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라파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트라파티는 산스크리트어, 마라티어, 크샤트리아 등 여러 어원을 가지고 있으며, "황제", "왕", "지배자" 또는 "지도자"를 의미한다. 1674년 시바지 1세가 마라타 제국을 건국하면서 왕의 칭호로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그의 후계자들과 사타라, 콜하푸르 지역의 통치자들이 이 칭호를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라타 차트라파티 - 시바지
시바지는 17세기 인도 마라타 왕국의 창시자이자 전사왕으로, 무굴 제국에 저항하여 독립적인 왕국을 건설하고 뛰어난 능력으로 발전시켜 인도 민족주의의 상징이자 마하라슈트라 주의 국민 영웅으로 추앙받는다. - 마라타 차트라파티 - 프라탑 싱
프라탑 싱은 시바지의 후손으로, 1808년부터 1839년까지 사타라의 라자였으나 영국 동인도 회사에 의해 폐위되었으며, 농업, 교육, 무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을 펼쳤다. - 황족 칭호 - 카이저
카이저는 로마 황제 칭호 카이사르에서 유래한 독일어 단어로 황제를 의미하며, 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독일 제국 군주의 칭호로 사용되었고, 오스트리아에서는 최고 수준을 나타내는 접두사로, 일본 천황 지칭, 제왕절개의 어원으로도 쓰인다. - 황족 칭호 - 아우구스투스 (칭호)
아우구스투스는 로마 황제를 상징하는 칭호로, 옥타비아누스가 받은 후 황제의 고유 칭호가 되었으며, 법적 권한은 없었으나 최고 권력자의 상징으로 후대 황제들에게도 사용되었다. - 인도의 칭호 - 자민다르
자민다르는 무굴 제국부터 현대 인도와 방글라데시까지 존재했던 토지 소유 및 관리 제도로, 시대에 따라 자치 영주나 토지 소유주를 의미했으며, 인도 독립 후 헌법 개정을 통해 대부분 폐지되었다. - 인도의 칭호 - 술탄 중의 술탄
차트라파티 | |
---|---|
마라타 군주 | |
![]() | |
![]() | |
칭호 | |
로마자 표기 | Chhatrapati |
원어 명칭 | मराठ्यांचे छत्रपती |
통치 기간 | |
시작 | 1674년 |
종료 | 1818년 |
거주지 | |
거주지 | 라이가드 요새(1674년~1689년) 사타라(1689년~1714년) 샤니와르 와다, 푸네(1714년~1818년) |
작위 | |
작위 | 마하라지 |
계승 | |
계승 방식 | 세습 군주제 |
역대 군주 | |
초대 군주 | 시바지 1세 |
마지막 군주 | 프라탑 싱(사타라의 라자) |
현재 계승자 | |
콜하푸르 차트라파티 | 샤후 2세(콜하푸르) (1983년~현재) |
사타라 차트라파티 | 우다얀라제 보살레 (1978년~현재) |
2. 어원
산스크리트어의 경우, 크샤트라/크셰트라('''kshatra''', 또는 '''kshetra''' [''empire''/''land'']) + 파티('''pati''' [''lord''/''husband''])로 "황제"를 의미한다. 마라티어의 경우, 찻라('''chatra''' [''roof'' or ''umbrella'']) + 파티('''pati''' [''husband''])로 "왕" 또는 "지배자"를 의미한다. 이 외에도 크샤트리아("'''Kshatriya'''") + 파티("'''Pati'''")로 지도자 또는 전사(크샤트리아)의 주(主)라는 설이 있다.
시바지가 마라타 제국을 건국하면서 왕의 칭호로 "차트라파티(छत्रपति)"를 채택했고[1], 이후 샹바지, 라자람을 비롯한 역대 군주들이 이 칭호를 사용했다.[2]
3. 역사
3. 1. 마라타 제국의 차트라파티
1674년 6월, 시바지는 마라타 제국을 건국하면서 왕의 칭호로 "차트라파티(छत्रपति)"를 채택했다.[1]
1680년 4월, 시바지가 죽자 후계자 샹바지도 이 칭호를 사용했고, 동생 라자람을 비롯하여 멸망할 때까지 역대 군주들이 이 칭호를 사용했다.[2]
4. 역대 차트라파티 목록
마라타 제국의 시바지는 1674년 6월에 왕위에 오르며 "차트라파티(छत्रपति)"라는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3] 1680년 4월 시바지가 사망한 후, 그의 아들 상바지와 라자람 1세를 포함한 후대 군주들도 이 칭호를 계속 사용했다.[3]
차트라파티 칭호를 사용한 역대 군주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초기 차트라파티 (마라타 제국): 시바지 1세부터 프라탑 싱까지 마라타 제국을 다스린 차트라파티들이다.
- 사타라의 차트라파티: 프라탑 싱 이후 사타라 지역을 통치한 차트라파티들이다. 명목상의 차트라파티도 포함되어 있다.[4]
- 콜하푸르의 차트라파티: 시바지 2세(Shivaji II) 이후 콜하푸르 지역을 통치한 차트라파티들이다.[4]
4. 1. 초기 차트라파티 (마라타 제국)
1674년 6월, 시바지(शिवाजी)는 마라타 제국(मराठा साम्राज्य)을 건국하면서 왕의 칭호로 "차트라파티(छत्रपति)"를 채택했다. 시바지가 1680년 4월에 사망하자, 후계자 상바지(शंभाजी)도 이 칭호를 사용했고, 동생 라자람 1세(राजाराम)을 비롯하여 멸망할 때까지 역대 군주들이 이 칭호를 사용했다.
4. 2. 사타라의 차트라파티
다음은 사타라(Satara State)의 차트라파티 목록이다.[4]초상화 | 차트라파티 | 출생 | 재위 기간 | 사망 |
---|---|---|---|---|
-- | 프라탑 싱 (사타라 라자) | 1793년 1월 18일 | 1818년 – 1839년 9월 5일 | 1847년 10월 14일 |
![]() | 샤하지 (사타라 라자) | 1802년 | 1839년 9월 5일 – 1848년 4월 5일 | 1848년 4월 5일 |
4. 2. 1. 명목상 차트라파티
4. 3. 콜하푸르의 차트라파티
콜하푸르의 샤후 1세(Shahu I of Kolhapur)



콜하푸르의 샤후 2세(Shahu II of Kolhap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