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대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대성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로, 미드필더로 활약했다. 2004년 울산 현대에서 프로 데뷔하여, 대구 FC, 전북 현대 모터스를 거쳐 FC 서울에서 주장을 맡아 팀의 우승을 이끌었다. 2014년 베이징 궈안으로 이적, 이후 FC 도쿄, 나고야 그램퍼스를 거쳐 2017년 FC 서울로 복귀했으며, 2019년 은퇴했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으로도 활동하며 2013년 동아시안컵에서 주장으로 활약했고, 2014년 FIFA 월드컵 최종 엔트리에 포함되었다. 은퇴 후에는 지도자 경력을 쌓아 원삼중학교 코치, 강원 FC 코치를 거쳐 제주 유나이티드 공격 코치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인시축구센터의 축구 코치 - 김정수 (축구인)
김정수는 대한민국 전 축구 선수로서 대전 시티즌 창단 첫 골 기록 및 FA컵 우승에 기여했고 부천 SK 주장을 역임했으며, 은퇴 후 지도자로 전향하여 백암고등학교, 용인시청, 광주 FC 코치를 거쳐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서 2019 FIFA U-17 월드컵 8강 진출의 성과를 냈고 U-20 및 U-23 대표팀 코치를 역임했다. - 용인시축구센터의 축구 코치 - 이상헌 (1975년)
이상헌은 1975년 출생의 전 축구 선수로, 1998년 안양 LG 치타스에서 데뷔하여 K리그 우승과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준우승에 기여했으며, 인천 유나이티드에서 K리그 준우승을 경험하고 용인 시민축구단에서 선수로 복귀하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축구 코치 - 홍명보
홍명보는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아시아 최초 4회 연속 월드컵 출전 기록을 세웠고, 2002년 월드컵 4강 진출에 기여했으며, 국가대표팀 감독, 올림픽 대표팀 감독 등을 역임하여 2012년 런던 올림픽 동메달 획득, 울산 현대 감독으로 K리그1 우승, 그리고 2024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는 등 선수와 지도자로서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았다. - 대한민국의 축구 코치 - 강승조
강승조는 대한민국 출신의 전 축구 선수로, K리그와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활약했으며, 2017년 경남 FC의 K리그 챌린지 우승에 기여한 패스 및 공수 조율 능력이 뛰어난 선수이다. - 인천만수북초등학교 동문 - 최태욱
최태욱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축구 지도자로, K리그와 J리그에서 활약하며 국가대표로도 활동,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서 경력을 이어가고 빠른 발과 정확한 크로스를 바탕으로 공격적인 플레이를 펼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인천만수북초등학교 동문 - 박성호 (1982년)
박성호(1982년)는 스트라이커 포지션의 전 축구 선수로, 2001년 안양 LG 치타스에서 데뷔하여 여러 팀을 거쳐 성남 FC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K리그 클래식 우승 1회와 FA컵 우승 2회를 경험했다.
하대성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 | |
이름 | 하대성 (河大成) |
로마자 표기 | Ha Daeseong |
별칭 | 하비 (Havi) [주 1] |
출생일 | 1985년 3월 2일 |
출생지 | 인천광역시 |
신장 | 180cm |
포지션 | 중앙 미드필더 (은퇴) |
선수 시절 利き足 | 오른발 |
클럽 경력 | |
유소년 클럽 | 부평고등학교 (2001-2003) |
프로 클럽 | 울산 현대 (2004-2005) 대구 FC (2006-2008) 전북 현대 모터스 (2009) FC 서울 (2010-2013) 베이징 궈안 (2014-2015) FC 도쿄 (2016) 나고야 그램퍼스 (임대, 2016) FC 서울 (2017-2019) |
클럽 출장 및 득점 (통산) | 265경기 29득점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2008-2014) |
국가대표팀 출장 및 득점 | 13경기 0득점 |
지도자 경력 | |
지도자 | 용인시축구센터 (코치, 2021) 강원 FC (코치, 2021-2022) 제주 유나이티드 (공격 코치, 2023) 청두 룽청 (수석 코치, 2024-) |
메달 기록 | |
메달 내역 | 남자 축구 EAFF 챔피언십 2013 대한민국 동메달 |
2. 클럽 경력
2004년 울산 현대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하였고, 2006년 대구 FC로 이적하였다. 대구 FC에서 꾸준히 출장 시간을 늘려가며 활약하였으며, 2008년에는 팀의 주축 공격형 미드필더로 활약하였다. 10월 5일 K리그 21라운드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홈 경기에서 시저스 킥으로 득점하여 2008년 윈저 골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2009년 진경선과 함께 전북 현대 모터스로 이적하였다. 이 과정에서 대구 FC와 전북 현대 모터스 간의 이적료 분쟁이 발생하기도 했다.[54][55]
2010년, 이현승과 함께 FC 서울로 이적하여 첫 시즌에 본인의 한 시즌 최다 공격 포인트를 기록하였다. 2011 시즌에는 부상으로 꾸준히 경기에 출장하지는 못하였으나, 정규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였다.
2012년 1월 3일, FC 서울의 2012 시즌 새로운 주장으로 선임되었다.[4] 2012 시즌 39경기에 출장하여 5골 7도움을 기록하며 FC 서울의 우승에 기여하였다. 2013년까지 3년 연속으로 K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었다.
2014년 2월 25일, 2014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 F조 1차전 일본의 산프레체 히로시마전에서 베이징 궈안에서의 첫 데뷔골을 기록하였다. 2016년 J리그 FC 도쿄로 이적하였으나 부상으로 몇 경기 뛰지 못하고 나고야 그램퍼스로 임대 이적하였다.
2017년 1월 19일 다카하기와 트레이드로 FC 서울 복귀가 공식 발표되었다. 2019 시즌 이후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56]
2. 1. 초기 경력
하대성은 1997년 인천 만수북초등학교 재학 당시 차범근 축구상 대상을 수상하며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축구 재능을 보였다.[1] 부평고등학교 시절에는 동료 선수 이근호와 함께 학교가 세 개의 전국 대회를 우승하는 데 기여했다.[2]2004년 울산 현대에 입단하며 프로 생활을 시작하였으나, 이호, 김정우 등에게 밀려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다.
2006년 대구 FC로 이적하여 K리그 데뷔를 하였다. 2008년 10월 5일 K리그 21라운드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홈 경기에서 시저스 킥으로 득점하여 2008년 윈저 골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2009년 진경선과 함께 전북 현대 모터스로 이적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대구 FC와 전북 현대 모터스 간의 이적료 분쟁이 발생하기도 했다.[54][55]
2. 2. 전북 현대 모터스 (2009)
2009년 진경선과 함께 전북 현대 모터스로 이적하였다. 이 과정에서 대구 FC와 전북 현대 모터스 간의 이적료 분쟁이 발생하였으나 원만하게 해결되었다.[54][55] 전북 이적으로 동생 하성민과 같이 뛰게 되었다. 하대성은 그 시즌에 전북이 리그에서 우승했지만, 주전 자리를 확보하지 못했다.2. 3. FC 서울 (2010-2013)
2010년 팀 동료 이현승과 함께 FC 서울로 이적하였다. 이적 후 좋은 활약을 보이며 첫 시즌에 본인의 한 시즌 최다 공격 포인트를 기록하였다. 2011 시즌에는 부상으로 꾸준히 경기에 출장하지는 못하였으나, 정규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는 등 녹슬지 않은 기량을 선보여 2011 시즌 K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었다.2012년 1월 3일, FC 서울의 2012 시즌 새로운 주장으로 선임되었다.[4] 2012 시즌에는 39경기에 출장하여 5골 7도움을 기록하며 FC 서울의 우승에 기여하였다. 2013년까지 3년 연속으로 K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었다. 2013년에는 2013년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 FC 서울이 준우승을 차지한 후 아시아 올해의 선수 후보에 올랐다.[6]
2. 4. 해외 진출 (2014-2016)
2014년 중국 슈퍼 리그의 베이징 궈안으로 이적하였다.[29][30] 2014년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 F조 1차전 일본의 산프레체 히로시마전에서 베이징 궈안에서의 첫 데뷔골을 기록하였다. 베이징과의 계약은 2016년 말까지였으나, 성적 향상을 위해 외국인 선수 교체 방침에 따라 2015년까지만 함께 하기로 했다.[32][33]2016년에는 J리그의 FC 도쿄로 이적하였다.[34] 이로써 하대성은 사상 처음으로 대한민국, 중국, 일본 각 수도의 클럽에서 뛴 선수가 되었다. FC 도쿄에서는 공격의 흐름을 만드는 역할을 기대했지만[35] 개막 직전 부상으로 인해 적응할 기회를 놓쳤고,[36] 1st 스테이지 종료 시점에서 리그전 3경기 출전에 그쳤다.
같은 해 6월, 나고야 그램퍼스로 임대 이적하였다.[37][38] 이적 후 곧바로 햄스트링 근육 부상으로 이탈하기도 했지만,[39] 넓은 시야와 정확한 패스로 기량의 높이를 보여주었다.[40] 나고야에서는 잔류를 요청했지만,[41] 12월에 이적 기간 만료로 퇴단했다.[42][43]
2. 5. FC 서울 복귀 (2017-2019)
2017년 1월 19일 다카하기 요지로와의 트레이드로 FC 서울 복귀가 공식 발표되었다.[46] 하대성은 FC 서울에서 은퇴하기를 희망하며 3년 계약을 맺었다.[48]2019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56]
3. 국가대표팀 경력
하대성은 허정무 감독 시절 처음으로 대표팀에 승선하여 2008년 11월 14일(현지시각)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카타르와의 친선경기에서 A매치 데뷔전을 가졌다.[8]
이후 대표팀 감독을 맡은 조광래 감독, 최강희 감독 시절에도 대표팀에 부름을 받았으나 큰 임팩트를 보여주진 못했다.
하지만 홍명보 감독 부임 후 첫 대회인 2013년 EAFF 동아시안컵에 참가, 주장으로 발탁되어 호주전과 일본전에서 맹활약하며 홍명보 감독과 팬들로부터 신임을 받기 시작했고 이후 2014년 FIFA 월드컵 최종 엔트리에도 발탁되어 자신의 가치를 분명히 드러냈다.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장 | 득점 |
---|---|---|---|
대한민국 | 2008 | 1 | 0 |
2009 | 1 | 0 | |
2012 | 5 | 0 | |
2013 | 4 | 0 | |
2014 | 2 | 0 | |
통산 | 13 | 0 |
- 2008년 11월 15일: A매치 데뷔 - 친선 경기 vs 카타르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50]
- A매치 13경기 0득점 (2008년 - 2014년)[53]
4. 지도자 경력
2021년 원삼중학교 코치로 선임되었다.[57]
2021년 11월 18일 강원 FC 코치로 선임되었다.
2022년 12월 2일 제주 유나이티드의 공격 코치로 선임되었다.
5. 플레이 스타일
하대성은 울산 현대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지만, 주전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2006년 친구 이근호가 있는 대구 FC로 이적하여 K리그 데뷔전을 치렀고, 이근호와 함께 좋은 활약을 펼치며 2008년 대구의 공격 축구를 이끌었다.[3]
2009년 전북 현대 모터스로 이적했지만 주전 자리를 확보하지는 못했다. 2010년 FC 서울로 이적하여 팀의 리그 우승에 기여했고, 2012년에는 주장을 맡아 팀을 다시 한번 리그 정상으로 이끌었다.[4][5] 2013년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 서울의 준우승을 이끈 후에는 아시아 올해의 선수 후보에도 올랐다.[6]
2014년부터는 중국 슈퍼 리그와 J1리그 등 해외 무대에서 활동했다. 2017년 서울로 복귀하여 2년간 활약한 후 은퇴했다.[7]
6. 개인사
하대성은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축구 재능을 보였다. 1997년 인천 만수북초등학교 재학 중 차범근이 제정한 차범근 축구상 대상을 수상했다.[1] 이근호와는 10살 때부터 같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다니며 절친한 사이가 되었다.[19][20] 그의 남동생 하성민 역시 축구 선수이다. 하대성은 라디오 방송에서 어린 시절 앓았던 질병으로 인해 군 면제를 받았다고 밝혔다.
7. 수상 내역
하대성 선수 수상 내역 | ||
---|---|---|
구단 수상 | ||
개인 수상 |
7. 1. 선수
20052007
2008
2011
2012
2013
2017
2015
F도쿄23
나고야
J3
1
0
1
0
2013
2015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