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반룡아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반룡아목(Eupelycosauria)은 단궁류에 속하는 측계통군으로, 눈 뒤에 관자창이 있는 동물을 포함한다. 이들은 길고 좁은 상측두골과 안와 상단 가장자리에 넓게 연결된 전두골을 가지며, 카세아사우루스류와 구분된다. 진반룡아목은 원래 "포유류형 파충류"로 간주되었으나, 현재는 파충류가 아닌 줄기 포유류로 여겨진다. 바라노피과는 파충류 내에 포함되며, 다른 하위 그룹인 Metopophora는 동의어로 남았다. 진반룡아목은 석탄기 후기부터 전기 페름기 말까지 육상 동물의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했으며, 뱀목이빨도마뱀과, 에다포사우루스과, 스페나코돈과 등이 존재했다. 스페나코돈과에서 테라프시드가 유래했으며, 테라프시드는 트라이아스기 후반에 포유류를 낳았다.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멸종으로 대부분의 진반룡아목이 멸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진반룡아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학명 | Eupelycosauria |
명명자 | 켐프, 1982 |
화석 발견 시기 | 펜실베이니아기-현재, 바시키르절 기록일 가능성 있음. |
하위 분류군 |
2. 분류
진반룡아목(Eupelycosauria)은 단궁류에 속하는 측계통군이다. 이들은 눈 뒤에 구멍이 하나 있는 관자창을 가진 동물이다. 길고 좁은 상측두골과 안와의 상단 가장자리에 더 넓게 연결된 전두골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잡색룡아목(Caseasauria)과 구분된다.[4] 진반룡아목은 기저 유페리코사우루스의 유일한 현존하는 후손은 포유류이다.
진반룡아목은 원래 페리코사우루스 또는 "포유류형 파충류"의 하위 목으로 간주되었지만,[5] 1997년에 재정의되었고, 페리코사우루스라는 용어 자체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이제 진반룡아목은 실제로 파충류가 아니고 파충류 계통도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대신 현대 용어인 줄기 포유류가 사용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하위 그룹 중 하나인 바라노피과는 실제로 파충류 내에 포함되어 있으며,[6][7][8] 이의 다른 정의된 하위 그룹인 '''Metopophora'''는 동의어로 남았다.
Huttenlocker 등(2021)이 수정한 분기도는 다음과 같다.[10]
단궁류 | |||||||
---|---|---|---|---|---|---|---|
카세아사우루스류 | 진파충류 | ||||||
바라노피과 | colspan="5" | | ||||||
오피아코돈과 | colspan="4" | | ||||||
스페나코모르파 | |||||||
에다포사우루스과 | colspan="2" | | ||||||
스페나코돈티아 | |||||||
Haptodus | |||||||
Ianthodon | |||||||
Palaeohatteria | |||||||
Pantelosaurus | |||||||
스페나코돈토이데아 | |||||||
스페나코돈과 | |||||||
Cutleria | |||||||
Secodontosaurus | |||||||
Cryptovenator | |||||||
Sphenacodon | |||||||
Ctenospondylus | |||||||
Dimetrodon | |||||||
Shashajaia bermani | 수궁류 | ||||||
Raranimus | |||||||
디노케팔리아 | |||||||
이치류 | |||||||
Biarmosuchia | |||||||
고르곤굽스류 | |||||||
테로케팔리아 | |||||||
to 포유류형류 |
스페나코돈과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테라프시드는 페름기 동안 육상 동물의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했으며, 트라이아스기 후반에 진보된 테라프시드 그룹인 키노돈트의 후손들이 최초의 포유류를 낳았다. 모든 비(非) 테라프시드 시냅스류, 즉 모든 기저 유페리코사우루스류와 다른 많은 생명체들은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멸종으로 페름기 말에 멸종되었다.[9] 수궁류 및 그 근연의 반룡류 멤버와 포유류를 포함하는 단일 계통군이다.
단궁류에 속하는 진반룡아목은 눈 뒤에 하나의 구멍이 있는 관자창을 가진 동물이다. 잡색룡아목(카세아사우루스) 단궁류와 구분되는 특징은 길고 좁은 상측두골과 안와 상단 가장자리에 더 넓게 연결된 전두골을 가졌다는 점이다.[4] 기저 유페리코사우루스에서 유일하게 현존하는 후손은 포유류이다.
[1]
논문
First arboreal ‘pelycosaurs’(Synapsida:Varanopidae) from the early Permian Chemnitz Fossil Lagerstatte, SE-Germany, with a review of varanopid phylogeny
Palaontologische Zeitschrift
2018
수궁류 및 그 근연의 반룡류 멤버와 포유류를 포함하는 단 계통군.
3. 진화
4. 계통
석탄기 후기부터 전기 페름기 말까지 많은 비(非) 테라프시드(therapsid) 유페리코사우루스류가 육상 동물의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했다. 뱀목이빨도마뱀과(Ophiacodontids)는 석탄기(펜실베이니아기) 후기에 출현하여 전기 페름기까지 흔했지만, 점차 그 수가 줄어들었다. 에다포사우루스과(edaphosaurids)는 케이스과(caseids)와 함께 페름기 초에 지배적인 초식 동물이었다. 스페나코돈과(Sphenacodontidae)는 육식성 유페리코사우루스류의 한 과로, 당시 시대의 가장 큰 포식자였다. 바라노피과(Varanopidae)는 오늘날의 왕도마뱀과 비슷하며 같은 생활 방식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9]
테라프시드(Therapsids)는 스페나코돈과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분류군에서 유래했다. 이들은 페름기 나머지 기간 동안 육상 동물의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했으며, 트라이아스기 후반에 진보된 테라프시드 그룹인 키노돈트(cynodont)의 후손들이 최초의 진정한 포유류를 낳았다. 모든 비(非) 테라프시드 시냅스류, 즉 모든 기저 유페리코사우루스류와 다른 많은 생명체들은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멸종(Permian-Triassic extinction event)으로 페름기 말에 멸종되었다.
Huttenlocker 등(2021)이 수정한 분기도는 다음과 같다.[10]
{{clade
|label1=단궁류
|1={{clade
|1=카세아사우루스류
|label2='''진파충류'''
|2={{clade
|1=바라노피과
|2=오피아코돈과
|label3=스페나코모르파
|3={{clade
|1=에다포사우루스과
|label2=스페나코돈티아
|2={{clade
|1=''Haptodus''
|2=''Ianthodon''
|3={{clade
|1=''Palaeohatteria''
|2={{clade
|1=''Pantelosaurus''
|label2=스페나코돈토이데아
|2={{clade
|label1=스페나코돈과
|1={{clade
|1=''Cutleria''
|2={{clade
|1=''Secodontosaurus''
|2={{clade
|1=''Cryptovenator''
|2={{clade
|1={{clade
|1=''Sphenacodon''
|2=''Ctenospondylus''}}
|2=''Dimetrodon''}} }} }} }}
|2=''Shashajaia bermani''
|label3=수궁류
|3={{clade
|1=''Raranimus''
|2={{clade
|1=디노케팔리아
|2={{clade
|1=이치류
|2=Biarmosuchia
|3={{clade
|1=고르곤굽스류
|2={{clade
|1=테로케팔리아
|2=to 포유류형류}} }} }} }} }}
}} }} }} }} }} }} }}
수궁류 및 그 근연의 반룡류 멤버와 포유류를 포함하는 단 계통군.
참조
[2]
논문
A reexamination of Milosaurus mccordi, and the evolution of large body size in Carboniferous synapsid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018
[3]
서적
Mammal-like Reptiles and the Origin of Mammals
Academic Press
1982
[4]
웹사이트
Autapomorphies of the main clades of synapsids
http://tolweb.org/ac[...]
1997
[5]
서적
Handbuch der Paläoherpetologie – Encyclopedia of Paleoherpetology, Part 17A Pelycosauria
Verlag Dr. Friedrich Pfeil
1986
[6]
논문
A redescription of Orovenator mayorum (Sauropsida, Diapsida) using high‐resolution μCT, and the consequences for early amniote phylogeny
https://ora.ox.ac.uk[...]
Papers in Palaeontology
2018
[7]
논문
Rooting about reptile relationships
Nature Ecology & Evolution
2020-01
[8]
논문
Commentary: A Reassessment of the Taxonomic Position of Mesosaurs, and a Surprising Phylogeny of Early Amniotes
Frontiers in Earth Science
2018
[9]
웹사이트
Synapsida
https://archive.toda[...]
[10]
논문
A Carboniferous synapsid with caniniform teeth and a reappraisal of mandibular size-shape heterodonty in the origin of mammals
Royal Society Open Science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