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표는 신라 시대의 승려로, 어려서 활을 잘 쏘았으나 개구리를 죽인 것을 뉘우치고 불교에 귀의했다. 12세에 금산사에서 숭제법사에게 가르침을 받고 승려가 되었으며, 선계산 불사의암에서 고행 끝에 지장보살의 현신을 만났다. 이후 영산사에서 수행하며 미륵보살에게 《점찰경》과 간자를 받았고, 경덕왕의 부름을 받아 궁중에서 보살계를 설하고 시주를 받아 여러 사찰에 나누어 불교를 융성하게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라의 승려 - 궁예
    궁예는 신라 왕족의 서자로 추정되며 후삼국시대에 후고구려를 건국하고 태봉으로 국호를 변경한 인물이며, 말년에 폭정을 일삼다 신하들에게 축출되어 사망했다.
  • 신라의 승려 - 밀본
진표
진표
금산사에 있는 진표의 조각상
금산사에 있는 진표의 조각상
속성승려
종파법상종
스승숭제법사
생몰년714년 ~ 780년
출생지전주
입적지금산사
주요 저서점찰경, 간정론
생애
출가15세
수행변산 부사의방장, 금산사
교화미륵보살의 점찰법을 통해 대중 교화
사상
주요 사상미륵신앙, 정토신앙, 점찰선법
영향
제자심상, 체진, 진회, 법해
영향신라 하대 미륵신앙 확산
관련 문화재
문화재금산사 미륵전

2. 생애

진표는 12세에 금산사로 들어가 숭제법사 밑에서 승려가 되었다.[1] 숭제법사에게 가르침을 받고 선계산 불사의암에서 고행하여 740년(효성왕 4) 지장보살의 현신을 맞아 정계를 받았다.[1] 이후 영산사에서 수행하여 752년(경덕왕 11) 미륵보살의 현신에게 《점찰경》 2권과 간자(簡字, 점치는 대쪽) 189개를 받았다.[1] 경덕왕의 부름을 받아 궁중에서 활동하며 불교를 융성케 했다.[1]

2. 1. 출가와 수행

《송고승전(宋高僧傳)》의 기록에 따르면, 진표는 어려서 활을 잘 쏘았다. 어느 날 논둑에서 개구리를 잡아 버들가지에 꿰어 물에 담가두고 산에 가서 사냥을 한 후 개구리 일은 잊고 지냈다. 이듬해 봄, 개구리 우는 소리를 듣고 생각이 나서 그곳에 가 보니 지난해에 담가 둔 그대로 버들가지에 꿰어진 채 울고 있는 개구리를 보았다.[1] 이에 뉘우치고 불도에 뜻을 두어 12세에 금산사로 들어가 숭제법사 밑에서 승려가 되었다.[1]

숭제법사는 일찍이 당나라에 들어가 선도에게 배우고 오대산에서 문수보살의 현신(現身)을 맞아 오계를 받고 돌아왔다. 진표는 숭제법사에게 도통(道通)의 요령에 대한 가르침을 받고 선계산 불사의암에 들어가 7일 밤낮을 고행으로 마음을 닦았다. 그 결과 740년(효성왕 4) 음력 3월 15일 지장보살의 현신을 맞아 정계(淨戒)를 받았다.[1]

이후 영산사에서 도를 닦고 마침내 소원이던 미륵보살의 현신을 맞아 752년(경덕왕 11) 음력 2월에 《점찰경》 2권과 간자(簡字: 점치는 대쪽) 189개를 받았다.[1]

그 뒤 경덕왕의 부름을 받아 궁중에 보살계를 베풀고 조 7만 7천 섬, 견(絹) 500단(端), 황금 50냥을 시주받았다. 이것을 여러 사찰에 나누어 주어 불교를 융성케 했다.[1]

참조

[1] 백과사전 한국사 > 고대사회의 발전 > 통일신라와 발해 > 고대문화의 융성 > 진표 https://ko.wikisourc[...]
[2] 백과사전 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종파 > 한국불교의 종파〔개설〕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