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사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사강은 중국 창장강의 상류를 가리키는 강으로, 칭하이성에서 발원하여 윈난성, 쓰촨성을 거쳐 이빈시에서 민강과 합류하여 창장강을 이룬다. 고대에는 흑수, 성수, 뤄수 등으로 불렸으며, 금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금모래 강'이라는 의미의 진사강으로 명명되었다. 현재 수력 발전을 위한 대규모 댐 건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백화탄 댐을 포함한 세계 최대 규모의 수력 발전소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칭하이성의 강 - 장강
    장강은 티베트고원에서 발원하여 동중국해로 흐르는 중국 최장의 강이자 세계에서 세 번째로 긴 강으로, 중국 내륙 수운의 중심축이며 양쯔강으로도 알려져 있지만, 댐 건설과 환경 오염으로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 칭하이성의 강 - 다두허
    칭하이성 바얀카라 산맥에서 발원하여 쓰촨성을 흐르는 다두허는 민강의 지류로, 험준한 지형을 따라 티베트와 중국 본토 사이의 경계 역할을 해왔으며 루딩교 전투의 상징이자 수력 발전 및 관광 자원으로 개발되고 있다.
  • 윈난성의 강 - 땅륀강
    땅륀강(살윈강)은 티베트 탕라 산맥에서 발원하여 중국, 미얀마, 태국을 거쳐 안다만해로 흘러드는 긴 강으로, 중국에서는 怒江으로 불리며 급류 협곡 지형과 풍부한 생물다양성, 그리고 지속가능하지 않은 개발과 댐 건설 논란 등의 특징을 지닌다.
  • 윈난성의 강 - 장강
    장강은 티베트고원에서 발원하여 동중국해로 흐르는 중국 최장의 강이자 세계에서 세 번째로 긴 강으로, 중국 내륙 수운의 중심축이며 양쯔강으로도 알려져 있지만, 댐 건설과 환경 오염으로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 티베트의 강 - 브라마푸트라강
    브라마푸트라강은 히말라야 산맥에서 발원하여 티베트, 인도, 방글라데시를 거쳐 갠지스강과 합류하며, 2,900km에 달하는 강으로, 몬순 기간에 홍수가 자주 발생하고 수자원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티베트의 강 - 인더스강
    인더스강은 티베트 고원에서 발원하여 파키스탄과 인도를 관통하는 주요 강으로, 고대 문명의 발상지이자 현재까지도 중요한 수자원 역할을 하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기후변화와 수자원 분쟁 등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진사강
개요
진사가 [[호도협]] 바닥을 따라 흐르는 모습
진사가 호도협 바닥을 따라 흐르는 모습
다른 이름양쯔강
어원중국어: "금싸라기 강"
진사강 유역 지도
진사강 유역 지도
지리
위치중국
칭하이 성, 티베트 자치구, 윈난 성, 쓰촨 성
도시리장, 판즈화 시
길이
전체 길이퉁톈 강 포함
발원지퉁톈 강
발원지 위치퉁톈 강과 바탕 강의 합류점, 칭하이 성
하구양쯔강
하구 위치민 강과의 합류점, 이빈 시, 쓰촨 성
흐름양쯔강 → 동중국해
유역양쯔강 유역
유역 면적
왼쪽 지류베이루 강, 얄룽 강
오른쪽 지류푸두 강, 다단 강, 샤오장 강, 니우란 강
기타 정보

2. 명칭

중국어의 진사강은 창장강 상류를 가리키며, 디추강과도 겹치고 있다. 옛날에는 진사강을 리수(麗水)라고 불렀으며, 사금이 채집되어 이러한 이름이 유래되게 되었다.[4][5][6]

진사강(Jinsha Jiang)은 전국시대(Warring States period)의 우공이산|우공이산중국어(Tribute of Yu)에서 처음으로 흑수(黑水, Hēishuǐ, 직역: 검은 물)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었다. 한(漢)나라 시대의 산해경|산해경중국어(Classic of Mountains and Seas)에서는 성수(繩水, Shéngshuǐ, 밧줄 강)로 묘사되었다. 삼국시대(Three Kingdoms)에는 뤄수(瀘水, Lúshuǐ)로 알려져 있었다.[3]

이전의 중국어 로마자 표기(romanization of Chinese) 체계 때문에, 지난 3세기 동안 영어 자료에서는 진사강(Chin-sha Chiang)이나 금사강(Kinsha Kiang)으로 불렸다(단순히 양자강(Yangtze)으로 묘사되지 않았을 경우).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름인 진사(Jinsha)는 앞의 두 이름과 같은 중국어 한자를 한어병음|한어병음중국어(Hanyu Pinyin)으로 표기한 것이다.

이름이 일반적으로 "금모래"(Gold Sand)[4] 또는 "금모래 강"(Golden-Sanded River)[5]으로 너무 직역되지만, 이 이름은 강둑의 색깔을 시적으로 묘사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金沙(Jīnshā)는 실제로 사금(placer gold), 충적 사금(alluvial gold powder)을 의미하며, 때때로 아직도 강에서 금을 채취(panning)하고 있다.[6] "진사"라는 이름은 강이 많은 금광 채굴자들을 끌어들였던 송나라(Song dynasty) 시대에 유래했다. 진사강에서의 금 채굴은 오늘날까지도 계속되고 있다.[6]

명나라송응성은 《천공개물》에서, 〈물속에서 채취되는 금〉은 려수 즉 금사강의 여러 곳에 이른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금사강은 윈난성에서 남쪽에서 북쪽으로 180도 방향을 바꾸는데, 이곳(위룡나시족자치현 석고진 부근)은 “장강 제1만”이라 불린다.

3. 지리

진사강은 장강 상류의 한 부분으로, 지리적으로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진사강 상류는 경사가 급하여 1마일당 약 2.7m에 이른다. 쓰촨성 바탕 아래에서는 경사가 1마일당 약 1.5m로 완만해지지만, 여전히 배가 다니기에는 어렵다. 특히 협곡을 통과하는 상류는 교통에 장애가 된다.

라시하이 습지는 금사강 유역에 있으며, 리장에 식수를 공급하고, 금사강과 장강 유역의 홍수 조절과 수위 균형 기능을 하며, 수천 마리의 텃새와 철새가 서식하는 곳이다.[8]

3. 1. 유로

중국어의 진사강은 장강 상류를 가리키며, 디추강과도 겹치고 있다. 옛날에는 진사강을 리수(麗水)라고 불렀으며, 사금이 채집되어 이러한 이름이 유래되게 되었다.[7]

칭하이성 서부에서 출발한 후 남쪽의 쿤룬산맥으로 향하고, 칭하이성티베트 자치구의 경계를 이루는 탕구라산맥으로 흘러, 티베트 동부의 캄 지방을 동서로 가르고 있다. 동경 97도, 북위 27~37도 부근으로, 중국의 행정구역에서 티베트와 쓰촨성의 경계가 되고 있다. 금사강(Jinsha River)은 단순히 장강(Yangtze River)의 상류이지만, 얄롱과 민강이 근대 지리학 이전에는 주요 수로로 간주되기도 했다.[7] 전통적으로는 칭하이성의 췬구(Gyêgu) 근처에서 통톈과 바탕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서 시작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금사강은 메콩강 상류와 살윈강 상류의 유사한 협곡과 평행하게 깊은 협곡을 따라 남쪽으로 흐른다. 이 강들은 닝징산맥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약 400km에 걸쳐 쓰촨성의 서쪽 경계를 이룬 후 윈난성으로 흘러든다. 달리 바이족 자치주 북쪽으로 약 320km에 달하는 큰 곡선을 그린 후, 금사강은 북동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쓰촨성-윈난성의 도계를 형성하다가 쓰촨성이빈에서 민강과 합류하여 장강을 이룬다.

라시하이 습지는 금사강 유역에 있다. 이 호수와 습지는 리장에 식수를 공급하고, 금사강과 장강 유역의 홍수 조절, 저수 및 수위 균형 기능을 제공하며, 수천 마리의 텃새와 철새의 서식지가 된다.[8]

금사강이라는 이름은 강에서 사금이 채취되었던 것에서 유래한다. 명나라송응성은 《천공개물》에서, 〈물속에서 채취되는 금〉은 려수 즉 금사강의 여러 곳에 이른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금사강은 칭하이성 서부 쿤룬산맥 남쪽에서 발원한 후 동쪽으로 흘러, 칭하이성티베트(시짱) 자치구의 경계를 이루는 탕라산맥 북쪽 기슭을 흐른다. 거기서부터 점차 남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횡단산맥 부근을 남쪽으로 흘러, 티베트 동부 캄 지방을 동서로 양분하고 있다. 동경 97도, 북위 27도에서 37도 부근에서는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말하는 “시짱자치구”와 “쓰촨성”의 경계를 이룬다. 그 앞에서는 산들 사이를 비집고 흐르는 방향을 자주 바꾸면서 남동쪽으로 진행한다. 그리하여 윈귀고원 북부에 도달하면, 거기서는 북동쪽으로 흐른다.

윈난성쓰촨성의 경계에서는 2021년 현재 백학탄수력발전소 건설이 진행되고 있으며, 1기당 라는 세계에서 단일 설비 용량이 최대인 수력 터빈 발전기가 8기 설치될 예정이다.[13]

쓰촨분지 남서쪽 끝 부근에 형성된 도시인 이빈시 부근에서 민강과 합류한 곳을 중국에서는 장강이라고 부른다. 인도차이나 반도 북동부를 흐르는 홍하는 통킹만으로 흘러들어가지만, 원래 상류가 금사강이었으나 지각 변동으로 장강에 빼앗겼다는 설도 있다.[14]

3. 2. 경사

금사강 상류의 경사는 1마일당 약 2.7m이다. 쓰촨성 바탕 아래에서는 경사가 1마일당 약 1.5m로 점차 완만해지지만, 금사강은 여전히 항해가 불가능하다. 특히 협곡을 통과하는 상류는 교통에 도움이 되기보다는 장애물에 가깝다.

3. 3. 생태



금사강이라는 이름은 강에서 사금이 채취되었던 것에서 유래한다. 명나라송응성은 《천공개물》에서, 〈물속에서 채취되는 금〉은 려수 즉 금사강의 여러 곳에 이른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4. 수력 발전

진사강은 수력발전을 위해 대규모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강을 따라 16개 이상의 댐 건설 프로젝트가 다양한 단계로 진행 중이다. 특히 야롱강을 비롯한 많은 지류에도 댐 건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류에 위치한 4개의 댐은 수력 발전과 삼협 댐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토사를 가두기 위해 건설 중이거나 이미 완공되었다. 가장 큰 10개의 댐은 55,710MW의 전력을 생산할 것이다.

윈난성쓰촨성의 경계에서는 백허탄수력발전소 건설이 진행되었으며, 1기당 100만kW라는 세계 최대 단일 설비 용량의 수력 터빈 발전기 8기가 설치될 예정이었다.[13]

4. 1. 주요 댐

진사강은 주로 수력발전을 위해 대규모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2014년 3월까지 총 25개의 댐이 완공되었거나 건설 중이거나 계획 중이었다.[9][10] 2022년 백화탄 댐 완공 이후, 진사강에는 3,000MW 이상의 세계 최대 수력발전소 5곳이 위치하게 되었다.[11] 진사강에 있는 모든 수력발전소가 운영되면 세계 최대의 청정에너지 회랑을 형성하게 된다.[12]

아래 목록은 하류에서 상류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댐 이름상태발전 용량
향지아바 댐완공7,750 MW
시뤄두 댐완공13,860 MW
백화탄 댐완공16,000 MW
우둥더 댐완공10,200 MW
인장 댐계획 중-
진사 댐계획 중520 MW
관음연 댐완공3,000 MW
루딜라 댐완공2,160 MW
롱카이커우 댐완공1,800 MW
지난치아오 댐완공2,400 MW
아하이 댐완공2,000 MW
리위안 댐완공2,400 MW
량지아런 댐계획 중4,000 MW
롱판 댐계획 중6,000 MW
벵즈란 댐계획 중2,100 MW
리미안 댐계획 중3,720 MW
창보 댐계획 중1,060 MW
수왈롱 댐계획 중1,160 MW
바탕 댐계획 중740 MW
라와 댐계획 중1,680 MW
예바탄 댐계획 중2,080 MW
볼루오 댐계획 중960 MW
옌비 댐계획 중300 MW
강투오 댐계획 중1,100 MW
구퉁 댐계획 중140 MW


5. 역사

진사강이라는 이름은 강에서 사금이 채취되었던 것에서 유래한다. 명나라송응성은 《천공개물》에서, 〈물속에서 채취되는 금〉은 려수 즉 진사강의 여러 곳에 이른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금사강은 칭하이성 서부 쿤룬산맥 남쪽에서 발원한 후 동쪽으로 흘러, 칭하이성과 티베트(시짱) 자치구의 경계를 이루는 탕라산맥 북쪽 기슭을 흐른다. 거기서부터 점차 남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횡단산맥 부근을 남쪽으로 흘러, 티베트 동부 캄 지방을 동서로 양분하고 있다. 동경 97도, 북위 27도에서 37도 부근에서는 “시짱자치구”와 “쓰촨성”의 경계를 이룬다. 그 후 산들 사이를 비집고 흐르는 방향을 자주 바꾸면서 남동쪽으로 진행한다. 윈귀고원 북부에 도달하면, 북동쪽으로 흐른다.

쓰촨분지 남서쪽 끝 부근에 형성된 도시인 이빈시 부근에서 민강과 합류한 곳을 중국에서는 장강이라고 부른다.

5. 1. 고대

진사강은 전국시대 戰國時代|전국시대중국어의 《우공이산》에 처음으로 흑수(黑水, Hēishuǐ, 직역: 검은 물)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었다. 한나라 시대의 《산해경》에서는 성수(繩水, Shéngshuǐ, 밧줄 강)로 묘사되었다. 삼국시대에는 뤄수(瀘水, Lúshuǐ)로 알려져 있었다.[3]

이전의 중국어 로마자 표기 체계 때문에, 지난 3세기 동안 영어 자료에서는 진사강(Chin-sha Chiang)이나 금사강(Kinsha Kiang)으로 불렸다(단순히 양쯔강(Yangtze)으로 묘사되지 않았을 경우).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름인 진사(Jinsha)는 앞의 두 이름과 같은 중국어 한자를 한어병음으로 표기한 것이다.

이름이 일반적으로 "금모래"(Gold Sand)[4] 또는 "금모래 강"(Golden-Sanded River)[5]으로 너무 직역되지만, 이 이름은 강둑의 색깔을 시적으로 묘사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金沙(Jīnshā)는 실제로 사금(placer gold), 충적 사금(alluvial gold powder)을 의미하며, 때때로 아직도 강에서 금을 채취하고 있다. "진사"라는 이름은 강이 많은 금광 채굴자들을 끌어들였던 송나라 시대에 유래했다. 진사강에서의 금 채굴은 오늘날까지도 계속되고 있다.[6]

중국 선사시대의 진사문화는 그 유적지 근처의 도로에서 이름을 따온 것이지 강에서 직접 따온 것이 아니다.

전제국 시대의 「우공이산」에는 장강의 발원지를 진사강이 아닌 민강(Min River) 또는 야롱강(Yalong River)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이러한 견해는 북위 시대에 이도원의 「수경주」에서 진사강의 광대한 수계 상당 부분이 기록된 이후에도 수천 년 동안 반박되지 않았다. 명나라의 지리학자 서하객이 처음으로 이를 바로잡았지만, 20세기 초까지도 중국에서는 일반적인 오해로 남아 있었다.

인도차이나반도 북동부를 흐르는 홍하(紅河)는 통킹만으로 흘러들어가지만, 원래 상류가 진사강이었으나 지각 변동으로 장강에 빼앗겼다는 설도 있다.[14]

5. 2. 현대

금사강(진사강)은 중국에 의해 대규모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강을 따라 16개 이상의 댐 건설 프로젝트가 다양한 단계로 진행 중이다. 특히 야롱강(Yalong River)을 비롯한 많은 지류에도 댐 건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류에 위치한 4개의 댐은 수력 발전과 삼협 댐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토사를 가두기 위해 건설 중이거나 이미 완공되었다. 가장 큰 10개의 댐은 55,710MW의 전력을 생산할 것이다.

윈난성쓰촨성의 경계에서는 2021년 현재 백학탄수력발전소 건설이 진행되고 있으며, 1기당 1000MW라는 세계에서 단일 설비 용량이 최대인 수력 터빈 발전기가 8기 설치될 예정이다.[13]

5. 3. 홍강 유로 변경설

인도차이나반도 북동부를 흐르는 홍강(홍하)은 통킹만으로 흘러들어가지만, 원래 상류가 진사강(금사강)이었으나 지각 변동으로 장강(창 강)에 빼앗겼다는 설도 있다.[14]

참조

[1] 서적 The Far Eas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 Press 2010-00-00
[2] 간행물 Annual Report of the Chinese Academy of Geological Research Geological Publishing House 1994-00-00
[3] 문서 Li, Mahu, Shen 2013-08-00
[4] 서적 The Geography of China: Sacred and Historic Places https://books.google[...] Britannica Educational Publishing 2011-00-00
[5] 서적 The Chinese: A General Description of the Empire of China and Its Inhabitants https://books.google[...] C. Knight 1836-00-00
[6] 웹사이트 丽江政府部门终下决心 打击金沙江非法淘金 https://web.archive.[...] 2012-04-17
[7] 서적 Riding the River Home: A Complete and Annotated Translation of Fan Chengda's (1126–1193) Travel Diary Record of a Boat Trip to Wu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 of Hong Kong 2008-00-00
[8] 웹사이트 Lashihai Wetland https://rsis.ramsar.[...]
[9] 웹사이트 INTERACTIVE: Mapping China's "Dam Rush" http://www.wilsoncen[...] Wilson Center
[10] 웹사이트 The Last Report on China's Rivers https://www.scribd.c[...] China's Rivers Report 2014-03-00
[11] 뉴스 China's Era of Mega-Dams Is Ending as Solar and Wind Power Rise https://www.bloomber[...] 2020-07-03
[12] 웹사이트 How China is leading the world in clean energy https://www.theceoma[...]
[13] 웹사이트 白鶴灘右岸発電所、1基目の100万kW回転子の設置に成功 http://j.people.com.[...] 人民網 2020-09-10
[14] 논문 ヒマラヤ-チベットの隆起とアジアの大規模デルタ:デルタの特徴と完新世における進展 2005-11-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