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석 (군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석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복무 후 대한민국 육군 군인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제3사단장, 제9사단장 등을 역임했다. 1961년 5.16 군사정변에 반대하여 강제 예편되었으며, 최종 계급은 육군 중장이었다. 그는 태극무공훈장을 포함한 여러 훈장을 수여받았으며, 1982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천 최씨 - 최남현
1944년 연극 배우로 데뷔한 최남현은 《아리랑》, 《돌아온 어머니》 등 430여 편의 작품에 출연하며 활발하게 활동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통천 최씨 - 최계월
최계월은 일제강점기 학도병 복무 후 사업가로 활동하며 인도네시아 해외 자원 개발 사업을 주도하여 원유를 발견하고, 인도네시아 교민회장과 통천 최씨 대종회장을 지낸 인물이다. - 일제강점기의 조선인 출신 일본 육군 학도병 - 장도영
장도영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장교 출신으로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5.16 군사정변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내각수반, 국방부 장관을 지냈으며, 반혁명 혐의로 기소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나 석방 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대학교수로 활동하다가 사망했다. - 일제강점기의 조선인 출신 일본 육군 학도병 - 장준하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정치인인 장준하는 일본군 학도병으로 징집 후 탈출하여 광복군에서 활동, 해방 후 김구의 비서를 지냈고, 《사상계》를 창간하여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나 의문사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부분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 군사영어학교 동문 - 정래혁
정래혁은 대한민국 육군 장교 출신 정치인으로,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여 군사혁명위원과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을 지냈고, 상공부 장관과 국방부 장관, 국회의원, 민주정의당 대표위원을 역임하는 등 군과 정계에서 활동했으나 부정축재 혐의와 실미도 사건 책임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 - 군사영어학교 동문 - 정일권
정일권은 러시아 출생으로 만주군 장교, 육군 참모총장, 국무총리, 국회의장 등을 역임하며 군인, 외교관, 정치인으로 활동했고 친일 행적과 정인숙 사건 관련 의혹을 받았다.
| 최석 (군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최석 |
| 한자 표기 | 崔錫 |
| 출생일 | 1917년 10월 5일 |
| 사망일 | 1982년 7월 |
| 본관 | 통천 |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함경남도 북청 |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 군사 경력 | |
| 소속 | |
| 최종 계급 | 소위(일본 육군) 중장(한국 육군) |
| 복무 기간 | 대한민국 육군 (1946년 ~ 1961년) |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한국전쟁 |
| 근무 | 육군보병학교 육군 제3군단 |
| 지휘 | 육군보병학교 교장 육군 제3군단장 육군 제1군단장 |
| 훈장 | 태극무공훈장 |
| 기타 이력 | |
| 참고 자료 | 헌병소개 > 역대지휘관 (憲兵紹介 >歴代指揮官) |
2. 이력
최석은 통천을 본관으로 한다. 1917년 10월 함경남도 신포에서 태어났다. 와세다 대학교 재학 중 학도병으로 일본군 소위로 복무했다. 1946년 3월 23일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 소위(군번 10075번)로 임관했으며,[2] 제8연대 창설에 참여했다.
1948년부터 1961년까지 군의 주요 직책을 역임했다.
| 기간 | 내용 |
|---|---|
| 1948년 3월 11일 | 군기사령관(소령) |
| 1948년 11월 16일 | 중령으로 진급, 제18연대장 취임 |
| 1949년 7월 | 육군보병학교 교장, 대령으로 임관 |
| 1950년 3월 | 미 제25사단에서 연수 |
| 1950년 8월 | 제1훈련소장 |
| 1950년 9월 | 경상남도 지역 계엄사령부 마산 파견대장 |
| 1950년 10월 | 제3군단 참모장 |
| 1950년 11월 | 제3사단장 |
| 1951년 3월 | 육군본부 전방지휘소장 |
| 1951년 4월 | 제9사단장 |
| 1953년 4월 | 포로교환인수단장 |
| 1953년 5월 16일 | 소장으로 임관[6] |
| 1953년 9월 28일 | 육군본부 작전교육국장 |
| 1954년 6월 | 미국 육군지휘참모대학교에 유학 |
| 1955년 6월 | 제21사단장 |
| 1956년 7월 | 제3관구사령관 |
| 1957년 8월 | 제1야전군 부사령관 |
| 1959년 7월 | 육군본부 관리참모부장[7] |
| 1959년 7월 21일 | 군사정전위원회 한국측 수석대표[8] |
| 1960년 4월 | 제1군단장 |
| 1960년 7월 | 제3군단장 |
| 1961년 1월 | 중장으로 임관 |
1961년 5.16 군사정변이 일어나자 이에 반대하여 박정희 지지자들에게 강제 체포되었고, 이후 강제 예편 처분되었다.[9]
2. 1. 초기 생애 및 군 복무
최석은 1917년 10월 5일 함경남도 북청에서 출생하였다. 와세다 대학교에 재학하던 중 일본군에 징집되었다.[2] 1946년 3월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참위로 임관하였으며, 1947년 10월에는 조선경비보병학교를 수료하였다.[3]1948년 3월 11일 군기사령관(소령)이 되었고,[2] 같은 해 11월 16일 중령으로 진급과 동시에 제18연대장에 취임했다.[2] 1949년 7월에는 육군보병학교 교장 및 대령으로 임관하였다. 1950년 3월부터 일본으로 건너가 미 제25사단에서 연수를 받았다.[3]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귀국하여 1950년 8월 제1훈련소장에 임명되었고, 같은 해 9월에는 경상남도 지역 계엄사령부 마산 파견대장이 되었다.[4]
2. 2. 한국전쟁 참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귀국하여 1950년 8월 제1훈련소장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9월에는 경상남도 지역 계엄사령부 마산 파견대장이 되었고,[4] 10월에는 제3군단 참모장을 역임하였다. 같은 해 11월 제3사단장에 임명되었다. 1951년 3월에는 육군본부 전방지휘소장이 되었고, 4월에는 제9사단장이 되었다.1953년 4월, 포로교환인수단장이 되었다.[5] 포로 교환 임무를 마친 후에는 육군보병학교장이 되었으며, 같은 해 9월 28일 육군본부 작전교육국장에 취임했다.
2. 3. 한국전쟁 이후
1953년 4월, 포로교환인수단장이 되었다.[5] 같은 해 5월 16일, 소장으로 진급했다.[6] 포로 교환 임무를 마치고 육군보병학교장이 되었으며, 같은 해 9월 28일 육군본부 작전교육국장에 취임했다. 1954년 6월, 미국 육군지휘참모대학교에 유학했다. 1955년 6월, 제21사단장이 되었다.1956년 7월, 제3관구사령관에 임명되었고, 1957년 8월 제1야전군 부사령관, 1959년 7월 육군본부 관리참모부장[7], 1959년 7월 21일 군사정전위원회 한국측 수석대표[8], 1960년 4월 제1군단장, 1960년 7월 제3군단장을 역임했다. 1961년 1월, 중장으로 진급했다. 같은 해 5월 5.16 군사정변이 일어나자 반대를 표명했다.[9] 같은 해 8월 24일, 예편했다.[10]
2. 4. 5.16 군사정변과 강제 예편
1961년 5.16 군사정변에 반대하여 박정희의 지지자들에게 강제 체포되었고, 이후 강제 예편 처분되었다.[9] 같은 해 8월 24일에 예편했다.[10]3. 상훈
최석은 국군 최고의 무공훈장인 태극무공훈장을 수여받았다.
- 태극무공훈장(훈장기호 192호) 1954년 7월 4일
- 은성훈장 1950년
- 공훈훈장 1954년 5월 13일
- 공훈훈장 1961년 9월 16일
참조
[1]
웹사이트
헌병소개 > 역대지휘관 (憲兵紹介 >歴代指揮官)
http://www.mp.mil.kr[...]
대한민국陸軍憲兵
2016-02-23
[2]
간행물
호국전몰용사공훈록 제5권(창군기)
http://www.imhc.mil.[...]
한국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9-11-12
[3]
서적
朝鮮戦争/韓国編 中巻
[4]
뉴스
식량(식량) 薪炭對策(신탄대책)은 多少(다소) 늘어도 걱정없다
http://www.busan.com[...]
1950-09-17
[5]
뉴스
<866>老兵이 걸어온 길-116-미군의 반대를 뚫다
http://kookbang.dema[...]
2018-08-13
[6]
뉴스
元 少將, 中將으로
http://www.busan.com[...]
1953-05-29
[7]
뉴스
政府人事
http://www.busan.com[...]
1959-07-08
[8]
뉴스
崔錫少將 就任할 듯
http://www.busan.com[...]
1959-07-21
[9]
뉴스
<1057>풍운의 별-93-1961년 5·16 발발
http://kookbang.dema[...]
2018-08-13
[10]
웹사이트
連続刊行物 東亜日報「豫編措置 李翰林中將 崔錫中將」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2019-11-19
[11]
웹사이트
Suk Choe
https://valor.milita[...]
Military Times
2019-06-22
[12]
웹사이트
Choi Suk
https://valor.milita[...]
Military Times
2019-06-22
[13]
웹사이트
Choi Suck
https://valor.milita[...]
Military Times
2019-06-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