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징후 철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징후 철로는 베이징과 상하이를 연결하는 주요 철도 노선으로, 1910년 이전에 건설된 세 구간을 통합하여 형성되었다. 베이징-톈진 구간은 징하선과 중복되며, 톈진-푸커우 구간은 톈진-푸커우 선 또는 진푸선으로, 난징-상하이 구간은 후닝 선으로 불렸다. 1968년 난징 창장 대교 개통으로 세 구간이 연결되어 징후 철로로 명명되었으며, 베이징-상하이 고속철도 개통 전까지 주요 간선 철도로 기능했다. 현재는 복선 전철화 및 CRH 슬리퍼 열차 운행 등 여객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베이징-상하이 고속철도 개통 이후에도 일부 구간이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하이시의 교통 - 양산심수항
    양산 심수항은 상하이에 건설된 대규모 컨테이너 항만으로, 동중국해 섬 매립을 통해 건설되었으며, 2017년 4단계 시험 운영을 거쳐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 상하이시의 교통 - 상하이항
    상하이항은 양쯔강 삼각주의 중요한 교통 중심지로서 송나라 때부터 대외 무역항으로 발전해 아편 전쟁 이후 중국 대외 무역의 중심지로 부상했으며, 현재는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 기준 최상위권을 기록하는 세계적인 항만이다.
  • 196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전선
    경전선은 삼랑진역과 광주송정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로, 일제강점기 건설 노선들을 통합하여 1968년 현재 모습으로 개편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사업과 KTX, SRT 운행으로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간별 개량 사업을 통해 지역 이동 시간 단축 및 개발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 196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빅토리아선
    빅토리아선은 1960년대 런던의 교통 혼잡 완화 및 실업 해소를 위해 건설되어 1968년부터 1971년까지 개통되었으며, 월섬스토 센트럴에서 브릭스턴까지 런던 주요 지역을 남북으로 연결하고 대부분 역이 환승역으로 설계된 자동 열차 운전 장치(ATO) 시스템 기반의 런던 지하철 노선이다.
  • 안후이성의 교통 - 룽하이 철로
    중국 동부 롄윈강에서 서부 란저우를 잇는 룽하이 철도는 청나라 시대에 착공되어 중화인민공화국 시대에 완공되었으며, 중국 동서를 연결하는 핵심 철도망이자 신 유라시아 랜드 브리지의 핵심 구간으로서 중국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안후이성의 교통 - 징후 고속철도
    징후 고속철도는 베이징과 상하이를 잇는 총 길이 1,318km의 중국 주요 고속철도 노선으로, 2011년 개통 이후 중국 경제 발전에 기여하며 잦은 고장과 안전 문제에도 불구하고 수송량이 증가하고 있다.
징후 철로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난징 양쯔강 대교, 철도의 중요한 부분이며 1968년에 개통됨
난징 양쯔강 대교, 철도의 중요한 부분이며 1968년에 개통됨
노선 종류간선 철도
노선 상태운영 중
위치화북 및 화동 지역
기점베이징
종점상하이
역 수89개
개통1968년
소유주중국철도
운영 주체중국철도 베이징 그룹
중국철도 지난 그룹
중국철도 상하이 그룹
노선 길이 (km)1451.4
궤간1,435 mm
복선 유무복선
전철화 방식교류 25 kV 50 Hz 가공 전차선
신호 방식자동 폐색 신호
설계 속도200-250 km/h
운영 속도160 km/h
노선 명칭
다른 이름징후 철로 (京沪铁路)
로마자 표기Jinghu tielu
간체京沪铁路
번체京滬鐵路
기타 정보
노선 거리1,463 km

2. 연혁

징후선은 1910년 이전에 건설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세 구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 베이징 역-톈진 구간은 징하 선과 노선이 중복된다.
  • 톈진-푸커우 구간은 과거 톈진-푸커우 선(진푸선(津浦线중국어))이라고 불렸다.
  • 난징-상하이 구간은 후닝 선(沪宁线중국어)이라고 불렸으며, 1927년부터 1949년까지 난징이 수도였을 때는 징후 철로라고 불렸다.


1968년 난징 창장 대교가 개통되면서 톈진-푸커우 구간과 난징-상하이 구간이 연결되었다.[2] 난징 창장 대교 건설 전에는 기차를 배에 싣고 양쯔강을 건넜다. 2007년 5월에는 푸리역과 린창역 사이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2. 1. 베이징-톈진 구간 (징하선)

징후선은 세 개의 구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노선들은 중국에서 가장 빠른 시기인 1910년 이전에 건설되었다.

  • 첫 번째 구간인 베이징 역-톈진 구간은 징하 선과 노선이 중복된다.
  • 두 번째 구간인 톈진-푸커우는 과거 톈진-푸커우 선 또는 진푸선(津浦线중국어)이라고 불렸다.
  • 세 번째 구간인 난징-상하이 구간은 후닝 선(沪宁线중국어)이라고 불렸다. 1927년부터 1949년까지 난징이 수도였을 때는 이 구간을 징후 철로라고 불렀다.


1968년 난징 창장 대교의 개통으로 두 번째 구간과 세 번째 구간이 연결되었다.[2] 난징 창장 대교 건설 전에는 기차를 배에 싣고 강을 건넜다. 난징 창장 대교는 푸커우와 샤관을 연결한다.

2. 2. 톈진-푸커우 구간 (진푸선)

징후선은 세 개의 구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톈진-푸커우 구간은 이전에 톈진-푸커우 선 또는 진푸선(津浦线중국어)이라고 불렸다. 이 구간은 톈진에서 난징 교외의 푸커우까지 이어진다.[2] 푸커우는 난징의 양쯔강(장강) 건너편 지역이며, 1968년 난징 창장 대교가 완공되기 전까지는 페리로 강을 건너야 했다.

2. 3. 난징-상하이 구간 (후닝선)

징후선(京沪线)의 난징-상하이 구간은 후닝선(沪宁线중국어)이라고 불렸다. 1927년부터 1949년까지 난징이 수도였을 때 이 구간을 징후 철로라고 불렀다.[2] 1905년에서 1908년 사이에 건설된 난징-상하이 구간은 상하이-난징 철도라고도 불린다. 1968년 난징 창장 대교가 완공되기 전에는 기차를 페리에 실어 양쯔강을 건넜다. 승객들은 난징 북역(푸커우)에서 내려 여객 페리를 타고, 강 남쪽에 있던 당시 난징의 주요 역(현재는 난징 서역으로 알려짐)에서 다시 기차를 타야 했다.[2]

2. 4. 난징 창장 대교 개통과 징후선 완성 (1968년)

1968년 난징 창장 대교가 완공되기 전까지 징후선은 양쯔강을 기준으로 남쪽과 북쪽으로 단절되어 있었다. 푸커우와 샤관 사이의 양쯔강 구간은 철도 차량을 배에 싣거나, 승객들이 직접 여객선을 이용해 강을 건너야 했다.[2] 승객들은 난징 북역(푸커우)에서 내려 여객선을 타고, 강 남쪽에 있던 당시 난징의 주요 역(현재는 난징 서역으로 알려짐)에서 다시 기차를 탈 수 있었다.

1968년 난징 창장 대교가 완공되면서, 톈진-푸커우 구간과 난징-상하이 구간이 연결되어 비로소 베이징에서 상하이까지 철도가 하나로 이어지게 되었다.[2] 이로써 징후선은 전체 구간을 의미하는 명칭이 되었다.

3. 노선 현황

징후 철로는 베이징과 상하이를 잇는 주요 철도 노선으로, 징광선과 함께 중국에서 가장 혼잡한 노선 중 하나이다. 이 노선은 쉬저우에서 룽하이 철로와 교차한다.

3. 1. 여객 운송

징광선과 마찬가지로, 이 철로는 베이징-상하이 간을 연결하는 중국의 주요 노선이며, 중국에서 가장 혼잡한 철도 노선 중 하나이다. 베이징-톈진은 상하이 등으로 가는 열차와 북한의 평양, 러시아모스크바 등 여러 도시로 가는 열차가 모이는 구간이다.[1]

이 철도 노선은 베이징과 상하이 사이의 주요 노선이며, 베이징-상하이 고속철도와 함께 중국에서 가장 붐비는 철도 회랑 중 하나로 기능한다. 베이징과 상하이 사이에는 복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철도 전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현재 여객 철도 서비스는 CRH 슬리퍼(D-시리즈 열차) 야간 운행을 제공한다.[2]

D 타입 급행 야간 슬리퍼 열차가 현재 베이징과 난징/상하이/항저우 사이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현재 6개의 야간 D 탄두 열차가 운행 중이다. 야간 탄두 열차는 베이징과 난징 사이를 9시간 23분에서 9시간 36분 사이에 주행하며, 이전에는 소프트 슬리퍼만 제공했지만, 현재는 슬리퍼 1등석과 슬리퍼 2등석으로 바뀌어 기존 열차의 소프트 및 하드 슬리퍼보다 더 나은 시설을 제공한다. 일부 열차에는 2등석 좌석칸도 있다.[2]

2011년 6월 30일, 베이징-상하이 고속철도가 개통되었으며, 베이징-상하이 철도와 거의 나란히 운행된다. 고속철도 개통으로 베이징-상하이 철도의 혼잡이 완화되었으며, 화물 운송으로 점차 전환되고 있다. 2017년 기준으로 구 노선에서 베이징에서 상하이까지 전 구간을 운행하는 정기 열차는 하루 2대(전술한 야간 슬리퍼 제외)이지만, 수백 대의 열차가 여전히 이 노선의 일부 구간을 사용하고 있다.[2]

전 구간이 전철화되어 있으며, 주요 역으로는 베이징, 톈진시서, 지난, 쉬저우, 난징, 쑤저우, 상하이에 장거리 특별 쾌속 열차 (T-특쾌)가 정차한다. 베이징 - 톈진 간은 복복선, 톈진 - 상하이 간은 복선으로 되어 있다.[1]

현재, 고객 수송을 위해 논스톱 직달 열차 (Z1 및 Z21 열차)에 의한 야간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본 노선의 혼잡 해소를 위해, 병행하여 징후 고속철도가 건설되어, 2011년 6월에 개통했다.[1]

3. 2. 징후 고속철도 개통 (2011년)

2011년 6월 30일에 징후 고속철도가 개통되어 베이징-상하이 철도와 거의 나란히 운행되면서, 기존 베이징-상하이 철도의 혼잡이 완화되었다.[1] 고속철도 개통 이후, 기존 노선은 점차 화물 운송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1] 2017년 기준으로 베이징에서 상하이까지 전 구간을 운행하는 정기 여객 열차는 하루 2대(야간 슬리퍼 열차 제외)에 불과하지만, 수백 대의 열차가 여전히 이 노선의 일부 구간을 이용하고 있다.[1]

4. 주요 역

베이징, 톈진시서, 지난, 쉬저우, 난징, 쑤저우, 상하이에는 장거리 특별 쾌속 열차 (T-특쾌)가 정차한다.

참조

[1] 웹사이트 京沪铁路电气化改造符离集至林场段完工 https://china.zjol.c[...] 2021-06-09
[2] 백과사전 진푸선·후닝선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