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구스투스 (칭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구스투스는 로마 제국의 황제를 지칭하는 칭호로, 옥타비아누스가 처음 사용했다. 기원전 27년 로마 원로원은 옥타비아누스에게 아우구스투스 칭호를 부여했으며, 이후 황제의 권위와 신성함을 상징했다. 이 칭호는 로마 황제의 공식 칭호 중 하나가 되었고, 동로마 제국에서는 그리스어로 번역되어 사용되었다. 신성 로마 제국에서도 황제의 칭호로 사용되었으며, 아일랜드 국왕 브라이언 보루가 이 칭호를 사용한 예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황제 -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는 1405년에 태어나 1449년 황제가 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위협 속에서 동서 교회의 통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과 함께 최후를 맞이하며 동로마 제국의 종말을 가져왔다. - 로마 황제 - 유스티니아누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527년부터 38년간 동로마 제국을 통치하며 로마법 대전 편찬, 하기아 소피아 대성당 건설 등의 업적을 남겼고 벨리사리우스 장군을 통한 정복 전쟁, 교회 정책 추진 등으로 제국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결코 잠들지 않는 황제"였다. - 황족 칭호 - 카이저
카이저는 로마 황제 칭호 카이사르에서 유래한 독일어 단어로 황제를 의미하며, 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독일 제국 군주의 칭호로 사용되었고, 오스트리아에서는 최고 수준을 나타내는 접두사로, 일본 천황 지칭, 제왕절개의 어원으로도 쓰인다. - 황족 칭호 - 차트라파티
차트라파티는 인도 마라타 제국의 군주들이 사용한 "황제", "왕", "지도자"를 의미하는 칭호로, 시바지 1세가 마라타 제국 건국 시 처음 사용한 이후 그의 후계자들이 계승하였으며, 현재는 우다얀라제 보살레가 칭호를 이어받고 있다. - 고대 로마의 관직과 칭호 - 트리부누스
트리부누스는 고대 로마에서 시작된 직책으로, 부족 지도자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시대와 상황에 따라 여러 유형과 권한을 가진 관직을 의미한다. - 고대 로마의 관직과 칭호 - 켄투리오
켄투리오는 로마군의 백인대를 지휘하는 중·하급 장교로, 마리아누스 개혁 이후 약 80명의 병사를 지휘했으며, 경력에 따라 승진하여 높은 권위를 누리기도 했고, 신약성서에도 등장한다.
아우구스투스 (칭호) | |
---|---|
아우구스투스 (칭호) | |
로마자 표기 | Augustus |
그리스어 표기 | Αὔγουστος |
발음 | IPA: /ɔːˈɡʌstəs/ 발음(미국): aw-GUST-əs IPA(고전 라틴어): /au̯ˈɡʊstʊs/ |
개요 | |
의미 | "존엄한 자" 또는 "존경받는 자"를 의미하는 라틴어 칭호 |
기원 | 고대 로마에서 처음 사용됨 |
사용 시작 | 옥타비아누스에게 부여된 칭호에서 유래 |
초기 사용 | 옥타비아누스가 원로원으로부터 이 칭호를 받은 후, 그의 이름의 일부로 사용됨 |
역사적 사용 | |
로마 제국 | 로마 황제들의 공식 칭호로 사용됨 |
황제 | 황제의 권위와 신성함을 상징 |
신성한 의미 | 로마 황제를 신과 연결하는 칭호로 사용됨 |
다른 사용 | 로마 황후에게도 사용됨 ("아우구스타") 후대의 군주들에게도 영향 |
변형 | 여성형: 아우구스타 복수형: 아우구스티 (Augusti) |
현대적 의미 | |
일반적 의미 | 존경이나 위엄을 나타내는 칭호로 사용 |
파생 | 서양의 인명이나 지명에서 자주 사용됨 |
같이 보기 | |
관련 칭호 | 카이사르 임페라토르 |
관련 인물 | 아우구스투스 |
참고 문헌 | |
인용 | 옥스포드 레퍼런스 옥스포드 사전 |
2. 로마 제국
아우구스투스는 로마 제국에서 황제를 지칭하는 칭호로 사용되었다. 초대 아우구스투스는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옥타비아누스이며, 기원전 27년 1월 16일 원로원으로부터 이 칭호를 받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Imperator Caesar Augustus)로 개명했다.
옥타비아누스는 아우구스투스 칭호를 사용한 후 40년 동안 프린켑스, 임페라토르, 집정관 또는 프로콘술 명령권 보유자, 호민관 직권, 최고신관 등 여러 공직과 권력을 겸임하며 특별한 지위를 인정받고 후대 황제들의 관례를 만들었다.
역대 로마 황제는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 세 가지 칭호를 사용했는데, 이 중 “아우구스투스”는 로마 황제만이 사용하는 칭호였다. “로마 황제”라는 공직은 존재하지 않지만, 옥타비아누스에 의해 모든 권력을 겸임하는 최고 권력자로서의 로마 황제가 확립되었고, “아우구스투스”는 법률상 의미는 없지만 로마 황제를 상징하는 이름으로 인식되었다.
3세기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테트라르키아(사분통치)를 창설하면서 “아우구스투스(Augustus)”는 동서의 “정황제” 칭호로, “카이사르(Caesar)”는 “부황제” 칭호로 정해졌다.
동로마 제국에서는 황제 칭호가 그리스어화되어 “임페라토르”는 “아우토크라토르”로, “카이사르”는 “카이사르”로, “아우구스투스”는 “아우구스토스”(세바스토스)로 번역되었다. 바실레우스 칭호도 황제 칭호로 추가되었다. 이러한 그리스어 칭호들은 1453년 동로마 제국 멸망 때까지 사용되었다.
2. 1. 기원과 초기 사용
Augustus|아우구스투스la라는 칭호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상속자(옥타비아누스)와 처음으로 연관되기 30년 전에는 종교적 권위와 관련된 모호한 존칭이었다. 초기 문맥(기원전 58년) 중 하나는 이것을 속주 라레스(로마 가정의 신)와 관련짓고 있다.[4] 라틴어 시와 산문에서 이 단어는 이미 신성하거나 종교적인 것의 더 높은 승격이나 증대를 의미한다.[5] 일부 로마 자료들은 이를 점복과 연결시켰고, 로마는 로물루스의 "숭고한 점복(august augury)"으로 건설되었다고 한다.[6]최초의 로마 황제이자 "아우구스투스"라는 칭호를 가진 최초의 인물은 옥타비아누스였다. 그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외조카였으며, 카이사르 사후 그의 양자이자 상속인이 되었다. 옥타비아누스는 카이사르와 관련된 어떠한 연관성도 세심하게 피했지만, ''Divi filius''("신성한 자의 아들")로서 그의 지위와 의무를 인정했다. 그는 악티움 해전에서의 승리로 로마의 오랜 내전을 종식시키고 평화를 수립하여 신의 총애를 받았다는 것이 분명했다. 그는 ''princeps senatus''("원로원의 수장")로서 원로원 회의를 주재했고, pontifex maximus(로마 국가 종교의 대제사장)이었다. 그는 집정관의 ''imperium''(권력)을 가지고 있었고, 최고 행정 책임자와 동등한 권위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모든 로마 군단의 최고 사령관이었으며 ''tribunicia potestas''("호민관 권력")을 가지고 있었다. 호민관으로서 그의 신변은 불가침(sacrosanctitas)이었고, 로마 내 어떤 고관의 행위나 제안이라도 거부권을 행사할 권리가 있었다.
기원전 27년 1월 16일, 로마 원로원은 옥타비아누스에게 '아우구스투스'라는 칭호를 수여했다. "로물루스"라는 칭호도 고려되었지만, 옥타비아누스를 로마의 두 번째 건국자로 만들 수 있다는 이유로 거부되었다.[7][8][9] 이 칭호는 종교성과 모호하게 연관되어, 그가 로마와 신들의 승인, 그리고 그의 독특하고 고귀하며 "신과 같은" 본성과 재능에 그의 지위를 빚지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다.[7] 그의 공식적인 전체 칭호는 ''Imperator Caesar Divi Filius Augustus''가 되었다.
아우구스투스의 종교 개혁은 ''Augusti''를 여러 지역의 하급 신들에 대한 칭호나 영예로 확장했는데, 여기에는 지역 사회의 ''Lares Augusti''와 북아프리카의 ''Marazgu Augustus''와 같은 무명의 지방 신들이 포함된다. 황제 칭호를 로마와 그 속주들의 주요 신과 하급 신들에게 확장한 것은 황제 숭배의 기초적인 특징으로 여겨지며, 기독교가 로마의 전통 종교를 공식적으로 대체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이 칭호의 종교적 모호성은 제국 전역에서 이러한 종류의 신격화를 허용했는데, 아시아와 비티니아를 시작으로 신민들은 아우구스투스의 ''genius''(정령) 또는 영혼을 숭배하여 통치자 숭배를 확립했다.[10]
초대 황제는 자신의 유언장에서 양자이자 후계자인 티베리우스에게 ''아우구스투스'' 칭호를 물려주었다.[11]
2. 2. 황제 칭호의 확립
옥타비아누스 이후, ''아우구스투스''는 로마 황제의 공식 칭호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이 칭호는 티베리우스에게 처음으로 유증되었고,[11] 이후 로마 원로원에서 수여하는 칭호가 되었다.[11]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이전까지는 한 명의 황제에게만 부여되었으나, 161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루키우스 베루스를 ''아우구스투스''로 승격시키면서 동시에 두 명의 황제가 이 칭호를 가지게 되었다.[11]''아우구스투스'' 칭호를 받은 날은 ''dies imperii''로 기념되었으며,[11] 3세기부터는 새로운 황제들이 군대에 의해 ''아우구스투스''로 추대되기도 했다.[11]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는 테트라르키아를 설립하여 두 명의 ''아우구스투스''와 두 명의 ''카이사르''에게 권력을 분담시켰다.[11] 이때 ''아우구스투스''는 제국을 분할 통치하는 정제(正帝)의 칭호로 사용되었으며,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입법권을 유지했다.[11]
테트라르키아의 내전 이후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semper Augustus''('영원한 아우구스투스') 칭호를 사용했다.[11] 콘스탄티누스 이후로는 Αὔγουστος|aúgoustos|links=nogrc가 사용되었다.[11]
발렌티니아누스 1세와 발렌스 이후, 동부와 서부 속주의 아우구스투스는 동등한 지위를 가졌다.[11]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는 ''아우구스투스''를 칭호뿐만 아니라 고유명사로도 사용했다.[12]
헤라클리우스는 βασιλεύς|basileús|군주|links=nogrc를 도입했고, ''Augoustos'' 칭호는 중요성을 잃었다.[11]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는 그리스어로 각각 ''autokratōr'', ''kaisar'', ''augoustos''(또는 ''세바스토스''[13])로 번역되었다. ''세바스토스''는 황제의 배타적 지위를 잃었고, 8세기 이후 ''아우토크라토르''와 ''바실레우스''가 황제의 배타적인 칭호가 되었다.
아우구스투스 칭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로마 황제에 취임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것은 오해이다. 아우구스투스는 로마 황제에게 중요한 칭호이기는 하지만, 3세기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시대까지는 법적으로 그 칭호는 어떤 직책이나 권한도 나타내지 않았다.
3세기에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테트라르키아(사분통치)를 창설하면서 로마 제국은 동서로 나뉘었고, 동서 각각에 정황제와 부황제 두 명씩 존재하게 되었다. 그리고 “아우구스투스(Augustus)”는 동서의 “정황제” 칭호로, “카이사르(Caesar)”는 “부황제” 칭호로 정해졌다.
동로마 제국은 그리스어권을 주요 영토로 삼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황제의 주요 칭호는 7세기에는 그리스어로 대체되었다. "imperator"(임페라토르)는 "autokratôr"(아우토크라토르)로, "caesar"(카이사르)는 "kaisar"(카이사르)로, "augustus"(아우구스투스)는 "augoustos"(아우구스투스. 또는 "sebastos" 세바스토스)가 되었다. 또 원래 그리스어로 “왕”을 나타내는 말이었던 “바실레우스”도 칭호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리스어화된 칭호는 동로마 제국에서 1453년 제국 멸망까지 사용되었다. 다만, 11세기 이후로는 카이사르나 세바스토스 칭호는 황제 이외의 사람들도 사용하는 작위가 되었다.
2. 3. 여성형 칭호: 아우구스타
'''아우구스타'''(라틴어: Augusta)는 '''아우구스투스'''(Augustus)의 여성형 칭호로, 종교적인 의미가 암시적으로 포함된 묘사어에서 유래하였다. 이 칭호는 제국의 여러 여성들에게 수여되었으며, 세속적인 권력과 영향력, 그리고 신성에 가까운 지위를 나타냈다. 더 높은 위상을 나타내는 자격 요건은 없었다. 이 칭호 또는 경칭은 제국 정권의 관대함과 혜택과 관련된 국가 여신들, 예를 들어 케레스, 보나 데아, 유노, 미네르바, 옵스에게도 사용되었으며, 제국 전역의 지역 여신이나 하급 여신들에게도 사용되었다. 팍스(평화)와 빅토리아(승리)처럼 본질적으로 여성으로 여겨지고 아우구스타 칭호를 받은 다른 의인화된 개념들도 있다.아우구스타라는 경칭을 처음 받은 여성은 남편 아우구스투스의 유언에 따라 리비아 드루실라였다. 아우구스투스의 사후(14년)부터 그녀는 사망할 때까지(29년) 율리아 아우구스타로 알려졌다. 아우구스투스(Augustus)의 여성형인 “아우구스타(Augusta)”는 황제 일문 여성에게 예외적으로 수여되는 칭호였다. 여성에게는 이보다 더 높은 칭호가 없었으며, 마치 신과 같은 지위를 의미했다.
처음으로 아우구스타라는 칭호를 사용한 사람은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옥타비아누스)의 부인인 리비아 드루실라로, 남편의 유언에 따라 칭호를 받았다(14년). 이 때문에 그녀는 율리아 아우구스타(Julia Augusta)로도 알려져 있다. 옥타비아누스가 모범이 되어 후계자들이 아우구스투스를 칭했던 것처럼, 리비아가 모범이 되어 후대 여성들에게 아우구스타를 칭하는 자들이 나타났다.
소 아그리피나도 남편 클라우디우스 황제의 권위에 따라 아우구스타 칭호를 얻었다. 이후 그녀는 아들 네로를 황제로 만들었지만, 몇 년 후 아들에게 암살당했다. 리비아도 아들(리비아가 전 남편과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인 티베리우스)을 황제로 만들었지만, 이후 아들에게 소외되어 말년을 불우하게 보냈다.
2. 4. 동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에서는 황제의 칭호가 그리스어화되어 사용되었다. 임페라토르는 아우토크라토르로, 카이사르는 카이사르로, 아우구스투스는 아우구스토스 또는 세바스토스로 번역되었다.[13] 원래 그리스어로 “왕”을 뜻하는 바실레우스도 황제 칭호로 추가되었다. 이러한 그리스어 칭호들은 1453년 동로마 제국 멸망 때까지 사용되었다. 다만, 11세기 이후 카이사르나 세바스토스는 황제 외 다른 사람들도 사용하는 작위가 되었다.3. 신성 로마 제국
카롤루스 대제는 그의 칭호 앞에 ''serenissimus Augustus''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오토 1세가 사용한 칭호는 ''imperator Augustus''였다. 이 칭호의 상대적인 간결함과 로마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것은 비잔티움에 대한 존중이었는데, 비잔티움은 곧 중세 시대의 최고 권력에 도달하게 된다. 12세기까지 황제의 표준 칭호는 ''Dei gratia Romanorum imperator semper Augustus''(하느님의 은총으로 로마인의 황제, 영원한 아우구스투스)가 되었고, 적어도 16세기까지는 그대로 유지되었다.[1]
''semper Augustus''("영원히 숭고한")라는 표현은 신성 로마 제국 후기에 독일어로 번역될 때 문자 그대로 번역되지 않고, ''augere'' ("증가시키다, 늘리다")라는 타동사의 의미에서 ''allzeit Mehrer des Reiches''("영원한 제국의 증대자")로 번역되었다.[1]
신성 로마 제국에서 황제를 의미하는 라틴어 칭호는 “임페라토르 아우구스투스”(Imperator Augustus)였고, 독일어 칭호는 “카이사르”(Caesar)를 독일어로 번역한 “카이저”(Kaiser)였다.[1]
4. 기타 사용 사례
브라이언 보루(941년경 – 1014년)는 울스터 연대기에서 ''아일랜드 게일족, 노르웨이 게일족(바이킹), 그리고 브리튼인들의 고왕, 북서 유럽 전체의 아우구스투스''로 묘사되었는데, 이러한 칭호를 받은 유일한 아일랜드 국왕이었다.[14][15]
참조
[1]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Longman
[2]
웹사이트
Augustus, Augusta, as titles
https://www.oxfordre[...]
[3]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Late Antiqui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4]
간행물
Nemesis, the Roman state and the games
Brill
[5]
웹사이트
See entry at Lewis and Short's Latin dictionary, online at perseus.org
https://archive.toda[...]
[6]
간행물
The name Augustus
https://penelope.uch[...]
[7]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8]
간행물
The name Augustus
https://penelope.uch[...]
[9]
서적
The Roman World, Volume II
Routledge
2002
[10]
서적
The Religions of the Roman Empire
Cornell University Press
1985
[11]
학술지
Augustus [2]
https://referencewor[...]
2006
[12]
서적
The Imperial Families of Ancient Rome
Fonthill Media
2019
[13]
서적
From Jesus to Christianity: How Four Generations of Visionaries & Storytellers Created the New Testament and Christian Faith
HarperCollins
2005
[1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ucc.ie/c[...]
2017-05-23
[15]
웹사이트
The Annals of Ulster
http://celt.ucc.ie/p[...]
2018-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