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증분 검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증분 검색은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함에 따라 일치하는 결과를 즉시 표시하는 검색 방법이다. 1970년대 후반 EMACS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1992년 WordPerfect 5.2 for Windows의 맞춤법 검사기에서 주류로 채택되었다. 증분 검색은 입력 시마다 결과를 갱신하여 효율적인 검색을 가능하게 하지만, 네트워크 대역폭 사용량이 많고 시각적인 단점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운영체제, 웹 브라우저, 편집기, 개발 환경 및 응용 프로그램에서 구현되어 있으며, 구글 인스턴트와 같은 웹 검색에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검색 엔진 소프트웨어 - 아파치 루씬
    아파치 루씬은 더그 커팅이 개발한 오픈 소스 전문 검색 라이브러리이며, 텍스트 색인 및 검색 기능을 제공하여 웹 검색 엔진, 퍼지 검색, 추천 시스템 구현 등에 사용된다.
  • 검색 엔진 소프트웨어 - 웹 크롤러
    웹 크롤러는 웹 스파이더, 앤트 등으로 불리며 웹 페이지를 체계적으로 탐색하는 프로그램으로, 검색 엔진 인덱싱 및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되며 웹 사이트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정책을 고려하고 기술적 요소들을 포함한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 작업 보기
    작업 보기(Task View)는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창 전환을 용이하게 하는 창 관리 기능으로, 윈도우의 창 전환기, Flip 3D를 거쳐 발전해왔으며, Flip 3D의 단점을 보완하는 응용 프로그램도 존재한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 모바일 앱
    모바일 앱은 휴대 기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 방식에 따라 네이티브 앱, 웹 기반 앱, 하이브리드 앱으로 나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중요하고 앱 스토어를 통해 배포되며, 기업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관리를 통해 보안을 강화한다.
증분 검색
정보 검색 방법
유형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목적검색 속도 향상
구현사용자 입력에 따라 실시간으로 검색 결과 업데이트
장점빠르고 직관적인 검색 경험 제공
단점즉각적인 피드백으로 인해 사용자가 검색어 완성 전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음
특징
검색 범위 축소입력할 때마다 검색 범위를 좁혀 나감
자동 완성 기능검색어 자동 완성 제안
실시간 업데이트검색 결과가 실시간으로 변경됨
사용 예시
소프트웨어 개발통합 개발 환경(IDE)에서 코드 검색 시 사용
웹 검색검색 엔진에서 검색어 추천 기능으로 사용
데이터베이스 검색대규모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정보 검색 시 사용
파일 시스템 검색파일 관리자에서 파일 검색 시 사용
사용자 경험
즉각적인 피드백사용자가 입력하는 동안 검색 결과 확인 가능
효율성검색 단계를 줄여 시간 절약
직관성사용자가 검색 과정을 쉽게 이해
기술적 고려 사항
성능대량의 데이터 처리 능력
알고리즘효율적인 검색 알고리즘 필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 설계

2. 역사

증분 검색의 최초 기록은 1970년대 후반 ITS 상의 EMACS에서였다.[1] 이는 리처드 스톨만이 GNU Emacs를 재구현하면서 포함시킨 많은 필수 Emacs 기능 중 하나였다. 1980년대에 이 기능을 포함한 다른 주목할 만한 프로그램으로는 bash와 캐논 캣이 있다.[2] 이러한 초창기 구현은 제안 목록이 아닌 단일 행 피드백을 제공했다.

최초의 주류 등장은 1992년 11월 30일에 출시된 WordPerfect 5.2 for Windows의 맞춤법 검사기였을 것이다.[3] WriteExpress의 현재 CEO인 프로그래머 로버트 존 스티븐스는 유타주 오렘의 WordPerfect 사용성 연구소에서 그와 스티븐 M. 캐논이 윈도우로 포팅한 5.1 맞춤법 검사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관찰했는데, 단어가 사전에 없어서 대체 단어가 제시되지 않을 때 사용자들이 길을 잃은 듯이 보였고, 마우스 커서를 페이지 주위로 움직이거나 심지어 맞춤법 검사기를 종료하기까지 한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이 이상한 현상에 충격을 받은 그는 집으로 돌아가 소파에 앉아 아내와 자신의 관찰 내용을 논의했다. 스티븐스는 다음과 같은 해결책을 코딩했다. 사용자가 편집 상자에 입력하면 맞춤법 검사기가 입력된 문자로 시작하는 단어를 제안하는 것이었다. "찾고 싶은 단어를 '바꿀 단어' 상자에 입력할 수 있습니다. 상자에 문자를 입력하면 가능한 일치 항목이 표시됩니다."[4] [5]

3. 특징

증분 검색은 검색하려는 문자열을 한 글자 입력할 때마다 자동으로 검색을 시작하는 방식이다. 사전 애플리케이션 등에서는 일치하는 모든 항목이 나열되고, 편집기에서는 즉시 근접한 항목으로 이동한다. 문자를 추가로 입력하여 검색 범위를 좁힐 수 있다. 따라서 검색어를 모두 입력할 필요가 없고, 입력 오류에 대한 대처도 즉시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노력을 절감시킨다.

증분 검색은 주로 검색이 주된 기능인 사전, 주소록 등의 애플리케이션이나 편집기, 웹 브라우저와 같이 빈번하게 검색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된다. 웹사이트에서는 구글(Google) 검색 엔진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휴대 전화의 가나-한자 변환 시스템인 POBox도 증분 검색 방식을 채택하여 입력의 수고를 덜어준다.

3. 1. 장점

제프 라스킨은 자신의 저서 ''휴먼 인터페이스''(2000년)에서 증분 검색의 장점이 매우 많다고 주장했다.[7] 증분 검색은 사용자가 검색어를 완전히 입력하지 않아도 검색이 가능하고, 입력 오류를 즉시 수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노력을 절감시킨다.

증분 검색은 주로 검색이 주된 기능인 사전, 주소록 등의 애플리케이션이나 편집기, 웹 브라우저와 같이 빈번하게 검색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된다. 웹사이트에서는 구글(Google) 검색 엔진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휴대 전화의 가나-한자 변환 시스템인 POBox도 증분 검색 방식을 채택하여 입력의 수고를 덜어준다.

하지만, 일본어처럼 단어 입력에 변환이나 후보 확정 작업이 필요한 언어에서는 증분 검색의 이점이 줄어들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로마자 입력 단계에서 정규 표현식으로 한자나 히라가나로 반영하는 migemo 라이브러리가 개발되어 Unix 기반 애플리케이션에서 활용되고 있다.

3. 2. 단점

제프 라스킨은 증분 검색이 구획 검색에 비해 장점이 많다고 주장했지만,[7] 사용자가 입력을 시작하기 전까지 시각적으로 그러한 사실을 알려주는 텍스트 필드가 없다는 점에서 낮은 어포던스를 보인다는 비판도 있다.[8]

4. 종류

증분 검색은 자동 완성, 입력 중 검색, 입력 중 필터/찾기(FAYT), 타입어헤드 검색, 인라인 검색, 인스턴트 검색, 워드 휠링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일반적인 키보드 단축키로는 Ctrl/Cmd-F(기존 찾기와 유사), F3, GNU 스타일의 / (Vim에도 적용 가능)[6], Emacs 스타일의 C-s가 있다.

4. 1. 파일 및 미디어 검색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운영 체제의 파일 탐색기 셸에서 문자열과 일치하는 이름을 가진 파일을 검색하는 동안 이 기능을 접할 수 있다. 이 기능은 또한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이름 또는 아티스트가 문자열과 일치하는 노래를 검색하는 동안 사용될 수 있다.

4. 2.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검색

또 다른 변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자체 내에 나타날 수 있는 긴 옵션 목록이나 메뉴 항목을 필터링하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의 예는 Mozilla Firefox 2.0.0.14 이상 버전의 '''about:config''' 인터페이스 섹션과 TextMate 1.5.7의 번들 편집기 섹션에서 찾을 수 있다. 이 기능은 Quicksilver 1.0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 실행기에서도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검색 쿼리를 입력하면 일치하는 목록이 생성되며, 이 목록은 필터 텍스트와 일치하도록 점진적으로 좁혀진다.

4. 3. 웹 검색

2010년 9월, 구글구글 검색에 대한 증분 검색 기능인 구글 인스턴트를 도입했다.[1] 일반적인 검색은 검색어를 모두 입력해야 하지만, 증분 검색에서는 한 글자씩 입력할 때마다 자동으로 검색이 시작된다.[1]

이러한 기능은 검색어 입력의 수고를 덜고, 입력 오류에 즉시 대처할 수 있게 해준다.[1]

웹사이트에서는 구글의 검색 엔진 등이 증분 검색을 사용하고 있다.[1]

5. 구현

증분 검색은 다양한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되어 사용자가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웹 브라우저, 인스턴트 메신저, 운영 체제, 편집기 및 개발 환경 등 여러 분야에서 증분 검색 기능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파이어폭스[9], 오페라, 크롬 등 대부분의 최신 웹 브라우저는 주소창이나 검색창에서 증분 검색을 지원한다.

애플 macOS의 스포트라이트, 도움말 메뉴(10.5 이상), 시스템 환경설정이나,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비스타7시작 메뉴, 제어판과 같이 운영 체제 수준에서도 증분 검색이 널리 사용된다.

이맥스, Vim, 이클립스[9], 비주얼 스튜디오와 같은 편집기 및 개발 환경에서도 증분 검색을 지원하여 코드나 문서를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5. 1. 웹 브라우저

다음은 증분 검색을 지원하는 현대 웹 브라우저 목록이다.

5. 2. 인스턴트 메신저

5. 3. 운영 체제


  • 애플 macOS

:* 스포트라이트 (컴퓨터 전체 검색)

:* 도움말 메뉴 (10.5 이상)

:* 시스템 환경설정
:* 시작 메뉴

:* 제어판
:* KWrite

:* 레콩

5. 4. 편집기 및 개발 환경

다음은 증분 검색을 지원하는 편집기 및 개발 환경이다.

5. 5. 기타 응용 프로그램

다음은 증분 검색을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 목록이다.

분류응용 프로그램
웹 브라우저
인스턴트 메신저
운영 체제
편집기 및 개발 환경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the Emacs Editor http://www.emacswiki[...] 1978-01
[2] 간행물 The Cat is Dead, Long Live the Interface
[3] 뉴스 Wordperfect Executive Is Forced Out https://www.nytimes.[...] 1992-03-30
[4] 서적 Using WordPerfect 5.2 for Windows Que Development Group 1993-01-01
[5] 서적 Using Wordperfect 5.2 for Windows https://books.google[...] 1993
[6] 웹사이트 Patterns and search commands http://vimdoc.source[...] Bram Moolenaar, SourceForge 2006-04-24
[7] 서적 The Humane Interface https://archive.org/[...] Addison-Wesley Professional 2000-04-08
[8] 웹사이트 Affordance of Autocomplete Text Fields http://justaddwater.[...] 2007-05-05
[9] 웹사이트 Press Releases and Announcements http://viewvc.svn.mo[...] mozilla.org new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