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 문공 (영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 문공(영진)은 기원전 766년 진나라 군주로 즉위하여 기원전 716년까지 50년간 재위했다. 그는 수도를 여러 차례 옮기고, 사관을 두어 역사를 기록하게 했으며, 서융을 토벌하고 영토를 확장했다. 또한 삼족을 멸하는 법률을 제정하고 제천단을 건립하는 등 통치 체제를 정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나라의 군주 - 진 목공
    진 목공은 춘추 시대 진나라의 군주로, 백리해를 등용하여 국정을 맡기고 진나라 내정에 깊숙이 관여했으며 서융을 정벌하여 세력을 확장했으나 중원 진출에는 실패했고, 사후 많은 가신이 순장되었다.
  • 진나라의 군주 - 진 효공
    진 효공은 상앙의 변법을 통해 국력을 신장시키고 함양으로 천도하여 진나라가 전국 시대 강대국으로 성장하는 기틀을 마련한 군주이다.
  • 주나라 - 오왕
    오왕은 주나라 시대 오나라 군주에서 유래하여 춘추시대 오나라 군주, 한나라 초기 제후왕, 삼국시대 오나라 손권, 당나라 왕족, 오대십국시대 남오 지배자, 명나라 초 주원장 등이 사용하거나 책봉받은 칭호이다.
  • 주나라 - 종횡가
    종횡가는 전국 시대에 외교와 정치 전략을 통해 국가 간의 관계를 조율하고 권력을 쟁취하려 한 사상가 집단이다.
  • 기원전 8세기 중국의 군주 - 제 희공
    제 희공은 제나라의 제후로서 주변국과 우호 관계를 맺고, 송나라와 위나라 사이의 분쟁을 중재하며 북융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펼쳤으나, 말년에 후계 구도에 혼란을 야기하다가 재위 33년 만에 사망했다.
  • 기원전 8세기 중국의 군주 - 진 평공
    진 평공은 기원전 777년에 즉위하여 23년간 진나라를 다스린 군주로, 그의 뒤를 이어 아들인 진 문공이 즉위하였다.
진 문공 (영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문공(文公)
한자秦文公
로마자 표기Qin Wen Gong
통치 정보
통치자진의 통치자
재위 기간기원전 765년–기원전 716년
이전 통치자양공
후임 통치자헌공
가문
가문영(嬴)
왕조
아버지양공
생애
사망일기원전 716년
시호문공(文公)
강(康)
기타
무덤서수(西垂)

2. 생애

기원전 766년, 아버지 진 양공이 사망하자 뒤를 이어 즉위했다.[1] 초기에는 서수(西垂)에 거주했으며, 기원전 762년에는 견수위수가 합류하는 지점에 새로운 도읍을 건설하고 수도를 옮겼다.[2]

치세 동안 여러 제도를 정비했는데, 기원전 756년에는 부지(鄜畤)를 만들어 제사를 지냈고,[3] 기원전 753년에는 사관(史官)을 처음 두어 나라의 일을 기록하게 했다.[2] 기원전 750년에는 군사를 동원하여 서융(西戎)을 토벌하고 영토를 기산(岐山)까지 확장했으며,[2] 기원전 746년에는 삼족을 멸하는 형벌을 제정하여 법치를 강화했다.[2] 기원전 743년에는 남산의 여러 부족을 토벌하기도 했다.[4]

기원전 718년, 태자였던 아들 정공(竫公)이 먼저 사망하자, 손자인 헌공(憲公, 훗날 녕공)을 새로운 태자로 삼았다.[2]

기원전 716년 재위 50년 만에 사망하여 서수에 안장되었고, 태자 헌공(녕공)이 즉위했다.[2]

2. 1. 초기 통치 및 천도

기원전 766년, 아버지 진 양공이 기산에서 견융과의 전투 중 사망하자[1] 그 뒤를 이어 즉위했다. 즉위 초에는 서수(西垂, 현재 간쑤성 리현 부근)에 거주했다.

기원전 763년, 문공은 군사 700명을 이끌고 동쪽으로 사냥을 나갔다. 이듬해인 기원전 762년, 견수(汧水, 현재 산시성 롱현의 천하)와 위수(渭水)가 합류하는 지점에 이르렀다. 그는 "옛날 효왕께서 우리 선조 비자를 이곳에 봉하셨기에, 후세에 제후가 될 수 있었다"라고 말하며 길흉을 점쳤는데, 길하다는 점괘가 나오자 그곳에 새로운 도읍을 건설하고 수도를 옮겼다.[2] (일부 기록에는 수도를 전(汧)에서 전구(犬丘, 서추)로 옮겼다가 다시 견수와 위수 합류 지점으로 옮겼다는 내용도 있다.[2])

기원전 756년에는 처음으로 부지(鄜畤)를 만들어 삼뢰(三牢, 소, 양, 돼지)를 희생으로 바쳐 제사를 지냈다.[3] 기원전 753년에는 나라의 중요한 일을 기록하기 위해 사관(史官) 직책을 처음 설치했으며, 백성들을 교화하는 데 힘써 많은 이들이 동화되었다.

기원전 750년, 군사를 동원하여 서융(西戎)을 토벌하고 패주시켰다. 문공은 서융의 남은 백성들을 받아들이고 서주(西周)의 유민들을 포용하며 영토를 기산(岐山)까지 확장했다. 이때 주 평왕이 일찍이 문공의 아버지 진 양공에게 견융을 몰아내면 기산 서쪽 땅을 주겠다고 약속한 바 있었기에,[2] 문공은 기산 동쪽의 땅을 주나라에 바치고 나머지는 진나라 영토로 삼아 국력을 크게 신장시켰다.[2]

기원전 746년에는 처음으로 삼족을 멸하는 형벌을 제정하여 법치를 강화했다. 기원전 743년에는 남산의 대재(大梓), 풍(豊), 대특(大特)을 토벌했다.[4]

기원전 718년, 태자였던 아들 정공(竫公)이 졸거하자, 정공의 맏아들이자 손자인 헌공(憲公, 훗날 녕공)을 새로운 태자로 삼았다.

기원전 716년 문공이 훙거하자 서수에 안장되었고, 태자 헌공(녕공)이 뒤를 이었다.

2. 2. 서융 정벌 및 영토 확장

기원전 750년, 문공은 군사를 동원하여 당시 주나라의 옛 땅을 차지하고 있던 서융(西戎) 세력을 공격하여 격파했다.[2] 진나라는 패퇴한 서융의 남은 백성들을 흡수하여 자국의 백성으로 삼았다.

이 승리를 통해 문공은 기산(岐山) 지역까지 영토를 확보하였다. 그는 주 평왕이 일찍이 아버지 진 양공에게 했던 약속, 즉 견융을 몰아내면 기산 서쪽 땅을 주겠다는 약속에 따라[2] 기산 동쪽의 땅은 주나라에 헌상하고, 기산 서쪽을 포함한 나머지 점령지는 진나라의 영토로 편입했다.[2] 이로써 진나라의 영토는 크게 확장되는 계기를 맞이하였다.[2]

2. 3. 통치 제도 정비

기원전 762년, 문공은 견수위수가 합류하는 지점으로 수도를 옮겼다.[2] 그는 "옛날 주나라효왕께서 우리 선조 진영(秦嬴)을 이 땅에 봉했기에, 후에 제후가 될 수 있었다"고 말하며 길흉을 점쳤고, 길하다는 점괘가 나와 그곳에 새로운 도읍을 건설했다.

기원전 756년, 처음으로 부지(鄜畤)를 만들어 삼뢰(三牢, 소, 양, 돼지)의 희생을 바쳐 제사를 지냈다.[3] 이는 국가의 제사 제도를 정비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기원전 753년, 문공은 나라의 중요한 일들을 기록하기 위해 처음으로 사관(史官)을 설치했다.[2] 이로써 진나라의 공식적인 역사 기록이 시작되었으며, 백성들을 교화하는 데에도 힘썼다.

기원전 750년, 군사를 보내 서융(西戎)을 토벌하여 패주시켰다.[2] 문공은 주나라의 옛 땅을 점령하고 있던 서융 세력을 몰아내고, 기산(岐山) 동쪽의 영토는 주나라에 돌려주었다. 나머지 땅은 진나라가 차지했는데, 이는 주 평왕이 문공의 아버지인 진 양공에게 견융을 몰아내면 기산 서쪽 땅을 주겠다고 약속했던 것을 이행한 것이다.[2] 이를 통해 진나라의 영토는 크게 확장되었다.

기원전 746년, 처음으로 삼족(三族)을 멸하는 형벌을 법률로 제정하였다. 이는 통치 질서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였다.

2. 4. 법 제정

기원전 746년에 처음으로 삼족을 멸하는 형벌을 제정했다.

2. 5. 사망

기원전 718년, 문공의 태자가 먼저 사망하여 정공(竫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2] 이에 문공은 정공의 장남인 헌공(憲公)을 새로운 태자로 삼았다.[2]

기원전 716년, 문공은 재위 50년 만에 사망하여 서수(西垂)에 안장되었다.[2] 그의 손자인 태자 헌공이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2]

3. 일화

문공의 치세에는 몇 가지 신비로운 일화가 전해진다. 기원전 756년에는 하늘에 닿을 듯한 거대한 황색 뱀을 목격한 후, 이를 천제(天帝)의 상징으로 여겨 제천단을 세우고 백제(白帝)에게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또한, 진창(陳倉) 지역에서 기이한 돌을 발견하고 이를 신성하게 여겨 진보사(陳寶祠)를 건립하여 제사를 지내게 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 돌은 '진보'(陳寶)라는 신화적 존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3. 1. 제천단 건립

기원전 756년에 문공은 하늘에서 땅까지 몸이 닿는 거대한 황색 뱀 한 마리를 보았다. 그 뱀은 부성(鄜城) 근처의 논밭에 입을 대고 있었다고 한다.

문공이 이 일을 사관(史官)인 사돈(史敦)에게 묻자, 사돈은 "이것은 천제(天帝)의 상징이니, 마땅히 제사를 지내셔야 합니다."라고 답했다.

이에 문공은 제천단을 세우고, 희생제(犧牲祭)의 예법에 따라 말, 소, 양 세 종류의 짐승을 제물로 바쳐 백제(白帝)에게 제사를 지냈다.

3. 2. 진보사(陳寶祠) 건립

문공 시절 진창(陳倉) 사람이 돼지의 겉모습을 한 정체불명의 짐승 한 마리를 잡았는데, 문공에게 바치려 했다. 길에서 우연히 어린 아이 둘을 만났는데, 아이들은 "이 짐승은 '위'(媦)라고 하며, 땅속에 살면서 사람의 뇌를 먹는다"고 알려주었다. 진창 사람이 짐승을 죽이려 하자, '위'(媦)는 "저 두 아이는 '진보'(陳寶)인데, 하나는 여자이고 하나는 남자이다. 남자아이는 왕(王)이 되고 여자아이는 패(覇)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래서 진창 사람이 두 아이를 쫓아가자 아이들은 이 되어 날아갔고, 그중 여자아이는 진창의 북판성(北阪城)으로 날아가 돌이 되었다. 기원전 747년, 문공진창(陳倉)에 있는 산으로 사냥을 나갔다가 이 돌을 발견했는데, 그 색과 모양이 마치 간(肝)과 같았다고 한다. 문공은 진창 북판성(北阪城)에 진보사(陳寶祠)를 짓도록 명하고, 짐승 머리를 바쳐 제사를 지내게 했다. 이곳에서 제사 지내는 신은 1년에 한 번 또는 여러 번 나타났으며, 항상 밤에 나타나 유성처럼 눈부신 빛을 냈다고 전해진다.

참조

[1] 웹사이트 Annals of Qin http://www.guoxue.co[...] guoxue.com 2012-05-01
[2] 서적 Annotated Shiji Zhonghua Book Company
[3] 문서 鄜(陝西省の岐山付近)にある祭壇。
[4] 문서 西戎の種類と推定され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