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형 리프트 발사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형 리프트 발사체는 지구 저궤도에 2~20톤의 인공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발사체를 의미한다. 대한민국은 러시아 기술 협력을 받아 개발한 나로호(KSLV-I)를 시작으로, 독자적인 우주 발사체 기술 확보를 위해 누리호(KSLV-II) 개발에 착수했다. 누리호는 2021년과 2022년 시험 발사에 성공했으며, 2023년 3차 발사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대한민국은 누리호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2030년 중궤도 정지궤도 발사체(KMLV)와 2040년 대형 정지궤도 발사체(KHLV)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국가와 기업들이 중형 발사체를 개발, 운용하고 있으며, 현재 운용 중인 발사체와 개발 중인 발사체, 퇴역한 발사체 목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주발사체 - 팰컨 1
    스페이스X에서 개발한 팰컨 1은 민간 자금으로 개발된 액체 추진 방식의 소형 궤도 발사체로, 여러 번의 시도 끝에 세계 최초로 민간 액체 추진 로켓으로서 궤도 진입과 상업 위성 발사에 성공했으나, 사업성 부족으로 운용이 중단되었다.
  • 우주발사체 - 델타 IV
    델타 IV는 미국 공군의 EELV 프로그램에 따라 개발된 델타 로켓 계열의 발사체로, 액체 수소 연료와 RS-68 엔진을 사용하며 다양한 버전으로 운용되다가 높은 비용과 수요 부족으로 인해 단계적으로 폐지되었고, 벌컨 켄타우루스가 이를 대체할 예정이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중형 리프트 발사체 - [배(Ship)]에 관한 문서
개요
팔콘 9 데모-2 발사
팔콘 9
소유스 2 메톱
소유스-2
LVM3 M3, OneWeb India-2 발사
LVM3
창정 2D VRSS-1 발사
창정 2D
H-IIA No. F23 GPM 탑재 발사대 이동
H-IIA
한국형 발사체 누리 발사 (2021-10-21)
누리
정의중형 리프트 발사체
설명소형 리프트 발사체와 중량 리프트 발사체 사이의 발사체 분류
운반 능력미국 기준:
러시아 기준:
사용 시작1958년부터
발사체 분류
이전 단계소형 리프트 발사체
다음 단계중량 리프트 발사체

2. 발사체 구분

발사체는 탑재 중량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소형 발사체(SLV, Small-lift Launch Vehicle) - 지구 저궤도(LEO) 2톤 이하 인공위성 발사능력
  • 중형 발사체(MLV, Medium-lift Launch Vehicle) - 지구 저궤도(LEO) 2~20톤 인공위성 발사능력
  • 대형 발사체(HLV, Heavy-lift Launch Vehicle) - 지구 저궤도(LEO) 20~50톤 인공위성 발사능력


로켓국가제작사LEO 질량(kg)다른 궤도 질량(kg)발사 횟수첫 비행마지막 비행
보스토크RSC 에네르기아4730kg16319581991
새턴 I크라이슬러 & 더글러스9000kg1019611965
아틀라스-켄타우루스록히드5100kg6119621983
타이탄 II GLV마틴3580kg1219641966
타이탄 IIIC마틴13100kg3000kg (GTO)
1200kg (TMI)
3619651982
몰니야-M프로그레스2400kg28019652010
프로톤-K흐루니체프19760kg31119652012
소유즈 오리지널OKB-16450kg3219661975
R-36 치클론유즈마쉬2820kg~5250kg[10][11]500kg~910kg (GTO)[12]23619672009
소유즈-LOKB-15500kg319701971
타이탄 IIID마틴12300kg2219711982
소유즈-MOKB-16600kg819711976
소유즈-U프로그레스6900kg78619732017
펑바오 1SAST2500kg819731981
창정 2ACALT2000kg419741976
타이탄 IIIE마틴 마리에타15400kg3700kg (TMI)719741977
델타 3920–5920맥도넬 더글러스3452kg~3848kg3019801990
N-II[13]미쓰비시2000kg819811987
소유즈-U2프로그레스7050kg7219821995
아틀라스 G록히드5900kg719841989
창정 3호CALT5000kg1340kg (GTO)1419842000
제니트-2유즈노예13740kg3619852004
H-I미쓰비시3200kg1100kg (GTO)919861992
창정 4ASAST4000kg219881990
아리안 4
에어로스파시알7600kg4800kg (GTO)11619882003
델타 IIULA6100kg2170kg (GTO)
1000kg (HCO)
15619892018
아틀라스 I, II, III록히드5900kg~8686kg2340kg~4609kg (GTO)8019902005
창정 2ECALT9200kg719901995
H-II / IIS미쓰비시10060kg4000kg (GTO)719941999
아리안 5
아리안 그룹16000kg6950kg (GTO)11719962023
창정 3BCALT11200kg5100kg (GTO)
5700kg (SSO)
1219962012
델타 III보잉8290kg3810kg (GTO)319982000
드네프르유즈마쉬4500kg2300kg (GTO)
550kg (TLI)
2219992015
소유즈-FG프로그레스6900kg7020012019
GSLV Mk.IISRO4000kg2150kg (GTO)620012010
H-IIB미쓰비시19000kg8000kg (GTO)920092020
팰컨 9 v1.0스페이스X10450kg4540kg (GTO)520102013
안타레스 110/120/130궤도5100kg[16]1500kg (SSO)520132014
팰컨 9 v1.1스페이스X13150kg4850kg (GTO)1520132016
팰컨 9 풀 트러스트 블록 3 및 4스페이스X15600kg+[14]7075kg+[15] (GTO)3620152018
안타레스 230/230+노스롭 그루먼8000kg[16]3000kg (SSO)1320162023


2. 1. 소형 발사체 (SLV, Small-lift Launch Vehicle)

지구 저궤도(LEO) 2톤 이하의 인공위성을 발사할 수 있다.

2. 2. 중형 발사체 (MLV, Medium-lift Launch Vehicle)

중형 발사체(MLV, Medium-lift Launch Vehicle)는 지구 저궤도(LEO)에 2톤에서 20톤의 인공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발사체를 말한다.

2013년에 발사된 나로호(KSLV-I)와 2020년에 발사될 예정인 누리호(KSLV-II)는 정부의 공식 발표와는 달리, 실제로는 2톤 이상의 LEO 인공위성 발사 능력을 가진 중형 발사체로 알려져 있다. 2030년 발사될 계획인 중궤도 정지궤도 발사체(KMLV)는 미국 스페이스X팰컨 9을 모방한 것으로, 본격적인 중형 발사체로 볼 수 있다.

발사체국가제작사LEO 발사 중량 (kg)기타 궤도 발사 중량 (kg)발사 횟수현황최초 비행일최후 비행일
R-7RSC 에네르기아
프로그레스사
운영 중1957
소유즈 (개량형)RSC 에네르기아
프로그레스사
운영 중1957
아틀라스 (B, D, E, F, G, H, I)록히드마틴3,6302255GTO은퇴19571997
델타맥도넬 더글러스
보잉
임시 사용 중단1960
새턴 I크라이슬러
맥도넬 더글러스
9,0702220TLI10은퇴19611975
아틀라스 센타우르록히드마틴
콘베어 제너럴 다이내믹스
148은퇴19621983
타이탄 II GLV마틴3,58012은퇴19641966
타이탄 IIIC마틴13,1003000GTO
1200TMI
36은퇴19651982
프로톤-K흐루니체프19,760311은퇴19652012
소유즈 (원형)RSC 에네르기아6,45032은퇴19661975
사이클론유즈마쉬운영 중1967
소유즈-LRSC 에네르기아5,5003은퇴19701971
창정 2, 3, 4호CALT운영 중1971
타이탄 IIID마틴12,30022은퇴19711982
소유즈-MRSC 에네르기아6,6008은퇴19711976
소유즈-U프로그레스사6900kg (바이코누르)
6700kg (플레스츠크)
786은퇴19732017
타이탄 IIIE마틴 마리타15,4003700TMI7은퇴19741977
N-I & II[17]미쓰비시 중공업은퇴19751987
소유즈-U2프로그레스사7,05072은퇴19821995
제니트유즈노예운영 중1985
H-I미쓰비시 중공업3,2001100GTO9은퇴19861992
아리안 4호
아에로스파시알7,6004800GTO116은퇴19882003
델타 IIULA6,1002170GTO
1000HCO
153운영 중1989
아틀라스 II록히드마틴6,5802810GTO63은퇴19912004
PSLVISRO3,8001750GTO
1425SSO
43운영 중1993
UR-100N 로콧유로콧
흐루니체프
운영 중1994
스트렐라유로콧
흐루니체프
운영 중1994
H-II미쓰비시 중공업10,0003800GTO7은퇴19941999
H-IIA미쓰비시 중공업15,0006000GTO34운영 중2001
H-IIB미쓰비시 중공업16,5008000GTO6운영 중2009
아테나 I록히드마틴
ATK
은퇴19952001
아테나 II록히드마틴
ATK
은퇴19952001
델타 III보잉8,2903810GTO3은퇴19982000
드네프르유즈노예4,5002300GTO
550TLI
22운영 중1999
소유즈-FG6,90060운영 중2001
GSLV I&IIISRO5,0002500GTO12운영 중2001
아틀라스 VULA18,8108900GTO71운영 중2002
아틀라스 III록히드마틴10,2184500GTO6은퇴20032005
소유즈-2프로그레스사8,2004900SSO
3250GTO
62운영 중2004
팰컨 9SpaceX10,4504540GTO5은퇴20102013
베가
2,300[18]1430PO
1330SSO
10은퇴2012
안타레스오비탈 사이언스6,500[19]6운영 중2013
팰컨 9 v1.1SpaceX13,1504850GTO15은퇴20132016
GSLV IIIISRO10,0004000GTO2운영 중2014
안가라 1 & 2[20]흐루니체프3,800[21]운영 중2014[22][23]
팰컨 9 풀 트러스트(1단 재사용 가능)[24][25]SpaceX13,680-15,960 (추정)[26]7075GTO[27]18운영 중2015
창정 7호CALT13,5005500SSO2운영 중2016
ULVISRO15,0006000GTO0개발 중
하스#redirectARCA2,500[28]개발 중


2. 3. 대형 발사체 (HLV, Heavy-lift Launch Vehicle)

지구 저궤도(LEO)에 20~50톤의 인공위성을 발사할 수 있다.

3. 대한민국의 중형 발사체 개발

대한민국은 우주 발사체 기술 자립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으며, 중형 발사체 개발은 이러한 노력의 핵심적인 부분이다.

2013년 발사한 나로호는 2톤 이상의 지구 저궤도(LEO) 인공위성 발사 능력을 가진 중형 발사체로 알려져 있다. 2018년 11월 발사한 누리호 시험발사체미국 스페이스X팰컨 1을 모방한 소형 발사체이다. 2020년 발사할 계획인 누리호는 2톤 이상의 LEO 인공위성 발사 능력을 가진 중형 발사체이다.

2030년 발사할 계획인 중궤도 정지궤도 발사체(KMLV)는 스페이스X팰컨 9을 모방한 중형 발사체이며, 2040년 발사할 계획인 대형 정지궤도 발사체(KHLV)는 스페이스X팰컨 헤비를 모방한 대형 발사체이다.

3. 1. 나로호 (KSLV-I)

2013년 발사한 나로호는 러시아의 기술 협력을 받아 개발되었으며, 정부 공식 발표와는 달리 실제로는 2톤 이상의 지구 저궤도(LEO) 인공위성 발사 능력을 갖춘 중형 발사체로 알려져 있다.

3. 2. 누리호 (KSLV-II)

누리호(KSLV-II)는 대한민국 정부 공식 발표와는 달리, 실제로는 2톤 이상의 LEO 인공위성 발사능력을 가진 중형 발사체이다.[1]

3. 3. 차세대 발사체 개발 계획

대한민국은 누리호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더욱 향상된 성능의 차세대 발사체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2030년 발사될 계획인 중궤도 정지궤도 발사체(KMLV)는 미국 스페이스X팰컨 9을 모방한 중형 발사체이다. 2040년 발사를 목표로 하는 대형 정지궤도 발사체(KHLV)는 스페이스X팰컨 헤비를 모방한 대형 발사체이다.[1]

4. 전 세계 중형 발사체 현황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국가와 기업들이 중형 발사체를 개발하고 운영하고 있다.

발사체제작 국가제작자발사 중량
LEO
(kg)
발사 중량
기타 궤도
(kg)
발사 횟수현황최초 비행일
R-7RSC 에네르기아, 프로그레스사운영 중1957
소유즈 (개량형)RSC 에네르기아, 프로그레스사운영 중1957
사이클론유즈마쉬운영 중1967
창정 2, 3, 4호CALT운영 중1971
제니트유즈노예운영 중1985
델타 IIULA6100kg2170kg (GTO), 1000kg (HCO)153운영 중1989
PSLVISRO3800kg1750kg (GTO), 1425kg (SSO)43운영 중1993
UR-100N 로콧유로콧, 흐루니체프운영 중1994
스트렐라유로콧, 흐루니체프운영 중1994
H-IIA미쓰비시 중공업15000kg6000kg (GTO)34운영 중2001
H-IIB미쓰비시 중공업16500kg8000kg (GTO)6운영 중2009
드네프르유즈노예4500kg2300kg (GTO), 550kg (TLI)22운영 중1999
소유즈-FG프로그레스사6900kg60운영 중2001
GSLV I&IIISRO5000kg2500kg (GTO)12운영 중2001
아틀라스 VULA18810kg8900kg (GTO)71운영 중2002
소유즈-2프로그레스사8200kg4900kg (SSO), 3250kg (GTO)62운영 중2004
베가Avio2300kg[18]1430kg (극궤도), 1330kg (SSO)10운영 중2012
안타레스오비탈 사이언스6500kg[19]6운영 중2013
GSLV IIIISRO10000kg4000kg (GTO)2운영 중2014
안가라 1 & 2[20]흐루니체프3800kg[21]운영 중2014[22][23]
팰컨 9 풀 트러스트(1단 재사용 가능)[24][25]SpaceX13680kg-15960kg (추정)[26]7075kg[27] (GTO)18운영 중2015
창정 7호CALT13500kg5500kg (SSO)2운영 중2016



나머지 "퇴역", "개발 중" 발사체 정보는 각각 === 퇴역 ===, === 개발 중 ===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운용 중

22,800 (소모)7,350 to GTO (재사용 가능)
8,300 to GTO (소모)
4,020 to 화성2018소유스-2}프로그레스8,2003,250 to GTO
4,400 to SSO1752006창정 4B/4CSAST4,2001,500 to GTO
2,800 to SSO1011999아틀라스 VULA18,8508,900 to GTO992002창정 2DSAST3,5001,300 to SSO891992제니트-3유즈마쉬7,0006,160 to GTO841999창정 3B/ECALT11,5005,500 to GTO
6,900 to SSO822007창정 2CCALT3,8501,900 to SSO771982PSLVISRO3,8001,200 to GTO
1,750 to SSO601993H-IIA미쓰비시15,0006,000 to GTO482001창정 3ACALT6,0002,600 to GTO
5,000 to SSO271994창정 2FCALT8,4003,500 to GTO231999창정 3CCALT9,1003,800 to GTO
6,500 to SSO182008GSLVISRO5,0002,700 to GTO162010창정 7/7ACALT13,5005,500 to SSO
7,000 to GTO142016소유스-2.1v}프로그레스2,8001,400 to SSO92013LVM3ISRO10,0004,000 to GTO72017창정 6ACALT4,500 to SSO52022누리KARI3,3001,900 to SSO (700 km)32022주작 2랜드스페이스6,0004,000 to SSO (500 km)32022창정 8CALT8,1004,500 to SSO32020앙가라 1.2}흐루니체프3,500[3]22022베가 C
아비오2,300 to SSO22022H3미쓰비시7,900 to GTO
4,000 to SSO22023그래비티-1오리엔스페이스6,5004,000 to SSO12024아리안 6 (A62)
아리안 그룹10,3505,000 to GTO12024


4. 2. 개발 중

발사체원산지제조사LEO로의 질량 (kg)다른 궤도로의 질량 (kg)예상 비행
톈룽 3호중국스페이스 파이오니어to SSO2024
창정 12호중국CALTto SSO2024
팔라스 1호중국갤럭시틱 에너지to SSO2024
뉴트론미국로켓 랩2025[4]
MLV미국파이어플라이[5]2025
주취에 3호중국랜드스페이스-20,0002025
이르티쉬러시아프로그레스to GTO2025
하이퍼볼라 3호중국i-Space(expendable)
(reusable)[6]
2025[6]
통합 발사체인도ISRO-15,000-6,000 to GTO2026
창정 10A호중국CALT2026
팔라스 2호중국갤럭시틱 에너지[7]2026[8]


4. 3. 퇴역

Below is a list of medium-lift launch vehicles that were formerly operated but have since been retired.영어

다음은 과거에 운용되었으나 현재는 퇴역한 중형 발사체 목록이다.

발사체제작 국가제작자LEO 발사 중량 (kg)기타 궤도 발사 중량 (kg)발사 횟수최초 비행일최후 비행일
아틀라스 (B, D, E, F, G, H, I)록히드마틴(GTO)미상19571997
새턴 I크라이슬러, 맥도넬 더글러스(TLI)19611975
아틀라스 센타우르록히드마틴, 콘베어, 제너럴 다이내믹스미상미상19621983
타이탄 II GLV마틴미상19641966
타이탄 IIIC마틴(GTO), (TMI)19651982
프로톤-K흐루니체프미상19652012
소유즈 (원형)RSC 에네르기아미상19661975
소유즈-LRSC 에네르기아미상19701971
타이탄 IIID마틴미상19711982
소유즈-MRSC 에네르기아미상19711976
소유즈-U프로그레스사6900kg (바이코누르), 6700kg (플레스츠크)미상19732017
타이탄 IIIE마틴 마리에타(TMI)19741977
N-I & N-II[17]미쓰비시 중공업미상미상미상19751987
소유즈-U2프로그레스사미상19821995
H-I미쓰비시 중공업(GTO)19861992
아리안 4호,아에로스파시알(GTO)19882003
아틀라스 II록히드마틴(GTO)19912004
H-II미쓰비시 중공업(GTO)19941999
아테나 I록히드마틴, ATK미상미상미상19952001
아테나 II록히드마틴, ATK미상미상미상19952001
델타 III보잉(GTO)19982000
아틀라스 III록히드마틴(GTO)20032005
팰컨 9SpaceX20102013
팰컨 9 v1.1SpaceX(GTO)20132016


참조

[1] 서적 Great Russian Encyclopedia https://bigenc.ru/te[...] Great Russian Encyclopedia 2021-06-09
[2] 간행물 NASA Space Technology Roadmaps – Launch Propulsion Systems, p.11 http://www.nasa.gov/[...] 2016-03-24
[3] 웹사이트 Angara Launch Vehicle Family http://www.khruniche[...] Khrunichev State Research and Production Space Center 2018-09-02
[4] 웹사이트 Rocket Lab Completes Archimedes Engine Build, Begins Engine Test Campaign https://www.business[...] 2024-05-07
[5] 웹사이트 Medium Launch Vehicle https://fireflyspace[...] 2023-03-11
[6] 웹사이트 China's (reusable) rocket race heats up with new hop test https://spacenews.co[...] 2023-12-11
[7] 웹사이트 Three-year review: Why we firmly invest in Galactic Energy http://www.3snews.ne[...] Taibo 2021-02-20
[8] 웹사이트 Galactic Energy registers sixth consecutive successful launch https://spacenews.co[...] 2023-07-22
[9] 웹사이트 Proton https://sma.nasa.gov[...] 2024-12-20
[10] 웹사이트 Tsiklon-2 http://www.astronaut[...]
[11] encyclopedia Tsiklon-4 http://www.astronaut[...] 2016-08-08
[12] 웹사이트 Tsyklon-4M (Cyclone-4M) prepares a move to Canada http://www.russiansp[...]
[13] 웹사이트 N-2 http://www.astronaut[...] Encyclopedia Astronautica 2013-06-12
[14] 웹사이트 SpaceX and Cape Canaveral Return to Action with First Operational Starlink Mission https://www.nasaspac[...] 2019-11-11
[15] 웹사이트 Telstar 19V (Telstar 19 Vantage) https://space.skyroc[...] Gunter 2018-08-07
[16] 웹사이트 Antares (Taurus-2) https://space.skyroc[...] 2018-09-22
[17] 웹인용 N-2 http://www.astronaut[...] Encyclopedia Astronautica 2013-06-12
[18] 웹인용 Archived copy http://space.skyrock[...] 2015-09-25
[19] 웹인용 Antares Fact Sheet http://www.orbital.c[...] Orbital Sciences 2014-12-23
[20] 웹인용 Angara launchers family on manufacturer website http://www.khruniche[...] Khrunichev.ru 2014-01
[21] 웹인용 Angara 1.2 http://www.spaceflig[...] 2014-07
[22] 간행물 The market for launching small satellite in Russia... http://www.commercia[...] 2014-12-24
[23] 웹인용 Angara, Russia’s brand-new launch vehicle, is successfully launched from Plesetsk http://www.khruniche[...] Khrunichev 2014-09-21
[24] 웹인용 Capabilities & Services http://www.spacex.co[...] 2016-05-03
[25] 트윗 "@elonmusk Max performance numbers are for expendable launches. Subtract 30% to 40% for reusable booster payload." 2016-04-30
[26] 트윗 "@elonmusk Max performance numbers are for expendable launches. Subtract 30% to 40% for reusable booster payload." 2016-04-30
[27] 뉴스 record-setting-commercial-satellite-awaits-blastoff-from-cape-canaveral https://spaceflightn[...]
[2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jurnalul.ro/s[...] 2018-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