쪽입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쪽입자는 1969년 리처드 파인만이 고에너지 하드론 충돌 분석을 위해 제안한 모형으로, 쿼크와 글루온에 대응된다. 이 모형은 제임스 비요켄과 엠마누엘 앤서니 파스초스에 의해 전자-양성자 심층 비탄성 산란에 적용되었으며, 이후 쿼크 모형의 검증과 양자 색역학에서의 점근적 자유성 확인을 통해 널리 받아들여졌다. 쪽입자 모형은 고에너지에서 정당한 근사로 남아있으며, 파톤 분포 함수(PDF)는 운동량에 따른 쪽입자의 확률 밀도 함수로, 실험적 측정을 통해 얻어진다. 일반화된 쪽입자 분포 함수(GPD)는 강입자 구조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접근 방식으로, 입자 샤워 시뮬레이션은 콜라이더 실험에서 과정을 보정하고 해석하는 데 사용된다.
쪽입자 모형에서 강입자는 쪽입자라는 수많은 점입자로 구성된다. 하드론은 무한 운동량을 지닌 기준 좌표계에 놓이는데, 이는 고에너지에서 유효한 가정이다. 쪽입자 모형에서는 시간 팽창에 의해 입자들의 상호작용이 느려지고, 전하 분포는 길이 수축된다. 따라서 들어오는 입자는 순간적이고 결맞지 않게 산란될 것이다.
전자와 양성자의 비탄성 산란에서 충격량이 클수록 '''뵤르켄 스케일링'''(Bjorken scaling영어)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이 쪽입자 모형의 예측이었다.[27] 이는 곧 실험으로 증명되었다. 이후 쿼크 모형이 확인되고 양자색역학에서 점근 자유성이 확정되면서, 쪽입자가 쿼크와 글루온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쪽입자 모형은 높은 에너지에서 유효한 근사로 남았으며,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확장되었다.
2. 역사
파톤 분포 함수는 양자색역학 결합 상태 내의 비섭동적 효과 때문에 섭동 색역학으로 얻을 수 없다. 현재 알려진 파톤 분포함수는 실험적으로 얻으며, 격자 색역학 계산의 한계로 인해 이론적으로 완전히 설명되지는 않는다.
2. 1. 리처드 파인만의 쪽입자 모형 제안 (1969년)
리처드 파인만은 1969년에 고에너지 하드론 충돌 분석을 위해 쪽입자 모형을 제안하였다.[1] 제임스 비요켄과 엠마누엘 앤서니 파스초스는 이 모형을 전자-양성자 심층 비탄성 산란에 적용하였다.[2] 이후, 비요켄 스케일링의 실험적 관찰, 쿼크 모형의 검증, 그리고 양자 색역학에서의 점근적 자유 확인을 통해 쪽입자는 쿼크와 글루온에 대응되었다. 쪽입자 모형은 고에너지에서 정당한 근사로 남아있으며, 다른 연구자들은 수년에 걸쳐 이 이론을 확장해왔다.
머레이 겔만은 쪽입자를 지칭하기 위해 "풋온(put-ons)"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했다.[3]
2. 2. 전자-양성자 심층 비탄성 산란에 적용 (1969년)
제임스 비요켄과 엠마누엘 앤서니 파스초스는 쪽입자 모형을 전자-양성자 심층 비탄성 산란에 적용하였다.[2] 쪽입자 모형에 따르면, 전자와 양성자의 비탄성 산란의 경우 그 충격량이 클수록 '''뵤르켄 스케일링'''(Bjorken scaling영어)이라는 특정한 현상을 보인다.[27] 뵤르켄 스케일링은 곧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
이후, 비요켄 스케일링의 실험적 관찰, 쿼크 모형의 검증, 그리고 양자 색역학에서의 점근적 자유의 확인을 통해, 파톤은 쿼크와 글루온에 대응되었다.
2. 3. 뵤르켄 스케일링, 쿼크 모형, 점근적 자유성
전자와 양성자의 비탄성 산란에서 충격량이 클수록 '''뵤르켄 스케일링'''(Bjorken scaling영어)이라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쪽입자 모형의 예측은 곧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27] 이후 쿼크 모형이 검증되고, 양자색역학에서 점근 자유성이 확인되면서 쪽입자가 쿼크와 글루온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쪽입자 모형은 높은 에너지에서 여전히 유효한 근사로 남아있으며,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확장되어 왔다.
2. 4. 레너드 서스킨드의 홀로그래피 원리 모델링 (1994년)
레너드 서스킨드는 1994년에 쪽입자를 홀로그래피 원리에 적용하여 모형화했다.[4]
3. 모형
양자색역학 결합 상태의 비섭동적 효과 때문에 쪽입자 분포 함수는 섭동 색역학으로 얻을 수 없다. 현재 격자 색역학 계산의 한계로 인해 알려진 쪽입자 분포함수는 실험적으로 얻는다.
3. 1. 기본 가정
강입자는 쪽입자라는 수많은 점입자로 구성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한다. 강입자는 무한대의 운동량을 지니는 기준 좌표계에 있는데, 이는 고에너지에서 유효하다. 쪽입자 모형에서는 시간 팽창에 의해 쪽입자의 움직임이 지연되고 가입자 전하 분포는 로런츠 수축된다. 그리하여 들어오는 입자는 순간적이고 결맞지 않게 산란될 것이다.[27]
강입자 (예: 양성자)는 "파트론"이라고 불리는 점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고 여겨진다. 또한, 강입자가 무한대의 운동량을 갖는 (따라서 고에너지에서의 거동을 기술하는 데 적합한) 기준틀을 사용한다. 그러면, 파트론의 움직임은 상대론적 시간 지연에 의해 늦어지고, 강입자의 전하 분포는 로렌츠 수축을 받으며, 따라서 입사 입자는 "순간적이고 비간섭적으로" 산란된다.
3. 2. 기준 좌표계
강입자는 쪽입자라는 수많은 점입자로 구성되는데, 이때 무한 운동량을 지닌 기준 좌표계를 사용한다. 이는 고에너지에서 유효한 가정이다. 쪽입자 모형에서 쪽입자의 운동은 시간 지연에 의해 지연되고 가입자 전하 분포는 로런츠 수축된다. 그리하여 들어오는 입자는 순간적이고 결맞지 않게 산란될 것이다.
3. 3. 산란 과정
강입자가 무한대의 운동량을 갖는 기준틀을 사용하면, 쪽입자의 움직임은 상대론적 시간 지연에 의해 늦어지고, 강입자의 전하 분포는 로렌츠 수축을 받는다. 따라서 입사 입자는 "순간적이고 비간섭적으로" 산란된다.[27]
전자·양성자 심부 비탄성 산란 실험 결과에 제임스 비요르켄과 엠마누엘 파쇼스가 쪽입자 모형을 적용하였다.[22] 이후 쿼크 모형을 검증하고, 양자 색역학에서의 점근적 자유성을 확인하는 비요르켄 스케일링의 실험적 관측이 이루어져, 쪽입자는 쿼크 및 글루온과 일치했다. 쪽입자 모형은 여전히 고에너지 근사에서 정당하며, 오랫동안 확장되어 왔다.
쪽입자 모형에서 쪽입자는 어떤 물리적 스케일(교환되는 운동량의 역수로 측정됨)에 대해 정의된다. 예를 들어, 어떤 길이 스케일의 쿼크 쪽입자는 더 작은 스케일에서 쿼크 쪽입자, 글루온 쪽입자, 또는 그 외 더 많은 쪽입자 상태의 중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어떤 스케일의 글루온 쪽입자는 글루온 쪽입자, 쿼크-반쿼크 쪽입자, 또는 그 외 여러 쪽입자 상태의 중첩으로 분해될 수 있다. 이 때문에 강입자 안의 쪽입자 수는 교환되는 운동량이 증가함에 따라 실제로 증가한다. 저에너지(긴 길이 스케일)에서 바리온은 세 개의 가치 쪽입자(쿼크)를, 중간자는 두 개의 가치 쪽입자(쿼크 및 반쿼크)를 포함한다. 그러나 더 고에너지에서는 "해 쪽입자(비가치 쪽입자)"도 관측된다.
3. 4. 가전자(Valence Parton)와 해양 쪽입자(Sea Parton)
강입자는 쪽입자라는 수많은 점입자로 구성된다. 쪽입자는 물리적 척도(운동량 전달의 역수로 탐지됨)에 따라 정의된다.[8] 낮은 에너지(즉, 큰 길이 척도)에서, 중입자는 세 개의 가전자 쪽입자(쿼크)를 포함하고, 중간자는 두 개의 가전자 쪽입자(쿼크와 반쿼크 쪽입자)를 포함한다. 그러나 더 높은 에너지에서는 가전자 쪽입자 외에도 "해양 쪽입자"(비가전자 쪽입자)를 관찰할 수 있다.[9]
이 때문에 하드론 내의 쪽입자 수는 실제로 운동량 전달과 함께 증가한다.
3. 5. 쪽입자 샤워
가속되는 색전하를 가진 쪽입자는 글루온 형태의 QCD 복사를 방출한다. 전하를 띠지 않는 광자와 달리, 글루온 자체는 색전하를 띠고 있으므로 추가적인 복사를 방출할 수 있으며, 이는 쪽입자 샤워로 이어진다.[5][6][7]
4. 쪽입자 분포 함수 (Parton Distribution Function, PDF)
전자와 양성자의 비탄성 산란에서 충격량이 클 때 나타나는 '''뵤르켄 스케일링'''(Bjorken scaling영어) 현상은 실험적으로 증명되었으며,[27] 이를 통해 쪽입자가 쿼크와 글루온임이 밝혀졌다.
QCD 결합 상태의 비섭동적 효과로 인해, 쪽입자 분포 함수는 섭동적 방법으로 얻을 수 없다.
'''쪽입자 분포 함수'''(parton distribution function영어)는 특정 운동량에서 쪽입자를 발견할 확률 밀도 함수이다. 이는 실험을 통해 측정된다.
일반화된 쪽입자 분포(GPD)는 쪽입자의 횡운동량과 스핀 같은 변수를 추가하여 강입자 구조를 더 자세히 이해하기 위한 접근 방식이다. 일반 쪽입자 분포 함수는 GPD에서 추가 변수를 적분하여 얻을 수 있다.
4. 1. 정의
'''쪽입자 분포 함수'''(parton distribution function영어)는 특정 운동량에 따른 쪽입자 확률 밀도 함수이다. 자유 입자로 관찰될 수 없는 쪽입자의 본질적인 비섭동 특성 때문에, 쪽입자 밀도는 섭동 QCD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없다. 그러나, QCD 내에서 외부 탐침에서 제공하는 분해능 척도에 따른 쪽입자 밀도의 변화를 연구할 수 있다. 이 척도는 예를 들어 가상도 ''Q''2를 갖는 가상 광자 또는 제트에 의해 제공된다. 이 척도는 가상 광자 또는 제트의 에너지와 운동량에서 계산할 수 있다. 운동량과 에너지가 클수록 분해능 척도는 작아진다. 이는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의 결과이다. 분해능 척도에 따른 파톤 밀도의 변화는 실험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QCD의 중요한 테스트이다.[10]
소위 ''공선형 인수분해'' 내의 파톤 분포 함수(PDF)는 특정 종운동량 분수 ''x''를 갖는 입자를 분해능 척도 ''Q''2에서 찾을 확률 밀도로 정의된다. 파톤 분포 함수는 관측값을 실험 데이터에 맞추어 얻으며, 섭동 QCD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없다. 최근에는 격자 QCD에서 큰 운동량 유효장 이론을 사용하여 직접 계산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1][12]
실험적으로 결정된 파톤 분포 함수는 전 세계 여러 그룹에서 사용할 수 있다. 주요 비편극 데이터 세트는 다음과 같다.
데이터 세트 | 설명 |
---|---|
[http://mail.ihep.ru/~alekhin/pdfs.html ABM] | S. 알레킨, J. 블루멜라인, S. 모흐 |
[http://www.cteq.org/#PDFs CTEQ] | CTEQ 협력 |
[http://doom.physik.tu-dortmund.de/pdfserver/index.html GRV/GJR] | M. 글뤽, P. 히메네즈-델가도, E. 레야, A. 보그트 |
[https://www.desy.de/h1zeus/combined_results/index.php?do=proton_structure HERA] PDFs | H1 및 ZEUS 협력, 독일 데이치 전자 싱크로트론 센터(DESY) |
[http://www.hep.ucl.ac.uk/mmht/ MSHT/MRST/MSTW/MMHT] | A. D. 마틴, R. G. 로버츠, W. J. 스털링, R. S. 손, 협력자 |
[http://nnpdf.hepforge.org/ NNPDF] | NNPDF 협력 |
[http://lhapdf.hepforge.org/ ''LHAPDF''][13] 라이브러리는 모든 주요 PDF 세트에 대한 통합되고 사용하기 쉬운 포트란/C++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4. 2. 비섭동적 성질
양자색역학 결합 상태내의 원래 비섭동적 효과 때문에 파르톤 분포 함수는 섭동 색역학에 의해 얻어질 수 없다. 자유 입자로 관찰될 수 없는 파톤의 본질적인 비섭동 특성 때문에 파톤 밀도는 섭동 QCD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없다. [10]파톤 분포 함수는 관측값을 실험 데이터에 맞추어 얻으며, 섭동 QCD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없다. 최근에는 격자 QCD에서 큰 운동량 유효장 이론을 사용하여 직접 계산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1][12]
4. 3. 실험적 측정
소위 "공선 인자 분해" 범위 내의 쪽입자 분포 함수(PDF)는 특정 종운동량 역수 ''x''에 분해능 스케일 ''Q''2에서 입자를 찾을 확률 밀도 함수로 정의된다. 파톤이 자유 입자로 관측될 수 없다는 고유한 비섭동적 성질로 인해 파톤 밀도는 섭동적 양자 색역학(QCD)에 의해 완전히 얻을 수 없다. 그러나 QCD 범위 내에서 파톤 밀도의 변화는 외부 프로브에 의해 제공되는 분해능 스케일에서 조사할 수 있다. 이 스케일은 예를 들어 가상성 ''Q''2의 가상 광자 또는 제트에 의해 제공된다. 현재 격자 QCD 계산의 한계로 인해, 알려진 파톤 분포 함수는 대신 실험 데이터를 가관측량에 피팅하여 얻어진다.
실험적으로 결정된 파톤 분포 함수는 전 세계의 다양한 연구 그룹에서 공개하고 있다. 주요 비편극 데이터 세트는 다음과 같다.
데이터 세트 | 설명 |
---|---|
[http://mail.ihep.ru/~alekhin/pdfs.html ABM] | S. 알레킨(S. Alekhin), J. 블루메인(J. Bluemlein), S. 모흐(S. Moch) |
[http://www.phys.psu.edu/~cteq/#PDFs CTEQ] | CTEQ 콜라보레이션 |
[http://doom.physik.tu-dortmund.de/pdfserver/index.html GRV/GJR] | M. 글뤽(M. Glück), P. 히메네스-델가도(P. Jimenez-Delgado), E. 레야(E. Reya), A. 보크트(A. Vogt) |
[https://www.desy.de/h1zeus/combined_results/index.php?do=proton_structure HERA] PDFs | 독일 전자 싱크로트론 연구소(DESY)의 H1 및 ZEUS 콜라보레이션 |
[http://durpdg.dur.ac.uk/hepdata/mrs.html MRST/MSTW] | A. D. 마틴(A. D. Martin), R. G. 로버츠(R. G. Roberts), W. J. 스털링(W. J. Stirling), R. S. 손(R. S. Thorne), G. 와트(G. Watt) |
[http://nnpdf.hepforge.org/ NNPDF] | NNPDF 콜라보레이션 |
[http://lhapdf.hepforge.org/ ''LHAPDF''] [23] 라이브러리는 주요 PDF 세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용하기 쉬운 포트란/C++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일반화된 파톤 분포 함수(GPDF)"는 파톤 분포 함수의 변수에 횡운동량이나 파톤의 스핀 등의 변수를 추가하여 강입자의 구조를 더 잘 이해하려는 새로운 접근 방식이다.[14] 이전에는 "비전방(non-forward)", "비대각(non-diagonal)", "왜곡된(skewed)" 파톤 분포 함수라고 불리기도 했다. 이들은 종단 상태에서 모든 입자가 감지되는 폐쇄 프로세스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일반화된 파톤 분포 함수의 추가 변수를 0으로 설정(전방 극한, forward limit)하면 일반적인 파톤 분포 함수를 얻을 수 있다. 다른 규칙에서는 전기적 형태 인자, 자기적 형태 인자, 나아가 에너지-운동량 텐서와 관련된 형태 인자가 GPDF에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하드론 내부 파톤의 완전한 3차원 상은 GPDF에서 얻을 수 있다.[24]
4. 4. 분해능 스케일 (Resolution Scale)
양자색역학(QCD) 내에서, 외부 탐침(probe)에 의해 제공되는 분해능 척도에 따른 쪽입자 밀도의 변화를 연구할 수 있다. 이러한 척도는 예를 들어 가상 입자의 가상도 ''Q''2 또는 제트에 의해 제공된다. 이 척도는 가상 광자 또는 제트의 에너지와 운동량에서 계산할 수 있다. 운동량과 에너지가 클수록 분해능 척도는 작아지는데, 이는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의 결과이다. 분해능 척도에 따른 쪽입자 밀도의 변화는 실험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QCD의 중요한 테스트이다.[10]파톤 분포 함수는 관측값을 실험 데이터에 맞추어 얻으며, 섭동 QCD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없다. 최근에는 격자 QCD에서 큰 운동량 유효장 이론을 사용하여 직접 계산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1][12]
실험적으로 결정된 파톤 분포 함수는 전 세계 여러 그룹에서 사용할 수 있다. 주요 비편극 데이터 세트는 다음과 같다.
데이터 세트 | 설명 |
---|---|
ABM | S. 알레킨, J. 블루멜라인, S. 모흐 |
CTEQ | CTEQ 협력 |
GRV/GJR | M. 글뤽, P. 히메네즈-델가도, E. 레야, A. 보그트 |
HERA PDFs | H1 및 ZEUS 협력, 독일 데이치 전자 싱크로트론 센터(DESY) |
MSHT/MRST/MSTW/MMHT | A. D. 마틴, R. G. 로버츠, W. J. 스털링, R. S. 손, 협력자 |
NNPDF | NNPDF 협력 |
LHAPDF[13] 라이브러리는 모든 주요 PDF 세트에 대한 통합되고 사용하기 쉬운 포트란/C++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소위 "공선 인자 분해" 범위 내의 파톤 분포 함수는 특정 종운동량 역수 ''x'' 에 분해능 스케일 ''Q''2 에서 입자를 찾을 확률 밀도 함수로 정의된다. 파톤이 자유 입자로 관측될 수 없다는 고유한 비섭동적 성질로 인해 파톤 밀도는 섭동적 QCD에 의해 완전히 얻을 수 없다. 그러나 QCD의 범위 내에서 파톤 밀도의 변화는 외부 프로브에 의해 제공되는 분해능 스케일에서 조사할 수 있다. 이 스케일은 예를 들어 가상성 ''Q''2 의 가상 광자 또는 제트에 의해 제공된다. 현재 격자 QCD 계산의 한계로 인해, 알려진 파톤 분포 함수는 대신 실험 데이터를 가관측량에 피팅하여 얻어진다.
''일반화된 파톤 분포 함수''(GPD)는 파톤 분포를 파톤의 횡운동량 및 스핀과 같은 더 많은 변수의 함수로 나타내어 강입자 구조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보다 최근의 접근 방식이다.[14] 이를 사용하여 양성자의 스핀 구조, 특히 GPD의 적분을 쿼크와 글루온이 전달하는 각운동량과 관련된 지 합 규칙을 연구할 수 있다.[15] 초기 이름에는 "비전방", "비대각" 또는 "왜곡된" 파톤 분포가 포함되었다. 이들은 최종 상태에서 모든 입자가 감지되는 새로운 종류의 배타적 과정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예: 심하게 가상적인 콤프턴 산란).[16] 일반적인 파톤 분포 함수는 일반화된 파톤 분포에서 추가 변수를 0(전방 제한)으로 설정하여 복구된다. 다른 규칙은 전기적 형태 인자, 자기적 형태 인자 또는 에너지-운동량 텐서와 관련된 형태 인자도 GPD에 포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GPD에서 강입자 내부의 파톤에 대한 완전한 3차원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17]
4. 5. 주요 쪽입자 분포 함수 데이터 세트
다음은 주요 비편극 쪽입자 분포 함수(PDF) 데이터 세트이다.데이터 세트 | 제공 그룹 | 설명 |
---|---|---|
[http://mail.ihep.ru/~alekhin/pdfs.html ABM] | S. 알레킨, J. 블루멜라인, S. 모흐 | |
[http://www.cteq.org/#PDFs CTEQ] | CTEQ 협력 | |
[http://doom.physik.tu-dortmund.de/pdfserver/index.html GRV/GJR] | M. 글뤽, P. 히메네즈-델가도, E. 레야, A. 보그트 | |
[https://www.desy.de/h1zeus/combined_results/index.php?do=proton_structure HERA PDFs] | H1 및 ZEUS 협력, 독일 데이치 전자 싱크로트론 센터(DESY) | |
[http://www.hep.ucl.ac.uk/mmht/ MSHT/MRST/MSTW/MMHT] | A. D. 마틴, R. G. 로버츠, W. J. 스털링, R. S. 손, 협력자 | |
[http://nnpdf.hepforge.org/ NNPDF] | NNPDF 협력 |
[http://lhapdf.hepforge.org/ LHAPDF][13] 라이브러리는 위에 소개된 모든 주요 PDF 세트에 대해 통합되고 사용하기 쉬운 포트란/C++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5. 일반화된 쪽입자 분포 함수 (Generalized Parton Distribution Function, GPD)
일반 쪽입자 분포(Generalized Parton Distribution Function, GPD)는 쪽입자의 횡운동량과 스핀 등 더 많은 변수를 사용하여 쪽입자 분포를 나타냄으로써 하드론 구조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최근의 접근 방식이다. 일반 쪽입자 분포는 충돌기 과정의 낮은 운동량을 더 자세하게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반 쪽입자 분포에서 추가 변수에 대해 적분하면 보통의 쪽입자 분포 함수를 얻을 수 있다.[28][29][30][31]
5. 1. 추가 변수
일반 쪽입자 분포는 더 최근의 접근으로 쪽입자의 횡(transverse)운동량과 스핀과 같은 더 많은 변수를 함수로 사용하여 쪽입자 분포를 구현함으로써 하드론 구조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보통의 쪽입자 분포 함수는 일반 쪽입자 분포에서 추가 변수에 대해 적분하여 얻는다. 일반 쪽입자 분포는 충돌기 과정의 낮은 운동량을 더 자세하게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8][29][30][31]5. 2. 전방 극한 (Forward Limit)
일반 쪽입자 분포는 쪽입자의 횡(transverse)운동량과 스핀과 같은 더 많은 변수의 함수로서 쪽입자 분포를 구현하여 하드론 구조를 더 잘 이해하는 것이다. 보통의 쪽입자 분포 함수는 일반 쪽입자 분포를 추가 변수에 대해 적분하여 얻는다.[28][29][30][31] 일반 쪽입자 분포는 충돌기 과정의 낮은 운동량을 더 자세하게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6. 시뮬레이션
입자 샤워 시뮬레이션은 계산 입자 물리학에서 입자 상호 작용 또는 붕괴 자동 계산 또는 사건 발생기에 사용되어, 콜라이더 실험에서 과정을 보정하고 해석(이해)하는 데 사용된다.[18] 이는 주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탐구되는 거대 강입자 충돌기(LHC) 현상에서 특히 중요하다.
입자가 강입자화에 제공되는 규모는 샤워 몬테카를로 프로그램에 의해 고정된다. 샤워 몬테카를로의 일반적인 선택은 PYTHIA와 HERWIG이다.[19][20]
참조
[1]
컨퍼런스
The Behavior of Hadron Collisions at Extreme Energies
Gordon & Breach
[2]
학술지
Inelastic Electron-Proton and γ-Proton Scattering and the Structure of the Nucleon
[3]
웹사이트
Remembering Murray Gell-Mann (1929–2019), Inventor of Quarks—Stephen Wolfram Writings
https://writings.ste[...]
2019-05-30
[4]
학술지
The world as a hologram
[5]
웹사이트
Parton shower Monte Carlo event generators.
http://www.scholarpe[...]
2011
[6]
간행물
Parton Shower Monte Carlo Event Generators.
http://indico.cern.c[...]
2009-05-04
[7]
간행물
Phenomenology at collider experiments. Part 5: MC generators
http://www.stfc.ac.u[...]
2008-08-31
[8]
학술지
Asymptotic Freedom in Parton Language
[9]
학술지
Massive Lepton-Pair Production in Hadron-Hadron Collisions at High Energies
[10]
문서
Structure Functions
http://pdg.lbl.gov/2[...]
2019
[11]
학술지
Parton Physics on a Euclidean Lattice
2013-06-26
[12]
학술지
Parton physics from large-momentum effective field theory
2014-05-07
[13]
arXiv
The Les Houches accord PDFs (LHAPDF) and LHAGLUE
[14]
학술지
Spin structure of the nucleon
[15]
학술지
Gauge-Invariant Decomposition of Nucleon Spin
1997-01-27
[16]
학술지
Deeply virtual Compton scattering
1997-06-01
[17]
학술지
Unraveling hadron structure with generalized parton distributions
[18]
웹사이트
The physics of parton showers
https://www.phys.psu[...]
2009-06
[19]
간행물
Complete simulation of collider events
https://web.archive.[...]
2012-05-25
[20]
간행물
Understanding events at the LHC: Parton Showers and Matrix Element tools for physics simulation at the hadronic colliders
http://www1b.physik.[...]
2006-11-28
[21]
컨퍼런스
The Behavior of Hadron Collisions at Extreme Energies
Gordon & Breach
[22]
학술지
Inelastic Electron-Proton and γ-Proton Scattering and the Structure of the Nucleon
[23]
학술지
The Les Houches accord PDFs (LHAPDF) and LHAGLUE
[24]
학술지
Unraveling hadron structure with generalized parton distributions
[25]
서적
[26]
학술지
[27]
학술지
[28]
웹인용
CT10 NLO and NNLO parton distribution functions
http://hep.pa.msu.ed[...]
2012-09-08
[29]
학술지
[30]
학술지
Dynamical Parton Distributions Revisited
1998
[31]
학술지
Parton distributions incorporating QED contributions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