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를루스 필리프 시메느스 벨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를루스 필리프 시메느스 벨루는 동티모르의 로마 가톨릭 주교로, 1948년 동티모르에서 태어났다. 1983년 딜리 교구의 사도좌서리주교로 임명되어 동티모르 가톨릭 교회의 최고 책임자가 되었고, 1988년 주교로 서품되었다. 그는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침공 이후 동티모르의 독립과 인권을 위해 노력했으며, 1996년 조제 하무스 오르타와 함께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2002년 사임 후, 아동 성 학대 의혹이 제기되어 교황청의 징계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티모르의 노벨상 수상자 - 주제 하무스오르타
    주제 하무스오르타는 동티모르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혁명전선(FRETILIN) 발기인, 동티모르 민주 공화국 외무 장관, 유엔 주재 상임 대표, CNRM 결성, 노벨 평화상 공동 수상, 초대 외무 장관 및 총리를 역임하고 2007년과 2022년 동티모르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카를루스 필리프 시메느스 벨루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존칭대주교
이름카를루스 필리프 시메느스 벨루
로마자 표기Carlos Filipe Ximenes Belo
출생일1948년 2월 3일
출생지베마세, 바우카우, 포르투갈령 티모르 (현재의 동티모르)
국적동티모르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거주지마푸투, 모잠비크
부모도밍구스 바스 필리페
에르멜린다 밥티스타 필리페
필리페 시메느스 벨루의 서명
필리페 시메느스 벨루 서명
직책
직함로리움의 명의 주교
디리의 명예 사도 관리자
임명일1988년 3월 21일
서임1988년 6월 19일
서임자프란체스코 카날리니
이전 직책디리 사도 관리자 (1988년–2002년)
서품
사제 서품1980년 7월 26일
서품자조제 폴리카르포
교육
모교포르투갈 가톨릭 대학교
살레시오 교황 대학교
모토
모토Caritas Veritatis-Veritas Caritatis (사랑의 진리-진리의 사랑)
수상
노벨 평화상1996년
수상 이유동티모르 분쟁의 정당하고 평화적인 해결에 대한 노력

2. 초기 생애 및 사제 서품

카를루스 필리프 시메느스 벨루는 어린 시절 바우카우와 오수의 가톨릭 학교에서 공부했으며, 이후 딜리 외곽에 있는 다레의 소신학교에 입학하여 1968년에 졸업했다.[4] 1969년부터 1981년까지 포르투갈과 로마에서 유학하며 철학과 신학을 공부했다. 1974년부터 1976년까지는 동티모르와 포르투갈령 마카오에서 사목 실습을 했다.[4]

1974년 10월 6일 살레시오회 회원으로 종신 서원을 하였고, 1980년 7월 26일 사제 서품을 받았다.[5] 1981년 동티모르로 귀국한 벨루는 인도네시아동티모르 침공으로 인해 인도네시아 시민권을 취득해야 했다.[2] 귀국 후 파투마카에 있는 살레시오회 대학에서 20개월 동안 교사로, 2개월 동안 학장으로 봉직했다.

2. 1. 출생 및 가족

카를루스 필리프 시메느스 벨루는 도밍구스 바스 필리페와 에르멜린다 바티스타 필리페 사이의 다섯 번째 자녀로, 포르투갈령 티모르(현 동티모르) 북쪽 해안 베마세 근처 와이라카마 마을에서 태어났다.[4] 그의 아버지는 교사였으나 벨루가 태어난 지 2년 후 세상을 떠났다.[4]

2. 2. 교육 및 수련

카를루스 필리프 시메느스 벨루는 1948년 동티모르 와일라마카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도밍구스 바스 필리페는 교사였으나 벨루가 태어난 지 2년 후 세상을 떠났다.[4] 벨루는 바우카우와 오수에서 가톨릭 학교를 다녔고, 1968년 딜리 외곽의 다레에 있는 소신학교를 졸업했다.[4] 1969년부터 1981년까지 포르투갈 가톨릭 대학교와 살레시오 교황청립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다. 이 기간 중 1974년부터 1976년까지는 동티모르와 포르투갈령 마카오에서 실습 기간을 가졌다.[4]

벨루는 1974년 10월 6일 살레시오회 회원으로 최종 서원을 했고, 1980년 7월 26일 사제 서품을 받았다.[5] 1981년 동티모르로 돌아온 후, 인도네시아가 동티모르를 침공했기 때문에 인도네시아 시민권을 취득해야 했다.[2] 벨루는 20개월 동안 교사로, 이후 2개월 동안 파투마카에 있는 살레시오 대학교 교장으로 일했다.

2. 3. 인도네시아 시민권 취득

벨루는 1981년 동티모르로 돌아왔는데, 인도네시아가 카네이션 혁명 이후 동티모르를 침공했기 때문에 인도네시아 시민권을 취득해야 했다.[2]

3. 사도좌 행정관 재임

1983년 마르티뉴 다 코스타 로페스 주교가 사도좌서리주교직에서 물러난 후, 벨루는 로리움의 명예 주교이자 동티모르 가톨릭 교회의 최고 책임자인 딜리 교구의 사도좌서리주교로 임명되었다.[6] 벨루는 로페스의 길을 따라 취임 5개월 후인 1983년 크라라스 학살을 규탄하고 많은 인도네시아인들의 체포를 비난하는 설교를 했다. 그는 동티모르의 폭력에 대한 세계의 무지를 불식시키기 위해 해외 접촉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1989년 2월, 벨루는 포르투갈 대통령, 교황, 유엔 사무총장에게 서한을 보내 유엔이 동티모르의 미래에 대한 국민투표를 후원하고 감독하며, "인민과 국가로서 죽어가는" 동티모르 사람들을 위한 국제적 지원을 요청했다. 이 유엔에 대한 호소는 4월에 공개되었다. 그는 1991년 산타크루스 학살에서 도망친 청소년들을 자신의 집에 피신시키고 많은 사람들이 살해된 방법을 폭로하려고 노력함으로써 인도네시아 당국을 더욱 자극했다.

동티모르 사람들을 위해, 그리고 평화와 화해를 추구하는 벨루의 노고는 호르타와 함께 1996년 12월 10일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면서 인정받았다.[8] 벨루는 이 영예를 이용하여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남아프리카 공화국넬슨 만델라를 포함한 여러 세계 지도자들과 만났다.

2002년 5월 20일 동티모르 독립 후, 벨루는 수개월 동안 포르투갈로 가서 치료를 받았다. 그는 나중에 "장기간의 회복이 필요한 신체적, 정신적 피로를 겪고 있다"고 말했다. 그와 동티모르 다른 교구의 사도좌서리주교인 바질리오 두 나시멘토 주교는 2002년 10월 28일 교황과 비공개로 만났다.[10]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은 2002년 11월 26일 딜리의 사도좌서리주교직 사임을 수락했다. 나시멘토가 그의 후임으로 임명되었다.[11] 바티칸의 발표는 54세의 나이에 그의 은퇴 이유를 설명하지 않았지만, 중대한 이유나 건강 문제로 주교가 은퇴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교회법 조항을 인용했다.[12][20]

3. 1. 임명 및 서품

마르티뉴 다 코스타 로페스 주교가 1983년 사도좌서리주교직에서 물러난 후, 벨루는 로리움의 명예 주교이자 동티모르 가톨릭교회의 최고 책임자인 딜리 교구의 사도좌서리주교로 임명되었다.[6] 1988년 3월 21일 임명되었고,[6] 1988년 6월 19일 인도네시아 교황대사관의 프란체스코 카날리니 대주교에 의해 주교로 서임되었다.[7] 그는 자신의 주교좌 표어로 "Caritas Veritatis-Veritas Caritatis"를 선택했다.

3. 2. 인도네시아 통치하의 활동

마르티뉴 다 코스타 로페스 주교가 1983년 사도좌서리주교직에서 물러난 후, 벨루는 로리움의 명예 주교이자 동티모르 가톨릭 교회의 최고 책임자인 딜리 교구의 사도좌서리주교로 임명되었다.[6] 1988년 6월 19일, 인도네시아 교황대사관의 프란체스코 카날리니 대주교에 의해 주교로 서임되었다.[7]

벨루는 로페스의 길을 따라 취임 5개월 후인 1983년 크라라스 학살을 규탄하고 많은 인도네시아인들의 체포를 비난하는 설교를 했다. 그는 동티모르의 폭력에 대한 세계의 무지를 불식시키기 위해 해외 접촉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1989년 2월, 포르투갈 대통령, 교황, 유엔 사무총장에게 서한을 보내 유엔이 동티모르의 미래에 대한 국민투표를 후원하고 감독하며, "인민과 국가로서 죽어가는" 동티모르 사람들을 위한 국제적 지원을 요청했다. 이 유엔에 대한 호소는 4월에 공개되었다. 1991년 산타크루스 학살에서 도망친 청소년들을 자신의 집에 피신시키고 많은 사람들이 살해된 방법을 폭로하려고 노력함으로써 인도네시아 당국을 더욱 자극했다.

동티모르 사람들을 위해, 그리고 평화와 화해를 추구하는 벨루의 노고는 호르타와 함께 1996년 12월 10일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면서 인정받았다.[8] 벨루는 이 영예를 이용하여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남아프리카 공화국넬슨 만델라를 포함한 여러 세계 지도자들과 만났다.

3. 3. 유엔 국민투표 요구

벨루는 1989년 2월에 포르투갈 대통령, 교황, 유엔 사무총장에게 서한을 보내 유엔이 동티모르의 미래에 대한 국민투표를 후원하고 감독할 것을 요청했다. 또한, "인민과 국가로서 죽어가는" 동티모르 사람들을 위해 국제적 지원을 요청했다.[8] 이 호소는 그해 4월에 공개되었다.

3. 4. 산타크루스 학살 대응

1989년 2월, 벨루는 포르투갈 대통령, 교황, 그리고 유엔 사무총장에게 서한을 보내 유엔이 동티모르의 미래에 대한 국민투표를 후원하고 감독하며, "인민과 국가로서 죽어가는" 동티모르 사람들을 위한 국제적 지원을 요청했다. 이 유엔에 대한 호소는 4월에 공개되었다.[6] 그는 1991년 산타크루스 학살에서 도망친 청소년들을 자신의 집에 피신시키고 많은 사람들이 살해된 방법을 폭로하려고 노력함으로써 인도네시아 당국을 더욱 자극했다.

3. 5. 전 동티모르인 포괄 대화 참여

1995년부터 시작된 "전 동티모르인 포괄 대화"에서 시메느스 벨루 주교는 큰 역할을 하였다. 이 "포괄 대화"는 유엔이 주선하여 동티모르 지역 안팎의 동티모르 지도자 약 30명을 한자리에 모아 동티모르의 현황과 미래에 대해 논의하고 선언을 발표하는 것이었다. 시메느스 벨루 주교는 그곳에서 합병파와 저항파 양측 모두로부터 존경받는 인물로서 대화 성립의 핵심 인물이 되었다.[8]

3. 6. 노벨 평화상 수상

벨루 주교는 동티모르 사람들을 위해 평화와 화해를 추구한 공로로 1996년 12월 10일 조제 하무스 오르타와 함께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8] 이 상은 1996년 10월 12일에 발표되었다.[9] 벨루는 이 영예를 이용하여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남아프리카 공화국넬슨 만델라를 포함한 여러 세계 지도자들과 만났다.

1989년, 시메느스 벨루 주교는 하비에르 페레스 데 쿠에야르 유엔 사무총장에게 유엔 감독 하의 주민 투표 실시를 요구하는 서한을 보냈다. 서한에서 시메느스 벨루 주교는 동티모르인들이 자결권을 행사할 기회를 얻지 못하고 있으며, 이대로라면 동티모르인들이 민족으로서 멸망할 것이라고 호소했다. 이 서한은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특히 일본의 소마 노부오 주교는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의 교회 관계자들에게 시메느스 벨루 주교 지원을 호소하여, 같은 해 5명의 추기경, 122명의 대주교·주교를 포함한 1257명의 서명을 받아 유엔 비식민지화 특별위원회에서 시메느스 벨루 주교 지원을 위한 성명을 발표했다. 서명은 유엔 사무총장에게 제출되었다.

시메느스 벨루 주교는 종교인으로서 정치 문제에 대한 발언을 삼가왔지만, 1995년부터 시작된 소위 "전 동티모르인 포괄 대화"에서 큰 역할을 했다. 이 "포괄 대화"는 유엔이 주선하여 동티모르 지역 내외의 동티모르 지도자 약 30명을 한자리에 모아 동티모르의 현황과 미래에 대해 논의하고 선언을 발표하는 것이었다. 시메느스 벨루 주교는 그곳에서 합병파와 저항파 양측 모두로부터 존경받는 인물로서 대화 성립의 핵심 인물이 되었다.

4. 사도좌 행정관 사임 이후

벨루는 사임 후 암 치료를 위해 포르투갈로 갔다고 밝혔다.[20] 2004년 초, 동티모르로 돌아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라는 요청이 잇따랐지만, "정치는 정치인에게 맡기기로 했다"고 말했다. 2004년 6월부터 모잠비크 마푸투 교구에서 "보조 사제"로 사목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새로운 정치 상황에서 화해를 위해서는 새로운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딜리를 떠났다고 밝혔다. 살레시오회 상급자 및 크레센시오 세페 추기경과 상의 후, 모잠비크에서 1년간 머물 계획이었다.[13] 2024년 ''뉴욕 타임스''는 벨루가 모잠비크에서 사제로 일하고 있다고 보도했다.[14]

4. 1. 사임 및 건강 문제

벨루는 사임 후 암 치료를 위해 포르투갈로 갔다고 밝혔다.[20]

2004년 초, 동티모르로 돌아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라는 요청이 잇따랐다. 2004년 5월, 그는 포르투갈 국영 방송 RTP에 "정치는 정치인에게 맡기기로 했다"고 말했다.

2004년 6월, 벨루는 모잠비크 마푸투 교구에서 "보조 사제" 역할로 일하기 시작했다. 그는 "아이들에게 교리 교육을 하고 젊은이들에게 피정을 지도하는 사목 활동을 합니다. 저는 꼭대기에서 바닥까지 내려왔습니다."라고 자신의 역할을 설명했다. 그는 인터뷰에서 딜리를 떠난 이유에 대해, 새로운 정치 상황에서 이전 투쟁과 관련된 자신이 아닌, 화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리더십이 필요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다른 언어를 배울 수 없다고 생각하여 모잠비크를 선택했으며, 살레시오회 상급자와 선교 지역을 담당하는 쿠리아 부서를 이끌었던 크레센시오 세페 추기경과 상의했다고 말했다. 그는 1년 동안 머물 계획이었다.[13] 2024년 ''뉴욕 타임스''는 벨루가 "모잠비크에서 사제로 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14]

4. 2. 모잠비크 선교 활동

벨루는 2002년 건강 악화로 동티모르에서 주교직을 사임하고,[20] 2004년부터 모잠비크에서 선교사로 활동했다.[13] 2004년 6월, 마푸투 교구에서 일하기 시작했으며, 자신의 역할을 "보조 사제"라고 설명했다.[13] 그는 아이들에게 교리를 가르치고 젊은이들을 위한 피정을 지도하는 사목 활동을 했다.[13]

벨루는 딜리를 떠난 이유에 대해, 새로운 정치 상황에서 자신이 이전 투쟁과 관련되어 있었기 때문에 화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리더십이 필요했기 때문이라고 인터뷰에서 밝혔다.[13] 그는 다른 언어를 배울 수 없다고 생각했기에 모잠비크를 선택했으며, 살레시오회 상급자와 선교 지역을 담당하는 교황청 부서를 이끌었던 크레센시오 세페 추기경과 상의했다고 밝혔다.[13] 그는 1년 동안 머물 계획이었다.[13] 2024년 ''뉴욕 타임스''는 벨루가 "모잠비크에서 사제로 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14]

5. 아동 성 학대 의혹

카를루스 필리프 시메느스 벨루 주교는 1990년대 동티모르 수도 딜리에서 가난한 소년들을 성적으로 학대하고 돈을 건넸다는 의혹을 받았다. 2022년 9월 28일 네덜란드 주간지 더 흐루너 암스테르다머가 이를 보도하자,[21] 교황청은 이튿날 성명을 내고 벨루 주교에게 징계를 내렸다고 밝혔다.[21] 그러나 교황청이 의혹을 은폐하거나 봐주려 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되었다.[21] 벨루 주교는 2002년 건강상의 이유로 딜리 교구 사도 행정관직에서 물러났으며, 당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이를 승인했다. 교황청은 그가 왜 사임했고 모잠비크로 보내졌는지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다.[21]

5. 1. 네덜란드 언론 보도

2022년 9월 28일, 네덜란드 잡지 ''데 그로네 암스테르담머(De Groene Amsterdammer)''는 벨루가 동티모르에서 자신들과 다른 아이들을 성적으로 학대했다는 두 남성의 주장을 보도했다. 해당 잡지의 조사에 따르면 벨루는 파투마카와 딜리에서 주교직 재임 전과 재임 중에 남성 아동들을 성적으로 학대했다고 한다.[18] 다음 날 바티칸 대변인은 2019년 동티모르에서 수년 전 그의 행동에 대한 주장을 접수한 지 1년도 채 되지 않은 2020년에 교회 관계자들이 벨루에 대해 징계 조치를 취했다고 확인했다. 여기에는 벨루의 이동 제한 및 사목 활동 제한, 아동과의 접촉 금지가 포함되었다. 그는 동티모르와의 모든 접촉도 금지되었다. 바티칸은 2021년에 징계 조치를 "수정 및 강화"했다. 대변인은 벨루가 두 해 모두 이러한 규칙을 받아들였다고 말했다.[19][20]

5. 2. 교황청의 징계 조치

2022년 9월 28일, 네덜란드 잡지 ''데 그로네 암스테르담머(De Groene Amsterdammer)''는 벨루가 동티모르에서 자신들과 다른 아이들을 성적으로 학대했다는 두 남성의 주장을 보도했다. 해당 잡지의 조사에 따르면 벨루는 파투마카와 딜리에서 주교직을 맡기 전과 맡는 중에 남자아이들을 성적으로 학대했다고 한다.[18]

다음 날 바티칸 대변인은 2019년 동티모르에서 수년 전 그의 행동에 대한 주장을 접수한 지 1년도 채 되지 않은 2020년에 교회 관계자들이 벨루에 대해 징계 조치를 했다고 밝혔다. 이 징계 조치에는 벨루의 이동 및 사목 활동 제한, 아동과의 접촉 금지가 포함되었다. 그는 동티모르와의 모든 접촉도 금지되었다. 바티칸은 2021년에 징계 조치를 "수정 및 강화"했다. 대변인은 벨루가 두 해 모두 이러한 규칙을 받아들였다고 말했다.[19][20]

같은 날, 네덜란드 주간지 더 흐루너 암스테르다머는 카를루스 벨루 주교가 1990년대 동티모르 수도 딜리에서 가난한 소년들을 성적으로 학대하고 그 대가로 돈을 건넸다고 보도했다. 교황청은 이튿날 성명을 내고 "당시 주교의 행위와 관련한 의혹을 접수한 뒤 (조사를 통해) 징계를 부과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벨루 주교가 징계를 받기 이전에 교황청이 의혹을 은폐하거나 봐주기를 시도한 것이 아니냐는 문제 제기도 나오고 있다. 벨루 주교는 2002년 건강상의 이유로 딜리 교구의 사도 행정관에서 사임하겠다는 뜻을 교황청에 전했고 당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이를 받아들였다. 교황청은 그의 사임을 허락하고 그를 모잠비크로 보낸 이유에 대해 일절 설명하지 않았다.[21]

6. 기타 수상 경력


  • 1995년 권리와 민주주의(Rights & Democracy)로부터 존 험프리 자유상(John Humphrey Freedom Award)을 수상했다.[15]
  • 1988년 8월 3일 포르투갈 정부로부터 자유 훈장(Order of Liberty) 대십자훈장을 받았다.[16]
  • 2004년 카르디날 에레라 대학교(CEU Cardinal Herrera University)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 국제 루소폰 운동(International Lusophone Movement)으로부터 2010년 루소폰 인물상을 수상했다.[17]

참조

[1] 뉴스 Bishop Belo quits after health scare https://catholiclead[...] 2002-12-08
[2] 서적 'The Heaviest Blow': The Catholic Church and the East Timor Issue https://books.google[...] Lit Verlag 2004
[3] 뉴스 Nobel Peace Prizes:Western, Perhaps, but Is It a Bad Thing? https://www.nytimes.[...] 1996-10-24
[4] 서적 Demi Keadilan & Perdamaian: Dom Carlos Filipe Ximenes Belo Peace and Justice Commission Diocese of Dili & Peace and Justice Secretariat Bishops' Conference of Indonesia 1997-03
[5] 서적 From the Place of the Dead: The Epic Struggles of Bishop Belo of East Timor St. Martin's Press 1999
[6]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s://www.vatican.[...] 1988
[7] 서적 The Independence of East Timor Sussex Academic Press 2011
[8] 뉴스 Treading Softly, but Firmly, Timor Bishop Accepts Nobel https://www.nytimes.[...] 1996-12-11
[9] 뉴스 Timorese Bishop and Exile Given Nobel Peace Prize https://www.nytimes.[...] 1996-10-12
[10] 보도자료 Le Udienze, 28.10.2002 https://press.vatica[...] Holy See Press Office 2002-11-26
[11] 뉴스 Bishop Belo, Nobel winner, resigns as head of E Timor diocese https://etan.org/et2[...] 2002-11-27
[12] 보도자료 Rinunce e Nomine, 26.11.2002 https://press.vatica[...] Holy See Press Office 2002-11-26
[13] 인터뷰 'I Am Now An Assistant Priest,' Bishop Belo Says https://www.ucanews.[...] 2005-02-02
[14] 뉴스 Pope Goes to East Timor, Where Scandal Shadows His Church’s Heroic Past https://www.nytimes.[...] 2024-09-09
[15] 웹사이트 John Humphrey Freedom Award 2009 https://web.archive.[...] Rights & Democracy 2010
[16] 웹사이트 Entidades Nacionais Agraciadas com Ordens Portuguesas https://www.ordens.p[...]
[17] 웹사이트 Personalidade Lusófona de 2010: D. Ximenes Belo https://movimentolus[...] 2011-02-22
[18] 뉴스 'What I want is apologies' https://www.groene.n[...] 2022-09-28
[19] 뉴스 Vatican affirms sanctioning Nobel-winning bishop over sex scandal https://www.aljazeer[...] 2022-09-29
[20] 뉴스 Vatican Disciplined Nobel Laureate Bishop Over Child Abuse Claims https://www.nytimes.[...] 2022-09-29
[21] 뉴스 노벨평화상 수상자 카를로스 벨로 주교 아동 성학대 과거 드러나 https://www.chosun.c[...] 2022-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