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집적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집적점은 위상 공간의 부분 집합에 속하는 점으로, 해당 점의 모든 근방이 그 부분 집합의 점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경우를 말한다. 특히, 1-집적점은 폐포점, ω-집적점은 무한히 많은 점을 포함하는 극한점, 응집점은 셀 수 없이 많은 점을 포함하는 극한점을 의미한다. 집적점은 폐포, 유도 집합, 고립점 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T1 공간에서는 극한점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극한 집합 - 안정성 이론
    안정성 이론은 미분 방정식과 동역학적 시스템의 해의 점근적 성질과 궤적을 다루며, 평형점, 주기 궤도의 안정성, 섭동과 선형화, 랴푸노프 함수 등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분석한다.
  • 극한 집합 - 끌개
    끌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접근하는 상태 공간의 부분 공간으로, 시스템의 장기적인 거동을 결정하며, 파라미터 변화에 따라 분기 현상을 겪고 카오스적인 비선형 신호 분석에 활용된다.
  • 해석학 (수학) - 수학적 최적화
    수학적 최적화는 주어진 집합에서 실수 또는 정수 변수를 갖는 함수의 최댓값이나 최솟값을 찾는 문제로, 변수 종류, 제약 조건, 목적 함수 개수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나뉘며 여러 학문 분야에서 활용된다.
  • 해석학 (수학) - 라플라스 변환
    라플라스 변환은 함수 f(t)를 복소수 s를 사용하여 적분을 통해 다른 함수 F(s)로 변환하는 적분 변환이며, 선형성을 가지고 미분방정식 풀이 등 공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 일반위상수학 - 극한
    극한은 수학에서 함수의 값이나 수열의 항이 특정 값에 가까워지는 현상을 기술하는 개념으로, ε-δ 논법으로 엄밀하게 정의되며 수렴, 연속성, 미적분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하여 19세기에 현대적 정의가 완성되었다.
  • 일반위상수학 - 스콧 위상
    스콧 위상은 부분 순서 집합 위에 정의되는 위상으로, 하향 집합과 directed set의 상한에 대해 닫혀있는 집합을 닫힌 집합으로 정의하며, 컴퓨터 과학, 특히 프로그램 의미론에서 연속 함수의 개념을 일반화하고 프로그램의 계산 과정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된다.
집적점
정의
위상 공간위상 공간 X에서, X의 부분 집합 S의 집적점(또는 극한점, 모임점, 응집점)은 S의 점일 필요는 없지만, S의 다른 점들에 임의로 가깝다.
정의X의 점 x는 만약 x를 포함하는 모든 열린 집합이 S의 x가 아닌 점을 포함한다면 S의 집적점이다.
추가 설명
설명이는 x를 중심으로 하는 X의 모든 근방이 S의 적어도 하나의 점(x 자체일 수도 있음)을 포함한다는 것과는 다르지 않다.
고립점집합 S의 점 x가 x를 포함하는 열린 집합 U가 존재하여 S ∩ U = {x}를 만족하면 S의 고립점이라고 한다. 따라서 S의 점은 집적점이거나 고립점이다.
관련 정의
닫힘S의 닫힘은 S의 모든 집적점과 S 자체의 점을 포함하는 집합이다. S의 점이거나 S의 집적점인 X의 점 x는 S의 접촉점이라고 한다.
파생 집합S의 파생 집합은 S의 모든 집적점의 집합이다.
밀집 집합집합의 모든 점이 집적점이면 그 집합은 자신 안에서 밀집되어 있다고 한다.
수학적 표현
표현"x는 S의 집적점이다"는 "모든 열린 집합 U가 x를 포함하면, (U ∖ {x}) ∩ S ≠ ∅이다"와 동등하다.
거리 공간
거리 공간에서의 정의거리 공간에서, x는 만약 S의 점들의 수열이 x로 수렴하면 S의 집적점이다 (x 자신을 제외하고).
추가 설명만약 거리 공간이 T1 공간이 아니라면, 이 속성을 가진 x는 S의 집적점이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이산 공간 {a, b}에서 집합 {a}는 b를 수렴하는 수열 (a, a, a, ...)을 가지지만, b는 {a}의 집적점이 아니다.
주의사항
주의모든 위상 공간에서 이 두 정의는 동등하지 않다. 그러나 거리화 가능한 공간에서는 동등하다.
예시
예시 1실수 집합에서, 집합 (a, b)의 집적점 집합은 닫힌 구간 [a, b]이다.
예시 2집합 {1/n : n ∈ N}의 집적점 집합은 {0}이다.
예시 3실수 집합 Q의 집적점 집합은 실수 집합 R이다.
관련 개념
축적점때때로 집적점을 축적점이라고도 한다.
ω-집적점X의 점 x는 S의 ω-집적점 또는 극한점이라고 하는데, 만약 x를 중심으로 하는 X의 모든 근방이 S의 무한히 많은 점을 포함한다면 그렇다. 만약 선택 공리가 참이라면, 거리 공간에서 집적점과 ω-집적점의 개념은 동등하다.

2. 정의

위상 공간 X의 부분 집합 Y와 점 x \in X에 대해, x의 임의의 근방Y와 (x 자신을 제외하고) 적어도 한 점에서 만날 때, xY의 '''집적점'''(集積點, accumulation point)이라고 한다.

기수 \kappa가 주어졌을 때, 점 x의 임의의 근방 U에 대해, |U \cap Y| \ge \kappa가 성립하면, xY\kappa-집적점이라고 한다.

모든 양의 유리수를 열거하는 수열. 각 양의 실수는 집적점이다.

2. 1. 특수한 경우

위상 공간 X의 부분 집합 Y\subseteq X와 점 x\in X에 대해, 다음과 같은 특수한 경우들이 정의된다.

  • '''극한점'''(極限點, limit point영어): x의 임의의 근방 U에 대해, U \cap Y \setminus \{x\} \ne \varnothing이면, xY의 극한점이다. T1 공간에서는 \aleph_0-집적점과 동치이다.
  • '''폐포점'''(閉包點, closure point영어) 또는 '''밀착점'''(密着點, adherent point영어): 1-집적점. Y의 폐포는 Y와 그 극한점들의 집합의 합집합이다.
  • '''응집점'''(凝集點, condensation point영어): \aleph_1-집적점 (최소의 비가산 기수).
  • '''완비 집적점'''(完備集積點, complete accumulation point영어): |Y|-집적점.
  • '''고립점'''(孤立點, isolated point영어): X의 극한점이 아닌 점. \{x\}열린집합인 점 x \in X이다.

3. 성질


  • 비상수열의 모든 극한은 수열의 집적점이며, 모든 극한점은 정의에 의해 접점이다.
  • 집합 S의 폐포 \operatorname{cl}(S)는 집적점 L(S)와 고립점 I(S)의 분리 집합이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operatorname{cl} (S) = L(S) \cup I(S)\quad\text{and}\quad L(S) \cap I(S) = \emptyset.

  • x \in XS \subseteq X의 집적점일 필요충분조건은 S \setminus \{ x \}폐포에 속하는 것이다.
  • L(S)S의 집적점 집합으로 나타내면, S의 폐포는 SL(S)의 합집합과 같다.
  • 집합 S는 그 집적점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만 닫힌 집합이다.
  • 어떤 고립점도 어떤 집합의 집적점이 아니다.
  • 공간 X이산 공간인 경우에만 X의 어떤 부분집합도 집적점을 갖지 않는다.
  • 공간 X가 자명 위상을 가지며 S가 두 개 이상의 원소를 가진 X의 부분집합인 경우, X의 모든 원소는 S의 집적점이다. S가 단일 집합인 경우, X \setminus S의 모든 점은 S의 집적점이다.
  • 위상 공간 ''X''의 부분 집합 ''S''에 대해, ''X''의 점 ''x''가 ''S''의 '''집적점'''이라는 것은, ''x''를 포함하는 임의의 열린 집합이 적어도 하나의 ''x''와 다른 ''S''의 점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 T1 공간에서는, ''x''의 임의의 근방이 ''S''의 점을 무한히 포함한다는 조건과 동치이다.
  • 공간 ''X''가 프레셰-우리손 공간인 경우, ''x''가 ''S''의 집적점이기 위한 필요충분 조건은, ''x''를 극한으로 가지는 ''S'' ∖ {''x''}의 가산 열이 존재하는 것이다.

3. 1. 폐포와의 관계

위상 공간 X의 부분 집합 Y의 폐포는 YY의 극한점들의 집합의 합집합이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operatorname{cl}Y=Y\cup Y'


Y가 닫힌집합일 필요충분조건은 Y'\subseteq Y인 것이다.[1] 즉, Y가 닫힌집합이려면 Y의 모든 극한점이 Y에 포함되어야 한다.

3. 2. T1 공간

XT1 공간일 때, 극한점은 \aleph_0-집적점과 같다. T1 공간에서, 임의의 부분 집합의 유도 집합(극한점들의 집합)은 닫힌집합이다.[1]

'''증명:'''

x\in XY\subseteq X\aleph_0-집적점이 아니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U\cap Y유한 집합U\in\mathcal N_x가 존재한다. (\mathcal N_xx근방 필터이다.)

XT1 공간이므로, 한원소 집합은 닫힌집합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widetilde U=\operatorname{int}(U)\setminus(Y\setminus\{x\})=\operatorname{int}(U)\cap\bigcap_{y\in U\cap(Y\setminus\{x\})}(X\setminus\{y\})

이는 유한 개의 열린집합들의 교집합이므로 열린집합이다. (\operatorname{int}내부이다.) \widetilde U\in\mathcal N_x이고 \widetilde U\cap Y=\{x\}이므로, xY의 극한점이 아니다.[1]

3. 3. 유도 집합 (도집합)

편의상 극한점을 1.5-집적점으로 부르기로 하자.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 임의의 \kappa\ge1에 대하여, \operatorname{acc\,pt}_\kappa(\varnothing)=\varnothing
  • 임의의 집합 Y,Z\subseteq X 및 기수 \kappa\le1.5에 대하여, \operatorname{acc\,pt}_\kappa(Y\cup Z)=\operatorname{acc\,pt}_\kappa(Y)\cup \operatorname{acc\,pt}_\kappa(Z)
  • 임의의 집합 Z\subseteq Y\subseteq X 및 기수 \kappa\ge\lambda에 대하여, \operatorname{acc\,pt}_\kappa(Z)\subseteq\operatorname{acc\,pt}_\lambda(Y)


임의의 부분 집합의 유도 집합이 닫힌집합인 위상 공간을 TD 공간이라고 한다. 모든 T1 공간은 TD 공간이며, 모든 TD 공간은 콜모고로프 공간이다.

4. 예시

실수선의 부분 집합 S=\{1/n\colon n\in\mathbb Z^+\}\subsetneq\mathbb R을 생각하면, 그 집적점은 0이다.

실수선 속의 유리수의 부분 집합 \mathbb Q\subsetneq\mathbb R을 생각하면, 모든 실수가 \mathbb{Q}의 집적점이다.

이산 공간에서는 모든 점이 고립점이며, 집적점을 갖는 부분 집합은 존재하지 않는다.

5. 역사

유도 집합(abgeleitete Punktmengede)이라는 용어는 게오르크 칸토어가 1872년에 도입하였다.[4]

참조

[1] 웹사이트 Difference between boundary point & limit point. https://math.stackex[...] 2021-01-13
[2] 웹사이트 What is a limit point https://math.stackex[...] 2021-01-13
[3] 웹사이트 Examples of Accumulation Points https://web.archive.[...] 2021-01-14
[4] 저널 Ueber die Ausdehnung eines Satzes aus der Theorie der trigonometrischen Reihen http://www.maths.tcd[...] 187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