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범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범석은 1924년 목포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극작가이다. 일제강점기 말 일본군에 징집되었으며, 해방 후 극예술연구회를 조직하여 연극 활동을 시작했다. 195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밀주'가 입선하고, 이듬해 '귀향'이 당선되면서 극작가로 데뷔했다. 1963년에는 극단 산하를 창단하여 연극 대중화에 힘썼으며, 대한민국 예술원 원로회원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원장을 역임했다. 2006년 암으로 사망했으며, 유치진의 뒤를 잇는 사실주의 묘사로 한국 전쟁 이후 사회 문제를 작품에 반영했다. 주요 작품으로 '불모지', '산불', '학이여, 사랑일레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교육대학교 동문 - 류락진
류락진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남로당, 통일혁명당, 구국전위 사건 등으로 여러 차례 투옥되었으며, 서예가로 활동하다 2005년에 사망했다. - 광주교육대학교 동문 - 박지원 (1942년)
박지원(1942년)은 전라남도 진도군 출신의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5선 국회의원, 김대중 정부 대통령비서실장 및 문화관광부 장관, 문재인 정부 국가정보원장을 역임했으며, 김대중 전 대통령 지원을 통해 정계에 입문하여 주요 당직을 맡았고 남북정상회담 성사에 기여했으나 대북 불법 송금 사건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 연희대학교 동문 - 최인규 (1919년)
최인규는 연희전문학교와 뉴욕대학교를 졸업 후 대한교역공사와 한국무역진흥주식회사에서 근무하다 자유당 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제4대 국회의원, 교통부 장관, 내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나, 3·15 부정선거의 총책임자로 지목되어 4·19 혁명 이후 구속, 5·16 군사정변 이후 사형을 선고받고 처형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연희대학교 동문 - 문창모
문창모는 결핵 퇴치 운동에 기여한 의사이자 자유당, 공화당, 통일국민당 소속의 정치인으로, 제14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원주기독교병원 재건과 연세대학교 원주대학 설립에 공헌했다. - 청주대학교 교수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청주대학교 교수 - 박진성 (시인)
2001년 《현대시》로 등단한 대한민국의 시인 박진성은 여러 수상 경력과 작품 활동에도 불구하고 미성년자 성희롱 의혹, 명예훼손, 자살 암시 글 게시 등 여러 논란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켰으며, 특히 성희롱 피해 폭로 여성에 대한 명예훼손 혐의로 법정 구속되었다.
차범석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차범석(車凡錫)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목포부 |
사망지 | 대한민국 고양시 일산 |
직업 | 극작가, 연출가, 교육자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연희대 영어영문학과 학사 |
활동 기간 | 1948년 ~ 2006년 |
주요 작품 | 《밀주》 (조선일보-가작) 《귀향》(조선일보-당선) 《백화》 《고향 없는 사람들》 《눈보라의 운하》 등 |
2. 생애
차범석은 1924년 목포에서 태어나, 광복 전 교사로 일하다 일본군에 징집되었다. 광복 후 1946년 대학에 진학하여 "극예술연구회"를 조직하며 연극 경력을 시작했다. 195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밀주''가 입선하며 극작가로 데뷔했고, 1956년 ''귀향''이 당선되었다. 1963년 극단 "산하"를 창단하여 대표, 극작가, 연출가를 겸했다. 1965년부터 대학교수로 재직했으며, 대한민국 예술원 원로회원 및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원장을 역임했다.[2] 2006년 82세의 나이로 암으로 사망했다.[3]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그는 1924년 목포에서 태어났다. 광복 전에는 교사로 일했으며, 강제로 일본군에 징집되었다. 한국이 독립한 후 1946년에 대학에 진학하여 교내 동아리인 "극예술연구회"를 조직하여 연극 분야에서 경력을 시작했다.[2]2. 2. 등단 및 초기 작품 활동
195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밀주〉가 입선하며 극작가로 데뷔했고, 이듬해인 1956년에는 〈귀향〉이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었다.[2] 1963년 연극의 대중화를 위해 극단 "산하"를 창단하여 극단 대표, 극작가, 연출가 역할을 했다.[2]2. 3. 극단 '산하' 창단 및 활동
차범석은 1963년 연극의 대중화를 위해 극단 "산하"를 창단하여 극단 대표, 극작가, 연출가로 활동했다.[2]2. 4. 후기 활동 및 타계
그는 대한민국 예술원 원로회원 및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원장을 역임했다.[2] 1924년 목포에서 태어났으며, 2006년 82세의 나이로 암으로 사망했다.[3]3. 작품 세계
차범석은 유치진의 뒤를 이어 사실주의적 묘사를 하는 작가로 알려져 있다.[4] 한국 전쟁을 겪은 그는 작품에 사회 문제를 반영하는 전후 작가였다.[5] 사실주의적 묘사를 통해 현실을 진실하게 묘사하려는 작가적 의식은 그의 작품 세계의 핵심이었다.[6] 1963년 극단 "산하"를 창단하기 전까지 그는 전후 한국 사회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다루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불모지』(1957)와 『산불』(1957)이 있다.[8] 이후 극단을 창단하여 연극 대중화에 힘쓰면서, 그의 작품은 사회 갈등을 비판적으로 드러내는 것에서 벗어나 민족 정서와 인간 내면세계를 탐구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10] 이러한 변화를 보여주는 주요 작품으로는 『학이여, 사랑일레라』(1981)가 있다.[11]
3. 1. 초기: 전후 현실의 비판적 묘사
차범석은 유치진의 뒤를 잇는 사실주의 묘사로 잘 알려져 있다.[4] 그는 20대에 한국 전쟁을 겪으며 작품에 사회 문제를 반영한 전후 작가이다.[5]그에게 있어 사실주의적 묘사를 통해 현실을 진실하게 묘사하려는 작가적 의식이 작품의 핵심이었다.[6] 1963년 극단 "산하"를 창단하기 전까지 전후 한국 사회 문제를 비판적으로 다루었다.[7] 대표작으로는 『불모지』(1957)와 『산불』(1957)이 있다. 『불모지』는 전쟁 직후 불안정한 사회를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의 갈등과 그 붕괴의 형태로 묘사한다. 『산불』은 사람들의 욕망과 결합된 전쟁의 폭력성을 묘사한다.[8] 이 작품은 한국 전쟁으로 인해 희망을 잃어가는 젊은이와 그를 둘러싼 욕망을 대비하여 민족 분단과 이념 갈등의 참혹한 현실을 묘사한다.[9]
3. 2. 후기: 민족 정서와 인간 내면 탐구
차범석은 1963년 극단을 창단하여 연극 대중화에 힘쓴 이후, 작품에서 사회 갈등을 비판적으로 드러내는 것에서 벗어나 민족 정서와 인간의 내면 세계를 탐구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10] 주요 작품 중 하나인 『학이여, 사랑일레라』(1981)는 이러한 변화를 잘 보여준다. 이 작품은 세 명의 소녀가 사랑에 실패하여 학이 되어 세 개의 섬으로 변했다는 삼학도에 얽힌 신화를 바탕으로 한다.[11] 또한 한국의 전통적인 정서와 사상을 다루는 동시에[12] 진실, 아름다움, 덕, 지혜, 정의, 옳음과 같은 사람들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가치를 탐구한다.[13]4. 작품 목록
차범석의 작품은 크게 전집, 희곡집, 평론집, 수필집, 자서전으로 나눌 수 있다.
종류 | 제목 | 출판사 | 출판 연도 | 원어 표기 및 비고 |
---|---|---|---|---|
전집 | 《차범석 전집》 1–8 | 태학사 | 2018 | Cha Beomseok jeonjip한국어 |
희곡집 | 《껍질이 째지는 아픔 없이는》 | 정신사 | 1960 | KKeopjili jjaejineun apeum eopsineun한국어 |
희곡집 | 《대리인》 | 선명문화사 | 1969 | Daeriin한국어 |
희곡집 | 《환상여행》 | 어문각 | 1975 | Hwansangyeohaeng한국어 |
희곡집 | 《학이여, 사랑일레라》 | 어문각 | 1982 | Hakiyeo, sarangilera한국어 |
희곡집 | 《식민지의 아침》 | 학고방 | 1992 | Sikminjieui achim한국어 |
희곡집 | 《통곡의 땅》 | 가람기획 | 2000 | Tongkokeui ttang한국어 |
희곡집 | 《옥단어!》 | 푸른사상 | 2003 | Okdaneo!한국어 |
평론집 | 《동시대의 연극인식》 | 범우사 | 1987 | Dongsideaeui yeongeukinsik한국어 |
평론집 | 《한국소극장연극사》 | 연극과 인간 | 2004 | Hankuksogeukjangyeonkeuksa한국어 |
수필집 | 《거부하는 몸짓으로 사랑했노라》 | 범우사 | 1984 | Geobuhaneun momjiseuro saranghaetnora한국어 |
수필집 | 《목포행 완행열차의 추억》 | 융성출판사 | 1994 | Mokpohaeng wanhaengyeolchaeui chueok한국어 |
자서전 | 《예술가의 삶》 | 혜화당 | 1993 | Yesulgaeui sam한국어 |
자서전 | 《떠도는 산하》 | 형제문화 | 1998 | Ddeodoneun sanha한국어 |
4. 1. 희곡
- 산불
- 불모지
- 성난 기계
- 고구마
- 제7희곡집《통곡의 땅》
- 밀주
- 귀향
- 청기와집
- 열대어
- 장미의 성
- 이차돈의 죽음
- 새야 새야 파랑새야
- 활화산
- 학살의 숲
- 새벽길
- 차범석 전집한국어 1–8, 태학사, 2018
- 껍질이 째지는 아픔 없이는한국어, 정신사, 1960
- 대리인한국어, 선명문화사, 1969
- 환상여행한국어, 어문각, 1975
- 학이여, 사랑일레라한국어, 어문각, 1982
- 식민지의 아침한국어, 학고방, 1992
- 통곡의 땅한국어, 가람기획, 2000
- 옥단어!한국어, 푸른사상, 2003
4. 2. 저서
- 《껍질이 째지는 아픔 없이는》
- 《대리인》
- 《새마을연극 희곡 선집》
- 《환상 여행》
- 《학이여 사랑일레라》
- 《거부하는 몸짓으로 사랑했노라》
- 《목포행 완행열차의 추억》
'''전집'''
- 《차범석 전집》 1–8, 태학사, 2018 / Cha Beomseok jeonjip|차범석 전집한국어 1–8, 태학사, 2018
'''희곡집'''
- 《껍질이 째지는 아픔 없이는》, 정신사, 1960 / KKeopjili jjaejineun apeum eopsineun|껍질이 째지는 아픔 없이는한국어, 정신사, 1960
- 《대리인》, 선명문화사, 1969 / Daeriin|대리인한국어, 선명문화사, 1969.
- 《환상여행》, 어문각, 1975 / Hwansangyeohaeng|환상여행한국어, 어문각, 1975.
- 《학이여, 사랑일레라》, 어문각, 1982 / Hakiyeo, sarangilera|학이여, 사랑일레라한국어, 어문각, 1982.
- 《식민지의 아침》, 학고방, 1992 / Sikminjieui achim|식민지의 아침한국어, 학고방, 1992.
- 《통곡의 땅》, 가람기획, 2000 / Tongkokeui ttang|통곡의 땅한국어, 가람기획, 2000.
- 《옥단어!》, 푸른사상, 2003 / Okdaneo!|옥단어!한국어, 푸른사상, 2003.
'''평론집'''
- 《동시대의 연극인식》, 범우사, 1987 / Dongsideaeui yeongeukinsik|동시대의 연극인식한국어, 범우사, 1987.
- 《한국소극장연극사》, 연극과 인간, 2004 / Hankuksogeukjangyeonkeuksa|한국소극장연극사한국어, 연극과 인간, 2004
'''수필집'''
- 《거부하는 몸짓으로 사랑했노라》, 범우사, 1984 / Geobuhaneun momjiseuro saranghaetnora|거부하는 몸짓으로 사랑했노라한국어, 범우사, 1984.
- 《목포행 완행열차의 추억》, 융성출판사, 1994 / Mokpohaeng wanhaengyeolchaeui chueok|목포행 완행열차의 추억한국어, 융성출판사, 1994.
'''자서전'''
- 《예술가의 삶》, 혜화당, 1993 / Yesulgaeui sam|예술가의 삶한국어, 혜화당, 1993.
- 《떠도는 산하》, 형제문화, 1998 / Ddeodoneun sanha|떠도는 산하한국어, 형제문화, 1998.
5. 수상 경력
연도 | 상 이름 | 작품 |
---|---|---|
1956년 | 신인 문학상 | 귀향 |
1962년 | 목포시 문화상 | |
1970년 |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희곡) | |
1981년 | 대한민국 연극제 (희곡) | 학이여 사랑일레라[1] |
1982년 | 대한민국 예술원상 | |
1983년 | 동랑연극상 | |
1991년 | 대한민국문학상 본상 | 식민지의 아침 |
1993년 | 이해랑 연극상 | |
1997년 | 서울특별시 문화상 |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https://terms.naver.[...]
[2]
웹사이트
Cha Bumseok
https://terms.naver.[...]
[3]
뉴스
Renowned Playwriter, Cha Bumseok passed away.
http://www.hani.co.k[...]
Hankyoreh
2006-06-06
[4]
웹사이트
Cha Bumseok
https://terms.naver.[...]
[5]
서적
Dictiona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https://terms.naver.[...]
[6]
간행물
What to Write
Singumunhwasa
1981
[7]
서적
Study on Cha Bumseok’s Plays
Kookhak
2003
[8]
서적
Modern Theatrical Culture and Cha Bunseok’s Plays
2010
[9]
웹사이트
Burning Mountain
https://terms.naver.[...]
[10]
서적
Study on Cha Bumseok’s Plays
Kookhak
2003
[11]
서적
Study on Cha Bumseok’s Plays
Kookhak
2003
[12]
서적
Study on Cha Bumseok’s Plays
Kookhak
2003
[13]
서적
Crane, It Is Love
Eomungak
1982
[14]
웹사이트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https://library.ltik[...]
[15]
웹사이트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https://library.ltik[...]
[16]
웹사이트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https://library.ltik[...]
[17]
웹사이트
차범석
http://encykorea.aks[...]
[18]
웹인용
3·1문화재단
http://www.31cf.or.k[...]
2023-03-08
[19]
웹인용
차범석의 생애와 예술
https://auditorium.k[...]
2023-03-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