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 좌표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리 좌표계는 지구 표면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위도와 경도를 사용하는 좌표 시스템이다. 기원전 3세기 에라토스테네스가 발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히파르코스, 프톨레마이오스 등의 연구를 거쳐 발전했다. 1884년에는 그리니치를 본초 자오선으로 하는 국제적인 합의가 이루어졌다. 위도와 경도는 지구의 표면을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측지계, 특히 지구 타원체를 기반으로 하며, UTM, UPS와 같은 투영 좌표계도 사용된다. 위도와 경도는 도, 분, 초 또는 십진법 도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메이든헤드 위치 시스템, 플러스 코드, 지오해시 등 다양한 좌표 표현 방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리 좌표계 - 측지계
측지계는 지구의 형태와 위치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위도, 경도, 고도 등을 정의하고 측량, 지도 제작, GPS 등에 활용되는 기준 좌표계이다. - 지리 좌표계 - 지리학 (프톨레마이오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은 2세기경에 저술된 지리학 서적으로, 원추 도법을 제안하고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담았으며, 르네상스 시대의 지도 제작과 지리 탐험에 영향을 미쳤다. - 지리 기술 - 지리정보과학
지리정보과학은 마이클 F. 굿차일드에 의해 1990년대에 제창되어 지리학, 지도학, 측지학을 넘어 인지 과학, 정보 과학 등 다양한 학문과 연관되어 발전해 온 지리 정보의 개념과 활용을 재정의하는 기초 연구 분야이다. - 지리 기술 - 원격탐사
원격탐사는 직접적인 접촉 없이 멀리 떨어진 대상에 대한 정보를 얻는 기술로, 항공사진 촬영에서 시작하여 위성 기술 발달로 전 지구적인 관측이 가능해졌으며, 다양한 파동을 이용하여 획득한 데이터는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좌표계 - 데카르트 좌표계
데카르트 좌표계는 르네 데카르트가 고안한 좌표계로, 다양한 차원의 공간에서 점의 위치를 나타내며, 2차원에서는 x축과 y축, 3차원에서는 직교하는 세 평면으로 확장되고, 고차원에서는 실수 튜플을 사용한다. - 좌표계 - 극좌표계
극좌표계는 평면 위의 점을 극점으로부터의 거리 *r*과 극축으로부터의 각도 *θ*로 나타내는 2차원 좌표계로, 데카르트 좌표계와 달리 점을 무한히 많은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삼각함수를 통해 데카르트 좌표계와 상호 변환이 가능하고, 항해, 천문학, 공학 등에서 활용되며 원운동이나 궤도 운동, 방사형 대칭 시스템 모델링에 유용하다.
지리 좌표계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공간 참조 시스템 |
구성 요소 | 측지 데이텀 좌표계 측지 좌표계 투영법 |
사용 | 위치 측량 지도 제작 내비게이션 지리 정보 시스템 카토그래피 |
다른 시스템 | 투영 좌표계 |
측정 단위 | 각도 라디안 도 (각도) 그레이드 |
역사적 배경 | |
최초 개발 | 그리스 |
기원 | 에라토스테네스 |
상세 설명 | 지구의 크기를 측정한 후 처음으로 위도와 경도를 제안 |
주요 발전 |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 메르카토르 도법 경선도 삼각측량 지구 타원체 채택 위성 측지학 GPS GIS |
좌표계 | |
주요 좌표 | 위도 경도 고도 |
위도 | 적도에서 북쪽 또는 남쪽으로의 각도 북쪽은 양수, 남쪽은 음수 |
경도 | 본초 자오선에서 동쪽 또는 서쪽으로의 각도 동쪽은 양수, 서쪽은 음수 |
고도 | 지구 표면 위 또는 아래의 위치 해발 또는 지오이드 기준 |
데이텀 | |
정의 | 측정의 기준이 되는 수학적 모델 지구의 형상과 크기를 정의 |
종류 | 지구 타원체 지오이드 |
주요 데이텀 | WGS 84 NAD83 ED50 |
투영법 | |
정의 | 3차원 지구 표면을 2차원 평면에 표현하는 방법 |
주요 투영법 | 메르카토르 도법 횡 메르카토르 도법 알베르스 도법 원추 도법 평사 도법 |
기타 시스템 | |
지오해시 | 위도와 경도를 문자열로 표현 |
MGRS | UTM 좌표계를 기반으로 하는 군사 좌표계 |
플러스 코드 | 위도와 경도를 기반으로 하는 오픈 소스 지리적 코드 |
표현 형식 | |
도분초 (DMS) | 40° 26′ 46″ N 79° 58′ 56″ W |
도분 (DM) | 40° 26.767′ N 79° 58.933′ W |
십진수 (DD) | 40.446° N 79.982° W |
기술적 세부 사항 | |
EPSG 코드 | 공간 참조 시스템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데 사용 |
ISO 6709 | 지리 좌표의 표준 표현 |
좌표계 목록 | |
OSGB36 | 영국 |
SK-42 | 구 소련 |
ED50 | 유럽 |
SAD69 | 남아메리카 |
GRS 80 | 지구 타원체 |
NAD 83 | 북미 |
WGS 84 | 세계 |
ETRS89 | 유럽 |
GCJ-02 | 중국 |
Geo URI | 인터넷 링크 |
2. 역사
지리 좌표계는 기원전 3세기 키레네의 에라토스테네스가 처음 고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 그는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에서 《지리학》이라는 책을 저술했는데, 이 책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위도는 주어진 지구 표면 지점의 수직선(추선)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이다. 같은 위도의 지점을 연결한 선은 위선이라고 부르며 적도에 평행한 동심원이 된다. 북극은 북위 90°이다. 0° 위선은 적도이며 구면 좌표계의 기본 평면이 된다. 적도는 지구를 북반구와 남반구로 분할한다.
지구좌표계를 사용하여 지구상의 실제 위치를 위도, 경도, 높이에 대한 이론적 정의를 통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수평 좌표계''는 위도와 경도를, ''수직 좌표계''는 표고 또는 고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좌표계는 지구 모양의 수학적 모델(수평 좌표계는 준거타원체, 수직 좌표계는 지오이드)을 기반으로 한다.[8]
WGS 84 타원체의 해수면 상 적도에서 위도 1초는 30.715m, 위도 1분은 1843m, 위도 1도는 110.6km이다. 경도선(자오선)은 지리적 극에서 만나며, 위도가 증가함에 따라 동서 방향의 너비는 자연스럽게 감소한다. 해수면 상 적도에서 경도 1초는 30.92m, 경도 1분은 1855m, 경도 1도는 111.3km이다. 위도 30°에서 경도 1초는 26.76m, 그리니치(북위 51°28′38″)에서는 19.22m, 위도 60°에서는 15.42m이다.[14]
위도-경도 쌍은 여러 자릿수로 된 숫자의 임의적인 나열과 같아서 전달하고 기억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GCS 좌표를 영숫자 문자열이나 단어로 인코딩하기 위한 대안적인 방식들이 개발되었다.
1세기 후, 니케아의 히파르코스는 별의 측정을 통해 위도를 결정하고, 월식 시간을 측정하여 경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개선했다. 1세기 또는 2세기에 티루스의 마리누스는 카나리아 제도 또는 카보베르데 제도에 위치한 원점 자오선에서 동쪽으로, 소아시아 연안의 로도스 섬에서 북쪽 또는 남쪽으로 측정된 좌표를 사용하여 광범위한 지명 사전과 직교 투영을 편찬했다. 프톨레마이오스는 경도와 위도를 완전히 채택했다고 언급했다.[5]
프톨레마이오스의 2세기 저서 《지리학》은 같은 원점 자오선을 사용했지만 적도를 기준으로 위도를 측정했다. 9세기에 이 책이 아랍어로 번역된 후, 알콰리즈미의 《지구의 기술에 관한 책》은 지중해 길이에 대한 마리누스와 프톨레마이오스의 오류를 수정했다. 이로 인해 중세 아랍 지도 제작에서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선보다 약 10° 동쪽의 원점 자오선을 사용하게 되었다. 1300년 조금 전에 막시무스 플라누데스가 프톨레마이오스의 저술을 복구한 후 유럽에서 수학적 지도 제작이 다시 시작되었으며, 이 저술은 1407년경 피렌체에서 자코포 단젤로에 의해 라틴어로 번역되었다.
1884년, 미국은 국제 자오선 회의를 주최하여 25개국 대표들이 참석했다. 그중 22개국은 영국 그리니치 왕립 천문대의 경도를 0 기준선으로 채택하는 데 동의했다. 도미니카 공화국은 반대표를 던졌고, 프랑스와 브라질은 기권했다.[6] 프랑스는 1911년 파리 천문대의 지역 측정 대신 그리니치 평균시를 채택했다.
3. 위도와 경도
경도는 주어진 지구 표면 지점을 지나 북극부터 남극까지 그은 경선과 본초 자오선이 이루는 각이다. 모든 경선은 반원을 그리며 평행되지 않고 북극과 남극에 한데 모인다.
런던 근교의 그리니치 천문대 바로 밑을 통과하는 자오선(그리니치 자오선)이 본초 자오선으로 선정되고 있다. 이보다 더 동쪽에 있는 지점은 동반구, 서쪽에 있는 지점은 서반구에 있다. 그리니치의 대척지의 경도는 서경 180°이며 동경 180°이다.
지구 표면 한 점의 위도는 적도면과 그 점을 지나 지구 중심(또는 지구 중심 근처)을 통과하는 직선 사이의 각도이다.[7] 같은 위도의 점들을 연결하는 선은 지구 표면에 위선이라고 불리는 원을 이룬다. 위선은 적도와 서로 평행하다. 북극은 북위 90°이다. 남극은 남위 90°이다. 위도 0°선은 모든 지리 좌표계의 기준면인 적도로 지정된다. 적도는 지구를 북반구와 남반구로 나눈다.
지구 표면 한 점의 경도는 기준 자오선에서 그 점을 통과하는 다른 자오선까지 동쪽 또는 서쪽의 각도이다. 모든 자오선은 북극과 남극에서 만나는 큰 타원의 절반이다. 영국 그리니치 왕립 천문대의 자오선은 국제 본초 자오선이다. 본초 자오선은 적절한 동반구와 서반구를 결정한다. 그리니치의 대척점 자오선은 서경 180°이자 동경 180°이다.
이 두 구성 요소의 조합은 고도 또는 깊이를 고려하지 않고 지구 표면의 모든 위치를 지정한다.
4. 측지계
전통적으로 측지 기준망 네트워크(기념비가 설치된 측량 위치)를 통해 좌표계를 생성했지만, 최근에는 위성 측정(GNSS, VLBI, SLR, DORIS)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좌표계가 사용된다.
서로 다른 좌표계는 동일한 위치에 대해 다른 측정값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수백 미터까지 차이가 날 수 있다.[8] 따라서 공간 참조 시스템 또는 지도 투영에 사용된 좌표계를 명확히 명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UTM 좌표는 WGS84와 NAD27 기반에서 서로 다르다. 좌표계 변환에는 좌표계 변환(예: 헬머트 변환)이 필요하지만, 간단한 병진으로 충분한 경우도 있다.[8]
좌표계는 지구 전체를 나타내는 전 지구적 좌표계와[9] 지구 일부에 가장 적합한 타원체를 나타내는 지역적 좌표계로 나뉜다.[10][11] 전 지구적 좌표계의 예로는 GPS에 사용되는 WGS 84(2미터 정확도의 2D 좌표계 집합 EPSG:4326)와[12] 대륙 이동과 지각 변형을 고려하는 국제 지구 기준계 및 기준틀(ITRF2020(센티미터 이하 정확도))이 있다. 지역적 좌표계로는 북미 좌표계, 유럽의 ED50, 영국의 OSGB36 등이 있다.
지구 표면의 지점은 대륙판 이동, 침하, 지구 조석 운동 등으로 인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변화는 지역 좌표계에서는 미미하지만, 전 지구적 좌표계를 사용하는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13]
지구 표면, 내부, 상공의 지형학적 위치를 정확히 특정하기 위해서는 해발 등의 측지계를 사용하여 수직 높이를 결정해야 한다. 각 국가는 자체 측지계를 설정하며, 예를 들어 일본은 일본 수준원점을 기준으로 한다.[18]
위도와 경도 값은 여러 측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며, 가장 일반적인 것은 WGS 84이다. 그러나 각 지역을 가장 잘 표현하는 다른 데이터들도 지도 제작 기관에서 사용된다. 간단한 변환으로 좌표계를 변환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헬머트 변환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15]
주요 지리정보시스템 소프트웨어에서는 위도/경도 데이터가 'Geographic Coordinate System'으로 표시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1983년 북미 측지계(NAD83)는 'GCS North American 1983'으로 표시된다.
5. 경위도 단위와 길이
WGS 84 타원체에서 위도 φ에서 위도 1도의 길이(즉, 위도 φ에서 남북 방향으로 이동하여 위도 1도를 이동하는 데 이동해야 하는 미터 수)는 다음과 같다.
: [14]
도 단위당 미터로 측정된 값은 위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한다.
마찬가지로, 경도 1도의 길이는 미터 단위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14]
(이 계수는 개선될 수 있지만, 현재 상태에서 제공하는 거리는 1센티미터 이내로 정확하다.)
두 공식 모두 도당 미터 단위를 반환한다.
위도 에서 경도 1도의 길이를 추정하는 또 다른 방법은 지구가 구형이라고 가정하는 것이다(분과 초당 너비를 얻으려면 각각 60과 3600으로 나눈다).
:
여기서 지구의 평균 자오선 반지름 은 6,367,449 m이다. 지구는 구형이 아니라 편구형 타원체이기 때문에, 이 결과는 몇 퍼센트 정도 오차가 있을 수 있다. 위도 에서 경도 1도의 더 나은 근사값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지구의 적도 반지름 는 6,378,137 m이고 이다. GRS 80 및 WGS 84 타원체의 경우 이다. (는 환원(또는 매개변수) 위도로 알려져 있다). 반올림을 제외하고, 이것은 위도선을 따라 정확한 거리이다. 최단 경로를 따라 거리를 구하는 것은 더 많은 작업이 필요하지만, 두 점이 경도 1도만큼 떨어져 있다면 두 거리는 항상 0.6m 이내이다.위도 도시 1도 1분 1초 0.0001° 60° 상트페테르부르크 55.8km 0.93km 15.5m 5.58m 51° 28′ 38″ N 그리니치 69.47km 1.158km 19.3m 6.95m 45° 보르도 78.85km 1.31km 21.9m 7.89m 30° 뉴올리언스 96.49km 1.61km 26.8m 9.65m 0° 키토 111.3km 1.855km 30.92m 11.13m
6. 좌표 표현 방식
이것들은 별개의 좌표계가 아니라 위도와 경도 측정값을 표현하는 대안적인 방법일 뿐이다.[4]
7. UTM 좌표계와 UPS 좌표계
횡단 메르카토르 도법(UTM)과 극지방 평면직교 투영(UPS) 좌표계는 모두 지구 표면에서 등각 투영의 성질을 가지면서 투영된, 거리 측정에 기반한 데카르트 격자를 사용한다. UTM은 단사가 아니며, 60개의 영역에 각각 대응한다. UPS는 UTM으로 커버되지 않는 극지방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UTM과는 별도로 국토를 19개 지역으로 나누어 가우스-크뤼거 도법에 의해 평면에 투영시킨 “평면직각좌표계”를 설정하고 있다.[17]
8. 기타 좌표계
중세에는 입체투영좌표계가 항해에 사용되었지만, 위도-경도계로 대체되었다.
항해에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지만, 입체투영좌표계는 현재도 재료과학 분야에서 결정의 기하학적 배열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구면좌표계로 표현되는 모든 점은 3차원직교좌표계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지도상의 위치를 기록하는 데 적합한 방법은 아니지만, 거리 계산이나 다른 수학적 연산을 수행하는 데 유용하다. 원점은 일반적으로 지구 타원체의 중심에 놓는다. 일본에서는 "지심직교좌표계"로 설정되어 있다.[19]
9. 정지 궤도
정지궤도위성 등 정지궤도 위성은 지구의 위도 0°(적도 상공)에서 특정 경도 위치에 정지해 있다.[1]
참조
[1]
서적
Introduction t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McGraw-Hill
2016
[2]
웹사이트
The Nature of Geographic Information
https://www.e-educat[...]
2024-02-18
[3]
웹사이트
Using the EPSG geodetic parameter dataset, Guidance Note 7-1
https://epsg.org/gui[...]
Geomatic Solutions
2021-12-15
[4]
논문
Reconstructing Eratosthenes' Map of the World
https://ourarchive.o[...]
University of Otago
2015-03-14
[5]
서적
The History and Practice of Ancient Astronom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5-05
[6]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Meridian Conference
https://web.archive.[...]
Greenwich 2000 Limited
2011-06-09
[7]
서적
Glossary of the Mapping Sciences
https://books.google[...]
ASCE Publications
1994-01-01
[8]
웹사이트
Making maps compatible with GPS
https://web.archive.[...]
Government of Ireland 1999
2008-04-15
[9]
웹사이트
A guide to the coordinate systems in Great Britain
https://docs.os.uk/o[...]
Ordnance Survey
[10]
웹사이트
WGS 84: EPSG Projection -- Spatial Reference
https://spatialrefer[...]
2020-05-05
[11]
웹사이트
EPSG:4326
https://epsg.org/crs[...]
[12]
서적
GIS Fundamentals
https://web.archive.[...]
Atlas books
2018-01-27
[13]
간행물
A guide to coordinate systems in Great Britain
https://www.ordnance[...]
Ordnance Survey
2021-12-17
[14]
웹사이트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 Stackexchange
http://gis.stackexch[...]
[15]
웹사이트
A Guide to coordinate systems in Great Britain
http://www.ordnances[...]
2008-04-14
[16]
웹사이트
http://wwp.millenniu[...]
[17]
웹사이트
平面直角座標系(平成14年国土交通省告示第9号)
https://www.gsi.go.j[...]
[18]
웹사이트
A Guide to coordinate systems in Great Britain
http://www.ordnances[...]
2008-04-14
[19]
웹사이트
地心直交座標系(平成14年国土交通省告示第185号)
https://www.gsi.go.j[...]
[20]
보고서
DMA Technical Report
http://www.ngs.noaa.[...]
The Defense Mapping Agency
1983
[21]
웹사이트
Making maps compatible with GPS
http://www.osi.ie/Ge[...]
Government of Ireland 1999
2008-04-15
[22]
웹사이트
위선(수평)과 경선(수직)을 표시한 지구의 지도 - 큰 버전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