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성자 활성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성자 활성화는 안정적인 물질이 중성자를 흡수하여 방사성 동위원소로 변환되는 현상이다. 이 과정은 원자로 내 코발트-60 생성, 리튬-7의 핵분열, 원자력 발전소 냉각수 활성화, 사이클로트론 시설의 콘크리트 방사화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한다. 중성자 활성화는 재료의 부식을 유발하고, 방사선 안전 문제와 관련되며, 중성자 검출, 재료 분석, 반도체 생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성자 - 중성자별
중성자별은 초신성 폭발 후 남은 태양 질량의 1.4배에서 3배 정도 되는 질량을 가진 고밀도 천체로, 주로 중성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빠른 자전과 강력한 자기장을 가진 펄서, 마그네타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고, 쌍성 중성자별의 합병은 중력파와 감마선 폭발을 발생시키며 철보다 무거운 원소 생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중성자 - 연구용 원자로
연구용 원자로는 중성자를 생성하여 다양한 연구 및 산업 분야에 활용되며, 이용 목적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되고, 국제원자력기구 등은 연료를 저농축 우라늄으로 전환하는 프로그램을 추진 중이다. - 방사선 - 방사선 공포증
방사선 공포증은 초기 라디오 방송 공포에서 시작되어 원자력 실험과 의료용 X선 공포로 확장되었으며, 핵실험, 방사능 피해 사례, 원전 사고 등을 거치며 사회적 불안과 편견, 차별을 심화시키는 과도한 방사선에 대한 두려움을 의미한다. - 방사선 - 전자기파
전자기파는 전기장과 자기장의 파동으로, 파동과 입자 특성을 가지며, 파장에 따라 다양한 영역으로 분류되어 통신,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중성자 활성화 | |
---|---|
중성자 활성화 | |
개요 | 중성자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방사능이다. |
관련 현상 | 중성자 흡수 |
관련 분야 | 중성자 활성화 분석 |
기본 정보 | |
영어 | Neutron activation |
설명 | 원자가 중성자를 흡수하여 방사성 동위원소가 되는 과정 |
발생 메커니즘 | 원자핵이 자유 중성자를 포획하여 핵변환을 일으켜 방사성 동위원소를 생성하는 현상 |
핵반응 유형 | 주로 (n, γ) 반응으로, 원자핵이 중성자를 흡수하여 여기 상태가 되었다가 감마선을 방출하며 안정화된다. 이 과정에서 방사성 동위원소 생성 |
관련 요소 | 중성자 에너지, 원자핵의 중성자 포획 단면적, 조사 시간, 생성된 동위원소의 반감기 |
중요한 변수 | 중성자 플루언스(fluence)와 중성자 단면적 |
응용 | |
응용 분야 | 중성자 활성화 분석, 중성자 단층 촬영 |
산업 분야 응용 | 재료 분석, 환경 연구, 의학, 고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
중성자 활성화 분석 | |
정의 | 중성자 활성화를 이용하여 물질의 원소 조성을 분석하는 기법 |
원리 | 시료를 중성자로 조사하여 방사성 동위원소를 만들고, 이때 방출되는 감마선의 에너지와 양을 측정하여 각 원소의 농도 분석 |
장점 | 비파괴 분석, 미량 원소 분석에 매우 효과적 |
방법 | 시료를 원자로나 가속기를 이용하여 중성자 조사 |
주요 방법 | 방사능 측정 |
기타 | |
관련 용어 | 중성자, 방사능, 방사성 동위원소, 핵반응, 중성자 플루언스, 중성자 단면적, 감마선 |
2. 중성자 활성화의 예시
원자로 내에서 코발트-60이 생성되는 과정, 리튬-7이 고속 중성자와 충돌하여 핵분열을 일으키는 현상, 가압경수로나 비등경수로에서 냉각수 산소가 활성화되어 방사선을 생성하는 현상, 사이클로트론 시설의 철근 콘크리트 기초가 방사성을 띠는 현상은 모두 중성자 활성화의 예시이다.[1][2][3]
2. 1. 원자로 내에서의 생성
원자로 내에서는 중성자 포획을 통해 코발트-60과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가 생성된다. 코발트-60은 베타 입자와 감마선 방출을 통해 니켈-60으로 붕괴하는데, 이 반응의 반감기는 약 5.27년이다.[1] 코발트-59는 중성자에 조사(照射)되면 방사선, 특히 감마선의 귀중한 공급원이 되어 방사선 치료에 사용된다.[1]: + →
중성자의 운동 에너지에 따라 중성자 포획이 핵분열을 일으킬 수도 있다. 리튬-7이 고속 중성자에 충돌하면 다음과 같은 핵반응이 일어난다.[1]
: + → + + + 감마선 + 운동 에너지
1954년 비키니 환초에서 수행된 캐슬 브라보 사고는 이 반응의 예상치 못한 높은 확률 때문에 예상 수율의 2.5배에 달하는 폭발을 일으켰다.[1]
가압경수로 또는 비등경수로에서는 냉각수 산소의 고속 중성자 활성화로 인해 (n,p) 반응을 통해 상당한 양의 방사선이 생성된다.[2] 활성화된 산소-16 핵은 양성자(수소 핵)를 방출하고 질소-16으로 전환되는데, 질소-16은 매우 짧은 수명(7.13초)을 갖고 산소-16으로 다시 붕괴된다.[2]
: + → + (급속히 붕괴됨)
: → + +
이러한 냉각수 활성화는 원자력 발전소 주변에 생물학적 차폐가 필요하게 만든다. 두 번째 반응에서 고에너지 감마선이 주요 우려 사항이며, 이 때문에 원자로 노심에 있었던 물은 방사선이 감소될 때까지 차폐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1~2분이면 충분하다.[2]
사이클로트론 시설에서는 중성자 활성화로 인해 철근 콘크리트 기초가 방사성을 띠게 될 수 있다. 54Mn, 55Fe, 60Co, 65Zn, 133Ba, 152Eu 등의 장수명 방사성 동위원소가 콘크리트 핵 내에서 발견될 수 있다.[3] 잔류 방사능은 주로 존재하는 미량 원소 때문이며, 방사능의 양은 미미하다(pCi/g 또는 Bq/g).[4] 철근 콘크리트에 있는 철의 활성화로 인한 55Fe 생산은 다음과 같다.
: + →
2. 2. 핵분열 반응
중성자 포획은 핵분열을 일으킬 수 있다. 가벼운 원소에서 이러한 종류의 핵분열의 예로, 안정된 리튬 동위원소인 리튬-7이 고속 중성자에 충돌하여 다음과 같은 핵반응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 → + + + 감마선 + 운동 에너지
즉, 리튬-7에 의한 중성자 포획은 에너지가 높은 헬륨 핵(알파 입자), 수소-3(삼중수소) 핵 및 자유 중성자로 분열되게 한다. 1954년 비키니 환초에서 수행된 열핵무기 실험인 캐슬 브라보 사고는 예상 수율의 2.5배에 달하는 폭발을 일으켰는데, 이는 이 반응의 예상치 못한 높은 확률 때문이었다.[1]
2. 3. 사이클로트론
사이클로트론이 설치된 시설에서는 중성자 활성화로 인해 철근 콘크리트 기초가 방사성을 띨 수 있다. 중성자의 영향을 받는 콘크리트 핵 내에서는 6가지 중요한 장수명 방사성 동위원소(54Mn, 55Fe, 60Co, 65Zn, 133Ba, 152Eu)가 발견될 수 있다.[3] 잔류 방사능은 주로 존재하는 미량 원소 때문이며, 따라서 사이클로트론 활성화에서 유래하는 방사능의 양은 미미하다(즉, pCi/g 또는 Bq/g). 잔류 방사능이 있는 시설의 방출 한계는 연간 25mrem이다.[4] 콘크리트에 있는 철근에서 철의 활성화로 인한 55Fe 생산의 예는 다음과 같다.: + →
3. 중성자 활성화의 발생
중성자 활성화는 안정적인 물질을 방사성 물질로 만들 수 있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활성화는 오염과는 다르다. 중성자는 핵무기 폭발 시 마이크로초 단위, 가동 중인 원자로 또는 파쇄 중성자원에서만 다량으로 존재한다.[1]
원자폭탄에서 중성자는 1~50마이크로초 동안만 생성되지만, 엄청난 수로 생성된다. 대부분은 금속 폭탄 케이싱에 흡수되는데, 이 케이싱은 내부 폭발의 영향을 받기 시작할 무렵이다. 곧 증발될 금속의 중성자 활성화는 대기 상층부에서의 핵폭발의 핵낙진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다른 유형의 활성화에서는 중성자가 지표면 또는 그 근처의 버섯구름에 분산된 토양을 조사(照射)하여 토양 화학 원소의 활성화로 인한 낙진을 초래할 수 있다.[1]
4. 시간에 따른 재료에 미치는 영향
중성자 플럭스가 높은 곳, 예를 들어 원자로 중심부에서는 중성자 활성화 때문에 재료가 부식되고, 주기적으로 내장재 자체를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로 폐기해야 한다. 어떤 재료는 다른 재료보다 중성자 활성화에 더 취약하므로, 적절하게 선택된 저활성화 재료는 이러한 문제를 크게 줄일 수 있다(국제 핵융합 재료 조사 시설). 예를 들어, 전형적인 원자로 중성자 플럭스에 노출된 크롬강(Cr-50 함유)에서는 중성자 활성화에 의해 크롬-51이 생성된다.[5]
탄소-14는 대부분 대기 질소-14의 열중성자에 의한 중성자 활성화에 의해 생성되지만(우주선-대기 상호작용에 의한 주요한 자연적 생성 경로와 대기 핵실험에 의한 과거 생성과 함께), 많은 원자로 설계에서 연료 피복재, 냉각수에 포함된 질소 가스 불순물 및 물 자체에 포함된 산소의 중성자 활성화에 의해 비교적 미량으로 생성된다. 고속 증식로(FBR)는 가장 일반적인 원자로 유형인 가압경수로보다 약 10배 정도 적은 C-14를 생성하는데, 이는 FBR이 물을 1차 냉각재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6]
5. 활용 분야
중성자 활성화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의학 및 방사선 안전 분야에서는 인체에 흡수된 중성자 선량을 추정하는 데 사용된다. 인체 내 나트륨은 나트륨-24로, 인은 인-32로 활성화되는 성질을 이용한다.[7]
핵융합 연구에서는 핵융합 반응 여부 및 수율을 측정하는 데 활용된다. 관성 제한 핵융합 방식에서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 표적의 감마선 방출을 측정하여 핵융합 수율을 결정한다.[8] 알루미늄은 중성자와 반응하여 방사성 나트륨-24를 생성한다.[9][10][11] 황, 구리, 탄탈륨, 금과 같은 원소는 순수 핵분열 무기[12][13]와 열핵 무기의 수율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14]
중성자 방사화 분석(NAA)은 시료에 중성자를 쬐어 방사성 동위원소를 생성하고, 방출되는 감마선을 분석하여 미량 원소의 종류와 양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시료를 손상시키지 않고 분석할 수 있어, 예술품과 같이 원형 보존이 필요한 물체에 유용하다.[15] 석유 시추 과정에서 지하 점토 함량(점토는 알루미늄규산염이 주성분)을 결정하는 등 현장 분석에도 활용된다.[16] 알루미늄(Al-27)은 낮은 에너지의 중성자를 포획하여 2.3분의 반감기를 갖는 Al-28을 생성한다.[15] 역사학에서는 유물에 포함된 특정 동위원소의 존재 여부를 통해 진위 여부를 판별하기도 한다. 트리니티 핵실험 장소에서 발견되는 트리니타이트에는 바륨 중성자 방사화 생성물이 존재하는데, 이는 실험에 사용된 저속 폭약 렌즈인 바라톨에서 유래한 것이다.[17]
반도체 생산 과정에서는 플로트존 실리콘 웨이퍼에 중성자를 조사하여 실리콘 원자 일부를 인(P)으로 변환시켜 n형 실리콘으로 도핑하는 데 사용된다.[18]
:
5. 1. 방사선 안전
의사와 방사선 안전 담당자는 인체 내 나트륨이 나트륨-24로, 인이 인-32로 활성화되는 것을 통해 급성 우발적 중성자 노출량을 즉시 추정할 수 있다.[7]5. 2. 중성자 검출
핵융합이 핵융합 장치 내부에서 발생했음을 보여주는 한 가지 방법은 가이거 계수기를 사용하여 알루미늄 호일에서 생성되는 감마선 방사능을 측정하는 것이다.관성 제한 핵융합(ICF) 방식에서는 실험의 핵융합 수율(중성자 생성에 정비례)을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또는 구리 중성자 활성화 표적의 감마선 방출을 측정하여 결정한다.[8] 알루미늄은 중성자를 포획하여 반감기가 15시간[9][10]이고 베타 붕괴 에너지가 5.514MeV인[11] 방사성 나트륨-24를 생성할 수 있다.
황, 구리, 탄탈륨, 금과 같은 여러 가지 시험 표적 원소의 활성화는 순수 핵분열 무기[12][13]와 열핵 무기의 수율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다.[14]
5. 3. 재료 분석
중성자 방사화 분석(NAA)은 시료에 중성자를 조사(照射)하여 방사성 동위원소를 생성하고, 이 동위원소가 방출하는 감마선을 분석하여 시료 내 미량 원소의 종류와 양을 알아내는 방법이다. 시료를 전처리하거나 용해할 필요가 없어, 귀중한 예술품처럼 원형을 보존해야 하는 물체에도 적용할 수 있는 비파괴 분석 방법이라는 장점이 있다.[15] 활성화 과정에서 물체에 방사능이 유도되지만, 그 수준은 일반적으로 낮고 반감기가 짧아 영향이 금방 사라진다.[15]중성자 방사화 분석은 현장에서도 수행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Al-27)은 낮은 에너지의 중성자를 포획하여 Al-28을 생성하는데, 이 동위원소는 2.3분의 반감기를 가지고 붕괴한다.[15]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석유 시추 과정에서 탐사 지역의 지하 점토 함량(점토는 알루미늄규산염이 주성분)을 결정할 수 있다.[16]
역사학 분야에서는 중성자 방사화를 이용하여 유물의 진위를 판별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트리니티 핵실험 장소에서 발견되는 트리니타이트에는 바륨 중성자 방사화 생성물이 존재하는데, 이는 실험에 사용된 저속 폭약 렌즈인 바라톨에서 유래한 것이다.[17] 따라서 이 동위원소가 없는 광물 샘플은 가짜일 가능성이 높다.
5. 4. 반도체 생산
중성자 조사는 플로트존 실리콘 웨이퍼에 사용되어 Si 원자의 일부를 인(P)으로 변환시켜 n형 실리콘으로 도핑할 수 있다.[18]:
참조
[1]
간행물
Manual for reactor produced radioisotopes
http://www-pub.iaea.[...]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2]
서적
The Radiochemistry of Nuclear Power Plants with Light Water Reactor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97
[3]
논문
Efficiency calibration of a portable CZT detector for
2016
[4]
웹사이트
Standards for Protection Against Radiation
https://www.nrc.gov/[...]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10 CFR 20.1402
[5]
웹사이트
Table of Isotopes decay data
https://web.archive.[...]
2014-03-05
[6]
간행물
IAEA Technical report series no.421, Management of Waste Containing Tritium and Carbon-14
http://www-pub.iaea.[...]
[7]
간행물
ORNL Report on determination of dose from criticality accidents
http://web.ornl.gov/[...]
[8]
웹사이트
DT neutron yield measurements using neutron activation of aluminum
http://www.geneseo.e[...]
[9]
웹사이트
4 Identified radioactive isotopes
http://www.aanda.org[...]
Aanda.org
1998-03-02
[10]
웹사이트
Nuclear Reactions
http://kubchemistry.[...]
2014-11-29
[11]
웹사이트
http://www.site.uott[...]
[12]
서적
Reassessment of the Atomic Bomb Radiation Dosimetry for Hiroshima and Nagasaki – Dosimetry System 2002
https://web.archive.[...]
The Radiation Effects Research Foundation
2005
[13]
웹사이트
The Yields of the Hiroshima and Nagasaki Explosions
http://www.osti.gov/[...]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1985-09
[14]
서적
Operation Ivy Final Report Joint Task Force 132
http://apps.dtic.mil[...]
1952
[15]
웹사이트
http://www.site.uott[...]
[16]
웹사이트
Search Results - Schlumberger Oilfield Glossary
https://www.glossary[...]
[17]
논문
Radioactivity in Trinitite six decades later
http://www.ecolo.org[...]
2006
[18]
서적
Semiconductor devices : physics and technology
https://www.worldcat[...]
Wiley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