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류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증류탑은 액체 혼합물을 끓는점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장치이다. 실험실 규모에서는 휘발성 액체 혼합물을 분리하는 데 사용되며, 산업 규모에서는 석유, 석유화학, 천연 가스 처리 등 다양한 화학 공정에서 널리 활용된다. 실험실에서는 비그뢰 컬럼, 회전 밴드 증류 등이 사용되며, 산업용 증류탑은 연속적인 정상 상태로 작동하며, 트레이탑이나 충전탑과 같은 다양한 형태가 있다. 산업용 증류탑은 공급물의 조성과 원하는 제품의 조성에 따라 설계되며, McCabe–Thiele 방법 또는 Fenske 방정식과 같은 분석 방법이나 시뮬레이션 모델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학기구 - 합성막
합성막은 분리 공정에 사용되는 막으로, 금속, 세라믹, 고분자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형태에 따라 조밀막, 다공성막, 비대칭막으로 나뉘고, 표면의 화학적 특성이 막의 여러 성질에 영향을 미친다. - 화학기구 - 인젝터
인젝터는 고압 유체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다른 유체를 이동시키거나 압력을 높이는 장치로, 증기 기관차에 물을 공급하는 용도로 발명되어 현재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증류 - 잔기
잔기는 분야에 따라 유해 화학물질 잔류물, 화학적 오염물질, 분자 구성 원자 또는 원자단, 중합체 사슬 내 단량체, 식품 생산 찌꺼기, 화투 패를 의미하는 다양한 용어이다. - 증류 - 건류
건류는 공기가 없는 환경에서 물질을 가열하여 열분해하는 과정으로, 물, 이산화탄소, 가연성 가스 등이 생성되고 탄소나 탄산염이 남으며, 코크스, 콜타르, 목탄 등을 얻거나 메탄 생성 등에 활용된다.
증류탑 | |
---|---|
개요 | |
![]() | |
유형 | 분리 장비 |
사용 분야 | 화학 공학, 석유화학, 식품 산업, 주류 제조 |
작동 방식 | 증류 |
작동 원리 | |
기본 원리 | 액체 혼합물의 끓는점 차이를 이용한 분리 |
작동 과정 | 혼합물을 가열하여 증기 생성 증기는 탑 내부를 통과하며 냉각 및 응축 끓는점이 낮은 성분은 탑 상부로 이동 끓는점이 높은 성분은 탑 하부로 이동 각 성분을 분리하여 추출 |
구조 및 구성 요소 | |
주요 구성 요소 | 탑 본체 트레이 또는 충전재 응축기 환류 장치 재비기 |
트레이 종류 | 시브 트레이 밸브 트레이 버블캡 트레이 |
충전재 종류 | 래싱 링 새들 링 디스크 링 |
작동 변수 | |
주요 변수 | 온도 압력 유량 환류비 |
유형 | |
분류 기준 | 작동 압력, 공급 방식, 탑 내부 구조 등 |
일반적인 유형 | 연속식 증류탑 회분식 증류탑 진공 증류탑 공비 증류탑 추출 증류탑 |
응용 분야 | |
석유화학 산업 | 원유 분리, 석유화학 제품 생산 |
화학 산업 | 화학 물질 정제, 반응 부산물 분리 |
식품 산업 | 알코올 생산, 향료 추출 |
제약 산업 | 의약품 정제, 용매 회수 |
장점 및 단점 | |
장점 | 높은 분리 효율 대량 생산에 적합 다양한 혼합물에 적용 가능 |
단점 | 높은 초기 투자 비용 에너지 소비량 높음 복잡한 작동 및 제어 |
2. 실험실 규모의 분별 증류
실험실 규모의 분별 증류는 휘발성이 비슷한 액체 화합물을 분리하는 데 사용되는 유리 기구를 사용한다. 증류탑은 라울의 법칙에 따라 혼합된 증기가 냉각, 응축 및 다시 기화되도록 하여 혼합물을 분리한다. 각 응축-증발 사이클을 통해 증기는 특정 성분이 풍부해진다. 더 큰 표면적은 더 많은 주기를 허용하여 분리를 향상시킨다.
소규모 실험에는 T자관이 사용되며, 플라스크를 가열하고 리비히 냉각기를 연결한다. K자관(클라이젠 헤드)은 T자관 대신 사용되기도 한다. 끓는점이 높은 액체는 알린 냉각기나 리비히-그래함 냉각기를 사용하고, 끓는점이 낮은 액체는 냉각된 부동액이나 듀어 냉각기를 사용한다. Y자 어댑터나 퍼킨 삼각뿔은 각 유분을 분별 포집하는 데 사용된다. 정류가 필요한 경우에는 비그뢰 컬럼이나 회전 밴드 컬럼이 사용된다.[1]
보다 큰 규모의 경우에는 공업적으로 사용되는 증류탑(트레이탑이나 충전탑)의 미니어처 장치가 사용되기도 한다.[1]
2. 1. 분별 증류관의 종류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분별 증류관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가장 일반적인 것은 비그뢰 컬럼이거나 유리 구슬이나 라시히 링과 같은 금속 조각으로 채워진 직선 컬럼이다. 이러한 분별 증류관은 혼합 증기가 냉각, 응축되어 라울의 법칙에 따라 다시 기화되도록 하여 혼합물을 분리한다. 각 응축-기화 사이클에서 증기는 특정 성분으로 농축된다. 표면적이 클수록 더 많은 사이클이 가능하여 분리가 개선된다.[1]회전 밴드 증류는 컬럼 내의 회전하는 밴드를 사용하여 상승하는 증기와 하강하는 응축액을 밀접하게 접촉시켜 평형에 더 빠르게 도달함으로써 분별 증류관과 동일한 결과를 얻는다.[1]
T자관은 소규모 실험에 사용되는 가장 단순한 증류탑이다. 기화는 통상적인 플라스크를 수욕이나 유욕 등으로 가열하여 이루어지며, 응축기는 리비히 냉각기가 사용되고 T자관의 측관에 연결된다.[1]
K자관(클라이젠 헤드)은 탑 내에서 응축된 액적이 증기의 흐름에 의해 냉각기 쪽으로 운반되어 정제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T자관 대신 사용되기도 한다.[1]
끓는점이 실온보다 약간 높거나, 물처럼 응축열이 커서 응축이 어려운 액체를 증류하는 경우에는 리비히 냉각기 대신 알린 냉각기나 리비히-그래함 냉각기가 사용된다. 끓는점이 실온 이하인 액체를 증류하는 경우에는 냉각기에 흘리는 냉매로 냉각된 부동액 등을 사용하거나, 듀어 냉각기로 드라이아이스나 액체 질소로 냉각하여 유출물을 포집한다. 분류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Y자 어댑터를 사용하거나, 퍼킨 삼각뿔과 같은 프랙션 커터를 사용하여 각 유분을 분별 포집한다.[1]
정류가 필요한 경우에는 탑 내부 벽면에 각을 내어 기액 접촉 면적을 늘린 '''비그뢰 컬럼'''과 같은 정류용 컬럼이 사용되기도 한다.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고성능 정류탑으로 '''회전 밴드 컬럼'''(스피닝 밴드 컬럼)이 있다. 이것은 증류탑 내부에서 증류탑에 꼭 맞는 나선형 교반 날개를 고속 회전시키는 것이다. 증류탑 내를 하강하는 액적은 고속 회전하는 날개 표면에서 강제적으로 넓어져 박막을 형성하므로, 기액 접촉 면적을 강제적으로 크게 할 수 있어 높은 이론 단수를 얻을 수 있다.[1]

2. 2. 분별 증류 과정
일반적인 분별 증류에서는 액체 혼합물을 증류 플라스크에서 가열하고, 생성된 증기는 증류탑 위로 올라간다(그림 1 참조). 증기는 탑 내부의 유리 스퍼(glass spur)에서 응축되고 상승하는 증류 증기를 환류하면서 증류 플라스크로 되돌아간다. 가장 뜨거운 트레이는 탑 하단에 있고 가장 차가운 트레이는 상단에 있다. 정상 상태 조건에서 각 트레이의 증기와 액체는 증기-액체 평형에 도달한다. 가장 휘발성이 높은 증기만이 맨 위까지 가스 형태로 남아 있으며, 응축기를 통과하여 액체 증류액으로 응축될 때까지 증기를 냉각시킨다. 더 많은 트레이를 추가하면 분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열, 흐름 등의 실질적인 제한).실험실 분별 컬럼은 휘발성이 비슷한 액체 화합물의 기화된 혼합물을 분리하는 데 사용되는 유리 기구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비그뢰 컬럼 또는 유리 구슬이나 라시히 링과 같은 금속 조각으로 채워진 직선 컬럼이다. 분별 컬럼은 혼합 증기가 냉각되어 응축되고 라울의 법칙에 따라 다시 기화되도록 함으로써 혼합물을 분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 각 응축-기화 사이클에서 증기는 특정 성분으로 농축된다. 표면적이 클수록 더 많은 사이클이 가능하여 분리가 개선된다. 이것이 비그뢰 컬럼이나 충전된 분별 컬럼의 근거이다. 회전 밴드 증류는 컬럼 내의 회전하는 밴드를 사용하여 상승하는 증기와 하강하는 응축액을 밀접하게 접촉시켜 평형에 더 빠르게 도달함으로써 동일한 결과를 얻는다.
소규모 실험에 사용되는 가장 단순한 증류탑은 T자관이며, 기화는 통상적인 플라스크를 수욕이나 유욕 등으로 가열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응축기는 리비히 냉각기가 사용되며 이것을 T자관의 측관에 연결한다.[1]
탑 내에서 응축된 액적이 증기의 흐름에 의해 냉각기 쪽으로 운반되어 정제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T자관 대신 K자관(클라이젠 헤드)이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끓는점이 실온보다 약간 높거나, 물처럼 응축열이 커서 응축이 어려운 액체를 증류하는 경우에는 리비히 냉각기 대신 보다 효율이 높은 알린 냉각기나 리비히-그래함 냉각기가 사용된다. 끓는점이 실온 이하인 액체를 증류하는 경우에는 냉각기에 흘리는 냉매로 냉각된 부동액 등을 사용하거나, 듀어 냉각기로 드라이아이스나 액체 질소로 냉각하여 유출물을 포집한다. 또한, 분류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Y자 어댑터를 사용하거나, 퍼킨 삼각뿔과 같은 프랙션 커터를 사용하여 각 유분을 분별 포집한다.[1]
정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탑 내부 벽면에 각을 내어 기액 접촉 면적을 늘린 비그뢰 컬럼과 같은 정류용 컬럼이 사용되기도 한다. 공업적으로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지만,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고성능 정류탑으로 회전 밴드 컬럼(스피닝 밴드 컬럼)이 있다. 이것은 증류탑 내부에서 증류탑에 꼭 맞는 나선형 교반 날개를 고속 회전시키는 것이다. 증류탑 내를 하강하는 액적은 고속 회전하는 날개 표면에서 강제적으로 넓어져 박막을 형성한다. 그 때문에 기액 접촉 면적을 강제적으로 크게 할 수 있어, 높은 이론 단수를 얻을 수 있다.[1]
보다 큰 규모의 경우에는 공업적으로 사용되는 증류탑(트레이탑이나 충전탑)의 미니어처 장치가 사용되기도 한다.[1]
3. 산업 규모의 분별 증류
분별 증류는 화학 공학의 단위 조작 중 하나로,[1][2] 대량의 액체를 증류해야 하는 화학 공정 산업에서 널리 사용된다.[3][4][5] 석유 처리, 석유화학 생산, 천연 가스 처리, 콜 타르 처리, 양조, 액화 공기 분리, 탄화수소 용매 생산 등에 쓰이며, 특히 정유 공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된다. 원유는 복잡한 다성분 혼합물이어서 분리해야 하는데, 이 때 분별 증류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순수한 화학 화합물보다는 비교적 좁은 범위의 끓는점을 가진 화합물 그룹, 즉 "분획"을 얻는 것이 목적이다.
증류는 가장 일반적이고 에너지 집약적인 분리 공정 중 하나이다. 분별 증류탑의 높이와 직경, 높이 대 직경 비율, 구성 재료에 따라 분리 효율이 달라진다.[6] 일반적인 화학 공장에서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약 40%를 증류가 차지한다.[7] 산업용 증류는 보통 직경 65cm ~ 6m, 높이 6m ~ 60m 이상의 대형 수직 원통형 컬럼(증류탑)에서 수행된다.
산업용 증류는 크게 '''회분식 증류'''(배치식 증류)와 '''연속식 증류'''로 나뉜다. 회분식 증류는 소량 처리에 적합하며, 증류탑 하부의 증류솥에 원료를 투입하여 가열한다. 대량 처리에는 연속식 증류가 사용되는데, 가열기로 기화된 원료를 증류탑 중간에 넣고, 탑 꼭대기에서는 휘발성이 높은 성분, 바닥에서는 휘발성이 낮은 성분을 얻는다.
모든 증류에서 응축기는 리비히 냉각기와 같은 이중관식 열교환기나 다관 원통형 열교환기가 사용된다.
정제를 위해서는 정류가 필요하다. 정류탑은 기액 접촉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탑 상부에서 유출된 액체의 일부를 탑 내부로 되돌리는 '''환류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류탑은 크게 '''단탑'''과 '''충전탑'''으로 분류된다.
3. 1. 산업용 분별 증류탑의 작동 원리
분별 증류는 화학 공학의 단위 조작 중 하나이며,[1][2] 대량의 액체를 증류해야 하는 화학 공정 산업에서 널리 사용된다.[3][4][5] 산업용 분별 증류탑은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정상 상태로 작동하며, 공급, 열, 주변 온도 또는 응축의 변화가 없다면 투입되는 공급량은 제거되는 제품의 양과 같다.재비기에서 탑으로 들어가는 열의 양과 공급물은 오버헤드 응축기 및 제품으로 제거되는 열의 양과 같아야 한다. 증류탑에 들어가는 열은 중요한 작동 매개변수이며, 과도하거나 불충분한 열은 거품 발생, 누출, 동반 또는 플러딩을 유발할 수 있다.
그림 3은 단일 증류액 분획과 단일 바닥 분획으로 공급 흐름을 분리하는 산업용 분별 증류탑을 보여준다. 그러나 많은 산업용 분별 증류탑에는 탑을 따라 간헐적으로 배출구가 있어 다성분 공급 흐름을 증류하는 탑에서 서로 다른 끓는점을 가진 여러 제품을 회수할 수 있다.
산업용 분별 증류탑은 제품의 더 나은 분리를 위해 외부 리플럭스를 사용한다.[3][5] 리플럭스는 그림 3과 같이 분별 증류탑의 상부로 되돌아가는 응축된 오버헤드 액체 제품의 일부를 말한다. 탑 내부에서 하향하는 리플럭스 액체는 상승하는 증기를 냉각하고 응축하여 증류탑의 효율을 높인다. 리플럭스 및/또는 트레이가 많을수록 끓는점이 낮은 물질과 끓는점이 높은 물질의 탑 분리가 더 잘 된다.
분별 증류탑의 설계 및 작동은 공급물의 조성뿐만 아니라 원하는 제품의 조성에 따라 달라진다. 단순한 이성분 공급물을 고려할 때, McCabe–Thiele 방법[5][8][9] 또는 Fenske 방정식[5]과 같은 분석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성분 공급물의 경우 설계, 작동 및 구성 모두에 시뮬레이션 모델이 사용된다.
버블 캡 "트레이" 또는 "플레이트"는 산업용 분별 증류탑 내부의 상승하는 증기와 하강하는 액체 사이에 좋은 접촉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물리적 장치의 한 유형이다. 이러한 트레이는 그림 4와 5에 나와 있다. 트레이 또는 플레이트의 효율은 일반적으로 이론적으로 100% 효율적인 평형단의 효율보다 낮다. 따라서 분별 증류탑은 거의 항상 필요한 이론적인 기액 평형 단 수보다 더 많은 실제 물리적 플레이트가 필요하다.

산업적 사용에서 때로는 충전 재료가 트레이 대신 탑에 사용되는데, 특히 진공 상태에서 작동할 때처럼 탑 전체의 압력 강하가 낮아야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러한 충전 재료는 Raschig 링 또는 구조적 시트 금속과 같은 무작위로 투입된 충전재(약 2.54cm 에서 약 7.62cm 너비)일 수 있다. 액체는 충전재의 표면을 적시는 경향이 있으며, 증기는 이 적셔진 표면을 가로질러 통과하여 물질 전달이 일어난다. 모양이 다른 충전재는 표면적과 충전재 사이의 빈 공간이 다르다. 이 두 가지 요인은 모두 충전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3. 2. 산업용 분별 증류탑의 종류
'''선반탑'''은 탑 내부에 수평 선반(트레이)을 여러 개 설치하여 구획한 유형의 정류탑이다. 이 구획된 증류탑 내의 각 공간을 '''단'''이라고 한다. 각 단에서는 기액 평형이 성립하며, 보다 휘발성이 높은 성분에 풍부해진 기상은 위의 단으로 보내지고, 보다 휘발성이 낮은 성분에 풍부해진 액상은 아래의 단으로 흘러내려가 그곳에서 다시 기액 평형이 성립한다. 이와 같이 탑의 상부 단일수록 휘발성이 높은 성분에 풍부해지고, 하부 단일수록 휘발성이 낮은 성분에 풍부해져 분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반탑은 사용하고 있는 선반의 형식에 따라 더 세분화된다. 기상이 상부로 이동하기 위한 작은 구멍을 다수 설치한 선반(시브 트레이)을 사용한 '''다공판탑'''이나, 그 구멍 부분에 캡을 부착하여 기상이 액상을 통과할 때 거품을 일으켜 기액 접촉 면적을 더욱 늘리는 선반(버블 캡 트레이)을 사용한 '''포종탑''' 등이 있다. 선반탑은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조작 범위가 넓고 처리 능력이 크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탑 내의 구조가 복잡하고 장치 비용이 크며, 압력 손실이 커서 고진공 증류에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선반탑의 구조는 다음 사항들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기상/액상 각각의 유량은 증류탑의 운전 계획에 따라 조작 범위가 설정되므로 그 전 영역에 대한 성능을 확인한다.
- 최대 기상 유량: 상승하는 기상의 요구 흐름이 커지면 탑의 직경(엄밀히는 탑 면적에서 다운커머 면적을 뺀 면적)도 커진다. 단, 선반(트레이) 간격을 크게 하는 등으로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다.
- 최소 기상 유량: 상승하는 기상의 요구 흐름이 작아지면 선반(트레이)의 개공부에서 액체 누출이 일어나 충분한 기액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단상의 액상 흐름, 기상 흐름의 편류를 유발하여 좋지 않다. 필요에 따라 개공부에 굴뚝 모양의 통(라이저)이 부착된 선반(버블 캡 트레이)을 채용한다.
- 최대 액상 유량: 하강하는 액상의 요구 흐름이 커지면 필요한 다운커머 면적도 커진다. 상대적으로 액상 유량이 큰 경우에는 해당 단에 여러 개의 다운커머를 설치하고(다중 패스 설계), 상부 웨어의 총 길이를 크게 하여 액상의 월류 높이를 억제하여 단상에 적정한 액체 유지 높이를 실현한다.
- 최소 액상 유량: 하강하는 액상의 요구 흐름이 작아지면 선반(트레이)의 미세한 기울기나 제작 오차가 다운커머 상부 웨어의 길이 방향의 액상 월류량에 균일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단상 액상 흐름의 편류, 나아가 기상 흐름의 편류도 유발하여 좋지 않다. 톱니 모양으로 절개한 노치 웨어 등을 채용하여 문제 해결을 한다.
- 허용 압력 손실: 선반(트레이)의 총 개공 면적이 너무 작으면 기상 통과 유속이 커져 이를 사이에 둔 상하 공간의 차압이 너무 커지는 결과를 낳는다. 선반(트레이) 간격이 작은 경우에는 비말 동반의 악영향도 발생한다. 다운커머 상부 웨어의 액상 월류 높이, 적정한 액체 유지 높이도 함께 검토한다.
- 다운커머: 선반(트레이)의 기상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일부 기포를 말아 넣으며 유입되는 액상 위주의 흐름을 안정시키고, 여유를 갖고 기상 분리하여 액상만을 아래 단으로 보내는 구조를 확인한다.
- 제작·조립: 선반(트레이)은 선반탑에 부착된 맨홀에서 사람이 직접 반입한다(소구경은 제외). 따라서 부품의 분할 계획, 조립 시의 작업성 검토도 중요해진다.
'''충전탑'''은 중공 증류탑 내에 어떠한 충전물을 넣고, 그 표면에서 기액 접촉을 시키는 타입의 정류탑이다. 단탑과 같은 기구에 의해 탑의 상부일수록 휘발성이 높은 성분에 풍부하고, 하부일수록 휘발성이 낮은 성분에 풍부해지며, 분리 성능을 향상시킨다. 충전탑은 단탑과는 반대로, 탑 내부의 구조가 단순하고 장치 비용이 작으며, 압력 손실이 작으므로 고진공의 증류에 적합하다는 장점과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조작 범위가 좁고, 처리 능력이 작다는 단점이 있다.
사용하는 충전물의 종류에 따라 더욱 세분화된다. 사용되는 충전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충전물 종류 | 설명 |
---|---|
직경과 길이가 같은 중공 원통형 충전물. | |
레싱 링 (Lessing ring) | 라시히 링 안에 칸막이 판을 한 장 넣고 반원형으로 분할한 형태의 충전물. 철망을 S자형으로 구부려 이 형태로 만든 것은 딕슨 패킹 (Dixon packing)이라고 한다. |
폴 링 (Pall ring) | 라시히 링 안에 S자형 또는 십자형 칸막이 판을 넣고, 그 부분의 측면을 열어 놓은 형태의 충전물 |
새들 | 말 안장 형태의 충전물. 또한 철망으로 만들어진 것은 특히 맥마혼 패킹 (Mcmahon packing)이라고 한다. |
설저 패킹 (Sulzer packing) | 여러 개의 물결 모양으로 구부린 금속판을 여러 장 묶어 증류탑의 내경에 맞춰 성형한 것이다. |
3. 3. 산업용 분별 증류탑 설계 및 운전
분별 증류는 화학 공학의 단위 조작 중 하나로,[1][2] 대량의 액체를 증류해야 하는 화학 공정 산업에서 널리 사용된다.[3][4][5] 석유 처리, 석유화학 생산, 천연 가스 처리, 콜 타르 처리, 양조, 액화 공기 분리, 탄화수소 용매 생산 등에 사용되며, 특히 정유 공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된다.증류는 가장 일반적이고 에너지 집약적인 분리 공정 중 하나이다. 분리의 효과는 탑의 높이와 직경, 탑의 높이 대 직경의 비율, 그리고 증류탑 자체를 구성하는 재료에 따라 달라진다.[6] 일반적인 화학 공장에서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약 40%를 차지한다.[7] 산업용 증류는 일반적으로 직경이 약 65cm에서 6m, 높이가 약 6m에서 60m 이상인 "증류탑" 또는 "증류 컬럼"으로 알려진 대형 수직 원통형 컬럼에서 수행된다.
산업용 증류탑은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정상 상태로 작동한다. 공급, 열, 주변 온도 또는 응축의 변화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투입되는 공급량은 제거되는 제품의 양과 같다. 재비기에서 탑으로 들어가는 열의 양과 공급물은 오버헤드 응축기 및 제품으로 제거되는 열의 양과 같아야 한다. 증류탑에 들어가는 열은 중요한 작동 매개변수이며, 과도하거나 불충분한 열을 탑에 추가하면 거품 발생, 누출, 동반 또는 플러딩이 발생할 수 있다.
산업용 분별 증류탑은 단일 증류액 분획과 단일 바닥 분획으로 공급 흐름을 분리한다. 그러나 많은 산업용 분별 증류탑에는 탑을 따라 간헐적으로 배출구가 있어 다성분 공급 흐름을 증류하는 탑에서 서로 다른 끓는점을 가진 여러 제품을 회수할 수 있다. 가장 낮은 끓는점을 가진 "가벼운" 제품은 탑의 상단에서 배출되고, 가장 높은 끓는점을 가진 "무거운" 제품은 바닥에서 배출된다.
산업용 분별 증류탑은 제품의 더 나은 분리를 위해 외부 리플럭스를 사용한다.[3][5] 리플럭스는 분별 증류탑의 상부로 되돌아가는 응축된 오버헤드 액체 제품의 일부를 말한다. 탑 내부에서 하향하는 리플럭스 액체는 상승하는 증기를 냉각하고 응축하여 증류탑의 효율을 높인다. 리플럭스 및/또는 트레이가 많을수록 끓는점이 낮은 물질과 끓는점이 높은 물질의 탑 분리가 더 잘 된다.
분별 증류탑의 설계 및 작동은 공급물의 조성뿐만 아니라 원하는 제품의 조성에 따라 달라진다. 단순한 이성분 공급물을 고려할 때, McCabe–Thiele 방법[5][8][9] 또는 Fenske 방정식[5]과 같은 분석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성분 공급물의 경우 설계, 작동 및 구성 모두에 시뮬레이션 모델이 사용된다.
버블 캡 "트레이" 또는 "플레이트"는 산업용 분별 증류탑 내부의 상승하는 증기와 하강하는 액체 사이에 좋은 접촉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물리적 장치의 한 유형이다. 트레이 또는 플레이트의 효율은 일반적으로 이론적으로 100% 효율적인 평형단의 효율보다 낮다. 따라서 분별 증류탑은 거의 항상 필요한 이론적인 기액 평형 단 수보다 더 많은 실제 물리적 플레이트가 필요하다.
산업적 사용에서 때로는 충전 재료가 트레이 대신 탑에 사용되는데, 특히 진공 상태에서 작동할 때처럼 탑 전체의 압력 강하가 낮아야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러한 충전 재료는 Raschig 링 또는 구조적 시트 금속과 같은 무작위로 투입된 충전재(약 2.54cm 에서 약 7.62cm 너비)일 수 있다. 액체는 충전재의 표면을 적시는 경향이 있으며, 증기는 이 적셔진 표면을 가로질러 통과하여 물질 전달이 일어난다. 모양이 다른 충전재는 표면적과 충전재 사이의 빈 공간이 다르다. 이 두 가지 요인은 모두 충전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4. 회분식 증류와 연속식 증류
산업적으로 수행되는 증류는 '''회분식 증류'''(배치식 증류)와 '''연속식 증류'''로 분류할 수 있다.
회분식 증류에서는 증류탑의 하부가 증류솥이 되어 여기에 원료를 투입한다. 가열은 증류솥을 직접 가열 수증기나 오일로 가열하는 방법과, 증류솥에서 액체의 일부를 리보일러라고 하는 가열 장치로 보내 가열하여 증류솥으로 되돌리는 방식이 있다. 회분식 증류는 한 번에 증류솥 용적의 양밖에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비교적 소량의 처리에 사용된다.
대량의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연속식 증류가 수행된다. 이 경우에는 가열기로 기화된 원료를 증류탑의 중간에 도입한다. 증류탑의 꼭대기에서는 휘발성이 높은 성분에 풍부한 유출액이 얻어지고, 바닥에서는 휘발성이 낮은 성분에 풍부한 캔출액이 얻어진다. 유출액과 캔출액을 합한 양이 공급한 원료와 동일한 양이 되도록 함으로써 증류탑은 정상 상태가 된다.
응축기는 모든 증류에서 리비히 냉각기와 같은 이중관식 열교환기나 다관 원통형 열교환기가 사용된다.
일단 액체에서 증발한 기체가 증류탑 내에서 응축하여 액체가 되는 일 없이 유출하는 증류를 단순 증류라고 한다. 연속식 단순 증류는 '''플래시 증류'''라고도 불린다. 내부가 중공인 증류탑을 사용하는 경우, 그 증류는 거의 단순 증류로 간주할 수 있다. 단순 증류에서는 분리 능력이 낮기 때문에 화학 공업에서는 정제보다 용매의 회수에 사용된다. 또한 양조주에서 증류주를 만드는 공정은 거의 단순 증류로 간주할 수 있다.
정제를 위해서는 정류가 수행된다. 정류를 수행하기 위한 증류탑(정류탑)은 기액 접촉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한 궁리가 되어 있다. 또한 기액 접촉을 충분히 일으키게 하기 위해 탑의 꼭대기에서 유출된 액체의 일부를 탑 내로 되돌리는 '''환류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정류탑은 크게 '''단탑'''과 '''충전탑'''으로 분류된다. 정류탑의 성능은 이론 단수에 의해 평가된다.
참조
[1]
서적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Wiley-Interscience
[2]
서적
Unit Operations of Chemical Engineering
McGraw Hill
[3]
서적
Distillation Design
McGraw-Hill
[4]
서적
Separation Processes
McGraw Hill
[5]
서적
Perry's Chemical Engineers' Handbook
McGraw-Hill
[6]
웹사이트
Distillation Columns
http://www.brewhaus.[...]
2015-08-04
[7]
서적
Elementary Principles of Chemical Processes
Wiley
[8]
간행물
Algebraic Solution of McCabe-Thiele Diagram
1951-05
[9]
서적
Separation Process Principles
Wile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