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관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관동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진관사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1466년 경기도 양주군에 속했으며, 1973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편입되었다. 1979년 은평구로 편입되었고, 2007년 진관외동과 진관내동이 통합되었다. 구파발역을 중심으로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며, 다양한 교육 시설과 공공기관, 문화 시설, 상업 시설, 주거 시설이 갖춰져 있다. 은평뉴타운 개발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었으며, 은평한옥마을도 위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은평구의 행정동 - 녹번동
녹번동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위치한 동으로, 조선시대 '녹번이 고개'에서 유래하여 서대문구 녹번리를 거쳐 녹번동으로 변경되었고, 녹신동 통합 후 분리, 은평구 신설과 함께 이속되었으며, 지하철역과 교육기관, 도서관 등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은평구의 행정동 - 대조동
대조동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위치한 동으로,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상평방, 일제강점기에는 고양군 은평면에 속했으며, '큰 대추나무골' 또는 '대촌 마을'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서울 지하철 6호선과 여러 교육기관이 위치하여 교통이 편리하다. - 서울 은평구의 행정 구역 - 녹번동
녹번동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위치한 동으로, 조선시대 '녹번이 고개'에서 유래하여 서대문구 녹번리를 거쳐 녹번동으로 변경되었고, 녹신동 통합 후 분리, 은평구 신설과 함께 이속되었으며, 지하철역과 교육기관, 도서관 등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은평구의 행정 구역 - 응암동
응암동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위치한 동으로, 백련산 매바위에서 유래된 지명을 가지며, 조선시대 한성부 연은방에 속했고, 서대문구를 거쳐 은평구로 이속되었으며, 지하철역과 여러 학교가 위치해 있다. - 서울 은평구의 법정동 - 녹번동
녹번동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위치한 동으로, 조선시대 '녹번이 고개'에서 유래하여 서대문구 녹번리를 거쳐 녹번동으로 변경되었고, 녹신동 통합 후 분리, 은평구 신설과 함께 이속되었으며, 지하철역과 교육기관, 도서관 등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은평구의 법정동 - 응암동
응암동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위치한 동으로, 백련산 매바위에서 유래된 지명을 가지며, 조선시대 한성부 연은방에 속했고, 서대문구를 거쳐 은평구로 이속되었으며, 지하철역과 여러 학교가 위치해 있다.
진관동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한글 | 진관동 |
한자 | 津寬洞 |
로마자 표기 | Jingwan-dong |
면적 | 11.52 |
세대 | 21,413 (2023년 4월 기준) |
인구 | 54,782 (2023년 4월 기준) |
법정동 | 진관동 |
통 | 47 |
반 | 356 |
동 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2로 31 |
주민센터 홈페이지 | 진관동 주민센터 |
행정 구역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광역 자치 단체 | 서울특별시 |
기초 자치 단체 | 은평구 |
2. 역사
진관동은 조선 시대부터 오랜 역사를 지닌 지역이다. 1466년(조선 세조 12년) 경기도 양주군 신혈면 구파발리, 진관내리, 진관외리였다가, 1906년 9월 24일 경기도 고양군으로 편입되었다.[9] 1914년 4월 1일,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고양군 신도면 구파발리, 진관내리, 진관외리가 되었다.
1973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편입되었고,[10][11] 1979년 10월 1일 은평구가 신설되면서 은평구 진관내동, 진관외동이 되었다.[12][13] 2007년 8월 13일, 진관내동과 진관외동이 통합되어 현재의 진관동이 되었다.[14][15]
2. 1. 지명 유래
진관동이라는 동 이름은 진관사에서 유래하였다. 법정동 진관외동과 진관내동으로 나뉘어 있었으나, 2007년에 진관동으로 합쳐졌다.구파발동(舊把撥洞)은 벽제관으로 가는 파발이 있던 곳이라는 데서 유래하였으며[2], 2007년에 진관외동·진관내동과 함께 진관동으로 통합되었다.
그 밖에 마고정(馬雇亭), 우물골, 폭포동(瀑布洞), 기자촌(記者村), 제각말(祭閣―), 상림(桑林) 등의 지명이 은평뉴타운 단지 이름으로 남아 있다. 마고정은 중국 사신들이 한양으로 들어갈 때 구파발에서 머무르며 말을 매어두고 기다리던 마을이 있어 붙은 이름이다.[3][4] 폭포동은 골짜기에 향림폭포가 있어 유래하였다.[5] 기자촌은 1969년부터 1974년까지 기자 전용으로 조성된 주택단지를 부르던 이름으로, 현재 모두 철거되었다.[6] 제각말은 철종이 은언군의 묘를 이말산에 모신 뒤 제각(祭閣)을 세웠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7] 상림은 마을에 수백 년 된 향나무가 있었기 때문에 유래한 지명이다.[8]
2. 2. 연혁
연도 | 내용 |
---|---|
1466년 (조선 세조 12년) | 경기도 양주군 신혈면 구파발리, 진관내리, 진관외리 |
1906년 9월 24일 | 경기도 고양군 신혈면 구파발리, 진관내리, 진관외리[9] |
1914년 4월 1일 | 고양군 신도면 구파발리, 진관내리, 진관외리 |
1973년 7월 1일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진관동[10][11] |
1979년 10월 1일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내동[12], 진관외동[13] |
2007년 8월 13일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14][15] |
진관동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가 모두 있어 교육 환경이 잘 갖추어져 있다. 특히 하나고등학교는 전국 단위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자사고)로, 우수한 인재 양성에 기여하고 있다. 진보 교육감들은 자사고 폐지를 주장해 왔으나, 하나고는 예외적으로 존치되었다.[1]
3. 교육
3. 1. 초등학교
서울진관초등학교
서울은빛초등학교
서울신도초등학교
서울은진초등학교
서울북한산초등학교
3. 2. 중학교
3. 3. 고등학교
4. 교통
구파발역을 중심으로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며, 진관공영차고지가 있어 서울 시내버스 노선이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다.
5. 주요 시설
진관동주민센터, 서울은평경찰서, 서울은평소방서, 서울은평우체국 등 여러 공공기관이 진관동에 위치하여 주민들에게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소방행정타운이 건립되면서 소방 관련 시설이 집중되어 있다.
이 외에도 롯데몰 은평점, 은평성모병원, 사비나미술관, 한국고전번역원, 진관사, 한국산업인력공단 서울서부지사 등 다양한 문화, 의료, 상업 시설도 자리 잡고 있다.
6. 주거
은평뉴타운 개발 사업으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한다. 다양한 평형과 브랜드의 아파트, 오피스텔, 은평한옥마을 등 다양한 주거 형태가 있다.
6. 1. 아파트
아파트명 | 동 |
---|---|
박석고개 힐스테이트 | 101동 ~ 131동 |
우물골 두산위브/동부센트레빌 | 201동 ~ 255동 |
마고정 동부센트레빌 | 301동 ~ 335동 |
폭포동 힐스테이트 | 401동 ~ 428동 |
제각말 푸르지오 | 501동 ~ 542동 |
상림마을 푸르지오 | 601동 ~ 629동 |
상림마을 현대아이파크 | 701동 ~ 742동 |
상림마을 롯데캐슬 | 801동 ~ 830동 |
구파발 삼성래미안 | 901동 ~ 928동 |
구파발 금호어울림 | 1001동 ~ 1028동 |
기자촌 한라비발디 | 1101동 ~ 1110동 |
은평 지웰 테라스 | 1501동 ~ 1512동 |
은평 GS스카이뷰자이 | 101동 ~ 103동 |
은뜨락 아파트 | 101동 ~ 103동 |
엘크루 아파트 | 101동 ~ 103동 |
힐데스하임 아파트 | |
한화 꿈에그린 아파트 | 101동 ~ 102동 |
6. 2. 오피스텔
- 아이파크 포레스트 게이트 오피스텔
- 한화 꿈에그린 오피스텔 (201동)
- 솔하임 오피스텔 (101동 ~ 103동)
- 은평 헤스티아 오피스텔 (1차, 2차)
- 어드벤스힐 오피스텔
- 메이플카운티 오피스텔
- 은평뉴타운 신한 헤센스 스마트 오피스텔
- 이룸채 오피스텔
- 은평 휴먼프라자 오피스텔
6. 3. 한옥마을
은평한옥마을참조
[1]
웹사이트
The origin of Jingwan-dong
http://center.ep.go.[...]
Jingwan-dong Resident office website
2012-07-11
[2]
웹사이트
문화와 역사: 지명 - 구파발동
http://eunpyeong.kcc[...]
은평문화원
2017-05-28
[3]
웹사이트
문화와 역사: 지명 - 마고정(馬雇亭)
http://eunpyeong.kcc[...]
은평문화원
2017-05-28
[4]
문서
고마청(雇馬廳)이 와전된 이름이라고도 하나, 고마청은 이 일대에 존재하지 않았다.
[5]
웹사이트
문화와 역사: 지명 - 폭포동(瀑布洞)
http://eunpyeong.kcc[...]
은평문화원
2017-05-28
[6]
뉴스
"아직도 현장서 뛰고파"…은평구 기자촌서 원로기자들 '함박웃음'
https://web.archive.[...]
뉴시스
2016-06-02
[7]
웹사이트
문화와 역사: 지명 - 제각말(祭閣里)/잿말
http://eunpyeong.kcc[...]
은평문화원
2017-05-28
[8]
웹사이트
문화와 역사: 지명 - 상림골(桑林谷)
http://eunpyeong.kcc[...]
은평문화원
2017-05-28
[9]
문서
칙령 제49호 지방구역 정리 건
[10]
문서
(법정동: 구파발동, 진관내동, 진관외동)
[11]
웹사이트
서울지명사전
https://terms.naver.[...]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9
[12]
문서
(법정동: 구파발동, 진관내동)
[13]
웹사이트
은평약사
https://www.ep.go.kr[...]
[14]
문서
법정동 진관내동, 진관외동, 구파발동을 진관동으로 통합하고, 행정동 진관내동, 진관외동도 진관동으로 통합.
[15]
문서
서울특별시은평구 동명칭 및 구역획정 조례
2007-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