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최재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재수는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로, 수비수와 윙어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FC 서울에서 프로 데뷔 후, 광주 상무, 울산 현대, 수원 삼성, 포항 스틸러스, 전북 현대, 경남 FC 등 여러 팀을 거치며 2020년 은퇴했다. 2012년 국가대표팀으로 발탁되어 A매치 2경기에 출전했으며, 2011년 리그컵 우승, 2016년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2017년 K리그 챌린지 우승을 경험했다. 은퇴 후 심판 자격증을 취득하여 심판으로 활동하다가, 2023년부터 강원 FC 코치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평중학교 동문 - 빠니보틀
    빠니보틀은 여행 관련 콘텐츠를 제작하는 유튜버로, 유라시아 대륙 여행 영상을 시작으로 국내 및 해외 여러 지역을 여행하며 방송에도 출연했고, 2023년 MBC 방송연예대상에서 베스트 커플상을 수상했다.
  • 홍천초등학교 (강원) 동문 - 금잔디 (가수)
    금잔디는 《영종도 갈매기》로 데뷔하여 여러 앨범을 발매하고 방송 활동을 하며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등에서 수상한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이다.
  • 홍천초등학교 (강원) 동문 - 황영철
    황영철은 홍천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국회의원, 새누리당 대변인 등을 역임했으며,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의원직을 상실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강원 FC의 축구 코치 - 박용호 (축구인)
    박용호는 K리그 FC 서울에서 주축 선수로 활약하며 K리그 우승 2회와 리그컵 우승 1회에 기여하고 국가대표로도 활동한 축구 선수 출신 지도자로, 은퇴 후 강원 FC, FC 서울을 거쳐 현재 인천 유나이티드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강원 FC의 축구 코치 - 하대성
    하대성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로,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FC 서울의 주장을 맡아 팀 우승을 이끌었고,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활동하며 2013년 동아시안컵에서 주장으로 활약한 후 지도자 경력을 쌓았다.
최재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최재수
이름최재수
한자 표기崔在洙
로마자 표기Choe Jae-su
출생일1983년 5월 2일
출생지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175cm
포지션과거 왼쪽 풀백
현 소속팀강원 FC (코치)
클럽 경력
청소년 클럽1999-2001: 강릉중앙고등학교
2002-2003: 연세대학교
클럽2004-2009: FC 서울
2008-2009: → 김천 상무 (군 복무)
2010-2012: 울산 현대
2012-2015: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15: → 포항 스틸러스 (임대)
2016: 전북 현대 모터스
2017-2020: 경남 FC
출장수 (골)20 (1) (FC 서울)
33 (7) (김천 상무)
63 (1) (울산 현대)
60 (1) (수원 삼성 블루윙즈)
11 (2) (포항 스틸러스)
12 (0) (전북 현대 모터스)
국가대표 경력
국가대표팀 연도2012
국가대표팀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출장수 (골)2 (0)
지도자 경력
감독 연도2023-
감독 클럽강원 FC (코치)

2. 유소년 및 대학 경력

홍천초등학교에서 축구를 시작해 후평중학교를 거쳐 강릉농공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연세대학교에서 2년 간 활약했다.

3. 클럽 경력

클럽, 시즌, 대회별 출전 및 득점 기록
클럽시즌리그대한민국 FA컵K리그컵아시아합계
리그출전득점출전득점출전득점출전득점출전득점
FC 서울2004K리그100007070
20051711000181
2006401170121
200700001010
200900000000
광주 상무 (임대)2008K리그11903170291
20091432140204
울산 현대2010K리그123050280
통산774733101157



최재수는 FC 서울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하여 광주 상무 (임대), 울산 현대를 거쳤으며, 이후 수원 삼성 블루윙즈, 포항 스틸러스, 전북 현대 모터스, 경남 FC 등 다양한 팀에서 활약했다.

3. 1. FC 서울

2004년 FC 서울과 계약하면서 프로 세계에 뛰어들었다. 입단 첫 시즌은 컵대회에서 7경기를 소화하며 프로에 적응했다. 2005년과 2006년 수원과의 리그경기에서 데뷔 골을 넣는 등 김동진의 로테이션으로 28경기에 출장했다. 하지만 2007시즌에 셰놀 귀네슈 감독이 부임하면서 입지가 흔들렸고 또한 부상이 덮치면서 주전 경쟁에서 완전히 밀려났다.

분류:FC 서울의 선수

3. 2. 광주 상무 불사조

광주에서 충분한 기회를 부여받아, 2년 동안 리그와 컵대회에서 44경기 출장해 3골 7도움을 올리며 맹활약했다.[1] 특히 2009시즌 얇은 소속팀의 스쿼드를 극복하기 위해 풀백뿐만 아니라 미드필더와 윙어에서도 뛰는 멀티 자원으로 성장했다.[1]

3. 3. 울산 현대

2010시즌을 앞두고 울산으로 2년 계약을 맺으며 이적했다. 당시 울산은 측면 수비 자원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울산에 합류하여 주전으로 자리를 잡아가던 중, 서울 시절 자신의 출전 기회를 가로막았던 김동진이 울산으로 이적해 오면서 다시 주전 경쟁에 위기를 맞았다. 하지만 김동진이 부상으로 주춤하는 사이, 최재수는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여 김동진을 제치고 울산의 주전 자리를 꿰찼다. 2010년 29경기에 출전해 6도움을 기록하며 성공적으로 팀에 적응했다. 2011시즌에는 40경기에 출전하여 1골 11도움을 기록, 리그컵 우승과 K리그 준우승을 이끌며 프로 데뷔 이후 최고의 활약을 펼쳤다.[1]

3. 4.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12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하여 주로 윙어로 출전하거나 교체 투입되어 조커로 활약했다.[1] 그 해 8월 5일 K리그 25라운드 친정팀 울산과의 경기에서 중거리 슛으로 수원에서의 첫 골을 신고했다.[1] 2013시즌에는 양상민이 군 입대를 하면서 생긴 왼쪽 수비 공백을 성남에서 이적해 온 홍철과 함께 메웠다.[1]

3. 5. 포항 스틸러스

2015년 7월 21일, 포항 스틸러스조찬호와 6개월 간 맞임대 형식으로 트레이드되었다.[1] 8월 15일 전북 현대 모터스와의 홈경기에서 프리킥 골을 성공시키며 포항에서의 데뷔 골을 기록했다.[2] 황선홍 감독의 고별 경기였던 FC 서울과의 시즌 최종전에서도 전반 16분 프리킥 골을 성공시켜 팀의 2-1 승리에 기여했다.

3. 6. 전북 현대 모터스

2016 시즌을 앞두고 전북 현대 모터스로 이적해 12경기에 출전하는 등 준수한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3. 7. 경남 FC

2017 시즌을 앞두고 최재수는 K리그 챌린지의 경남 FC에 입단했다.[1]

배기종과 함께 베테랑으로서 팀을 이끌어 20경기 1골 3도움을 기록하며 K리그 챌린지 우승에 기여했고,[1] 2018 시즌에는 포항 스틸러스와의 경기에서 통산 300경기 출전을 달성했다.[1]

4. 국가대표팀 경력

2012년 11월 14일 화성종합운동장에서 벌어진 호주와의 친선경기에서 교체 출전하며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1] 2013년 2월 6일 런던에서 열린 크로아티아와의 경기에는 선발 출장했지만, 팀의 대패를 막지는 못했다.[1]

5. 경력 통계

wikitext

클럽, 시즌, 대회별 출전 및 득점 기록
클럽시즌리그대한민국 FA컵K리그컵아시아합계
리그출전득점출전득점출전득점출전득점출전득점
FC 서울2004K리그100007070
20051711000181
2006401170121
200700001010
광주 상무 (임대)2008K리그11903170291
20091432140204
울산 현대2010K리그12302050300
20113404061441
통산9141323711417


5. 1. 클럽

2004년 FC 서울과 계약하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입단 첫 시즌은 컵대회에서 7경기에 출전했다. 2005년과 2006년에는 김동진의 로테이션으로 28경기에 출장, 수원과의 리그경기에서 데뷔 골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2007년 셰놀 귀네슈 감독 부임과 부상으로 주전 경쟁에서 밀려났다. 2008년 광주 상무에 입대하여 풀백, 미드필더, 윙어 등 다양한 포지션에서 활약하며 2년 동안 리그와 컵대회에서 44경기 3골 7도움을 기록했다.

2010년 서울로 복귀했으나 최효진, 현영민 등 국가대표급 선수들의 영입으로 입지가 좁아졌다. 울산으로 이적했으나 김동진이 합류하며 다시 경쟁에 직면했다. 하지만 김동진의 부상 기간 동안 능력을 발휘하며 주전 자리를 확보, 2010년 29경기 6도움, 2011년 40경기 1골 11도움을 기록하며 리그컵 우승과 K리그 준우승에 기여했다. 2012년 여름, 곽태휘의 로테이션 자원이 필요했던 울산은 최성환과의 트레이드를 통해 최재수를 수원으로 보냈다.

수원에서는 주로 윙어나 교체 선수로 활약했다. 2012년 8월 5일 친정팀 울산과의 경기에서 중거리 슛으로 수원에서의 첫 골을 기록했다. 2013년에는 군 입대한 양상민을 대신해 홍철과 함께 왼쪽 수비 공백을 메웠다.

2015년 7월, 포항 스틸러스조찬호와 6개월 맞임대 트레이드되었다. 8월 15일 전북과의 홈경기에서 프리킥 골을 기록했고, 황선홍 감독의 고별 경기였던 FC 서울과의 시즌 최종전에서도 프리킥 골을 성공시키며 팀 승리에 기여했다.

2016년 전북으로 이적하여 12경기에 출전했다. 2017년 경남 FC로 이적하여 배기종과 함께 베테랑으로서 팀을 이끌며 20경기 1골 3도움을 기록, K리그 챌린지 우승에 기여했다. 2018년 포항 스틸러스전에서 통산 300경기 출전을 달성했다.

2020년 겨울 이적시장에서 FA로 풀려 경남을 떠난 후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클럽시즌리그국내 컵리그 컵대륙 대회합계
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
FC 서울2004000070-70
20051711000-181
2006401170-121
2007000010-10
광주 상무 불사조20081903170-291
20091432140-204
울산 현대20102302050-300
20113404061-441
201211110-40161
수원 삼성 블루윙즈201219110--201
201326010-20290
201410000--100
20155000-1060
포항 스틸러스2015112---112
통산19471633717025312



클럽, 시즌, 대회별 출전 및 득점 기록
클럽시즌리그대한민국 FA컵K리그컵아시아합계
리그출전득점출전득점출전득점출전득점출전득점
FC 서울2004K리그100007070
20051711000181
2006401170121
200700001010
광주 상무 (임대)2008K리그11903170291
20091432140204
울산 현대2010K리그12302050300
20113404061441
통산914132371401457


5. 2. 국가대표팀

최재수는 2012년 11월 14일 화성종합운동장에서 열린 호주와의 친선경기에서 교체 출전하며 국가대표팀에 데뷔하였다. 2013년 2월 6일에는 런던에서 열린 크로아티아와의 경기에서 선발 출전했지만, 팀은 대패하였다.

  • 2015년 3월 29일 기준 국가대표팀 출전 기록은 다음과 같다.


순번날짜장소상대결과경고퇴장
12012년 11월 14일화성시호주1:2 패0--
22013년 2월 6일런던크로아티아0:4 패0--


6. 수상 내역

wikitext

구분내용
클럽FC 서울, 울산 현대, 전북 현대 모터스, 경남 FC에서 선수로 활동하며 여러 대회에서 우승하였다.
개인러시앤캐시컵 2011 도움상, K리그 챌린지 베스트 11을 수상하였다.[1][2]


6. 1. 클럽

구단대회
FC 서울삼성 하우젠컵 2006 우승
울산 현대러시앤캐시컵 2011 우승
전북 현대 모터스AFC 챔피언스리그 2016 우승
경남 FCK리그 챌린지 2017 우승


6. 2. 개인


  • 러시앤캐시컵 2011 도움상[1]
  • K리그 챌린지 베스트 11[2]

7. 은퇴 후

은퇴 이후 2017년 협회에서 주관한 심판 자격증을 수료하면서 2021년부터 고등학교, 대학교 리그 경기에 심판을 보고 있다.

그 후, 2023년부터 강원 FC 코치로 부임하여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충성! 전역을 신고합니다' 스마일맨 최재수 http://www.fcseoul.c[...] FC Seoul 2009-10-22
[2] 뉴스 울산 최재수 영입으로 측면 보강! http://www.uhfc.tv/w[...] Ulsan Hyundai 2010-0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