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1956년 우방기샤리라는 이름으로 데뷔전을 치렀으며, 1964년 FIFA에, 1965년 CAF에 가입했다. 1989년 UDEAC컵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나,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다.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알제리를 상대로 승리하는 등 인상적인 경기를 펼쳤으며, 2009년 CEMAC컵 우승을 차지했다. 루이 마푸타는 16골로 최다 득점 선수이며, 제프리 렘베가 최다 출장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양 게임에서 10회 우승하며 지역 강호로 군림했으나,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서는 부진하며, 코트도르 스포츠 단지를 주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Kop Moris' 팬클럽의 지지를 받는다.
  • 아프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은 가봉을 대표하는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8강 진출, CEMAC컵과 UNIFAC컵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 CAF에 관한 -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양 게임에서 10회 우승하며 지역 강호로 군림했으나,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서는 부진하며, 코트도르 스포츠 단지를 주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Kop Moris' 팬클럽의 지지를 받는다.
  • CAF에 관한 -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은 가봉을 대표하는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8강 진출, CEMAC컵과 UNIFAC컵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기본 정보
중앙아프리카 축구 연맹 엠블럼
엠블럼
별칭Les Fauves (맹수들)
협회중앙아프리카 축구 연맹
연맹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하위 연맹중앙아프리카 축구 연맹 연합(UNIFFAC)
감독Eloge Enza Yamissi
주장조프레 콩도비아
최다 출장 선수Foxi Kéthévoama(48회)
최다 득점 선수루이 마푸타(16골)
홈 경기장바르텔레미 보간다 스타디움
FIFA 코드CTA
FIFA 최고 랭킹49위
FIFA 최고 랭킹 기록일2012년 10월
FIFA 최저 랭킹202위
FIFA 최저 랭킹 기록일2009년 7월~9월, 2010년 3월~8월
Elo 최고 랭킹79위
Elo 최고 랭킹 기록일1956년
Elo 최저 랭킹164위
Elo 최저 랭킹 기록일2007년~2009년
유니폼 정보
중앙아프리카 홈 유니폼
홈 유니폼
중앙아프리카 원정 유니폼
원정 유니폼
경기 기록
첫 경기우방기-샤리 5–1 프랑스령 카메룬
(우방기-샤리; 1956년 불명확한 날짜)
최대 점수차 승리6–0
(콜롬보, 스리랑카; 2024년 3월 22일)
최대 점수차 패배11–0
(아비장, 코트디부아르; 1961년 12월 27일)}}
지역 대회
지역 대회 이름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 역사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1956년 우방기샤리라는 이름으로 프랑스령 카메룬을 상대로 데뷔전을 치렀다.[1]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연맹은 1961년에 창설되었고, 1964년 FIFA에, 1965년 CAF에 가입했다.[1]

1961년 코트디부아르에서 열린 친선 경기에서 상부 볼타, 라이베리아와 무승부를 기록했지만, 개최국에 패하며 다음 라운드 진출에는 실패했다.[1]

197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 처음 참가하여 가봉의 기권으로 진출했지만, 코트디부아르에 합계 5-4로 패했다. 이 경기에서는 양 팀 선수 간의 논쟁으로 인해 2차전이 전반전에 중단되었고, 라고스에서 재경기를 치렀는데, 코트디부아르가 5-1로 승리했다.[1]

1984년 UDEAC컵에 참가하여 적도 기니를 골득실차로 제치고 녹아웃 라운드에 진출했지만, 카메룬에 7-1로 크게 패한 후 가봉을 승부차기에서 이겨 3위를 차지했다.[1] 그러나 1988년 UDEAC컵에서 가봉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을 준결승에서 이기며 설욕했다.[1] 이듬해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은 1989년 UDEAC컵을 개최하여 결승에 진출하여 가봉을 꺾었지만 카메룬에 2-1로 패했다.[1]

1990년대 동안,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은 국제 경기를 거의 치르지 않았으며, 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기권했다.[1] 1999년 UNIFAC 컵에 참가하여 2위를 차지하며 대회에 복귀했다.[2]

2002년 월드컵 예선에 처음으로 참가하여 1라운드에서 짐바브웨에 패했다.[3] 초대 CEMAC 컵 결승에 진출하여 아마추어 카메룬 팀에 패했는데, 그 카메룬 팀과는 토너먼트 일주일 전에 무승부를 기록했었다.[4]

2009년, 2009년 CEMAC 컵을 개최하여 결승전에서 적도 기니를 살리프 케이타의 골과 일레르 모미의 멀티골로 3-0으로 꺾고 첫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2010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한 알제리를 상대로 홈에서 2-0으로 승리하는 역사적인 결과를 거두었다. FIFA 랭킹은 2010년 8월 202위에서 2011년 7월 89위로 상승했다.

월드컵 예선에서 첫 승리를 거두어 홈에서 보츠와나를 2-0으로 꺾었으나, 조 최하위로 마감했다.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이집트를 3-2로 꺾는 인상적인 승리를 거두어, 1965년 이후 AFCON 예선에서 이집트가 홈에서 처음으로 패배를 안겨주었다. 2차전에서 홈에서 1-1로 비긴 덕분에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은 이집트를 탈락시켰지만, 2라운드에서 부르키나파소에게 패배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마지막 조별 리그 경기에서 모리타니에 1-0으로 패하며 조 최하위로 마감했다. 만약 승리했다면 2위를 차지하여 역사상 처음으로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할 기회를 놓쳤다.[4]

예선 5일차 경기에서 앙골라를 상대로 승리하여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첫 출전을 확정지어야 했으나,[5] 2-1 패배로 끝나 3위로 떨어졌다.[6] 최종 조별 리그 경기에서 1-0으로 앞서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가나에게 2-1로 패하며 마지막 예선 진출 희망을 잃었다.[7]

2024년, FIFA가 초청한 2024 FIFA 시리즈 경기에 참가하여 아프리카 밖에서 처음으로 토너먼트에 참가했다. 이 경기는 2024년 3월 22일부터 25일까지 스리랑카 콜롬보에서 열렸으며, 부탄파푸아뉴기니와 대결했다.

2. 1. 초창기 (1956-1989)

팀은 1956년 우방기샤리라는 이름으로 프랑스령 카메룬을 상대로 데뷔전을 치렀다.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연맹은 1961년에 창설되었고, 1964년 FIFA에, 1965년 CAF에 가입했다.[1]

1961년 코트디부아르에서 열린 친선 경기에서 상부 볼타, 라이베리아와 두 번의 무승부를 기록한 후, 개최국에 패하여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지 못했다.[1]

197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 처음 참가하여 가봉의 기권으로 진출했지만, 코트디부아르에 합계 5–4로 패했다.[1] 이 경기에서는 양 팀 선수 간의 논쟁으로 인해 2차전이 전반전에 중단되었고, 라고스에서 재경기를 치르게 되었는데, 코트디부아르가 5–1로 승리했다.[1]

1984년 UDEAC컵에 참가하여 적도 기니를 골득실차로 제치고 녹아웃 라운드에 진출했지만, 카메룬에 7–1로 크게 패한 후 가봉을 승부차기에서 이겨 3위를 차지했다.[1] 그러나 1988년 UDEAC컵에서 가봉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을 준결승에서 이기며 설욕했다.[1] 이듬해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은 1989년 UDEAC컵을 개최하여 결승에 진출하여 가봉을 꺾었지만 카메룬에 2–1로 패했다.[1]

2. 2. 산발적인 출전 (1990-2008)

1990년대 동안,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은 국제 경기를 거의 치르지 않았으며, 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기권했다.[1] 1999년 UNIFAC 컵에 참가하여 세 번의 승리를 거두고 두 번 져서 2위를 차지하며 대회에 복귀했다.[2]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은 2002년 월드컵 예선에 처음으로 참가하여 1라운드에서 짐바브웨에 패했다.[3] 초대 CEMAC 컵 결승에 진출하여 아마추어 카메룬 팀에 패했는데, 그 카메룬 팀과는 토너먼트 일주일 전에 무승부를 기록했었다.[4]

2. 3. 인상적인 승리 (2009-2019)

2009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은 2009년 CEMAC 컵을 개최하여 결승전에서 적도 기니를 살리프 케이타의 골과 일레르 모미의 멀티골로 3-0으로 꺾고 첫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은 2010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한 알제리를 상대로 홈에서 2-0으로 승리하는 역사적인 결과를 거두었다. 2010년 8월까지 202위를 차지했던 FIFA 랭킹은 2011년 7월 89위로 상승했다.

2012년 6월 2일, 월드컵 예선에서 첫 승리를 거두어 홈에서 보츠와나를 2-0으로 꺾었다.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은 조 최하위로 마감했다. 2012년 6월 15일, 10명으로 줄어든 상태에서도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이집트를 3-2로 꺾는 인상적인 승리를 거두어, 1965년 이후 AFCON 예선에서 이집트가 홈에서 처음으로 패배를 안겨주었다. 2차전에서 홈에서 1-1로 비긴 덕분에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은 이집트를 탈락시켰지만, 2라운드에서 부르키나파소에게 패배했다.

2. 4. 놓친 기회 (2020-현재)

2021년 3월 30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마지막 조별 리그 경기에서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은 홈에서 모리타니에 1-0으로 패하며 조 최하위로 마감했다. 만약 승리했다면 2위를 차지하여 역사상 처음으로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할 기회를 놓쳤다.[4]

2023년 6월 17일,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은 예선 5일차 경기에서 앙골라를 상대로 홈에서 승리하여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첫 출전을 확정지어야 했다.[5] 그러나 경기는 2-1 패배로 끝나 3위로 떨어졌다.[6] 최종 조별 리그 경기에서 대표팀은 1-0으로 앞서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가나에게 2-1로 패하며 마지막 예선 진출 희망을 잃었다.[7]

2024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은 FIFA가 초청한 2024 FIFA 시리즈 경기에 참가하여 아프리카 밖에서 처음으로 토너먼트에 참가했다. 이 경기는 2024년 3월 22일부터 25일까지 스리랑카 콜롬보에서 열렸으며, 부탄파푸아뉴기니와 대결했다.

3. 국제 대회 경력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한 경험이 없다.

대회결과
1999년 UNIFAC 컵준우승
2003년 CEMAC 컵준우승
2009년 CEMAC 컵우승
2013년 CEMAC 컵준우승
2024 FIFA 시리즈우승



CEMAC컵에서는 2009년 CEMAC 컵에서 적도 기니를 3-0으로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4] 2024년에는 FIFA가 초청한 2024 FIFA 시리즈 경기에 참가하여 부탄파푸아뉴기니를 상대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7]

3. 1. FIFA 월드컵

현재까지 월드컵 본선 출전 경험은 전무하며 2002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을 시작으로 예선에 참가했고 그 중 보츠와나와의 201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2차 예선 A조 1차전에서 으로 승리하면서 월드컵 지역 예선 사상 첫 승을 올렸지만 이후 5경기에서 내리 전패를 당하며 1승 5패·조 꼴찌에 머물렀다.

개최국 / 연도결과개최국 / 연도결과
1930년FIFA 비회원이므로 참가 불가1982년기권
1934년1986년불참
1938년1990년
1950년1994년
1954년1998년
1958년2002년예선 탈락
1962년2006년
1966년불참2010년기권
1970년2014년예선 탈락
1974년2018년
1978년기권2022년
합계출전 0회



FIFA 월드컵 기록rowspan=39|예선 기록
년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경기득점실점
1930 ~ 1962FIFA 미가입FIFA 미가입
1966 ~ 1974불참불참
1978기권기권
1982예선 중 실격예선 중 실격
1986 ~ 1998불참불참
2002예선 탈락200214
2006기권기권
2010
2014예선 탈락6105512
2018201125
2022611449
2026미정411279
2030미정
2034
합계2033141939


3. 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은 월드컵과 마찬가지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 경험이 없다. 그나마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3승 1무 2패, B조 2위로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역사상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특히 콩고 민주 공화국, 마다가스카르, 앙골라를 상대로 3승 1무를 거두었고, 9골을 기록하며 팀 역사상 예선 최다 득점 기록도 경신했다.[1]

} 2029

|-

| '''합계'''

| '''–'''

| '''0/35'''

| '''–'''

| '''–'''

| '''–'''

| '''–'''

| '''–'''

| '''–'''

| '''54'''

| '''13'''

| '''13'''

| '''28'''

| '''53'''

| '''90'''

|}

3. 3. 기타 국제 대회 경력

CEMAC컵에서는 7번의 대회 중 2010년 대회에서 팀 역사상 첫 국제 대회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고 2003년과 2013년에는 준우승을 차지했다.[4] 1999년 UNIFAC컵에서도 가봉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했다.[4] 2009년 CEMAC 컵에서는 결승전에서 적도 기니를 살리프 케이타의 골과 일레르 모미의 멀티골로 3-0으로 꺾고 첫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4]

2024년에는 FIFA가 초청한 2024 FIFA 시리즈 경기에 참가하여 아프리카 밖에서 처음으로 토너먼트에 참가했다. 이 경기는 2024년 3월 22일부터 25일까지 스리랑카콜롬보에서 열렸으며, 부탄파푸아뉴기니와 대결했다.[7]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기록예선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경기득점실점
1957프랑스의 일부프랑스의 일부
1959
1962CAF 미가입CAF 미가입
1963
1965
1968
1970기권기권
1972
1974예선 탈락210156
1976기권기권
1978기권기권
1980
1982
1984
1986
1988예선 탈락200227
1990기권기권
1992
1994
1996기권기권
1998실격실격
2000기권기권
2002예선 탈락201113
2004602439
2006기권기권
2008기권기권
2010기권기권
2012예선 탈락622255
2013421166
2015201113
20176312911
2019613248
20216114511
2023621397
20256105314
2027미정미정
{{flagicon|}
대회결과
1999년 UNIFAC 컵준우승
2003년 CEMAC 컵준우승
2009년 CEMAC 컵우승
2013년 CEMAC 컵준우승
2024 FIFA 시리즈우승


4. 선수

2024년 11월 14일 레소토와 11월 18일 가봉을 상대로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 참가할 선수 명단이다.[9]

아래 표는 가봉과의 경기 이후 출장 횟수와 득점을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포지션이름출장 횟수득점소속팀
GK제프리 렘베400 (프랑스)
GK도미니크 유페이간130맨체스터 62 (지브롤터)
GK크리스토퍼 비마코00올림픽 레알 드 방기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DF사독 은도베310AS 오토호 (콩고 공화국)
DF아모스 유가280CSKA 소피아 (불가리아)
DF피터 기나리190텔스타 (네덜란드)
DF세드릭 얌베레170보르도 (프랑스)
DF세베린 타톨나120우메아 (스웨덴)
DF딜런 뭄부니110콘코르디아 치아지나 (루마니아)
DF레옹스 남그베마20레드 스타 방기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DF베르틸로 아르놀드 양가나-바-코미20레드 스타 방기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DF사샤 음바카10브레스트 B (프랑스)
MF제프리 콘도그비아203마르세유 (프랑스)
MF브래드 피리우아160이스트르 (프랑스)
MF아이작 응고마143템페테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MF아이작 솔레120괴즈테페 (튀르키예)
MF노아-케빈 아토-잔당가70생-모르 (프랑스)
MF하미수 당가보51낭트 (프랑스)
MF다얀 사홀로나00디에티콘 (스위스)
FW루이 마푸타3016아미앵 (프랑스)
FW카를 남강다254피린 블라고예브그라드 (불가리아)
FW베뉘스트 바불라173베르사유 (프랑스)
FW티에리-테디 고다메63갱강 (프랑스)
FW로이스 카야30템페테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FW마이클 캉기테20리자바토 (레소토)


4.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11월 14일 레소토와의 경기, 11월 18일 가봉과의 경기를 위해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 선발된 선수 명단이다.[9]

가봉과의 경기 이후의 출장 횟수와 득점을 기준으로 한다.

포지션이름출장 횟수득점소속팀
GK제프리 렘베400 (프랑스)
GK도미니크 유페이간130맨체스터 62 (지브롤터)
GK크리스토퍼 비마코00올림픽 레알 드 방기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DF사독 은도베310AS 오토호 (콩고 공화국)
DF아모스 유가280CSKA 소피아 (불가리아)
DF피터 기나리190텔스타 (네덜란드)
DF세드릭 얌베레170보르도 (프랑스)
DF세베린 타톨나120우메아 (스웨덴)
DF딜런 뭄부니110콘코르디아 치아지나 (루마니아)
DF레옹스 남그베마20레드 스타 방기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DF베르틸로 아르놀드 양가나-바-코미20레드 스타 방기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DF사샤 음바카10브레스트 B (프랑스)
MF제프리 콘도그비아203마르세유 (프랑스)
MF브래드 피리우아160이스트르 (프랑스)
MF아이작 응고마143템페테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MF아이작 솔레120괴즈테페 (튀르키예)
MF노아-케빈 아토-잔당가70생-모르 (프랑스)
MF하미수 당가보51낭트 (프랑스)
MF다얀 사홀로나00디에티콘 (스위스)
FW루이 마푸타3016아미앵 (프랑스)
FW카를 남강다254피린 블라고예브그라드 (불가리아)
FW베뉘스트 바불라173베르사유 (프랑스)
FW티에리-테디 고다메63갱강 (프랑스)
FW로이스 카야30템페테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FW마이클 캉기테20리자바토 (레소토)


4. 2. 최근 소집된 선수

다음은 2024년 11월 14일 레소토와의 경기, 11월 18일 가봉과의 경기를 위해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 선발된 선수들이다.[9]

''2024년 11월 18일, 가봉과의 경기 이후 출장 횟수와 득점.''

포지션선수생년월일(나이)출장득점소속팀소속팀 국가
GK제프리 렘베Geoffrey Lembet|제프리 랑베프랑스어1988년 9월 3일(1988-09-03) (35세)400
GK도미니크 유페이간Dominique Youfeigane|도미니크 유페간프랑스어2000년 2월 7일(2000-02-07) (24세)130맨체스터 62
GK크리스토퍼 비마코Christopher Bimakou|크리스토페르 비마쿠프랑스어1994년 8월 5일(1994-08-05) (29세)00올림픽 레알 드 방기
DF사독 은도베Sadock Ndobe|사도크 은도베프랑스어1998년 9월 9일(1998-09-09) (25세)310AS 오토호
DF아모스 유가Amos Youga|아모스 유가프랑스어1992년 12월 8일(1992-12-08) (31세)280CSKA 소피아
DF피터 기나리Peter Guinari|페테르 기나리프랑스어2001년 6월 2일(2001-06-02) (22세)190텔스타
DF세드릭 얌베레Cédric Yambéré|세드리크 양베레프랑스어1990년 11월 6일(1990-11-06) (33세)170보르도
DF세베린 타톨나Séverin Tatolna|세베린 타톨나프랑스어2002년 2월 10일(2002-02-10) (22세)120우메아
DF딜런 뭄부니Dylan Mboumbouni|딜란 뭄부니프랑스어1996년 2월 20일(1996-02-20) (28세)110콘코르디아 치아지나
DF레옹스 남그베마Léonce Nguerékabénga|레옹스 남그베마프랑스어2004년 4월 23일(2004-04-23) (19세)20레드 스타 방기
DF베르틸로 아르놀드 양가나-바-코미Bertylo Arnauld Yangana-Ba-Komi|베르틸로 아르놀드 양가나-바-코미프랑스어2004년 3월 24일(2004-03-24) (20세)20레드 스타 방기
DF사샤 음바카Sasha Mbaka|사샤 음바카프랑스어2004년 6월 4일(2004-06-04) (19세)10브레스트 B
MF제프리 콘도그비아Geoffrey Kondogbia|제프리 콘도그비아프랑스어 (주장)1993년 2월 15일(1993-02-15) (31세)203마르세유
MF브래드 피리우아Brad Pirioua|브래드 피리우아프랑스어2000년 3월 6일(2000-03-06) (24세)160이스트르
MF아이작 응고마Isaac Ngoma|아이작 응고마프랑스어2002년 12월 9일(2002-12-09) (21세)143템페테
MF아이작 솔레Isaac Solet|아이작 솔레프랑스어2001년 6월 16일(2001-06-16) (22세)120괴즈테페
MF노아-케빈 아토-잔당가Noah-Kévin Ato-Zandanga|노아-케빈 아토-잔당가프랑스어2003년 7월 5일(2003-07-05) (20세)70생-모르
MF하미수 당가보Hamissou Dangabo|하미수 당가보프랑스어2003년 1월 15일(2003-01-15) (21세)51낭트
MF다얀 사홀로나Dayan Saholona|다얀 사올로나프랑스어1998년 2월 21일(1998-02-21) (26세)00디에티콘
FW루이 마푸타Louis Mafouta|루이 마푸타프랑스어1994년 7월 2일(1994-07-02) (29세)3016아미앵
FW카를 남강다Karl Namnganda|카를 남강다프랑스어1996년 2월 8일(1996-02-08) (28세)254피린 블라고예브그라드
FW베뉘스트 바불라Vénuste Baboula|베뉘스트 바불라프랑스어1998년 8월 23일(1998-08-23) (25세)173베르사유
FW티에리-테디 고다메Thierry-Teddy Godame|티에리-테디 고다메프랑스어2002년 7월 9일(2002-07-09) (21세)63갱강
FW로이스 카야Loïs Káïyá|로이스 카야프랑스어1993년 10월 15일(1993-10-15) (30세)30템페테
FW마이클 캉기테Michael Kangite|마이클 캉기테프랑스어2001년 2월 15일(2001-02-15) (23세)20리자바토


5. 역대 감독

이름재임 기간
Евгений Рогов|예브게니 로고프ru1973-1976
장-자크 옴비?-?
에티엔 모모코아마스2004-2006
프랑수아 양게레2006-2008
쥘 아코르시2010–2012
에르베 루군지2012–2014
라울 사보이2014–2015
블레이즈 코포고2015
에르베 루군지2015–2017
라울 사보이2017–2019
프랑수아 자후이2019–2021
라울 사보이2021–2024
엘로지 엔자 야미시2024-


6. 기록

[10]

'''굵은 글씨'''로 표시된 선수는 현재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선수이다.

폭시 케테보아마는 49경기로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가대표팀 최다 출장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일레르 모미는 10골로 최다 득점 기록을 가지고 있다. 현역 선수 중에서는 '''루이 마푸타'''가 30경기 16골로 가장 많은 득점을 기록하고 있다.

6. 1. 최다 출장 선수

폭시 케테보아마는 49경기로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최다 출장 선수이다.


순위선수출장활동 기간
1폭시 케테보아마4982002–2021
2제프리 렘베4002010–현재
3프랭클린 안지테3702010–2019
4니카이즈 짐보리-아우징고니3622011–2018
5일레르 모미33102007–2018
생-시르 응감 응감3302015–2022
트레조 토로피테3362013–현재
8살리프 케이타3132007–2021
사독 응도베3102017–현재
10엘로제 엔자-야미시3012010–2020
비안네 마비데3052010–2020
루이 마푸타30162017–현재


6. 2. 최다 득점 선수

순위선수출장활동 기간
1폭시 케테보아마8492002–2021
2일레르 모미10332007–2018
3루이 마푸타16302017–현재
4트레조 토로피테6332013–현재
5비안네 마비데5302010–2020
6살리프 케이타3312007–2021
7니카이즈 짐보리-아우징고니2362011–2018
8엘로제 엔자-야미시1302010–2020
9제프리 렘베0402010–현재
9프랭클린 안지테0372010–2019
9생-시르 응감 응감0332015–2022
9사독 응도베0312017–현재


참조

[1] 웹사이트 Central African Republic – List of International Matches https://www.rsssf.or[...] 2013-04-03
[2] 웹사이트 Éliminatoires CAN 2019: La liste des 23 fauves pour affronter la Guinée http://centrafriquef[...] 2019-09-02
[3] 웹사이트 CAR national football team 2018 https://www.national[...] National Football Teams 2019-02-25
[4] 웹사이트 Central African Republic 0–1 Mauritania https://www.cafonlin[...] CAF 2021-03-30
[5] 웹사이트 AFCON 2023 (Q): Central African Republic one step away from glory https://sportnewsafr[...] Sport News Africa 2023-06-17
[6] 웹사이트 Goals and Highlights: Central African Republic 1-2 Angola in Africa Cup Of Nations Qualifiers https://www.vavel.co[...] vavel.com 2023-06-17
[7] 웹사이트 Kudus, Nuamah goals secure Afcon 2023 place for Ghana https://www.bbc.com/[...] BBC Sport 2023-09-07
[8] 웹사이트 Match Report of Central African Republic vs Papua New Guinea 2024-03-25 FIFA Series https://globalsports[...] 2024-01-25
[9] 웹사이트 FCF ACTUALITÉS ÉLIMINATOIRES CAN MAROC 2025 - Le sélectionneur Eloge Enza Yamissi dévoile la liste des 24 joueurs convoqués. https://www.facebook[...] facebook 2024-11-08
[10] 웹사이트 Central African Republic https://www.national[...]
[11] 웹사이트 World Football Elo Ratings: Central African Republic http://www.elorating[...] Elo Ratings 2017-07-16
[12] 문서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축구협회 창립 이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