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전은 단어의 의미, 발음, 문법 정보 등을 제공하는 어학사전과 인물, 사건, 지식 등을 종합적으로 설명하는 백과사전으로 크게 분류된다. 어학사전은 일국어사전과 이중언어사전으로 나뉘며, 기술 방식에 따라 규정 사전과 기술 사전으로 구분된다. 사전은 표제어, 뜻풀이, 예문, 발음, 품사 등의 정보로 구성되며, 말뭉치언어학, 자연어 처리 등 다양한 분야와 연관되어 발전해 왔다. 한국에서는 1929년 문세영의 조선어사전을 시작으로, 조선어학회의 조선말 큰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등 다양한 사전이 편찬되었다.

2. 역사

1696년 바르셀로나에서 출판된 1000페이지가 넘는 카탈루냐-라틴어 사전. Gazophylacium Dictionary.


발견된 가장 오랜 사전은 기원전 2300년경 쓰인 아카드 제국의 쐐기 문자 조각으로, 수메르어와 아카드어의 대역쌍 목록이다. 우라 후불루 용어집(Urra=hubullu glossary)이라 불리는 이 사전의 이름은 용어집의 첫머리에 나오는 '이자가 붙는 채무'라는 단어에서 유래했다.

근대 유럽의 사전들은 이중언어 사전으로 시작했다. 1502년에 나온 언어학자이자 수사인 암브로지오 칼레피노(Ambrogio Calepino)의 코르누코파이아(Cornucopia)가 그것인데 이중언어사전이라기 보다는 다국어사전이다. 라틴어를 라틴어, 이탈리아어, 영어, 불어, 독어로 설명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사뮤엘 존슨(Samuel Johnson)의 영어사전(A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1755)은 영어사전의 역사에서 한 이정표였다. 이전까지의 사전은 대부분 유사 어휘들을 분류해서 기술하는, 기린 옆에 사자를 나열하는 그런 방식이었는데 존슨은 그 모든 어휘를 예외 없이 알파벳 순으로 나열하여 첫 번째 근대적인 사전을 완성했다.

가장 오래된 사전은 쐐기 문자로 된 수메르어–아카드어 단어 목록이 담긴 점토판으로, 에블라(현대 시리아)에서 발견되었으며, 아카드 제국 시대인 기원전 23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9][10][11] 기원전 2천 년 초의 ''우라=후불루'' 어휘집은 이러한 수메르어 단어 목록의 표준 바빌로니아 버전이다. 의 중국어 사전인 ''이아''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단일 언어 사전이며, 일부 자료에서는 ''시주편''(아마도 기원전 700년에서 기원전 200년 사이에 편집되었을 것이며, 어쩌면 더 이전일 수도 있음)을 "사전"으로 언급하지만, 현대 학계에서는 이를 주나라 청동기에서 따온 한자의 서예 모음집으로 간주한다. 코스의 필리타스(기원전 4세기)는 희귀한 호메로스 및 기타 문학 작품의 단어, 지역 방언의 단어, 전문 용어의 의미를 설명하는 선구적인 어휘집 ''무질서한 단어'' (Ἄτακτοι γλῶσσαι, ''4세기/Átaktoi glôssai}}'')를 저술했다.[12] 소피스트 아폴로니우스(1세기)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호메로스 어휘집을 저술했다.[1] 최초의 산스크리트어 사전인 아마라코샤는 아마라심하가 에 따르면, 최초의 일본어 사전은 682년 사라진 ''니이나''라는 한자 어휘집이었다. 알 할릴 이븐 아흐마드 알 파라히디의 8세기 ''키타브 알-아인''은 최초의 아랍어 사전으로 여겨진다.[13]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일본어 사전인 ''텐레이 반쇼 메이키'' 역시 한자 어휘집이었다. ''파랑-이 파흘라비그''에는 아람어 이형 동음어가 페르시아 중세어 번역과 파젠드 문자로 음성 표기와 함께 나열되어 있다. 9세기 아일랜드어 사전인 사나스 코르마익에는 1,400개 이상의 아일랜드어 단어의 어원과 설명이 담겨 있었다. 12세기에 카라한 칸국-튀르크 학자인 마흐무드 카슈가리는 튀르크 방언, 특히 카라한 튀르크어에 관한 사전인 "디반-우 루가트 잇 투르크"를 완성했다. 그의 작품에는 약 7500~8000개의 단어가 포함되어 있으며, 비튀르크계 무슬림, 특히 아바스 왕조 아랍인에게 튀르크어를 가르치기 위해 쓰여졌다.[14] 알-자마크샤리는 튀르크-호라즘 통치자인 아치즈를 위해 "무카디메투 렐-에데브"라는 작은 아랍어 사전을 저술했다.[15] 14세기에 코덱스 쿠마니쿠스가 완성되었으며 쿠만-튀르크어 사전 역할을 했다. 한편 맘루크 이집트에서 에부 하얀 엘-엔델뤼시는 이집트와 레반트에서 사용된 킵차크 및 투르크멘 언어에 관한 사전인 "키타뷰 릴-이드라크 리-리사니 렐-에트라크"를 완성했다.[16] "바흐샤이쉬 루가티"라는 사전은 고대 아나톨리아 튀르크어로 쓰여졌으며, 오구즈 튀르크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사이의 사전 역할도 했다. 그러나 누가 사전을 썼는지, 정확히 몇 세기에 출판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이는 중세 후기 오스만 제국 시대가 아닌 셀주크 제국 시대의 고대 아나톨리아 튀르크어로 쓰여졌다.[17] 인도에서는 1320년경 아미르 호스로가 주로 힌두스탄어와 페르시아어 단어를 다룬 칼리크-에-바리를 편찬했다.[18]

프랑스어 ''프티 라루스''는 삽화가 있는 사전의 예시이다.


아랍어 사전은 8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편찬되었으며, 단어를 운율 순서(마지막 음절별), 어근의 알파벳 순서 또는 첫 글자의 알파벳 순서(현대 유럽 언어 사전에서 사용되는 시스템)로 정리했다. 현대 시스템은 코란과 하디스의 용어와 같은 전문 사전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며, ''리산 알-아랍''(13세기, 여전히 가장 잘 알려진 대규모 아랍어 사전) 및 ''알-카무스 알-무히트''(14세기)와 같은 대부분의 일반 사용 사전은 어근의 알파벳 순서로 단어를 나열했다. ''알-카무스 알-무히트''는 아랍어로 된 최초의 휴대용 사전으로, ''리산'' 및 ''옥스퍼드 영어 사전''과 같은 사전에서 사용된 지원 예시를 제거하고 단어와 정의만 포함한다.[19]

1612년 ''보카볼라리오 델리 아카데미치 델라 크루스카''


중세 유럽에서는 용어집이 방언 또는 더 간단한 라틴어로 된 라틴어 단어의 동등어를 사용했다(예: 라이덴 용어집). 요하네스 발부스의 ''카톨리콘''(1287)은 알파벳순 어휘집을 갖춘 대규모 문법 작품으로 널리 채택되었다. 이는 여러 이중 언어 사전의 기초가 되었으며, 인쇄된 가장 초기의 책(1460년) 중 하나였다. 1502년 암브로지오 칼레피노의 ''딕시오나리움''이 출판되었는데, 원래는 단일 언어 라틴어 사전이었으나 16세기 동안 다국어 용어집으로 확장되었다. 1532년 로베르 에티엔은 ''테사우루스 링구에 라티나에''를 출판했고, 1572년 그의 아들 앙리 에티엔은 ''테사우루스 링구에 그라에카에''를 출판했는데, 이는 19세기까지 그리스어 사전 편찬의 기초가 되었다. 최초의 단일 언어 스페인어 사전은 세바스티안 코바루비아스의 ''테소로 데 라 렝과 카스테야나 오 에스파뇰라''로, 1611년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출판되었다.[20] 1612년에는 이탈리아어에 대한 ''보카볼라리오 델리 아카데미치 델라 크루스카''의 첫 번째 판이 출판되었다. 이는 프랑스어와 영어의 유사한 작품의 모델 역할을 했다. 1690년 로테르담에서는 앙투안 퓌르티에르의 ''딕시오네르 유니베르셀''이 프랑스어로 사후 출판되었다. 1694년에는 의 첫 번째 판이 출판되었고(여전히 출판되고 있으며, 9판은 까지 완료되지 않음). 1712년에서 1721년 사이에는 라파엘 블루토가 저술한 ''보카볼라리오 포르투게즈 에 라티노''가 출판되었다. 스페인 왕립 아카데미는 1780년 의 첫 번째 판을 출판했으며(매 10년마다 새 판이 출판됨); 문학 작품에서 인용한 구절이 포함된 ''디씨오나리오 데 아우토리다데스''는 1726년에 출판되었다. 에기디오 포르첼리니의 ''토티우스 라티니타티스 렉시콘''은 1777년에 처음 출판되었으며, 그 이후로 출판된 모든 유사한 작품의 기초가 되었다.

헨리 조지 리델과 로버트 스콧의 ''그리스-영어 렉시콘''의 첫 번째 판은 1843년에 출판되었으며, 이 작품은 20세기 말까지 그리스어의 기본 사전으로 남아 있었다. 그리고 1858년에는 그림 형제의 도이체스 베어터부흐의 첫 번째 권이 출판되었으며, 이 작품은 1961년에 완성되었다. 1861년에서 1874년 사이에는 니콜로 토마세오의 ''디지오나리오 델라 링구아 이탈리아나''가 출판되었다. 1862년에서 1874년 사이에는 게르게이 추초르와 야노스 포가라시가 저술한 ''A 마자르 냘브 스오타라'' (헝가리어 사전)의 6권이 출판되었다. 에밀 리트레는 1863년에서 1872년 사이에 을 출판했다. 같은 해인 1863년에는 ''워르덴보크 데르 네델란드시 타알''의 첫 번째 권이 출판되었고, 이는 1998년에 완성되었다. 또한 1863년 블라디미르 이바노비치 달은 ''살아있는 대 러시아어의 설명 사전''을 출판했다. 두덴 사전은 188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현재 독일어 철자의 규범적 출처이다. ''스벤스카 아카데미엔스 오르드보크''에 대한 작업을 시작하기로 한 결정은 1787년에 이루어졌다.[21]

2. 1. 고대 및 중세

메소포타미아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사전은 기원전 2300년경 아카드 제국의 쐐기문자 점토판으로, 수메르어와 아카드어의 대역어 목록이다.[9][10][11] 우라 후불루 용어집(Urra=hubullu glossary)은 이 사전의 이름으로, '이자가 붙는 채무'라는 단어에서 유래했다.

기원전 3세기경의 중국어 사전인 이아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단일 언어 사전이다. 자형에 따라 한자를 분류한 자서(字書)로는 설문해자, 옥편 등이 있으며, 강희자전 이후에는 자전(字典)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아졌다.

기원전 4세기 코스의 필리타스는 희귀한 호메로스 및 기타 문학 작품의 단어, 지역 방언의 단어, 전문 용어의 의미를 설명하는 선구적인 어휘집 ''무질서한 단어'' (Ἄτακτοι γλῶσσαι, Átaktoi glôssaiel)를 저술했다.[12]

7세기경 일본에서 최초의 일본어 사전은 니이나(新字)라는 한자 어휘집이었으나, 현재는 소실되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일본어 사전은 9세기경의 전예만상명의이다.

2. 2. 근대

근대 유럽에서는 이중언어 사전이 먼저 등장했다. 1502년 암브로조 칼레피노(Ambrogio Calepino)의 ''코르누코파이아(Cornucopia)''는 라틴어를 이탈리아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로 설명하는 다국어 사전이었다. 1696년에는 1000페이지가 넘는 카탈루냐-라틴어 사전인 ''Gazophylacium Dictionary''가 바르셀로나에서 출판되었다.

사무엘 존슨(Samuel Johnson)의 ''영어사전(A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1755)''은 영어 사전 역사에서 중요한 이정표였다. 존슨은 이전까지 유사 어휘를 분류하여 기술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모든 어휘를 알파벳 순으로 나열하여 근대적인 사전을 완성했다. 존슨의 사전은 150년 이상 영어의 표준으로 여겨졌다.

조선 시대에는 한자를 자형(字形)에 따라 분류하고 뜻과 음을 풀이한 자서(字書)와 유의어를 모아 놓은 유서(類書)가 편찬되었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는 한글과 한자를 함께 표기한 사전들이 등장했다.

2. 3. 현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언어 표준화를 위한 규범주의 사전과 실제 언어 사용을 반영하는 기술주의 사전의 대립이 나타났다.[33] 규범주의는 노아 웹스터가 미국 영어의 독자적인 정체성을 형성하고자 했던 시도에서 잘 드러난다.[33] 반면, 20세기의 대형 사전인 ''옥스퍼드 영어 사전''(OED)과 ''웹스터 제3판''은 기술주의적 접근을 통해 단어의 실제 사용을 묘사하려 했다.[34] 현대 영어 사전은 대부분 기술적 방법을 적용하지만, 단어 사용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한다.[34]

한국에서는 1930년대 조선어학회의 '조선말 큰사전' 편찬 시도가 한국어 사전 편찬의 중요한 이정표였다. 광복 후, '큰사전'(1957)이 출판되었고, 1999년에는 '표준국어대사전'이 출판되었다. 민중서림, 금성출판사 등 민간 출판사들도 다양한 국어사전을 출판하며 경쟁했다.

20세기 말부터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로 전자 사전, 온라인 사전이 등장했다.[39] 온라인 사전은 특정 분야에 특화된 경우가 많으며, 사용자 생성 콘텐츠로 구성된 경우도 있다.[39]

3. 사전의 구조

사전은 해당 항목의 대표형을 보여주는 표제어 아래 크게 보아 뜻풀이와 예문 그리고 기타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뜻풀이는 해당 의미를 대상 언어로 해설한 것이고 예문은 그 의미로 사용된 문장의 사례이다. 기타 정보에는 발음, 품사, 통사 구조, 형태 정보, 관련어 등 해당 항목을 잘 이해하도록 돕는 문법적 해설이나 부가적인 해설을 말한다.

많은 언어, 예를 들어 영어의 경우, 일부 단어의 발음이 철자만으로는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 언어의 사전은 대개 발음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단어 "dictionary"의 정의 뒤에는 국제 음성 기호 표기가 올 수 있다. 미국 영어 사전은 자체적인 발음 표기 시스템을 분음 부호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국제 음성 기호는 영국 연방 국가에서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 외 다른 곳에서는 분음 부호가 없는 자체 발음 표기 시스템을 사용한다. 일부 온라인 또는 전자 사전은 단어가 발음되는 오디오 녹음을 제공한다.

4. 사전의 분류

사전은 크게 '''어학사전'''(辭典, dictionary, '''말모이''')과 백과사전(百科事典, encyclopedia)으로 나뉘는데 이 둘 사이에는 단어에 대한 설명을 담는 책이라는 공통점과 언어학적인 접근을 하느냐 마느냐라는 차이점이 있다. 기존에 종이책으로만 출간이 가능했을 때에는 이러한 구분이 비교적 엄격했으나 인터넷 사전의 경우 사람들이 양자를 구분하지 않고 찾는 경향을 보인다. 그 이전부터 한국어의 표준국어대사전이나 일본어의 코지엔과 같은 어학사전들은 백과사전다운 면을 많이 갖추고 있었다.

일반적인 사전에서 각 단어는 여러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사전은 가장 일반적인 사용 순서대로 각 개별 의미를 포함하는 반면, 다른 사전은 가장 오래된 사용법을 먼저 나열하여 역사적 순서로 정의를 나열한다.[31]

많은 언어에서 단어는 여러 다른 형태로 나타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사전에서는 변화하지 않거나 활용되지 않은 형태만 표제어로 나타난다. 사전은 대부분 책의 형태로 존재하지만, StarDict와 ''New Oxford American Dictionary''와 같은 일부 최신 사전은 PDA 또는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사전 소프트웨어이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많은 온라인 사전도 있다.


  • 이중 언어 사전
  • 대학 사전 (미국)
  • 학습자 사전 (주로 영국)
  • 전자 사전
  • 백과사전식 사전
  • 단일 언어 학습자 사전
  • * 고급 학습자 사전
  • 음성별
  • * 운율 사전
  • 역 사전 (개념 사전)
  • 시각 사전
  • 풍자 사전
  • 음성 사전

4. 1. 어학사전과 백과사전

사전은 크게 어학사전(辭典, dictionary, '''말모이''')과 백과사전(百科事典, encyclopedia)으로 나뉜다. 어학사전은 단어의 의미, 발음, 문법 정보 등 언어학적 정보를 제공하는 사전이다. 예를 들어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학교 한국어대사전 등이 있다. 반면 백과사전은 인물, 사건, 지명, 개념 등 세상의 지식을 종합적으로 설명하는 사전이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등이 이에 해당한다.

어학사전과 백과사전은 단어에 대한 설명을 담는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언어학적인 접근을 하는지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다. 기존에는 종이책으로만 출간되어 이러한 구분이 엄격했으나, 인터넷 사전의 경우 사람들이 양자를 구분하지 않고 찾는 경향을 보인다. 표준국어대사전이나 일본어의 코지엔과 같은 어학사전들은 이미 백과사전다운 면모를 갖추고 있었다.

어학사전은 뜻풀이 대상 언어에 따라 일국어사전과 이중언어사전으로 나뉜다. 일국어사전은 표제어와 뜻풀이가 같은 언어로 된 사전(예: 한국어사전, 영영사전)이며, 모국어 화자 대상 사전과 외국인 학습자 대상 사전으로 나뉜다. 이중언어사전은 표제어와 뜻풀이가 다른 언어로 된 사전(예: 영한사전, 한영사전)으로, 이국어사전이라고도 한다.

사전의 기술 태도에 따라 규정(prescription)하는 사전과 기술(description)하는 사전이 있다. 규정 사전은 정의를 적고 예문을 추가하는 방식이고, 기술 사전은 말뭉치언어학의 방법론을 사용하여 어휘의 사용 빈도와 분포를 있는 그대로 적는 방식이다.

범용 사전(general dictionary)은 흔히 국어사전이나 영어사전이라 부르는 언어사전을 말하며, 한 단어에 여러 의미가 담길 수 있다. 특수 사전(specialized dictionary)은 한정적인 분야를 다룬 사전이다. 유의어사전(thesaurus)은 유의어, 반의어 등을 모아놓은 사전이고, 갈래사전은 단어의 계통을 정리해놓은 사전이다. 자전(字典)은 한자사전을 말한다.

듣기, 읽기에 적합한 수동사전(passive dictionary)과 말하기, 쓰기에 적합한 능동사전(active dictionary)으로도 분류 가능하다.

용어사전(specialized dictionary 혹은 glossary)은 해당 분야의 전문용어만을 모아놓은 용어집이다. 백과사전은 인간 지식 중에서 기본으로 생각되는 것들을 균형있게 골라 서술한 책으로, 넓고 평평한 범위를 다룬다. 백과사전과 어학사전의 가장 큰 차이는 백과사전은 일상적인 의미를 잘 다루지 않고 개별 영역의 전문적인 의미를 다룬다는 점이며, 어학사전이 기능어를 많이 다룬다면 백과사전은 고유명사를 주로 다룬다.

4. 2. 일국어사전과 이중언어사전

일국어사전은 표제어와 뜻풀이가 같은 언어로 된 사전이다. 예를 들어 영어-영어사전, 한국어-한국어사전 등이 있다. 이중언어사전은 표제어와 뜻풀이가 다른 언어로 된 사전으로, 영어-한국어사전, 한국어-일본어사전 등이 이에 해당한다.

분류:사전

4. 3. 일반사전과 특수사전

어학사전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뜻풀이 대상 언어에 따라 일국어사전과 이중언어사전으로 나뉜다. 일국어사전은 한국어 사전, 영어 사전과 같이 표제어와 뜻풀이가 같은 언어로 된 사전이다. 이중언어사전은 한사전, 한사전과 같이 표제어와 뜻풀이가 다른 언어로 된 사전으로, 이국어사전이라고도 한다.

사전의 기술 태도에 따라 어휘를 규정(prescription)하는 사전과 기술(description)하는 사전이 있다. 규정하는 것은 정의를 적고 예문을 추가하는 방식이고, 기술하는 것은 말뭉치언어학의 방법론을 사용하여 어휘 사용 현황을 기록하는 방식이다.

일반사전(general dictionary)은 흔히 국어사전이나 영어 사전이라 부르는 언어사전을 말하며, 일상어를 대상으로 한다. 한 단어에 여러 의미가 담길 수 있으며, 많이 사용되는 순서나 오래된 용법 순서대로 의미가 나열된다. 특수사전(specialized dictionary)은 특정 분야, 지역, 시대의 어휘를 다룬다. 예를 들어 전문 사전은 특정 주제 분야에 초점을 맞춘 사전으로, 다분야 사전, 단일 분야 사전, 세부 분야 사전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32] 용어집은 전문 분야의 정의된 용어의 알파벳순 목록이다.[32]

유의어사전(thesaurus)은 유의어, 반의어 등을 모아놓은 사전이며, 단어의 계통을 정리해놓은 갈래사전도 있다. 자전(字典)은 한자 사전이다.

듣기, 읽기에 적합한 수동사전(passive dictionary)과 말하기, 쓰기에 적합한 능동사전(active dictionary)이 있다. 외국어 학습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연어사전, 구동사사전, 관용구사전 등 다양한 종류의 특수 사전이 나오고 있다.

사전 편찬자들은 단어 정의에 규범적 또는 기술적 접근법을 적용한다. 노아 웹스터는 미국 언어의 독자적인 정체성을 형성하고자 노력했다.[33] 20세기 대형 사전은 단어의 실제 사용을 묘사하려고 시도하는 기술적인 경우가 많다.[34] 하지만, 사전의 언어 처리는 어느 정도 사용에 영향을 미치며, 장기적으로 볼 때 영어 단어의 의미는 주로 사용에 의해 결정된다.[35] 때로는 동일한 사전이 어떤 영역에서는 기술적이고 다른 영역에서는 규범적일 수 있다.[36]

4. 4. 능동사전과 수동사전

능동사전은 말하기, 쓰기와 같이 언어 생성에 적합한 사전이다. 수동사전은 듣기, 읽기와 같이 언어 이해에 적합한 사전이다.

5. 말뭉치언어학과 사전

말뭉치언어학은 대규모의 실제 언어 사용 자료인 말뭉치를 분석하여 언어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말뭉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사용 빈도와 용례를 반영하여 사전을 편찬하는 방식은 말뭉치 기반 사전 편찬이라고 불린다.

6. 자연어 처리와 사전

자연어 처리(NLP)용 사전은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도록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사전과 다르다.[38] 최종 사용자는 사람이지만 직접적인 사용자는 프로그램이다.[38] 이러한 사전은 종이에 인쇄될 필요가 없으며, 내용의 구조는 항목별로 선형적이고 순차적인 형태가 아니라 복잡한 네트워크 형태를 띤다.[38]

이러한 사전의 대부분은 기계 번역 또는 상호 언어 정보 검색(CLIR)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므로 내용은 대개 다국어이며 규모가 매우 크다.[38] 사전의 공식적인 교환 및 병합을 허용하기 위해 어휘 마크업 프레임워크(LMF)라는 ISO 표준이 정의되어 산업 및 학계에서 사용되고 있다.[38]

7. 한국의 사전

한국에서 최초의 현대적 사전은 1929년 문세영의 조선어사전이다. 이 사전은 최초로 국어사전이라는 이름을 사용한 사전이다. 1938년에는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 따라 조선어학회에서 조선어사전(미완성)을 편찬하기 시작했다.

광복 이후, 조선어학회는 1947년 조선말 큰사전 첫째 권을 펴냈고, 1957년 전 6권으로 완간했다. 이 사전은 한글학회에서 간행한 최초의 국어대사전이다.
새우리말큰사전은 1971년 삼성출판사에서 간행한 사전이다. 1975년에는 휘문출판사에서 휘문 새우리말큰사전을 간행했다.

1992년에는 금성출판사에서 국어대사전을 간행했다.

국립국어원에서 편찬한 표준국어대사전은 한국어의 표준을 제시하는 사전으로 1999년에 완간되었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에서 2009년에 간행한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은 남북한의 언어, 전문용어, 신조어 등을 폭넓게 수록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에서 1998년에 간행한 연세 한국어사전은 실제 언어 사용을 반영하는 기술주의적 사전이다.

8. 참고: 주요 영어 사전

노아 웹스터는 1806년에 ''A Compendious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를 출판했고,[3] 1828년에는 ''An American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를 출판했다. 웹스터의 사전은 G & C Merriam Co.에 인수되었으며, 이후 메리엄-웹스터라는 이름으로 출판되고 있다. 메리엄-웹스터는 1964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인수되었다.

''웹스터 제3 신국제 사전''에 사용법 조언이 부족하다는 논란으로 인해 1969년 코퍼스 언어학을 사용한 최초의 사전인 ''아메리칸 헤리티지 영어 사전''이 출판되었다.
옥스포드 영어 사전(Oxford English Dictionary) (OED): 영어의 역사와 발달을 보여주는 방대한 사전이다.

참조

[1] 서적 Webster's New World College Dictionary, Fourth Edition 2002
[2] 웹사이트 The Features, Functions, and Limitations of Dictionaries https://www.thoughtc[...] 2019-08-09
[3] 웹사이트 Dictionary https://www.britanni[...] 2022-11-13
[4] 논문 The Effect of Lexicographical Information Costs on Dictionary Naming and Use
[5] 서적 A Practical Guide to Lexicography 2003
[6] 서적 A Practical Guide to Lexicography 2003
[7] 서적 A Practical Guide to Lexicography 2003
[8] 서적 Lexicography: Dictionaries, compilers, critics, and users https://books.google[...] Routledge
[9] 웹사이트 DCCLT – Digital Corpus of Cuneiform Lexical Texts http://oracc.museum.[...] 2022-03-01
[10] 백과사전 Dictionary – MSN Encarta http://encarta.msn.c[...]
[11] 서적 The Bloomsbury Handbook of Lexicograph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2-02-24
[12] 논문 The unruly tongue: Philitas of Cos as scholar and poet
[13] 간행물 al-K̲h̲alīl b. Aḥmad 2023-06-04
[14] 서적 Divanü Lügat-it Türk Dizini TTK Basımevi 1986
[15] 문서 Zeki Velidi Togan, Zimahşeri'nin Doğu Türkçesi İle Mukaddimetül Edeb'i
[16] 문서 Ahmet Caferoğlu, Kitab Al Idrak Li Lisan Al Atrak 1931
[17] 문서 Bahşāyiş Bin Çalıça, Bahşayiş Lügati: Hazırlayan: Fikret TURAN 2017
[18] 뉴스 Chasing Khusro http://www.thehindu.[...] 2012-02-24
[19] 간행물 Ḳāmūs Brill
[20] 문서 Tesoro de la lengua castellana o española Iberoamericana-Vervuert 2006
[21] 웹사이트 OSA – Om svar anhålles http://g3.spraakdata[...] 2017-10-13
[22] 서적 The etymologicon Icon Books Ltd. 2011
[23] 웹사이트 1582 – Mulcaster's Elementarie http://www.bl.uk/lea[...] 2017-10-13
[24]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English Lexicography http://angli02.kgw.t[...] Technische Universität Berlin 1999
[25] 웹사이트 Jack Lynch, "How Johnson's Dictionary Became the First Dictionary" http://JackLynch.net[...] 2005-08-25
[26] 서적 Dictionaries in Early Modern Europe: Lexicography and the Making of Heritag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03-27
[27] 웹사이트 Lynch, "How Johnson's Dictionary Became the First Dictionary" http://andromeda.rut[...] 2017-10-13
[28] 웹사이트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OED) https://www.britanni[...] 1998-07-20
[29] 웹사이트 The most influential crowdsourcing project happened long before Wikipedia https://www.washingt[...] 2023-10-12
[30] 문서 The Surgeon of Crowthorne
[31] 웹사이트 Language Core Reference Sources – Texas State Library http://www.tsl.state[...]
[32] 뉴스 The first English to Einglish and Sindhi Dictionary of Computer and Internet Terms published – The Sindh Times 2015-02-24
[33] 서적 Ethnocentrism and the English Dictiona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34] 서적 Current Issues in Late Modern English https://books.google[...] Peter Lang
[35] 문서 The Wordsworth Dictionary of Modern English Grammar 2005
[36] 간행물 Review of the Oxford English-Hebrew Dictionary http://www.professor[...] 1999
[3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Nigeria http://shcas.shnu.ed[...] Rowman & Littlefield 2018
[38] 논문 "Data science in light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 overview." https://www.scienced[...] 2018
[39] 웹사이트 The Role of a Dictionary http://opinionator.b[...] The New York Times 2013-05-17
[40]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の解説 https://kotobank.jp/[...]
[41] 웹사이트 日葡辞書 http://www.iwanami.c[...] 岩波書店 2017-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