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찰스 B. 스미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찰스 B. 스미스는 미국의 군인으로, 1916년 출생하여 1965년 준장으로 퇴역했다. 그는 1941년 진주만 침공 당시 군인 훈장을 받았고,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특히 한국 전쟁 발발 직후 스미스 특수임무부대를 이끌고 오산 죽미령 전투에 참전하여 수훈 십자장을 받았으며, 이후에도 한국에서 은성 훈장을 받았다. 퇴역 후에는 모토로라에서 근무했으며, 한국을 방문하여 참전 용사들을 기렸다. 그는 대한민국으로부터 태극무공훈장을 수여받았고, 2004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사관학교 동문 - 마이크 폼페이오
    마이크 폼페이오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기업인으로, 트럼프 행정부에서 국무장관과 CIA 국장을 역임했으며, 이전에는 캔자스주 연방 하원의원을 지낸 공화당 내 강경 보수파이자 복음주의 기독교 신자이다.
  • 미국 육군사관학교 동문 - 가이 S. 멜로이 주니어
    가이 S. 멜로이 주니어는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수훈십자장을 받았으며, 주한미군 사령관, 유엔군 사령관, 제8군 사령관을 역임하고 육군 대장으로 은퇴 후 테렐 힐스 시장을 지낸 미국의 군인이다.
  • 미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돈 오버도퍼
    돈 오버도퍼는 워싱턴 포스트에서 25년간 활동한 미국의 언론인이자 작가로, 한국전쟁 참전 경험과 냉전 종식 및 한국 현대사에 대한 저술 활동을 통해 저널리즘과 국제 관계 분야에 기여했다.
  • 미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가이 S. 멜로이 주니어
    가이 S. 멜로이 주니어는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수훈십자장을 받았으며, 주한미군 사령관, 유엔군 사령관, 제8군 사령관을 역임하고 육군 대장으로 은퇴 후 테렐 힐스 시장을 지낸 미국의 군인이다.
  • 뉴저지주 출신 - 재러드 쿠슈너
    재러드 쿠슈너는 미국의 사업가, 투자자, 부동산 개발업자, 신문 발행인이자 도널드 트럼프의 사위이며 전 미국 대통령 수석 고문으로, 쿠슈너 컴퍼니즈 CEO로서 부동산 사업을 확장하고 트럼프 행정부에서 다양한 정책 분야에 관여했으며, 현재는 투자 회사 애피니티 파트너스를 설립하여 투자 활동을 하고 있다.
  • 뉴저지주 출신 - 그로버 클리블랜드
    그로버 클리블랜드는 미국의 22대, 24대 대통령으로, 민주당 소속이며 연속되지 않은 두 번의 임기를 수행한 유일한 인물로서, 정직성과 청렴성을 강조하며 부패에 맞서 싸웠고 관세 인하와 재정 개혁을 추진했으며, 대통령 재임 중 백악관에서 결혼한 유일한 대통령이다.
찰스 B. 스미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찰스 브래드퍼드 스미스
찰스 브래드퍼드 스미스
이름찰스 브래드퍼드 스미스
출생일1916년 5월 7일
출생지뉴저지주 램버트빌
사망일2004년 5월 27일
사망지애리조나주 스코츠데일
별명Brad
군사 경력
복무 기간1939년 ~ 1965년
최종 계급[[파일:US-O7 insignia.svg|18px]] 준장
주요 참전 전투제2차 세계 대전
진주만 공격
한국 전쟁
오산 전투
서훈수훈십자장
육군공로훈장
은성훈장
리전 오브 메리트
군인훈장
한국 태극무공훈장
지휘제24보병사단 제21보병연대 제1대대(스미스 부대)
제3보병사단 제15보병연대
지휘 경력
부대Task Force Smith
연대15th Infantry Regiment

2. 생애

찰스 B. 스미스는 뉴저지주 램버트빌에서 태어나 1939년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1] 1941년 10월 베티 에번스와 결혼했다.[1] 그는 진주만 공격 당시 오아후섬 스코필드 막사에 있었으며,[2] 한국 전쟁 발발 후 오산 전투에서 "스미스 특수 임무 부대"를 이끌고 수훈 십자장을 받았다.[3]

이후 준장으로 진급하여 1965년에 은퇴했고, 말년에는 애리조나주 스코츠데일에서 살았다.[1]

2. 1. 초기 생애 및 제2차 세계 대전

1916년 5월 7일 미국 뉴저지주 램버트빌에서 태어났다. 1939년 뉴욕의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하와이 오아후 지역 미국 제25보병사단 제35연대 스코필드 배럭스(Schofield Barracks)에 배치되어 첫 근무를 시작했고, 35연대의 한 중대를 지휘했다.[4] 1941년 10월 베티 에번스와 결혼했다.[1]

1941년 12월 7일 일본의 진주만 침공 당시, 일본군이 진주만과 오아후의 다른 섬을 공격하자 스미스는 본부의 부대와 함께 섬의 수비 위치로 가서 방어하였으며, 바다에 빠진 조종사를 구출한 공로로 군인 훈장을 수상했다.[4]

1942년 말, 제25사단 일원으로 과달카날로 항해하여 일본군과 싸웠다. 1944년에 미국으로 돌아와 캔자스주의 포트 리븐워스(Fort Leavenworth) 지휘부에 근무하며 미국 육군지휘참모대학교에 다녔다. 그리고 조지아주 포트 베닝(Fort Benning)에서 교관으로 근무하고, 그 후 워싱턴 D.C.에 있는 국방부에 배치되어 3년 반 동안 근무했다.[4]

2. 2. 한국 전쟁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미국6월 30일 한반도에 지상군 투입을 결정했다. 스미스 중령은 특수임무부대장으로 임명되어 제24보병사단 제21보병연대 제1대대의 B중대와 C중대를 중심으로 406명으로 편성된 부대를 이끌게 되었다. 이 부대는 7월 1일 08시 45분 부산에 도착하여, 기차로 7월 2일 08시 대전에 도착했다. 그날 밤 경기도 오산 북방 죽미령에 진지를 점령하고 평택에 대대지휘소를 설치했다. 7월 4일에는 밀러 오스본 페리 중령이 이끄는 제52포병대대 A포대가 합류하여 보병과 포병을 통합한 특수임무부대가 완성되었다.[5]

7월 5일, 스미스 부대는 T-34 전차를 앞세운 조선인민군 2개 보병연대와 1개 전차연대와 맞서 싸웠다. 6시간 동안 이어진 전투에서 조선인민군의 전차 6대를 파괴하고 42명을 사살했으며, 80여 명에게 부상을 입혔다. 그러나 미군도 540명(포병 134명 포함) 중 181명(전사 150명, 실종 31명)이 목숨을 잃는 큰 피해를 입었다. 이 전투는 유엔군 소속 미 지상군이 한국전에서 치른 첫 전투였다. 스미스 부대는 포위되자 후퇴 명령을 내렸고, 조선인민군의 진격을 7시간 동안 저지하는 데 그쳤다. 하지만 미군 참전을 확인한 조선인민군이 전열을 재정비하는 동안 열흘을 벌어 낙동강 전선 구축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6] 스미스는 이 전투에서 패했지만, 적은 병력과 부족한 장비에도 용감히 싸운 공로로 수훈 십자장을 받았다.[3]

이후 스미스는 제24보병사단 제21보병연대 제1대대장으로 계속 활동하며, 1950년 10월 17일 황해도 해주에서 은성 훈장을 받았다. 1950년 11월 1일 신의주 남쪽 30km 지점까지 북진했다가 중국인민지원군의 개입으로 후퇴한 뒤, 11월 10일 전출 명령을 받고 미국으로 돌아갔다.[7]

2. 3. 한국 전쟁 이후

버지니아주 포트 먼로, 포트 맥아더, 캘리포니아주, 펜실베이니아주 칼라일에 있는 육군 대학과 육군 야전 부대에서 근무했다.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3년 동안 나토 남부 사령부에서 근무했다. 조지아주 포트 베닝에서 제3보병사단 제15보병연대를 지휘했다. 독일 뷔르츠부르크에서 3년간 선임 참모를 지냈다. 버지니아주 노퍽에 있는 육군 해군 대학의 조교로 근무했다. 메릴랜드주 포트 미드에서 제2군 참모장이 되었다. 콜로라도주 포트 커슨(Fort Carson)에서 제5사단 부사단장으로 근무했다. 1965년에 준장으로 퇴역했다.[4]

1975년 7월과 1987년 7월 두 차례 한국을 방문하여 오산 죽미령 전투 전몰 장병 추도식 및 유엔군 초전 기념식에 참석했다.[8] 1975년 7월 4일 첫 방문 때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태극무공훈장을 받았고[9] 전사한 전우들에게 영광을 돌렸다.[10][11]

3. 퇴역 이후

스미스는 1965년 준장으로 군에서 은퇴했다.[1] 은퇴 후에는 애리조나주 스코츠데일에 거주했다.[1]

4. 상훈

미국의 수훈 십자장, 육군공로훈장(Army Distinguished Service Medal), 은성 훈장, 훈공장, 군인훈장(Soldier's Medal) 그리고 대한민국의 태극무공훈장을 수여받았다.[1]

참조

[1] 웹사이트 Charles Bradford Smith https://www.legacy.c[...] 2021-03-04
[2] 웹사이트 An Arrogant Display of Strength https://www.army.mil[...] 2021-05-10
[3] 웹사이트 Charles Bradford Smith Collection http://memory.loc.go[...] 2021-03-04
[4] 웹사이트 Find a Grave https://www.findagra[...]
[5] 웹사이트 미군 스미스부대기 (모조) https://terms.naver.[...]
[6] 뉴스 65년전 181명의 희생이 오늘날 번영에 밑거름(종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8-12-01
[7] 뉴스 한국전 첫 전투 美軍 스미스 특공대장 별세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18-12-01
[8] 뉴스 6·25당시 북한군과 美 특공대장 스미스씨 별세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18-12-02
[9] 뉴스 스미드將軍(장군)에 勳章(훈장) https://newslibrary.[...] 1975-07-05
[10] 뉴스 철모 없이 전장터 뛰어다니고, 유치장에 갇혀…종군 기자의 ‘그날의 기억 https://n.news.naver[...]
[11] 뉴스 스미스 특수임무부대장 “이 훈장은 전사한 전우들 것”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