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정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주 정씨는 고려 시대의 중랑장을 지낸 정극경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고려 시대에 정해, 정책, 정오 등이 주요 인물로 활동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20명, 무과 급제자 6명, 의과 급제자 1명을 배출했다. 설헌계와 설곡계로 크게 나뉘며, 각 계열에서 분파가 이루어졌다. 주요 세거지로는 경상북도, 전라남도, 충청남도, 경기도, 황해남도 등 여러 지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청주 정씨 | |
---|---|
기본 정보 | |
한자 표기 | 淸州 鄭氏 |
로마자 표기 | Cheongju Jeong clan |
국가 | 한국 |
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 |
중시조 | 정오(鄭䫨), 정포(鄭鋪) |
연결된 인물 | 정구 |
인물 | |
주요 인물 | 정의 정해 정책 정총 정탁(擢) 정탁(琢) 정구 정문흠 정귀호 정성진 정양호 정곤수 정여명 |
통계 | |
2015년 인구 | 46,419명 |
기타 | |
웹사이트 | 중앙일보 기사 |
2. 역사
청주 정씨는 고려와 조선시대에 걸쳐 중요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고려 의종 때 중랑장을 지낸 정극경을 시조로 하며, 5세손 정해는 고려 원종 때 문과에 합격하여 고위 관직에 올랐다. 정해의 아들들인 정책과 정오는 각각 청하군과 서원군에 봉해졌다. 조선시대에는 종묘배향공신 1명을 배출했다.
2. 1. 시조 및 초기 역사
청주 정씨(淸州 鄭氏)의 시조 '''정극경'''(鄭克卿)은 고려 의종 때 중랑장(中郞將)을 지냈다.5세손 정해(鄭瑎)는 고려 원종 때 문과에 합격하여 광정대부(匡靖大夫)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에 올랐다.
정해의 아들인 정책(鄭㥽)은 통헌대부(通憲大夫) 판선공사(判繕工事)를 지냈고 청하군(淸河君)에 봉해졌다. 정해의 아들 정오(鄭䫨)는 공민왕 때 1등공신으로 첨의평리(僉議評理)에 오르며 서원군(西原君)에 봉해졌다.
조선시대 종묘배향공신 1명을 배출했다.
3. 분파
청주 정씨(淸州鄭氏)는 7세조 설헌(雪軒)과 설곡(雪谷)을 기점으로 크게 두 파로 나뉘었고, 이후 자손들의 번성에 따라 다시 여러 분파로 갈라졌다.
설헌계는 14세조 정언보(鄭彦輔)의 후손들(북지파, 영순파, 고성파, 연곡파, 고곡파, 마암파, 도진파, 송정파, 물민파, 죽전파, 광평파, 가야파), 정수필(鄭彦弼)의 후손들(안막파, 두호파), 정언좌(鄭彦佐)의 후손(죽관파)으로 나뉜다. 12세조 정훈노(鄭勳老)의 후손은 녹사공파, 정원노(鄭元老)의 후손은 모산파, 단호파, 노산파, 다야파, 삼구파, 소천파, 고평파, 양산파, 지산파, 삼강파, 사상파, 참의공파, 흥구파, 재방파로 분파되었다. 10세조 정상(鄭尙)의 후손은 원천파이다.
설곡계는 10세조 정효문(鄭孝文)의 후손(옹진파)과 정효충(鄭孝忠)의 후손(장단파, 제주파, 성주파, 지촌파, 유촌파, 함안파, 경산파, 죽산파, 오산파)으로 나뉜다. 9세조 정탁(鄭擢)의 후손은 춘곡파, 정섭(鄭攝)의 후손은 숙천파이다.
3. 1. 설헌계
설헌계(雪軒系)는 충청북도 청주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고려 말기에 예의판서를 지낸 정극경(鄭克卿)이며, 중시조는 정극경의 아들인 정오(鄭䫨)이다. 정오는 호가 설헌(雪軒)으로, 조선 개국 후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태2리에 은거하였다.[1] 주요 인물로는 정오의 후손인 정탁, 정두(鄭枓) 등이 있다.[1]3. 2. 설곡계
설곡계(雪谷系)의 시조는 고려 말기에 예의판서를 지낸 정극경(鄭克卿)이며, 중시조는 조선 세종 때 이조판서를 지낸 정포(鄭鋪)이다.[1]설곡계의 주요 인물로는 정포의 아들인 정총(鄭摠)과 그의 후손인 정탁(鄭擢)이 있다. 정탁(鄭擢)은 임진왜란 때 이순신을 변호한 것으로 유명하며, 호성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1] 그 외에도 정곤수(鄭崑壽), 정구(鄭逑), 정사성(鄭士誠), 정사공(鄭士恭), 정사신(鄭士信) 등이 있다.[1]
4. 과거 급제자
청주 정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20명을 배출하였다.[2]
4. 1. 고려시대
이름 |
---|
정오 |
정운 |
정총 |
정추 |
정탁 |
정포 |
정해 |
4. 2. 조선시대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는 20명, 무과 급제자는 6명, 의과 급제자는 1명이다.[1]
5. 주요 세거지
주요 세거지 |
---|
경상북도 문경시 호계면 우로리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소천리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신양리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칠봉리 |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고평리 |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삼강리 |
전라남도 광양시 다압면 고사리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매주리 |
경기도 파주시 진동면 하포리 |
황해남도 옹진군 봉치면 장수리 |
6. 항렬표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46세 | 47세 | 48세 | 49세 | 50세 | 51세 | 52세 |
---|---|---|---|---|---|---|---|---|---|---|---|---|---|---|---|---|---|---|---|---|---|---|---|---|---|---|---|
, , | 주(柱), , | 승(承), , | 재(在), 재(載), | 사(思), , , , | , , , | 인(寅), 진(震), 수(樹), 동(棟), | 헌(憲), , | 건(建), 교(敎), 박(珀), 용(墉) | , , | 도(道), 우(遇), 홍(洪) | 화(華), 종(種), 정(程) | , , | 치(致), 규(奎), 보(報) | , , | 상(湘), 용(溶), 준(準) | , , | 휘(煇), 진(晉), 조(照) | , , | 은(銀), 명(銘), 부(釜) | , , | 백(栢), 율(栗), 주(株) | , , | 호(琥), 리(理), 현(現) | , , | 혼(渾), 철(澈), 숙(淑) | , , | 연(然), 은(恩), 휘(暉) |
참조
[1]
웹사이트
(169){{!}}청주 정씨
https://news.joins.c[...]
1987-03-10
[2]
인물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데이터베이스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