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출삼장기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출삼장기집》은 후한에서 양나라에 걸쳐 한역된 불교 경전의 역사와 중국 불교 사상의 기본 역사를 알 수 있는 자료이다. 목록, 서문, 전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전의 목록, 서문, 번역자들의 전기를 수록하고 있다. 특히, 경전의 번역 시기와 번역자를 비정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며, 《역대삼보기》와 《대정신수대장경》 등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세기 책 - 옥편
    옥편은 543년 고야왕이 편찬한 원본 옥편을 지칭하며, 자음 반절, 경서 및 고주 인용을 통해 자의를 설명하는 체례를 갖추고, 일본에 일부가 보존되어 있으며, 『대광익회옥편』, 『와옥편』, 『운회옥편』 편찬에 영향을 미쳤고, 현재 한국에서는 부수별 한자 사전을 옥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6세기 책 - 욥기
    욥기는 구약성경의 지혜 문학으로, 의인이 고난을 겪는 이유와 신의 정의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욥의 고난, 친구들과의 논쟁, 신과의 대화를 통해 서양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위진 남북조 시대 - 도연명
    동진 말기에서 남조 송나라 초기에 활동한 도연명은 속세를 떠나 자연 속 은거 생활을 노래한 시인으로, 《귀거래사》, 《도화원기》 등의 대표작을 남기며 후대 문인들에게 큰 영향을 준 은일 시인이다.
  • 위진 남북조 시대 - 청담
    청담은 후한 말에서 서진 시대 지식인들이 정치적 혼란을 피해 노장사상에 기반하여 지적 능력을 드러내던 철학적 담론이지만, 현실 문제 해결에 소극적이었다는 비판도 있다.
출삼장기집
서지 정보
제목출삼장기집
원제出三藏記集
로마자 표기Chul Samjang Gi Jip
저자승우
저작 시기515년경
시대남북조 시대
언어한문
내용
주제불교 경전 목록 및 관련 기록
설명중국 양나라 승려 승우가 편찬한 불교 경전 목록집. 초기 중국 불교 번역 및 수용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권수15권
구성다양한 경전 목록, 전기, 서지 정보 등을 포함
중요 내용초기 중국 불교 경전 번역 역사
주요 번역가 및 그들의 업적
경전의 진위 여부 논쟁
경전의 유통 및 영향
역사적 중요성
가치초기 중국 불교 연구의 핵심 자료
경전 목록학 연구에 중요한 위치
불교사 및 문화사 연구에 기여
영향후대 목록집 편찬에 영향
추가 정보
관련 인물구마라습: 주요 번역가
도안: 초기 불교 목록 연구 선구자
관련 경전다양한 대승경전 및 율장
참고 문헌Jan Nattier, A Guide to the Earliest Chinese Buddhist Translations (2008)
Max Deeg, Creating religious terminology (2008)
Erik Zürcher, The Buddhist conquest of China (2007)

2. 구성

《출삼장기집》은 크게 목록, 서문, 전기로 구성되어 있다.


  • 권1: 저술 연기(경전의 역사, 성립 및 한역 과정)
  • 권2-5: 詮명록(경전 목록, 후한부터 나라까지 분류 목록에 한역자 이름을 덧붙임, 위경과 경전 주해서 포함)
  • 권6-12: 총경서(120편의 경전 서문과 중국 저술 불교서 수록)
  • 권13-15: 술열전(경전 번역자 32명(외국인 22명, 중국인 10명)의 전기)


《출삼장기집》은 석도안의 「종리중경목록」(도안록, 안록)을 바탕으로 쓰여졌으며, 본문 주석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현재 전해지지 않는 도안록의 내용을 짐작하게 한다. 또한, 이후 편찬된 여러 경록을 참고하여 교정되었다.

흥선굉은 《문심조룡》의 저자 유협이 실제 편찬에 큰 역할을 했다고 본다.

혜교의 《고승전》 중 「역경편」은 《출삼장기집》의 「술열전」을 바탕으로 서술되었다.

2. 1. 권1: 저술 연기

후한(後漢)에서 (梁)에 걸쳐 한역된 불교 경전의 역사 및 중국 불교사상의 기본 역사를 알 수 있는 기본 사료이다. 「총경서」(総経序)나 「술열전」(述列伝) 가운데는 중국이나 서역 관계 사료가 되는 기술들도 포함하고 있어서 단순히 불교사뿐 아니라 중국과 서역의 교역사도 알 수 있는 자료가 된다.[1]

전명록(詮名録)은 그 대부분을 석도안(釈道安)이 찬한 「종리중경목록」(綜理衆経目録, 도안록道安録、안록安録)에 의해 기술되어 있는데, 본문의 주기(注記)를 통해 알 수 있다. 때문에 현재는 망실된 도안록의 자취를 엿볼 수 있다. 또한 그 뒤에 편찬된 여러 점의 경록을 참고로 교정을 행하고 있다.[1]

중국의 문학 연구자 흥선굉(興膳宏)은 승우의 제자로 《문심조룡(文心雕龍)》의 찬자로 이름 높은 유협(劉勰)이 실제 편찬에서 대부분의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1]

《출삼장기집》보다 조금 성립이 늦은 혜교(慧皎)의 《고승전(高僧伝)》 가운데 「역경편」(訳経篇)의 기사 대부분은 이 책의 「술열전」에 기초해 서술되었다.[1]

2. 2. 권2-5: 詮명록(전명록)

詮名録|전명록중국어은 석도안이 찬한 「종리중경목록」(綜理衆経目録, 도안록, 안록)에 기술된 내용을 바탕으로, 후한부터 양나라까지 번역된 경전 목록과 한역자(漢譯者) 이름을 함께 기록하였다. 위경(僞經)과 경전 주해서(註解書)도 포함되어 있다.[5] 전명록의 범주는 다음과 같다.

목록 개요
중국어영어
2新集撰出經律論새로운 수트라, 비나야 및 논서 목록
2新集條解異出經수트라의 서로 다른 번역본의 새로운 목록
2新集表序四部律표, 서문 및 사분율(四分律)의 새로운 목록
3新集安公古異經도안(道安)의 옛 수트라 목록의 새로운 편집
3新集安公失譯經익명의 번역자가 있는 도안(道安)의 수트라 목록의 새로운 편집
3新集安公涼土異經량저우(凉州)에서 도안(道安)의 서로 다른 수트라 번역 목록의 새로운 편집
3新集安公關中異經관중(關中)에서 도안(道安)의 서로 다른 수트라 번역 목록의 새로운 편집
3新集律分為五部記오부율(五部律) 기록의 새로운 목록
3新集律分為十八部記18부파(十八部派)의 율 기록의 새로운 목록
3新集律來漢地四部記중국에 유통된 사분율(四分律) 기록의 새로운 목록
4新集續撰失譯雜經익명으로 번역된 수트라의 새로운 연속 목록
5新集抄經요약된 경전의 새로운 목록
5新集安公疑經도안(道安)의 의심스러운 경전 목록의 새로운 편집
5新集疑經의심스러운 경전의 새로운 목록
5新集安公注經及雜經志주석이 달린 경전과 잡서(雜書) 목록의 도안(道安) 편집
5小乘迷學竺法度造異儀記소승(小乘)에 열성적인 학생 축법도(竺法度)가 만든 이의(異儀) 기록
5長安叡法師喻疑장안(長安)의 예법사(叡法師)의 의심스러운 비유


2. 3. 권6-12: 총경서(總經序)

120편에 달하는 경전 서문(경서)과 중국에서 저술된 불교 서적을 수록하고 있다.[1]

2. 4. 권13-15: 술열전(述列傳)

述列傳중국어은 불경을 번역한 32명(외국인 22명, 중국인 10명)의 전기를 담고 있다.[1] 이 책은 후한부터 양나라까지 불경의 한역 역사와 중국 불교 사상의 기본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며, 중국과 서역의 교역사 관련 기록도 포함하고 있다.[1]

혜교의 《고승전》 중 〈역경편〉은 이 책의 述列傳중국어을 바탕으로 쓰여졌다.[1]

3. 영향

《출삼장기집》은 후대에 편찬된 불교 경전 목록과 동아시아 불교 경전의 번역 시기, 번역자를 정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었다. 혜교의 《고승전》 역경편은 《출삼장기집》의 술열전 내용을 상당 부분 참고하여 작성되었다.[6] 《역대삼보기》는 《출삼장기집》의 데이터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대정신수대장경의 경전 번역자와 번역 시기 정보는 《출삼장기집》에 근거하고 있다.

4. 기타

중국 문학 연구자 흥선굉은 《문심조룡》(文心雕龍)의 저자로 알려진 유협(劉勰)이 《출삼장기집》 편찬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동시대에 조금 늦게 성립된 혜교의 《고승전》 중 「역경편」의 기사 대부분은, 본서의 「술열전」에 기초하여 쓰여졌다고 여겨진다.[1]

참조

[1] 서적 A Guide to the Earliest Chinese Buddhist Translations: Texts from the Eastern Han 東漢 and Three Kingdoms 三國 Periods Inter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Advanced Buddhology, Soka University 2008
[2] 간행물 Creating religious terminology–A comparative approach to early Chinese Buddhist translations https://journals.ub.[...] 2008
[3] 서적 The Buddhist conquest of China: the spread and adaptation of Buddhism in early medieval China https://archive.org/[...] Brill 2007
[4] 서적 Chu san zang ji ji 出三藏記集 Zhonghua Book Company 1995
[5] 서적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t Bibliography: Censorship and Transformation of the Tripitaka Cambria Press 2014
[6] 간행물 Fei Changfang's Treatment of Sengyou's Anonymous Texts 2019
[7] 문서 1886-1953年、実業家・僧侶、1942年まで駒沢大学教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