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형 리프트 발사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형 리프트 발사체는 지구 저궤도에 2~20톤의 인공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발사체를 의미한다. 대한민국은 러시아 기술 협력을 받아 개발한 나로호(KSLV-I)를 시작으로, 독자적인 우주 발사체 기술 확보를 위해 누리호(KSLV-II) 개발에 착수했다. 누리호는 2021년과 2022년 시험 발사에 성공했으며, 2023년 3차 발사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대한민국은 누리호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2030년 중궤도 정지궤도 발사체(KMLV)와 2040년 대형 정지궤도 발사체(KHLV)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국가와 기업들이 중형 발사체를 개발, 운용하고 있으며, 현재 운용 중인 발사체와 개발 중인 발사체, 퇴역한 발사체 목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주발사체 - 팰컨 1
스페이스X에서 개발한 팰컨 1은 민간 자금으로 개발된 액체 추진 방식의 소형 궤도 발사체로, 여러 번의 시도 끝에 세계 최초로 민간 액체 추진 로켓으로서 궤도 진입과 상업 위성 발사에 성공했으나, 사업성 부족으로 운용이 중단되었다. - 우주발사체 - 델타 IV
델타 IV는 미국 공군의 EELV 프로그램에 따라 개발된 델타 로켓 계열의 발사체로, 액체 수소 연료와 RS-68 엔진을 사용하며 다양한 버전으로 운용되다가 높은 비용과 수요 부족으로 인해 단계적으로 폐지되었고, 벌컨 켄타우루스가 이를 대체할 예정이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중형 리프트 발사체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 | |
![]() | |
![]() | |
![]() | |
![]() | |
정의 | 중형 리프트 발사체 |
설명 | 소형 리프트 발사체와 중량 리프트 발사체 사이의 발사체 분류 |
운반 능력 | 미국 기준: 러시아 기준: |
사용 시작 | 1958년부터 |
발사체 분류 | |
이전 단계 | 소형 리프트 발사체 |
다음 단계 | 중량 리프트 발사체 |
2. 발사체 구분
발사체는 탑재 중량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소형 발사체(SLV, Small-lift Launch Vehicle) - 지구 저궤도(LEO) 2톤 이하 인공위성 발사능력
- 중형 발사체(MLV, Medium-lift Launch Vehicle) - 지구 저궤도(LEO) 2~20톤 인공위성 발사능력
- 대형 발사체(HLV, Heavy-lift Launch Vehicle) - 지구 저궤도(LEO) 20~50톤 인공위성 발사능력
로켓 | 국가 | 제작사 | LEO 질량(kg) | 다른 궤도 질량(kg) | 발사 횟수 | 첫 비행 | 마지막 비행 |
---|---|---|---|---|---|---|---|
보스토크 | RSC 에네르기아 | 4730kg | 163 | 1958 | 1991 | ||
새턴 I | 크라이슬러 & 더글러스 | 9000kg | 10 | 1961 | 1965 | ||
아틀라스-켄타우루스 | 록히드 | 5100kg | 61 | 1962 | 1983 | ||
타이탄 II GLV | 마틴 | 3580kg | 12 | 1964 | 1966 | ||
타이탄 IIIC | 마틴 | 13100kg | 3000kg (GTO) 1200kg (TMI) | 36 | 1965 | 1982 | |
몰니야-M | 프로그레스 | 2400kg | 280 | 1965 | 2010 | ||
프로톤-K | 흐루니체프 | 19760kg | 311 | 1965 | 2012 | ||
소유즈 오리지널 | OKB-1 | 6450kg | 32 | 1966 | 1975 | ||
R-36 치클론 | 유즈마쉬 | 2820kg~5250kg[10][11] | 500kg~910kg (GTO)[12] | 236 | 1967 | 2009 | |
소유즈-L | OKB-1 | 5500kg | 3 | 1970 | 1971 | ||
타이탄 IIID | 마틴 | 12300kg | 22 | 1971 | 1982 | ||
소유즈-M | OKB-1 | 6600kg | 8 | 1971 | 1976 | ||
소유즈-U | 프로그레스 | 6900kg | 786 | 1973 | 2017 | ||
펑바오 1 | SAST | 2500kg | 8 | 1973 | 1981 | ||
창정 2A | CALT | 2000kg | 4 | 1974 | 1976 | ||
타이탄 IIIE | 마틴 마리에타 | 15400kg | 3700kg (TMI) | 7 | 1974 | 1977 | |
델타 3920–5920 | 맥도넬 더글러스 | 3452kg~3848kg | 30 | 1980 | 1990 | ||
N-II[13] | 미쓰비시 | 2000kg | 8 | 1981 | 1987 | ||
소유즈-U2 | 프로그레스 | 7050kg | 72 | 1982 | 1995 | ||
아틀라스 G | 록히드 | 5900kg | 7 | 1984 | 1989 | ||
창정 3호 | CALT | 5000kg | 1340kg (GTO) | 14 | 1984 | 2000 | |
제니트-2 | 유즈노예 | 13740kg | 36 | 1985 | 2004 | ||
H-I | 미쓰비시 | 3200kg | 1100kg (GTO) | 9 | 1986 | 1992 | |
창정 4A | SAST | 4000kg | 2 | 1988 | 1990 | ||
아리안 4 | 에어로스파시알 | 7600kg | 4800kg (GTO) | 116 | 1988 | 2003 | |
델타 II | ULA | 6100kg | 2170kg (GTO) 1000kg (HCO) | 156 | 1989 | 2018 | |
아틀라스 I, II, III | 록히드 | 5900kg~8686kg | 2340kg~4609kg (GTO) | 80 | 1990 | 2005 | |
창정 2E | CALT | 9200kg | 7 | 1990 | 1995 | ||
H-II / IIS | 미쓰비시 | 10060kg | 4000kg (GTO) | 7 | 1994 | 1999 | |
아리안 5 | 아리안 그룹 | 16000kg | 6950kg (GTO) | 117 | 1996 | 2023 | |
창정 3B | CALT | 11200kg | 5100kg (GTO) 5700kg (SSO) | 12 | 1996 | 2012 | |
델타 III | 보잉 | 8290kg | 3810kg (GTO) | 3 | 1998 | 2000 | |
드네프르 | 유즈마쉬 | 4500kg | 2300kg (GTO) 550kg (TLI) | 22 | 1999 | 2015 | |
소유즈-FG | 프로그레스 | 6900kg | 70 | 2001 | 2019 | ||
GSLV Mk.I | ISRO | 4000kg | 2150kg (GTO) | 6 | 2001 | 2010 | |
H-IIB | 미쓰비시 | 19000kg | 8000kg (GTO) | 9 | 2009 | 2020 | |
팰컨 9 v1.0 | 스페이스X | 10450kg | 4540kg (GTO) | 5 | 2010 | 2013 | |
안타레스 110/120/130 | 궤도 | 5100kg[16] | 1500kg (SSO) | 5 | 2013 | 2014 | |
팰컨 9 v1.1 | 스페이스X | 13150kg | 4850kg (GTO) | 15 | 2013 | 2016 | |
팰컨 9 풀 트러스트 블록 3 및 4 | 스페이스X | 15600kg+[14] | 7075kg+[15] (GTO) | 36 | 2015 | 2018 | |
안타레스 230/230+ | 노스롭 그루먼 | 8000kg[16] | 3000kg (SSO) | 13 | 2016 | 2023 |
2. 1. 소형 발사체 (SLV, Small-lift Launch Vehicle)
지구 저궤도(LEO) 2톤 이하의 인공위성을 발사할 수 있다.2. 2. 중형 발사체 (MLV, Medium-lift Launch Vehicle)
중형 발사체(MLV, Medium-lift Launch Vehicle)는 지구 저궤도(LEO)에 2톤에서 20톤의 인공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발사체를 말한다.2013년에 발사된 나로호(KSLV-I)와 2020년에 발사될 예정인 누리호(KSLV-II)는 정부의 공식 발표와는 달리, 실제로는 2톤 이상의 LEO 인공위성 발사 능력을 가진 중형 발사체로 알려져 있다. 2030년 발사될 계획인 중궤도 정지궤도 발사체(KMLV)는 미국 스페이스X의 팰컨 9을 모방한 것으로, 본격적인 중형 발사체로 볼 수 있다.
발사체 | 국가 | 제작사 | LEO 발사 중량 (kg) | 기타 궤도 발사 중량 (kg) | 발사 횟수 | 현황 | 최초 비행일 | 최후 비행일 |
---|---|---|---|---|---|---|---|---|
R-7 | RSC 에네르기아 프로그레스사 | 운영 중 | 1957 | |||||
소유즈 (개량형) | RSC 에네르기아 프로그레스사 | 운영 중 | 1957 | |||||
아틀라스 (B, D, E, F, G, H, I) | 록히드마틴 | 3,630 | 2255GTO | 은퇴 | 1957 | 1997 | ||
델타 | 맥도넬 더글러스 보잉 | 임시 사용 중단 | 1960 | |||||
새턴 I | 크라이슬러 맥도넬 더글러스 | 9,070 | 2220TLI | 10 | 은퇴 | 1961 | 1975 | |
아틀라스 센타우르 | 록히드마틴 콘베어 제너럴 다이내믹스 | 148 | 은퇴 | 1962 | 1983 | |||
타이탄 II GLV | 마틴 | 3,580 | 12 | 은퇴 | 1964 | 1966 | ||
타이탄 IIIC | 마틴 | 13,100 | 3000GTO 1200TMI | 36 | 은퇴 | 1965 | 1982 | |
프로톤-K | 흐루니체프 | 19,760 | 311 | 은퇴 | 1965 | 2012 | ||
소유즈 (원형) | RSC 에네르기아 | 6,450 | 32 | 은퇴 | 1966 | 1975 | ||
사이클론 | 유즈마쉬 | 운영 중 | 1967 | |||||
소유즈-L | RSC 에네르기아 | 5,500 | 3 | 은퇴 | 1970 | 1971 | ||
창정 2, 3, 4호 | CALT | 운영 중 | 1971 | |||||
타이탄 IIID | 마틴 | 12,300 | 22 | 은퇴 | 1971 | 1982 | ||
소유즈-M | RSC 에네르기아 | 6,600 | 8 | 은퇴 | 1971 | 1976 | ||
소유즈-U | 프로그레스사 | 6900kg (바이코누르) 6700kg (플레스츠크) | 786 | 은퇴 | 1973 | 2017 | ||
타이탄 IIIE | 마틴 마리타 | 15,400 | 3700TMI | 7 | 은퇴 | 1974 | 1977 | |
N-I & II[17] | 미쓰비시 중공업 | 은퇴 | 1975 | 1987 | ||||
소유즈-U2 | 프로그레스사 | 7,050 | 72 | 은퇴 | 1982 | 1995 | ||
제니트 | 유즈노예 | 운영 중 | 1985 | |||||
H-I | 미쓰비시 중공업 | 3,200 | 1100GTO | 9 | 은퇴 | 1986 | 1992 | |
아리안 4호 | 아에로스파시알 | 7,600 | 4800GTO | 116 | 은퇴 | 1988 | 2003 | |
델타 II | ULA | 6,100 | 2170GTO 1000HCO | 153 | 운영 중 | 1989 | ||
아틀라스 II | 록히드마틴 | 6,580 | 2810GTO | 63 | 은퇴 | 1991 | 2004 | |
PSLV | ISRO | 3,800 | 1750GTO 1425SSO | 43 | 운영 중 | 1993 | ||
UR-100N 로콧 | 유로콧 흐루니체프 | 운영 중 | 1994 | |||||
스트렐라 | 유로콧 흐루니체프 | 운영 중 | 1994 | |||||
H-II | 미쓰비시 중공업 | 10,000 | 3800GTO | 7 | 은퇴 | 1994 | 1999 | |
H-IIA | 미쓰비시 중공업 | 15,000 | 6000GTO | 34 | 운영 중 | 2001 | ||
H-IIB | 미쓰비시 중공업 | 16,500 | 8000GTO | 6 | 운영 중 | 2009 | ||
아테나 I | 록히드마틴 ATK | 은퇴 | 1995 | 2001 | ||||
아테나 II | 록히드마틴 ATK | 은퇴 | 1995 | 2001 | ||||
델타 III | 보잉 | 8,290 | 3810GTO | 3 | 은퇴 | 1998 | 2000 | |
드네프르 | 유즈노예 | 4,500 | 2300GTO 550TLI | 22 | 운영 중 | 1999 | ||
소유즈-FG | 6,900 | 60 | 운영 중 | 2001 | ||||
GSLV I&II | ISRO | 5,000 | 2500GTO | 12 | 운영 중 | 2001 | ||
아틀라스 V | ULA | 18,810 | 8900GTO | 71 | 운영 중 | 2002 | ||
아틀라스 III | 록히드마틴 | 10,218 | 4500GTO | 6 | 은퇴 | 2003 | 2005 | |
소유즈-2 | 프로그레스사 | 8,200 | 4900SSO 3250GTO | 62 | 운영 중 | 2004 | ||
팰컨 9 | SpaceX | 10,450 | 4540GTO | 5 | 은퇴 | 2010 | 2013 | |
베가 | 2,300[18] | 1430PO 1330SSO | 10 | 은퇴 | 2012 | |||
안타레스 | 오비탈 사이언스 | 6,500[19] | 6 | 운영 중 | 2013 | |||
팰컨 9 v1.1 | SpaceX | 13,150 | 4850GTO | 15 | 은퇴 | 2013 | 2016 | |
GSLV III | ISRO | 10,000 | 4000GTO | 2 | 운영 중 | 2014 | ||
안가라 1 & 2[20] | 흐루니체프 | 3,800[21] | 운영 중 | 2014[22][23] | ||||
팰컨 9 풀 트러스트(1단 재사용 가능)[24][25] | SpaceX | 13,680-15,960 (추정)[26] | 7075GTO[27] | 18 | 운영 중 | 2015 | ||
창정 7호 | CALT | 13,500 | 5500SSO | 2 | 운영 중 | 2016 | ||
ULV | ISRO | 15,000 | 6000GTO | 0 | 개발 중 | |||
하스 | #redirect | ARCA | 2,500[28] | 개발 중 |
2. 3. 대형 발사체 (HLV, Heavy-lift Launch Vehicle)
지구 저궤도(LEO)에 20~50톤의 인공위성을 발사할 수 있다.3. 대한민국의 중형 발사체 개발
대한민국은 우주 발사체 기술 자립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으며, 중형 발사체 개발은 이러한 노력의 핵심적인 부분이다.
2013년 발사한 나로호는 2톤 이상의 지구 저궤도(LEO) 인공위성 발사 능력을 가진 중형 발사체로 알려져 있다. 2018년 11월 발사한 누리호 시험발사체는 미국 스페이스X의 팰컨 1을 모방한 소형 발사체이다. 2020년 발사할 계획인 누리호는 2톤 이상의 LEO 인공위성 발사 능력을 가진 중형 발사체이다.
2030년 발사할 계획인 중궤도 정지궤도 발사체(KMLV)는 스페이스X의 팰컨 9을 모방한 중형 발사체이며, 2040년 발사할 계획인 대형 정지궤도 발사체(KHLV)는 스페이스X의 팰컨 헤비를 모방한 대형 발사체이다.
3. 1. 나로호 (KSLV-I)
2013년 발사한 나로호는 러시아의 기술 협력을 받아 개발되었으며, 정부 공식 발표와는 달리 실제로는 2톤 이상의 지구 저궤도(LEO) 인공위성 발사 능력을 갖춘 중형 발사체로 알려져 있다.3. 2. 누리호 (KSLV-II)
누리호(KSLV-II)는 대한민국 정부 공식 발표와는 달리, 실제로는 2톤 이상의 LEO 인공위성 발사능력을 가진 중형 발사체이다.[1]3. 3. 차세대 발사체 개발 계획
대한민국은 누리호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더욱 향상된 성능의 차세대 발사체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2030년 발사될 계획인 중궤도 정지궤도 발사체(KMLV)는 미국 스페이스X의 팰컨 9을 모방한 중형 발사체이다. 2040년 발사를 목표로 하는 대형 정지궤도 발사체(KHLV)는 스페이스X의 팰컨 헤비를 모방한 대형 발사체이다.[1]4. 전 세계 중형 발사체 현황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국가와 기업들이 중형 발사체를 개발하고 운영하고 있다.
발사체 | 제작 국가 | 제작자 | 발사 중량 LEO (kg) | 발사 중량 기타 궤도 (kg) | 발사 횟수 | 현황 | 최초 비행일 |
---|---|---|---|---|---|---|---|
R-7 | RSC 에네르기아, 프로그레스사 | 운영 중 | 1957 | ||||
소유즈 (개량형) | RSC 에네르기아, 프로그레스사 | 운영 중 | 1957 | ||||
사이클론 | 유즈마쉬 | 운영 중 | 1967 | ||||
창정 2, 3, 4호 | CALT | 운영 중 | 1971 | ||||
제니트 | 유즈노예 | 운영 중 | 1985 | ||||
델타 II | ULA | 6100kg | 2170kg (GTO), 1000kg (HCO) | 153 | 운영 중 | 1989 | |
PSLV | ISRO | 3800kg | 1750kg (GTO), 1425kg (SSO) | 43 | 운영 중 | 1993 | |
UR-100N 로콧 | 유로콧, 흐루니체프 | 운영 중 | 1994 | ||||
스트렐라 | 유로콧, 흐루니체프 | 운영 중 | 1994 | ||||
H-IIA | 미쓰비시 중공업 | 15000kg | 6000kg (GTO) | 34 | 운영 중 | 2001 | |
H-IIB | 미쓰비시 중공업 | 16500kg | 8000kg (GTO) | 6 | 운영 중 | 2009 | |
드네프르 | 유즈노예 | 4500kg | 2300kg (GTO), 550kg (TLI) | 22 | 운영 중 | 1999 | |
소유즈-FG | 프로그레스사 | 6900kg | 60 | 운영 중 | 2001 | ||
GSLV I&II | ISRO | 5000kg | 2500kg (GTO) | 12 | 운영 중 | 2001 | |
아틀라스 V | ULA | 18810kg | 8900kg (GTO) | 71 | 운영 중 | 2002 | |
소유즈-2 | 프로그레스사 | 8200kg | 4900kg (SSO), 3250kg (GTO) | 62 | 운영 중 | 2004 | |
베가 | Avio | 2300kg[18] | 1430kg (극궤도), 1330kg (SSO) | 10 | 운영 중 | 2012 | |
안타레스 | 오비탈 사이언스 | 6500kg[19] | 6 | 운영 중 | 2013 | ||
GSLV III | ISRO | 10000kg | 4000kg (GTO) | 2 | 운영 중 | 2014 | |
안가라 1 & 2[20] | 흐루니체프 | 3800kg[21] | 운영 중 | 2014[22][23] | |||
팰컨 9 풀 트러스트(1단 재사용 가능)[24][25] | SpaceX | 13680kg-15960kg (추정)[26] | 7075kg[27] (GTO) | 18 | 운영 중 | 2015 | |
창정 7호 | CALT | 13500kg | 5500kg (SSO) | 2 | 운영 중 | 2016 |
나머지 "퇴역", "개발 중" 발사체 정보는 각각 === 퇴역 ===, === 개발 중 ===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운용 중
22,800 (소모)8,300 to GTO (소모)
4,020 to 화성
4,400 to SSO
2,800 to SSO
6,900 to SSO
1,750 to SSO
5,000 to SSO
6,500 to SSO
7,000 to GTO
4,000 to S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