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승달우산이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승달우산이끼는 초승달 모양의 컵에 원반 모양의 무성아를 담고 있는 녹색 엽상체를 형성하는 우산이끼의 일종이다. 엷은잎우산대이끼아강과 우산이끼아강으로 분류되며, 유럽, 오스트랄라시아, 아시아, 아메리카, 아프리카 등 전 세계에 분포한다. 습하고 그늘진 환경에서 자라며, 루눌라르산이라는 생장 호르몬을 생성하고, 항균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질랜드의 식물상 - 부들
부들은 여러해살이 풀로 돗자리나 방석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고 수질 정화 능력으로 습지 복원 사업에도 활용되며, 뉴질랜드 마오리족은 부들을 라우포라고 부르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했다. - 뉴질랜드의 식물상 - 갯메꽃
갯메꽃은 전 세계 해변에서 자라는 다년생 덩굴식물로, 콩팥 모양 잎과 연분홍색 나팔꽃 모양의 꽃이 피고, 뿌리와 꽃은 약재, 어린 싹과 땅속 줄기는 식용으로 쓰이나, 최근 개체수 감소로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우산이끼류 - 미주타니아 리카르디오이데스
미주타니아 리카르디오이데스는 일본에서 유래된 이름의 누에고케라고 불리는 태류 식물로, 한 겹의 세포층으로 이루어진 엽상체를 가지며 고사리과의 전엽체와 유사한 외관을 띄고, 비늘이끼목 구멍이끼과에 속한다. - 우산이끼류 - 산호우산대이끼과
산호우산대이끼과는 메츠게리알레스 목에 속하는 단순한 엽상체 선태류 과로, 종의 구분이 어렵고 유전자 연구를 통해 형태적으로 숨겨진 종이 밝혀졌으며, 초록우산대이끼속, Cryptothallus, Lobatiriccardia, 산호우산대이끼속, Verdoornia 등이 속한다.
초승달우산이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Lunularia cruciata |
명명자 | (L.) Dumort. ex Lindb. |
이명 | Selenia Hill non Nutt. Staurophora Willdenow Dichominum Neck. ex Trevisan Marsilia Kuntze non Linnaeus Sedgwickia Bowdich non Wall. & Griff. |
영어 이름 | crescent-cup liverwort |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제니고케식물문 |
강 | 제니고케강 |
아강 | 제니고케아강 |
목 | 제니고케목 |
과 | 미카즈키제니고케과 |
속 | 미카즈키제니고케속 (Lunularia) |
종 | 미카즈키제니고케 (L. cruciata) |
학술 분류 | |
역 | 진핵생물역 (Eukaryota) |
계 | 식물계 (Plantae) |
아계 | 선형식물아계 (Streptophyta) |
문 | 선태식물문 (Bryophyta) |
아문 | 태류선아문 (Marchantiophytina) |
강 | 망간선강 (Marchantiopsida) |
아강 | 망간선아강 (Marchantiidae) |
목 | 초승달우산이끼목 (Lunulariales) |
과 | 초승달우산이끼과 (Lunulariaceae) |
속 | 초승달우산이끼속 (Lunularia) |
종 | 초승달우산이끼 (L. cruciata) |
2. 계통 분류
2015년 빌라레알(Villarreal) 등의 연구에 기초한 우산이끼강의 계통 분류이다.[17] 이 분류에 따르면 우산이끼강은 크게 엷은잎우산대이끼아강과 우산이끼아강의 두 아강으로 나뉜다.
2. 1. 엷은잎우산대이끼아강
다음은 2015년 빌라레알(Villarreal) 등의 연구에 기초한 우산이끼강의 계통 분류에 따른 엷은잎우산대이끼아강의 위치이다.[17] 엷은잎우산대이끼아강은 엷은잎우산대이끼목을 포함하며, 엷은잎우산대이끼목은 엷은잎우산대이끼과를 포함한다.2. 2. 우산이끼아강
2015년 빌라레알(Villarreal) 등의 연구에 기초한 분류에 따르면, 우산이끼아강은 다음과 같은 목(目)을 포함한다.[17]- 네오호지소니아목 (Neohodgsoniales)
- 네오호지소니아과 (Neohodgsoniaceae)
- 스파이로카르포스목 (Sphaerocarpales)
- 리엘라과 (Riellaceae)
- 모노카르푸스과 (Monocarpaceae)
- 스파이로카르포스과 (Sphaerocarpaceae)
- 초승달우산이끼목 (Lunulariales)
- 우산이끼목 (Marchantiales)
3. 형태
''초승달우산이끼''는 크고 이분(二分) 가지를 가진 녹색 엽상체를 형성한다. 엽상체의 길이는 7mm에서 8mm 정도이다.[14]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엽상체 끝[14] 또는 표면에 초승달 모양의 컵(cupule)이 있고, 그 안에 원반 모양의 무성아(gemma)를 담고 있다는 점이다.[9][14] 이는 다른 엽상 우산이끼에서는 보기 드문 독특한 형태적 특징이다.[9]
엽상체 표면은 광택이 나며 희미하게 줄무늬가 있고, 작은 기공(pore)이 점점이 박혀 있다. 엽상체가 건조해지면 노란색으로 변하고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말리는 경향이 있다.[9] 다른 우산이끼와 마찬가지로, 눈에 보이는 주된 식물체인 엽상체는 반수체 배우체이다.[6]
드물게 유성생식을 하기도 하는데, 이때 암그루(장란기탁)는 네 개의 장란기가 십자 모양으로 배열된 머리(archegonial head)를 가진다. 이 형태적 특징 때문에 종명으로 '십자가'를 의미하는 ''cruciata''가 붙었다.[6] 수정기는 이른 봄, 장란기는 봄에 발달하지만[6], 생식 기관을 형성하는 경우는 드물며, 특히 일본에 서식하는 개체는 생식 기관을 만들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이후 형성되는 포자체는 배수체이다.[6] 무성아는 컵 안에서 빗방울 등에 의해 쉽게 튕겨져 나가 흩어지며 분포를 넓힌다.[6][14]
4. 생식
다른 우산이끼와 마찬가지로 주된 식물체인 엽상체는 반수체 배우체이다. ''초승달우산이끼''의 수정기는 이른 봄에, 장란기는 봄에 발달하며, 포자체는 늦여름에 발달한다.[6]
그러나 포자체가 발달하는 유성생식은 드물게 관찰된다. 이는 이 종의 인위적인 확산의 결과로 수정기와 장란기의 분포가 불연속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6] 유성생식을 할 경우, 네 개의 장란기가 십자 모양의 머리에 배열되어 배수체 포자체를 형성하는데, 이 때문에 종명으로 '십자가'를 의미하는 ''cruciata''가 붙었다.
무성생식은 주로 무성아를 통해 이루어진다. 초승달 모양의 컵 안에 들어있는 원반 모양의 무성아는 빗방울 등에 의해 컵 밖으로 튀어나가 흩어진다.[14] 이렇게 퍼진 무성아는 습기가 적절한 곳에 자리 잡고 빠르게 뿌리내려 새로운 개체로 자라나는데, 이러한 특징 때문에 온실 등에서 쉽게 번성한다.
일본에 서식하는 개체들은 생식 기관을 형성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5. 분포
초승달우산이끼는 지중해 지역이 원산지이며, 이 지역에서는 성적 생식 형태가 더 자주 발견된다.[6] 현재는 이입 등으로 인해 유럽, 오스트랄라시아, 아시아, 아메리카, 아프리카를 포함한 전 세계에 분포한다.[6][14] 특히 서유럽과 캘리포니아에서 흔히 발견되며, 캘리포니아에서는 야생 상태로 자란다.[7]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정원과 온실 등에 유입된 귀화식물이자 잡초로 알려져 있으며[7][15], 뉴질랜드에는 1867년 이후 어느 시점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8] 일본에서도 귀화식물로 보고되었다.[14]
초승달우산이끼의 포자체는 드물게 발견되지만, 유럽 지역 외에도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르헨티나, 캘리포니아, 인도, 일본, 뉴질랜드 등지에서 확인된 바 있다.[6]
6. 서식지 및 생태
''초승달우산이끼''는 길가나 벽 가장자리처럼 습하고 그늘지며 교란된 환경에서 주로 자란다.[9] 알칼리성 토양과 부영양토, 특히 고농도의 부영양토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토양의 영양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다.[6] 서식지는 사질토, 바위, 콘크리트, 노출된 나무 뿌리, 흙으로 덮인 통나무, 보도블록 틈새 등으로 다양하다.[6] 또한 정원, 온실, 공원 등 사람이 가꾸는 환경에서는 원예 잡초로 자라기도 한다.[6][9] 서리에는 약한 편이며, 물 근처에서 자주 발견되는데, 이는 무성아(젬마)가 물에 의해 운반되어 퍼지기 때문이다.[6]
반음지의 습한 토양 위에서 자라며,[14] 잎상체의 길이는 7mm~8mm 정도이고 그 끝에는 컵 모양의 무성아 기관을 가진다.[14] 이 기관 안의 무성아는 빗방울 등에 의해 밖으로 튀어나가 흩어지면서 분포를 넓힌다. 생식 기관을 만드는 경우는 드물며, 특히 일본에 자라는 개체들은 생식 기관을 형성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7. 화학적 특성
다른 많은 우산이끼 종처럼, 초승달우산이끼는 생장을 억제하는 루눌라르산이라는 디하이드로스틸베노이드계 생장 호르몬을 만든다.[10] 초승달우산이끼에 카드뮴이 축적되면 젬마의 발아와 엽상체의 끝부분 생장이 억제되고, 세포와 엽록체의 구조가 변형된다.[11] 초승달우산이끼에서 추출한 아세톤 추출물은 항균성을 나타내지만, 곰팡이의 활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2]
참조
[1]
서적
English Names for British Bryophytes
British Bryological Society
2012
[2]
논문
World checklist of hornworts and liverworts
[3]
논문
Combined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subclass Marchantiidae (Marchantiophyta): towards a robustly diagnosed classification
http://doi.wiley.com[...]
2018
[4]
논문
Defying death: incorporating fossils into the phylogeny of the complex thalloid liverworts (Marchantiidae, Marchantiophyta) confirms high order clades but reveals discrepancies in family-level relationships
https://onlinelibrar[...]
[5]
논문
Bryophyte Phylogeny Poster (BPP)
https://peerj.com/pr[...]
2019-05-24
[6]
논문
Observations on fertile populations of Lunularia cruciata (L.) Dumort. ex Lindb. (Marchantiopsida: Lunulariaceae) in Germany
https://www.zobodat.[...]
2010
[7]
서적
The Hepaticae and Anthocerotae of North America
Field Museum of Natural History
1992
[8]
논문
Lunularia in New Zealand
http://nzetc.victori[...]
2016-05-27
[9]
웹사이트
Crescent-cup Liverwort
https://www.naturesp[...]
2022-04-05
[10]
간행물
Lunularic acid, a common endogenous growth inhibitor of liverworts
1971
[11]
논문
Accumulation, localisation, and toxic effects of cadmium in the liverwort Lunularia cruciata
http://dx.doi.org/10[...]
2004-03-01
[12]
논문
Antibiotic Effects of Lunularia cruciata (Bryophyta) Extract
1998-01
[13]
논문
日本産苔類研究 其二
1944
[14]
서적
フィールド図鑑 コケ
東海大学出版会
1986
[15]
서적
The Hepaticae and Anthocerotae of North America
Field Museum of Natural History
1992
[16]
웹인용
Species 2000 & ITIS Catalogue of Life: 2014 Annual Checklist.
http://www.catalogue[...]
Species 2000: Reading, UK.
2015-08-06
[17]
저널 인용
Divergence times and the evolution of morphological complexity in an early land plant lineage (Marchantiopsida) with a slow molecular ra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