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야전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야전군은 한국 전쟁 휴전 이후인 1953년 12월 15일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의 야전군 사령부였다. 창설 당시 강원도 인제군에 위치했으며, 경기도와 강원도 지역을 관할했다. 2000년대 국방개혁으로 지상작전사령부로 통합될 예정이었으나 무기한 연기되었고, 2018년 12월 31일 제3야전군과 통합되어 지상작전사령부로 개편되면서 해체되었다. 초대 사령관은 백선엽 중장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야전군 - 제3야전군
    제3야전군은 닉슨 독트린에 따른 주한 미군 감축에 대응하여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의 야전군으로, 경기도 지역의 서부전선을 담당했으며 수도군단 등 5개 군단을 예하에 두고 국방개혁 계획에 따라 제1야전군과 통합되어 지상작전사령부로 개편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야전군 - 제1군단 (대한민국-미국)
    한미 제1군단은 1971년 창설되어 대한민국 육군과 미국 육군의 연합 지휘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운영되었으나, 1992년 서부전선 방위 임무를 이양하고 해체되었다.
  • 2018년 해체된 단체 - 제26기계화보병사단
    제26기계화보병사단은 3개의 기계화보병여단과 사단포병여단을 주축으로 다양한 지원부대가 배속된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으로, 대한민국 국방력의 핵심 전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2018년 해체된 단체 - 제85민사여단
    제85민사여단은 2009년 10월 1일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 소속 민사작전 수행 부대로, 여러 민사대대를 예하에 두고 지역 주민과의 관계 개선, 인도주의적 지원, 재난 복구 지원 등을 수행하며 지역 사회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한다.
  • 1953년 설립된 단체 - 제26기계화보병사단
    제26기계화보병사단은 3개의 기계화보병여단과 사단포병여단을 주축으로 다양한 지원부대가 배속된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으로, 대한민국 국방력의 핵심 전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1953년 설립된 단체 -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는 한국 정치와 대의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학술단체로서, 학술 연구, 학술지 발간, 연구 발표회 개최, 국내외 교류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대의민주주의 제도 개선과 시민 참여 확대 방안 연구, 진보 정당 정책 연구, 정치 현안 분석 및 정책 결정 근거 제시 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제1야전군
개요
대한민국 육군 지상작전사령부 휘장
대한민국 육군 지상작전사령부 휘장
이름제1야전군
원어 이름第一野戰軍
영어 이름First ROK Army
별명통일대
역할강원도 지역 방어
창설1953년 12월 15일
해체2018년 12월 31일
국가대한민국
소속대한민국 육군
규모야전군
명령 체계육군본부
본부강원도 원주시
군가제1야전군가
역대 지휘관
주요 지휘관백선엽
이한림
한신
송요찬
조남풍
정수성

2. 역사

이승만 대통령 내외가 강원도 양구군의 일선부대에서 열린 국군 야전사령관 작전지휘권 이양식에 참석했다.


한국 전쟁 휴전 후, 1953년 12월 15일 강원도 인제군 관대리에서 백선엽 중장을 초대 지휘관으로 하여 제1야전군이 창설되었다.[3] 이후 사령부는 원주시로 이전되었다.

1971년 닉슨 독트린의 영향으로 미국 제1군단제7보병사단한반도를 떠났고, 1973년에는 경기도 지역을 제3야전군에 인계하였다.

2000년 12월, 국방개혁 2020 계획에 따라 제3야전군과 함께 지상작전사령부로 병합될 예정이었으나, 전투력 공백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어 무기한 연기되었다.[4] 2013년 5월 14일에는 "~군사령관"에서 "~야전군사령관"으로 명칭을 변경하였고,[5] 2016년에는 제102보충대대가 해체되었다. 2018년 12월 31일, 제1야전군은 제3야전군과 통합되어 지상작전사령부로 개편되었다.

2. 1. 창설과 초기 활동

한국 전쟁 휴전 후, 1953년 12월 15일 강원도 인제군 관대리에서 백선엽 중장을 초대 지휘관으로 하여 창설되었다.[3] 1954년 3월부터 본격적인 야전군 사령부로서 기능을 발휘하여 경기도강원도 지역을 통솔하기 시작하였다. 초기 사령부는 춘천 동북쪽 관대리에 위치했으나, 전방에 치우쳐 교통이 불편하여 반년 후 원주로 이전하였다.[2]

2. 2. 닉슨 독트린과 제3야전군으로의 이관

1971년 4월 2일, 닉슨 독트린의 영향으로 경기도 지역의 미국 제1군단제7보병사단한반도를 떠났다.[3]

1973년 7월 1일, 경기도 지역을 제3야전군에 인계하였다. 제1군단, 제5군단, 제6군단을 포함한 49개 육군 부대가 제1야전군에서 제3야전군으로 옮겨졌다.[3]

2. 3. 국방개혁과 지상작전사령부로의 통합

2000년 12월, 국방개혁 2020 계획에 따라 제3야전군과 함께 지상작전사령부로 병합될 예정이었으나, 전투력 공백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어 무기한 연기되었다.[4]

2013년 5월 14일, "~군사령관"에서 "~야전군사령관"으로 구분하고 임무를 명확하게 교정하려는 목적에 따라 명칭을 개정하는 법안이 통과되었다. 이에 따라 1, 3야전군사령관, 2군사령관은 2작전사령관으로 바뀌었다.[5]

2016년, 제102보충대대가 해체되었다.

2018년 12월 31일, 제3야전군과 통합되어 지상작전사령부로 개편되면서 해체되었다.

3. 부대

제1야전군은 예하 부대, 직속 부대, 지원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1]

3. 1. 예하 부대

제2군단 "쌍용" (3개 사단, 사령부: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1]

제3군단 "산악" (3개 사단, 사령부: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1]

제8군단 "동해충용" (2개 사단, 사령부: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1]

3. 2. 직속 부대


  • 제36보병사단 "백호"
  • 제3기갑여단 "번개"
  • 제11정보통신단
  • * 제61통신대대
  • * 제111통신대대
  • * 제112통신대대
  • 제11포병단
  • * 제975포병대대
  • * 제976포병대대 "불사조"
  • 제1107공병단
  • * 제130환경대대
  • * 제152공병대대
  • * 제153공병대대
  • 제1173공병단
  • 제842방공중대
  • 제1군견교육대
  • 제1군사령부 근무지원단

3. 3. 지원 부대

4. 역대 사령관

성명취임퇴임비고
1백선엽1954년 2월 26일1957년 5월
2송요찬1957년 5월1959년 2월
3유재흥1959년 2월1960년 7월
4김종오1960년 7월1960년 10월
5이한림1960년 10월1961년 5월
6박임항1961년 5월1962년 5월
7민기식1962년 5월1963년 5월
8장창국1963년 5월1965년 4월
9김계원1965년 4월1966년 9월
10서종철1966년 9월1969년 4월
11한신1969년 4월1972년 5월
12최세인1972년 5월1975년 2월
13이소동1975년 2월1977년 12월
14정승화1977년 12월1979년 2월
15김학원1979년 2월1979년 12월
16윤성민1979년 12월1981년 5월
17김윤호1981년 5월1982년 5월
18소준열1982년 5월1983년 12월
19정진권1983년 12월1985년 6월
20안필준1985년 6월1987년 6월
21정호근1987년 6월1989년 4월
22이진삼1989년 4월1990년 6월
23이문석1990년 6월1992년 6월
24조남풍1992년 6월1993년 7월
25이준1993년 7월1995년 3월
26오영우1995년 3월1996년 10월
27이재관1996년 10월1998년 3월
28김석재1998년 3월2000년 4월
29김판규2000년 4월2001년 10월
30김종환2001년 10월2003년 4월
31정수성2003년 4월2005년 4월
32김병관2005년 4월2006년 11월
33김태영2006년 11월2008년 3월
34김근태2008년 3월2009년 9월
35정승조2009년 9월2010년 6월
36박정이2010년 6월2011년 10월
37박성규2011년 10월2013년 9월
38신현돈2013년 9월2014년 9월
39장준규2014년 9월2015년 9월 16일
40김영식2015년 9월 16일현직



초대 사령관은 백선엽 중장이었으며,[1] 창설 이래 9대 김계원 장군까지는 중장이 보임되었다. 15대 김학원 장군을 제외하고는 10대 서종철 장군 때부터 줄곧 대장이 보임되었다.

5. 역대 참모장

참조

[1] 웹사이트 第1軍及び第2軍司令部の創設 http://www.archives.[...] 大韓民国国家記録院 2015-12-29
[2] 서적 若き将軍の朝鮮戦争 草思社
[3] 웹인용 대한뉴스 제37호: 국군 제1야전군 창설 https://web.archive.[...] e-영상역사관 2014-04-29
[4] 뉴스 지상 작전사령부 창설 무기연기 https://web.archive.[...] 동아일보 2002-02-23
[5] 뉴스 군사령관→야전군사령관으로 명칭 변경 https://web.archive.[...] 한국일보 2013-05-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