꼽힌다.

순서제목출판 연도성부비고
제1권Madrigali a cinque voci... Libro primo15875성부[153]
제2권Il secondo libro de madrigali a cinque voci15905성부몬테베르디는 자신을 비부올라(vivuola) 연주자라고 묘사 (비올라 다 감바 또는 비올라 다 브라초를 의미)[9][11]
제3권Di Claudio Monteverde il terzo libro de madrigali a cinque voci15925성부만토바 공작 빈첸초 1세 곤자가에게 헌정[13]
제4권Il quatro libro de madrigali a cinque voci16035성부조반니 마리아 아르투시가 이 작품의 화성 사용과 음악 모드 사용의 혁신을 비판[18]
제5권Il quinto libro de madrigali a cinque voci16055성부아르투시의 비판에 대한 몬테베르디의 답변, 제1작법(prima pratica)과 제2작법(seconda pratica) 구분, 악기 반주 도입[153]
제6권Il sesto libro de madrigali a cinque voci, con uno dialogo a sette16145성부, 7성부콘티누오를 사용하여 클라바쳄발로 등 악기 반주 가능[31]
제7권Concerto. Settimo libro di madrigali16191~6성부다양한 편성의 곡들과 다른 장르의 노래 포함[31][45][38]
제8권Madrigali guerrieri, et amorosi1638-30년 이상에 걸쳐 작곡된 곡 수록, 토르콰토 타소의 『예루살렘 해방』을 소재로 한 『탄크레디와 클로린다의 전투』(1624년) 포함, 현악기 트레몰로피치카토 사용[41]
제9권Madrigali e canzonette a due e tre voci... Libro nono16512~3성부몬테베르디 사후 출판, 생애 여러 시점에 작곡된 곡 수록


3. 3. 종교 음악

《성모 마리아의 저녁기도(Vespro della Beata Vergine)》(1610)는 다양한 양식과 기법을 융합한 대규모 작품으로, 몬테베르디의 종교 음악 중 가장 유명하다.[18][31] 출판 악보에 적힌 음악의 규모가 매우 크기 때문에, 한 번의 예배에서 모두 연주할 것을 목적으로 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그러나 음악적으로는 전체의 통일성이 곳곳에서 보인다.

《도덕적이고 영적인 숲(Selva Morale e Spirituale)》(1640)은 만토바 계승 전쟁과 페스트 종식 이후 작곡된 곡들을 모은 작품집이다.[47][48][49][1]

4. 음악적 특징과 유산

몬테베르디는 초기에는 르네상스 음악의 대위법적 다성 음악의 뛰어난 작곡가로 출발했지만, 이후 더 큰 감정 표현을 위해 새로운 대위법의 가능성을 탐구했다. 1605년에 출판된 마드리갈 제5권(''Quinto Libro'')은 조반니 마리아 아르투지와의 논쟁으로 유명하다. 아르투지는 당시의 새로운 작곡 양식의 "조잡함"과 "파격"을 비판했지만,[153] 몬테베르디는 '제1작법'과 '제2작법'이라는 개념을 제시하며 새로운 음악 양식을 옹호했다.

몬테베르디는 오페라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선구자이기도 하다. 1607년 만토바에서 초연된 그의 첫 오페라 『오르페오』(''L'Orfeo'')는 극적인 힘과 혁신적인 오케스트레이션으로 주목받았다. 몬테베르디는 이 작품을 통해 "음악에 의한 극"(''dramma per musica'')이라는 새로운 음악 양식을 창조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오페라 작품은 "바로크 이전"(프레-바로크) 또는 "초기 바로크"로 분류되지만, 근대 오페라의 출발점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1610년의 『성모 마리아의 저녁 기도』(''Vespro della Beata Vergine'')는 몬테베르디의 종교 음악 중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이다.

말년에 몬테베르디는 병약함에도 불구하고 두 편의 걸작 오페라 『율리시스의 귀환(1641년)과 『포페아의 대관식(1642년)을 작곡했다. 특히 『포페아의 대관식』은 로마 황제 네로를 소재로 한 역사극으로, 사실적인 등장인물 묘사와 따뜻한 선율 등으로 몬테베르디의 최고 걸작으로 꼽힌다.

4. 1. 르네상스에서 바로크로의 전환

몬테베르디는 르네상스 다성 음악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바로크 음악의 특징인 감정 표현과 극적인 요소를 적극적으로 도입했다. 그는 '제1작법'(prima pratica)과 '제2작법'(seconda pratica)의 개념을 통해 음악 양식의 변화를 이론적으로 뒷받침했다.[153]

'제1작법'은 16세기 다성 음악의 이상을 따르는 것으로, 엄격한 대위법 규칙을 준수하고 불협화음은 반드시 준비되어야 하며 각 성부가 동등하게 취급되는 양식이다. 반면 '제2작법'은 보다 자유로운 대위법을 사용하며, 소프라노와 베이스 성부를 강조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는 이탈리아에서 새롭게 등장한 모노디 양식으로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다.

몬테베르디의 마드리갈 작품집 제5권은 이러한 변화를 잘 보여주는 예시이다. 이 작품집에는 악기 반주가 포함되어 있으며, 기능적 조성의 사용이 시작되는 등 새로운 시도가 나타난다. 몬테베르디의 마드리갈 작품집들은 르네상스 다성 음악에서 바로크 음악의 모노디 양식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4. 2. 극음악의 혁신

몬테베르디는 오페라에서 레치타티보, 아리아, 중창, 합창 등 다양한 형식과 기법을 사용하여 극적인 효과를 극대화했다.[62] 그는 '격앙 양식'(stile concitato)을 통해 격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새로운 기법을 창안했다.[50] 그의 작품인 『탕크레디와 클로린다의 싸움』(1624년)은 현악기의 트레몰로(같은 음의 빠른 반복)와 피치카토(손가락으로 현을 튕기는 것)를 극적인 장면의 효과로 사용한 초기의 예시로 주목받는다.[50] 몬테베르디는 기악 편성을 확대하고, 악기 사용에 대한 구체적인 지시를 통해 극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에도 기여했다.[61]

4. 3. 몬테베르디의 유산

몬테베르디의 음악은 후대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그의 문하에서 베네데토 페라리, 피에트로 프란체스코 카발리 등 많은 오페라 작곡가가 배출되었다.[156] 하인리히 쉬츠는 1628년 두 번째 베네치아 방문 후 몬테베르디에게서 배운 새로운 양식을 독일로 가져가 독일어 음악에 응용했다.[156]

시간이 흘러 몬테베르디의 작품은 "시간의 파괴를 뛰어넘을 것이 분명하므로, 후대 사람들은 그를 그리워할 것이다."라고 인정받을 정도로[55] 서양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Monteverdi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8-10
[2] 사전 Monteverdi, Claudio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3] 사전 Monteverdi Merriam-Webster 2019-08-10
[4] 서적 Discorso secondo mvsicale di Antonio Braccino [pseud.] da Todi: Per la Dichiaratione della lettera posta ne' Scherzi musicali del sig. Claudio Monteuerde https://books.google[...] G. Vincenti 1608-05-16
[5] 서적 Fabbri (2007)
[6] 서적 Carter and Chew (n.d.)
[7] 서적 Carter (2002)
[8] 서적 Whenham (2007)
[9] 서적 Arnold (1980a)
[10] 서적 Fabbri (2007)
[11] 서적 Bates (2002)
[12] 서적 Holman (n.d.)
[13] 서적 Holman (1993)
[14] 서적 Fabbri (1994)
[15] 서적 Stevens (1995)
[16] 서적 Arnold (1980b)
[17] 음반 Monteverdi: Scherzi Musicali a Tre Voci https://www.naxos.co[...] Naxos Records
[18] 서적 Carter and Chew (n.d.)
[19] 간행물 Fetti's 'Portrait of an Actor' Reconsidered 1978-02
[20] 서적 Bowers (2007)
[21] 서적 Bowers (2007)
[22] 서적 Bowers (2007)
[23] 서적 Stevens (1995)
[24] 서적 Ossi (2007)
[25] 학술지 The "Artusi–Monteverdi" controversy: Background, content, and modern interpretations https://www.academia[...] King's College, London 2015-03-27
[26] 서적 Stevens (1995)
[27] 서적 Malipiero (1932)
[28] 서적 Whenham (2007)
[29] 서적 Pryer (2007)
[30] 서적 Stevens (1995)
[31] 서적 Arnold (1980a)
[32] 서적 Stevens (1995)
[33] 서적 Fabbri (2007)
[34] 서적 Walker and Alm (n.d.)
[35] 서적 Fabbri (2007)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Musical sources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Venice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Chronology
[49] 서적
[50] 서적 Chronology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Theoretical and aesthetic basis of works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Early works
[68] 서적
[69] 서적 'Imitatio' and use of models
[70] 서적
[71] 서적
[72] 서적 §8 "Works from the Mantuan Years"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학술지 The Development of Harmony 1929-09-15
[87] 서적
[88] 서적 Catalogue and Index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음반 Claudio Monteverdi: Vespro della beata vergine Deutsche Grammophon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9 "Works from the Venetian Years"
[100] 서적 The Venetian secular music
[101] 서적
[102] 서적 The Venetian secular music
[103] 웹사이트 Monteverdi Madrigals, Book 8 https://www.gramopho[...] 2017-07-13
[104] 서적 Catalogue and Index
[105] 서적
[106] 서적 The Venetian secular music
[107] 서적
[108] 뉴스 Review: Monteverdi: Madrigals, Book 8, La Venexiana https://www.theguard[...] 2005-11-04
[109] 서적 The Venetian Sacred Music
[110] 서적 Catalogue and Index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116] 웹사이트 Claudio Monteverdi: Three decades in Venice https://www.britanni[...] Britannica Online 2010-02-21
[117] 서적
[118] 간행물 For the Record 1965-05
[119] 서적
[120] 서적
[121] 뉴스 Monteverdi: Messa a Quattro Voci et Salmi of 1650: CD review https://www.theguard[...] 2016-03-24
[122] 서적 The Venetian Sacred Music
[123] 서적 The Venetian Sacred Music
[124] 서적 The Venetian Sacred Music
[125] 서적 Catalogue and Index
[126] 서적 The Venetian secular music
[127] 서적
[128] 서적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서적
[134] 서적
[135] 서적
[136] 서적
[137] 서적
[138] 서적
[139] 서적
[140] 서적
[141] 간행물 Monteverdi's Vespers – which recording is best? https://www.gramopho[...] 2015-02-09
[142] 웹사이트 Opera statistics: Composers http://www.operabase[...]
[143] 웹사이트 Claudio Monteverdi: Verzeichnis der erhaltenen Werke (SV) http://www.dieter-ew[...]
[144] 서적
[145] 서적
[146] 서적
[147] 서적
[148] 서적 Historical position
[149] 서적
[150] 웹사이트 Mehr dazu http://sammellust.ti[...]
[151] 간행물 Fetti's 'Portrait of an Actor' Reconsidered 1978-02
[152] 웹사이트 Claudio Monteverdi Italian composer and musician https://www.britanni[...]
[153] 서적 Monteverdi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4] 서적 モンテヴェルディ 音楽之友社
[155] 웹사이트 Claudio Monteverde http://www.newadvent[...] 1910
[156] 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