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샤파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샤파 1세는 473년부터 495년까지 아누라다푸라 왕국을 통치한 군주이다. 그는 아버지 다투세나를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했으며, 이복 동생 모갈라나 1세의 복수를 두려워하여 시기리야 바위에 난공불락의 왕궁을 건설했다. 495년 모갈라나 1세의 침공으로 인해 전투 중 사망했으며, 그의 사후 동생 모갈라나 1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2. 생애

카샤파 1세는 스리랑카 아누라다푸라 왕국 모리야 왕조의 왕이다. 아버지는 463년 모리야 왕조를 개창한 다투세나이다. 카샤파는 다투세나의 장남이었으나 어머니가 평민 출신이라 왕위 계승권이 없었다. 왕족 혈통의 어머니를 둔 이복동생 모갈라나에게 왕위가 돌아갈 것을 우려한 그는 473년 쿠데타를 일으켜 아버지를 몰아내고 왕위를 찬탈했으며[5], 이후 아버지를 살해했다[6][5][7].

존속 살해라는 죄와 동생의 복수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카샤파 1세는 수도 아누라다푸라를 떠나 시기리야 바위 위에 새로운 왕궁을 건설했다[8]. 479년 정식으로 왕위에 올라 이곳에서 약 16년간 통치했으며, 시기리야 왕궁은 오늘날 스리랑카의 중요한 문화재로 남아있다.

시기리야 바위


495년, 남인도에서 군대를 이끌고 돌아온 동생 모갈라나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자 스스로 목숨을 끊어 47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2. 1. 초기 생애와 왕위 찬탈

카샤파 1세의 아버지는 아누라다푸라 왕국다투세나이다. 다투세나는 본래 불교군벌 출신으로, 452년 쿠데타를 일으켜 당시 군주를 시해하고 집권했으며, 463년에는 모리야 왕조를 개창하여 정식 왕위에 올랐다.

카샤파는 다투세나의 장남이었지만, 그의 어머니는 평민 출신이었기 때문에 왕위 계승권이 없었다. 반면, 이복동생인 뭇갈라나(Moggallana)의 어머니는 왕족 혈통이었으므로 정통 계승자로 여겨졌다. 카샤파는 왕위가 동생에게 넘어갈 것을 두려워하여 아버지로부터 왕위를 빼앗을 계획을 세웠다. 그는 당시 국왕군 사령관이었으며 다투세나에게 개인적인 원한을 품고 있던 미갈라(Migara)의 도움을 받아 473년 쿠데타를 일으켰다.

쿠데타를 통해 카샤파는 아버지 다투세나를 폐위시키고 감금한 뒤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5]。이 과정에서 형에게 살해당할 것을 두려워한 동생 뭇갈라나는 남인도로 망명했다.

한편, 미갈라는 카샤파에게 다투세나가 막대한 재보를 숨겨두었다고 부추겼다. 이에 카샤파는 감금된 아버지에게 재보의 위치를 밝히라고 강요했다. 그러나 다투세나는 카샤파를 자신이 건설한 저수지로 데려가 "이것이 나의 유일한 보물이다"라고 말했다. 이에 격분한 카샤파는 미갈라에게 다투세나를 살해하라고 명령했고, 결국 다투세나는 목숨을 잃었다[6][5][7]

2. 2. 시기리야 왕궁 건설

아버지 다투세나를 살해하고 왕위에 오른 카샤파 1세는 불교도로서 가장 큰 죄인 존속 살해를 저질렀기에, 민중과 승려들로부터 "아버지 살해자 카샤파"로 경멸받았다. 또한, 남인도로 망명한 이복동생 모갈라나 왕자의 복수를 두려워한 그는 수도 아누라다푸라를 버리고 시기리야 바위 위에 새로운 왕궁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8]. 아이러니하게도 바위산 정상에 왕궁을 짓는 것은 아버지 다투세나의 오랜 꿈이기도 했다[5]. 왕궁 공사에는 7년이라는 시간이 소요되었다.

시기리야 바위는 거대한 바위산으로, 사방을 조망하기 좋은 천혜의 요새였다. 카샤파 1세는 이러한 지리적 이점을 보고 이곳을 새로운 왕도로 삼았다. 그는 바위산 주변에 도시를 건설하고, 외부의 침입을 막기 위해 견고한 둔벽과 깊은 해자를 구축했다. 특히 해자에는 악어를 풀어 방어력을 더욱 강화했다[4][9]. 해자 안쪽으로는 아름다운 "물의 정원"을 조성했는데, 이곳에는 여러 개의 연못과 분수가 설치되었다[4]. 이 정원의 연못과 분수를 유지하기 위해 당시로서는 매우 발전된 고도의 배수 시스템이 구축되었으며, 놀랍게도 이 시스템은 오늘날까지도 작동하고 있다[10].

시기리야 바위 정상에는 왕궁 본관과 더불어 여러 부속 건물, 심지어 풀장까지 마련되었다. 또한, 바위 중턱의 암벽에는 유명한 프레스코화인 "시기리야 레이디"가 그려져 당시의 화려했던 모습을 엿볼 수 있게 한다.

2. 3. 패배와 죽음

왕위에 오른 카샤파 1세는 남인도 지역으로 망명한 이복 동생 모갈라나 왕자의 복수를 항상 두려워했다. 결국 모갈라나는 남인도에서 군사를 모아 스리랑카로 돌아왔다. 495년, 모갈라나가 이끄는 군대가 시기리야 인근으로 진격해오자 카샤파 1세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맞섰다. 하바라나(Habarana) 또는 시기리야 주변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카샤파 1세는 코끼리를 타고 싸웠으나, 전투 중 코끼리에서 떨어져 수렁에 빠지는 등 불리한 상황에 처했다. 이를 본 카샤파 1세의 군사들은 사기를 잃고 흩어졌으며, 패배를 직감한 카샤파 1세는 결국 스스로 칼로 목숨을 끊었다. 그의 나이 47세였으며, 이로써 그의 통치는 495년에 막을 내렸다. 이후 동생 모갈라나가 모갈라나 1세로 즉위하여 아누라다푸라 왕국의 새로운 왕이 되었다.

2. 4. 사후

495년 카샤파 1세 군주가 향년 47세로 자살한 후, 그의 이복동생인 모갈라나 1세가 거병하여 권력을 장악했다. 모갈라나 1세는 495년부터 497년까지 2년간 아누라다푸라 왕국대리집정으로 통치하다가, 497년아누라다푸라 왕국 모리야 왕조의 제3대 군주로 즉위하였다.

3. 가족 관계


  • 이복 아우: 모갈라나 1세

참조

[1] 서적 Sigiriya https://archive.org/[...] Central Cultural Fund of Sri Lanka
[2] 서적 The Story of Sigiriya Panique Pty Ltd
[3] 웹사이트 Mysteries of Sigiriya and its landscape garden http://www.dailynews[...] 2008-10-26
[4] 웹사이트 ラピュタの天空城?!狂気王が築いた世界遺産「シーギリヤの古代都市」 https://www.travel.c[...] LINEトラベル 2021-01-04
[5] 웹사이트 世界遺産シギリヤロックに隠れる悲しい物語 https://etours.world[...] いい旅スリランカ 2021-01-04
[6] 서적 The Story of Sigiriya Panique Pty Ltd
[7] 서적 Cūlavaṃsa being the most recent part of the Mahavamsa Milford
[8] 웹사이트 Sigiriya frescos? the surviving verdict for the marvel of human creativity http://www.news.lk/i[...] The Official Government News Portal of Sri Lanka 2008-10-26
[9] 웹사이트 Major Cultural Assets in Sri Lanka http://www.archaeolo[...] Department of Archaeology of Sri Lanka 2008-10-26
[10] 서적 Sigiriya https://archive.org/[...] Central Cultural Fund of Sri Lank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